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자병취의 생육지 특성

        오영주,백원기,이우철,Oh, Young-Ju,Paik, Weon-Ki,Lee, Woo-Chul 한국생태학회 2002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5 No.3

        1997년 임형탁에 의해 신종으로 기재된 자병취(Saussurea chabyoungsanica Im)에 대한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새로운 분포지를 조사하였고, 이 종에 대한 식생구조와 토양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병취는 태백산맥계에 속하는 만덕봉, 석병산, 석개재, 덕항산의 능선부 등 모두 석회암 지대에서 발견되었고, 이들 지역 중 석개재는 하부대석회암층, 석병산, 만덕봉, 덕항산은 상부대석회암층에 속하는 지역이었다. 이들 지역에 자생하는 자병취의 식물사회학적 조사결과, 식물군락은 광의의 신갈나무군락군에 포함되는 자병취-산거울군락군, 조록싸리-자병취군락, 조록싸리-자병취전형하위군락, 대사초하위군락, 민둥갈퀴-자병취군락, 참배암차즈기-자병취군락, 털댕강나무-자병취군락 등 1군락군. 4군락, 2하위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자병취의 생육지의 환경요인을 분석한 결과, 주로 북사면의 능선부에 분포하며, 토양의 pH는 $7{\sim}8$ 범위의 전형적인 석회암지대임을 보였고 토양의 수분함량이 높고 유기물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의 토심이 $1{\sim}10cm$, 상대광도가 $30{\sim}45%$에서 높은 빈도로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암반나출지나 임연부의 관목층이 우점하는 곳에 주로 분포하는 특성을 보였다. 자병취 자생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군락 구분을 한 뒤, 각 군락별 토양환경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군락별 토양시료의 PCA분석 결과, 토양환경요인의 특성에 의해 대체로 군락구분이 가능하였다. 이차원공간에 표현되는 기여율의 누적값은 73%로 토성과 유기물함량, 토양함수량 등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Saussurea chabyoungsanica was recorded in new species by Lim Hyoung Tak in 1997.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tity of new species, we investigated the new distribution sites,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Additionally discovered distribution sites of S. chabyoungsanica were Manduckbong, Mt. Sukbyoung, Mt. Duckhang, and Sukgaejae, which were located on ridge of the Taebaek Mountains. Those sites are typical limestone zones of Korea and among them Sukgaejae belongs to lower great limestone area and Manduckbong, Mt. Sukbyoung and Mt. Duckhang belong to upper great limestone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phytosociological study, plant communities of S. chabyoungsanica were classified by 1 Community group, 4 Communities and 2 Subcommunities; Carex humilis var. nana-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group in wide sens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Lespedeza maximowiczii-Saussurea chabyounsanica Community, Galium kinuta-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Salvia chanryonica-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Zabelia coreana-Saussurea chabyoungsanica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 analysis of habitat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site of S. chabyoungsanica was ridge of North aspect and displayed pH $7{\sim}8$ typical of limestone. Soil moisture content was high, whereas organic matter content was low. Considering its high occurrence in sites of $1{\sim}10cm$ in soil depth, and of $30{\sim}45%$ in relative light intensity, major distribution sites were outcrops and boundaries between shrubland and forest. After community division by vegetation structure in habitat of S. chabyoungsanica, we investigated characters of soil environment by community. As a result of PCA analysis of soil sample by community, it was possible to divide community by characters of soil environmental factor. The cumulative value of contribution rate represented in second dimension space was 73% and the major factors for that value were soil texture, organic matter content and field capacity.

      • SCIEKCI등재

        시설온주밀감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평가

        오영주,황인주,김찬식,강순선,고정삼 ( Young Ju Oh,In Ju Hwang,Chan Shick Kim,Soan Sun Kang,Jeong Sam Koh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7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0 No.4

        To assess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var. miyakawa) produced in Cheju, were analyzed chemical compositions for fruits,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 edible quality. Changes in organoleptic value according to brix and acid content were also evaluated. The ratios of sucrose : glucose : fructose in citrus juice were 2 : 2 : 1.5. Citric acid as the main acid in the juice represented about 70% of total organic acid. Most of the amino acids were found to be nonessential amino acids. Deep yellow color of the citrus peel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r=0.563) with brix/acid ratio of the citrus juice, indicating the ripeness of the fruit. Since the acid content showed highly negative statistical relationship(r=-0.882) with the pH value of the juice, the pH value appears to be a simple indicator for the sourness of the fruit in the field test. The fruits were divided into 9 groups based on the brix/acid contents for sensory evaluation. The palatability patterns of each group changed depending on the acid content. The optimal ranges of brix/acid content for acceptable taste were 11 and 0.5∼1.0, respectively.

