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들의 자기장 오개념 모형

        오영옥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6학년 136명을 대상으로 막대 자석과 전자석의 자기장에 대한 개념 유형을 조사하였다. 막대 자석과 전자석의 자기장에 대한 개념 분석은 선행 연구된 이을수의 분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막대 자석과 전자석에 대한 자기장 개념 모형은 부분 분포 모형(Partial Distribution Model, PDM), 극 분리 모형(Pole Separation Model, PSM), 균질 분포 모형(Homogeneous Distribution Model, HDM), 장 모형(Field Model, FM) 네 가지로 각 모형에 하위 유형을 두어 분류하였다. 막대 자석에 대한 모형별 응답 비율은 균질 분포 모형이 가장 높았으며, 극 분리 모형, 부분 분포 모형, 장 모형, 기타 순이었다. 전자석의 경우 균질 분포 모형, 부분 분포 모형, 극 분리 모형, 장 모형, 기타 순이었다. 자기장 개념 모형 중 균질 분포 모형의 응답률이 막대 자석과 전자석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자기장을 바르게 인식하고 있는 학생의 응답률이 막대 자석과 전자석 모두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막대 자석과 전자석 구분 없이 학생들이 자기장에 대한 오개념의 정도가 상당히 높았으며, 오개념의 유형도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오개념의 원인을 규명하여 교정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 제주 성인문해교육의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오영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해’는 단순히 문자를 해득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의 소통을 의미한다. 고등교육을 받은 대다수는 대화에서 소통의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그러므로 비문해자의 고통을 이해하기 힘들다. 비문해자들은 타인과 협동하기를 꺼리며 학습하기를 피한다. 2001년 유엔총회에서 2003-2012년을 ‘유엔 문해 10년’으로 정하고 문해가 모든 어린이 · 청소년 · 성인의 기본 생활 기능을 익히는데 핵심요소이며, 기초교육은 21세기 효과적인 사회 · 경제 참여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고 규정했다. 세계인권선언에 명시되어 있는 교육 받을 권리를 박탈당한 수억 명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속한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없으며, 결국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문해 능력이란 자아실현임과 동시에 사회 참여의 기본 수단이다. 문해 능력은 모든 교육의 기본이며 인간 생활의 초석으로 인간의 성장, 사회 경제 발전, 민주주의 가치 실현의 기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규학교교육을 받지 못한 성인들에 대한 제주 성인문해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해교육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문해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성인문해교육의 문헌 연구와 제주의 주요 3개 문해교육기관의 기관장과 직원들을 대상으로 면담과 설문을 실시하여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문해교육기관에서 문해교육을 받고 있는 성인문해학습자들은 적절한 학습교재의 개발과 교수-학습 방안, 반복학습의 기회 제공, 정규과목 수업 이외의 특별 · 체험 활동 제공 등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요구 실현을 위해 문해교육기관 간의 정보교류 미흡, 홍보 부족으로 인한 문해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제도적 지원체계 미흡, 예비성인문해학습자들의 접근성 부족, 정부기관의 문해교육에 대한 관심 부족 등의 저해 요인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력인정제도를 시행하는 기관의 확대, 제주지역 문해교육기관 종사자들의 기량을 높이기 위한 제주특별자치도 평생교육진흥원의 평생교육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평생교육 기회 및 정보제공, 종사자 전문연수 등을 제주 전 지역의 문해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확대하고, 2015년 출범한 제주특별자치도 문해교육협의회의 제주도내 성인문해교육기관 네트워크 협력 추진이 제주 성인 문해교육에 촉진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행 · 재정적 지원을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Literacy means communication with others, not simply deciphering letters. The majority of highly educated persons may have no difficulty with communication in conversation. It is therefore hard for them to understand illiterates' distress. Illiterates are reluctant to cooperate with others and try to avoid learning. The UN general meeting in 2001 designated the decade of 2003-2012 as the UN Literacy Decade and has defined that literacy is a key element in learning the fundamental living functions for all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and that basic educ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for effective social and economic participation in the 21st century. Hundreds of millions of people deprived of the right to education, as specified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canno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ir society and may ultimately fail to decide on their fate for themselves. Literacy is a fundamental means for self-realiz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It is not only the basis for every type of education but also the foundation for human growth,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realization of democratic values as the cornerstone for human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in Jeju who had failed to receive regular school education and to develop a plan for activating literacy education so that learners could be given effective literacy education.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concerning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in South Korea was performed and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directors and employees of three principal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in Jeju. The data were analyzed in this study.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dult learners receiving literacy education at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for adults required development of good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plans and wanted to be given chances for repetitive learning and special and experiential activities other than the classes for regular subjects. To meet these requirement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obstacles, including poor information exchange among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poor awareness of literacy education due to limited publicity, poor institutional support systems, poor accessibility of adult literacy learners-to-be, and limited interest of government agencies in literacy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pursue systematic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o that expanding the institutions with the elementary education recognition system, building a system of cooperation amo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Institute to improve the ability of employees at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in Jeju, providing information and chances for lifelong education, expanding special training for employees to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out Jeju, and pursuing networking of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for adults in Jeju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Literacy Education Association can serve to facilitate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 영어 등위 접속사 'and' 의 한영 번역 연구

        오영옥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translations of English coordinate conjunction ‘and’. The analysis of our Korean-English parallel corpus shows that ‘and’ constructions are translat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of Korean constructions: conjunction, translation shift, relativizer. According to Quirk et al.(1990)'s definition, the English coordinate conjunction ‘and’ constructions have eight different meanings: sequent, consequence or result, contrast, concessive, condition, similar, addition, comment. There are also many kinds of the meanings of Korean conjunctions. The meanings of some Korean conjunctions are related with ‘and’: sequent, addition, consequence or result, condition, contrast, com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eanings of English coordinate conjunction ‘and’ and some Korean conjunctions are strongly related with each other.

      • 句法歧宜現象及分析方法硏究 : 以對韓漢語敎學爲中心 = 구법중의현상 및 분석방법연구

        오영옥 釜山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주로 현대중국어구법의 중의현상과 그 분석방법을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한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자료는 주로 《汉语语言学》、《现代汉语语法与研究入门》、《简明实用汉语语法