      • 이상기후에 따른 축산농가의 취약성 평가

        오영주 ( Young Ju Oh ),윤성탁 ( Seong Tak Yoon ),김명현 ( Myung Hyun Kim ),강기경 ( Kee Kyung Kang ),나영은 ( Young Eun Na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이상기후에 대한 농업부문의 취약성을 평가하는 것은 노출이나 스트레스로 인해 시스템이 얼마나 쉽게 영향을 받는가에 대한 척도로서 기후변화의 적응대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하고 국가나 지방정부에서 적응정책 방향성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UNDP, 2005). 최근 10년간(1995∼2004) 각종 기상재해로 인한 총 피해규모는 17조 2천 500억원 이상에 달하며, 이 중 농산물 피해액이 5조 2천 500억원으로 총 피해규모의 3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업부문의 이상기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축산 농가를 중심으로 기후영향에 의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취약성 평가는 기후노출과 민감도에 적응능력을 제외하여 지도를 작성하였다. 기후노출 평가에서는 RCP 시나리오와 SRES 시나리오를 비교 하였다. 기후노출은 일최고기온의 27℃이상인 날의 횟수, 일최대풍속이 14m/s 이상인 날의 횟수, 적설량이 20cm이상인 날의 횟수, 온습도지수가 72이상인 날의 횟수를 중심으로 대용변수를 선정하였고 민감도는 가축사육두수, 가축병 발생위험율, 사육시설면적당 축사잠사 피해동수, 태풍에 의한 총 피해액, 강풍에 의한 총 피해액, 대설에 의한 총 피해액을 대용변수로 선정하였다. 적응능력은 재정자립도와 1인당 지역내 총생산, 인구당 공무원수, 사육시설면적당 축산 주종사자수, 축산폐수처리 능력, PC활용 농가수/총농가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RCP 과거기초(2000년대)를 중심으로 한 이상기후에 의한 축산 농가의 취약성에서 경기남부와 북부, 전라북도 남부, 충청북도 서부가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RCP 8.5 2050년대로 갈수록 경기도와 전락북도, 충청북도 서부전역, 경상남도와 대구광역시에서 취약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1B 2050년대와 RCP 8.5 2050년대 비교에서는 RCP 시나리오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반시대적 그림 하나 -『감정교육』의 퐁텐블로 일화-

        오영주 ( Young Ju Oh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2 佛語佛文學硏究 Vol.0 No.92

        『감정교육』은 1848년을 직접 소재로 삼은 드문 소설이다. 그런데 플로베르는 1848년 혁명의 전개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6월 봉기 동안 주인공 프레데릭을 ‘형제살육’의 내전이 벌어지고 있는 파리를 떠나 퐁텐블로로 보내버린다. 파리에서 역사의 시계 바늘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3일 동안 프레데릭은 퐁텐블로에서 영원으로 이어질 것 같은 시간 속에서 밀월의 꿈에 잠긴다. 48 세대의 이야기인 『감정교육』 속에, 주인공과 독자를 1848년의 중력 밖에 놓으면서 플로베르의 펜이 가리키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 이 질문은, 퐁텐블로 일화가 『감정교육』의 역사적 사건의 서술 방식, 역사적 사건의 가치절하를 표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소설 전체의 역사 글쓰기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 당대의 휴머니스트 작가들의 작품에서와는 달리 『감정교육』의 퐁텐블로에서는 역사에 의한 자연의 영토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역사’의 시간이 자연의 시간과 신화의 비시간성 쪽으로 미끄러진다. 전설과 신화의 시대, 지질학상의 시간 - 인간이 제어하고 통제할 수 없는 시간, ‘역사’ 속으로 끌어들일 수 없는 시간을 펼쳐 보이면서 퐁텐블로 일화는 진보가 보증을 서고 진보의 표현이 된 역사의 어떤 개념, 목적론적 역사 개념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의문과 더 나아가 그에 대한 비판은 플로베르의 편지 속에서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지만, 소설 속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비개인성의 원칙에 따라 플로베르는 자신의 생각을 작품 속에서 활자화 하지 않는다. 대신 그것은 이야기를 쓰도록 해준다. 즉 생각은 이야기를 구조 짓는다. 퐁텐블로 일화는 『감정교육』의 1848년 이야기 속에 부적절하고 뜬금없이 놓여 있다. 본 연구는 퐁텐블로 일화에 나타난 시간의 양상을 분석한 후, 플로베르의 편지글을 통해 당대의 목적론적 역사 개념에 대한 비판과 역사에 대한 그의 생각을 살펴보면서, 퐁텐블로 일화를 작가 플로베르가 소설 속에 그려 놓은 한 점의 ‘반시대적 그림’, 시대의 합의를 거부하고 시대의 편견을 드러내는 말 없는 한 점의 그림으로 읽힐 수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 KCI등재

        1인 집합건물 입주자들의 사회적 소통을 위한 커뮤니티 활동 공간에 대한 연구

        오영주(Oh, Young Ju),강성중(Kang, Sung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저출산, 고령화 등에 의한 인구 구조와 경제 환경변화로 가구 유형은 급격한 1인 가구로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는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급속한 증가에 비해 소흘해지고 있는 사회적 소통을 강화하고 심리적 안정과 행복한 삶을 위한 건강한 주거 환경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문헌연구와 문헌연구 분석에 기초한 커뮤니티 활동 공간을 제안으로 진행하며, 도시지역의 1인 집합건물을 대상으로 한다. 커뮤니티 활동은 주민의 교류와 소통을 위한 모든 활동이며, 구성원의 요구(Needs)에 맞는 변화와 활성화가 필요하다. 소통를 위한 구성요소는 정보의 개방성, 접근성, 인터랙션 3가지로 구성 하였다. 커뮤니티의 모임 및 공간 이용 행태에 따라 지점형, 순환형, 네트워크형으로 구분돤다. 지점형과 순환형은 건축물 내의 활동 유형이며, 네트워크형은 외부 공간을 연계하여 활용하는 활동 유형이다. 지점형은 한 장소(공간)을 기점으로 구성원이 함께 모여서 커뮤니티 활용을 영위하는 것이며, 순환형은 고정된 장소가 아니라 여러 개의 장소를 번갈아 활용하는 커뮤니티 방식이다. 네트워크형은 건축물 내부의 커뮤니티 공간과 더불어 외부의 공간을 함께 활용하는 방식이다. 지점형 커뮤니티 활동은 공동 관리 중심으로 개인과 참여자가 함께 공유하고 소통하는 독립된 활동 공간이다. 순환형 커뮤니티 활동은 입주자의 개실을 중심으로 개인적 관계가 기반으로 커뮤니티를 서로 순환하며 참여하는 활동 공간이다. 네트워크형 커뮤니티 활동은 집합건물의 공간적 범위를 넘어 지역사회로의 확장을 의미하며, 사회적 플랫폼으로 잉여 공간을 활용하는 활동 공간이다. 1인 집합건물의 커뮤니티 활동공간은 입주자 간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사회적 문제를 소통으로 보다 나은 주거 환경과 건강한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As a result of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economic environment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the aging of society,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rapidly increasing. This shift has led to a growth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associated with isolation, which is expanding into a social problem, thus triggering the ne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solve this social issue.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social communication, which is being neglected with the rapid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building a healthy residential environment fo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 happy life,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 community activity space,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The target of the study is buildings occupied by single-person households. The term ‘community activity’ refers to all activities that invol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among residents, and that must be changed and vitalized in accordance with its members’ needs. The three major components for communication are openness, accessibility, and interaction of information. Types of community activities vary based on their purposes and usages of space, and can be categorized into the unity type, circulation type, and networking type. Unity and circulation types of community activities are activities held indoors, while the networking type of community activities utilizes outdoor environments. The unity type involves a single venue (space) where the participants gather to engage in the community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circulation type utilizes different venues instead of a fixed place for its activities. The networking type not only uses indoor areas but also maximizes the use of outdoor space. The community activities under the unity type involve an independent space that is managed by everyone, and each individual and participant share toge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irculation-type activities highlight the individual’s own space and move around from one place to another while focusing on personal relationships. The networking-type community activities signify going beyond the spatial extent of the buildings and expanding to a local society. The space of the buildings occupied by the single person households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space to create a bette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healthy community through social communication by activating exchanges among residents.

      • KCI등재

        피복작물이 유기 사과과원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오영주(Young-Ju Oh),강석범(Seok-Boem Kang),송양익(Yang-Ik Song),최진호(Jin-Ho Choi),백원기(Woen-Ki Paik)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5

        최근에 소비자들의 안전 농산물에 대한 관심과 정부의 정책적인 친환경농업에 대한 지원으로 유기 과수 재배는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본 연구는 피복 작물별 유기 사과 과원의 토양 화학성 및 시기별 토양미생물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피복작물의 토양미생물상 영향을 구명하고 유기농법에 의한 과수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피복작물은 벼과 작물인 호밀, 청보리와 콩과 작물인 레드클로버와 헤어리베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과과원에서 피복처리에 의한 토양화학성분 변화는 자연초생구에 비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피복작물 처리간에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토양 pH는 7.8~8.1 범위로서 유기 배 과원 관행과원의 pH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효인산은 자연초생시험구와 피복작물 시험구간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다. 유기물 함량은 자연초생구와 벼과 피복작물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콩과 피복작물과 비교했을 때 자연초생구에 비해 콩과 피복작물의 유기물 함량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환성 양이온인 칼륨함량에서 호밀과 레드클로버 시험구는 자연초생구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헤어리베치의 경우 자연초생구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칼슘 함량은 자연초생구에 비해 피복작물들에서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그네슘 함량은 청보리와 헤어리베치에서 자연초생구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미생물 군집밀도 조사결과 8월 토양에서 자연초생구에 비해 호밀과 레드클로버 시험구의 세균 군집밀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방선균 군집밀도는 자연초생구와 비교해서 청보리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균 군집밀도도 8월 토양에서 자연초생구에 비해 헤어리베치 시험구의 군집밀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yrosequencing을 통해 처리구별 배양균 및 비 배양균의 군집조성을 비교한 결과 청보리로 피복한 사과과원 토양의 방선균 분포비율이 다른 토양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피복작물에 따른 토양미생물상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서 사과과원의 효과적인 유기물 분해와 양분공급을 위한 피복작물 선정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rganic fruit production has increased due to consumer’ interest and government’ political support for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ver plants on soil microbial community and establish the fruit cultivation method by organic farming techniques. Cover plants used as an organic nutrient source in an apple orchard were rye and barley, the Gramineae and red clover and hairy vetch, the Leguminosae. In the effects of cover plants on the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the soil pH values were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organic pear orchard. The content of 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cover plant plots. Organic matter level was similar in control and Gramineae cover plant plots, while organic matter content in cover plants belong to Leguminosae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plot. K content was lower in the plots treated with rye and red clover than control plot, while K content in hairy vetch treated plot was higher than control plot. Ca content was lower in control plot than in cover plant treated plots. Concentrations of Mg in the plots treated with barley and hairy vetch was lower than control plot. In August rye and red clover covered soil showed higher bacterial community density than that of control soil and barley treated soil showed highest Actinomycetes community density among treatments. Barley and hairy vetch soils showed higher level of fungi community density than that of control soil in August. In pyrosequencing analysis barley treated soil showed highest distribution ratio of Actinomycetes among treatment. Our findings might be used as basic data for choosing cover plant with effective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and nutrition supply capacity.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입센의 페미니즘과 프랑스의 실패한 만남

        오영주 ( Young Ju Oh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3

        본 연구는 19-20세기 전환기 서구와 동아시아에서 행해진 입센 ‘번역’에 대한 공동연구의 일부로 프랑스를 대상으로 한 두 번째 연구이다. 독일과 영국과 비교하며 프랑스 연극장(場)의 입센 번역을 살펴본 첫 번째 연구에서 우리는 19세기 말 유럽 3국이 입센을 활발히 번역했던 이유가 당시 유럽 연극장이 요구했던 모더니티에 입센이 가장 총체적으로 대답했기 때문이었음을, 반면 각국 연극장의 상이한 요청에 따라 모터니티의 내용이 달랐음을 제시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동아시아나 영미와 달리 프랑스에서 입센의 극들이 페미니즘 담론과 조우하지 못했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그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입센의 페미니즘이 프랑스에서 ‘번역’되지 않았던 직접적인 원인은 여성 참정권 운동의 저조에 있다. 여성의 투표권 요구가 광범위한 지지를 받은 적이 없는 프랑스에선 영미와 달리 연극장의 페미니스트들이 출현하지 못했다. 더구나 프랑스 연극장은 가출하는 노라에게 놀라거나 환호하기보다 불륜을 권한다. 노라를 페미니즘의 아이콘으로 만들었던 ‘성적 도덕성’을 받아들이지도 이해할 수도 없었던 것이다. 연극장의 이러한 정서는 오랜 역사를 통해 형성된 도덕과 성에 대한 프랑스적 에토스의 반영인만큼, 왜 프랑스에서 페미니즘이 저조했는지를 문화적 차원에서 조명할 수 있게 한다. 입센이 프랑스에 번역·상연되었을 때 그가 앵글로 색슨 국가들에서 불러 일으킨 페미니즘적 반향은 잘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대부분의 프랑스 비평가들은 입센의 다양한 여성주인공들을 육체가 아니라 정신으로 저항했다는 점에서 프랑스 여인들의 ‘타자’로 일괄 규정했다. 이러한 비평의 저변에는 페미니즘 운동이 내포하고 있던 도덕주의에 대한 거부감, 신교와 상이한 구교의 도덕 코드가 자리하고 있다. 뿐 아니라 귀족 사회의 풍속이 강하게 남아있었던 19세기 프랑스에서는 영미와 달리 부르주아 기혼여성들이 상대적으로 성적 자율성을 누렸고, ‘부르주아적 가정성(家庭性)’의 이데올로기가 압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다. 특히 입센이 번역된 벨 에포크의 풍속은 ‘경박’하고 ‘자유’로웠던 바, 노라의 가출이 제기하는 문제의식보다 불르바르 극의 트리오였던 ‘남편-아내-정부’가 더 현실적이었다. 일부일처제의 성적 윤리를 평등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당시 페미니즘의 주장이 프랑스 부르주아 기혼 남녀 모두에게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았던 것이다. This study is the second part, centered on France, of the collaborative study on the Ibsen ‘translation’ in the West and East Asia during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In the first study, which explored the Ibsen translation in the French drama field in comparison with Germany and England, we suggested that the three European countries actively translated Ibse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because Ibsen responded to the modernity demanded by the European drama field in the most comprehensive way and that the substance of modernity differed among European countries depending on different demands by their different drama fields. We also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Ibsen`s dramas did not encounter the Feminist discourse in France as in East Asia, England, or America.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why. The direct reason why Ibsen`s feminism was not ‘translated’ in France was the underdevelopment of the women`s suffrage movement. In France where women`s demand for voting right had never acquired popular support, feminists did not make appearance in the drama field as in England and America. Moreover, the French drama field did not show surprise or welcome at runaway Nora but rather encouraged her to commit adultery: it could not understand nor accept Nora`s ‘sexual morality’ that made her the icon of feminism elsewhere. This mentality of the French drama field, which was a reflection of the French ethos about morality and sexuality formed in the long course of French history, throws a cultural light on the underdevelopment of feminism in France. The French drama field knew very well about the feminist repercussions in Anglo-Saxon countries caused by Ibsen when his dramas were translated and performed in France. Aversion to the moralism of the feminist movement and a different moral code between Protestantism and Catholicism underlay the French critiques of Ibsen that lumped together his heroines as the ‘other’ of French women on the ground that they resisted the existing patriarchal society not by body but mind. In addition, as the manners of aristocratic society remained strong in nineteenth-century France, not only were bourgeois married women still enjoying relative sexual autonomy, but the ideology of ‘bourgeois familism’ failed to wield overwhelming influence. In particular, since the manners of the Belle Epoque were characterized by ‘frivolity’ and ‘freedom’, ‘husband-wife-concubine,’ the trio of the boulevard dramas, had greater appeal than did social criticism raised by runaway Nora. Bourgeois married French men and women did not found very appealing the feminist assertion that the sexual morality of monogamy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men and women.

      • KCI등재

        생활문화로 본 제주 분식문화(粉食文化)

        오영주(Young Ju Oh) 제주학회 2015 濟州島硏究 Vol.43 No.-

        도작문화권(稻作文化圈)의 식생활은 입식문화(粒食文化)가 중심인 반면, 잡곡문화권은 분식문화가 주를 이룬다. 그렇다면 잡곡을 주식으로 생활해 왔던 1970년대 이전 제주는 과연 분식문화의 범주에 속할 수 있는지가 본 글의 논의 대상이다. 본 연구는 이 점을 염두에 두고 분식문화권으로서 성립되기 위해 잡곡의 재배, 분말제조 용구 문화(분말 제조용구의 변천, 노동요 속의 분식문화), 먹는 방법(조리법, 생활문화) 등 분식의 3요소가 동시에 충족되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제주음식의 분류포를 보완하여 분식의 종류와 현황을 살펴본 결과, 320품목 중 가루 또는 부재료로 들어간 품목 수는 총 149품으로 전체음식의 47%를 차지하였다. 분식의 종류는 범벅류가 37품으로 가장 많아 전체 분식의 약 25%를 차지하였고, 개역 등 분말, 면류, 죽류, 굳힘음식, 국류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유적지에서 갈돌과 갈판, 돌혹과 공이 그리고 조리용 토기 등이 발굴된 사실을 확인하고 탐라국 형성 이전부터 곡물의 제분화가 이루어져 가루죽(또는 범벅)의 형태로 섭취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박물관 전시 유물을 토대로 분식의 제조에 사용된 용구를 조사한 결과, 연자매, 남방애와 정□래 (맷돌) 등이 주요한 용구로 드러났다. 특히 맷돌작업과 관련하여 제주의 민요 모임집의 사료수를 분석한 결과, 전체민요의 70%이상이 맷돌노래임이 밝혀져 제분화 작업과 분식의 조리는 여성의 일상적인 노동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분식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메밀은 구황작물로서 제주도의 기근을 이겨나가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주 분식의 구조와 특징을 식문화적 의미에서 재해석하였다. 제주 분식문화의 특징은 육지와의 식행위(조리.가공.상차림.식습관) 차별성 및 요리의 다양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식문화의 독자성은 곧 가정관리자의 주체인 제주여성이 단위 시간당 노동경제(노동생산성)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식생활 지혜의 산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제주음식문화가 입식과 분식이 혼재된 통합식문화권으로 분류된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It has been for al long time recognis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ain-land food culture and Juju island, because the formenr ate rice as a staple food and the latter miscellaneous cereals.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bunsik (food made from farinaceous flour) culture in Jeju Island, such as the cultivation of cereals(millet, barley, buckwheat etc.), cereal flour manufacturing tools or equipments, and powder making culture(gender role, working style and culture of folk song), and how to eat(cooking methods, practices of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mong 320 items in Jeju traditional foods, the number of foods used cereal powder as major ingredient or minor, were 149 items which accounted for 47% of the total items. The type of bunsik were classified into bumbuk (thick mixed-grain flour with vegetable), gaeyeok (roasted grain-flours), noodles, gruels, soups. Based on museum artifact at Jeju, tools or euipments for preparation of cereal flour were yeonjamae (horse mill), nambangae (wooden mill), jeonggorae (millstone). When couted the number of milling song on the collection of folk songs of Jeju, more than 70% of the total working song were revealed to be a milling song. It suggests that the milling operation and the preparation of bunsik are belong to a routine labor of Jeju women. Compared with food culture of main land, the characteristics of Jeju food culture are revealed as specificity of food behaviors(cooking, processing, distribution, etc.) and food varieties. These cultural identity of bunsik culture could be considured as the dietary wisdom of Jeju woment in o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house labor productivity(eg. per unit of labor ec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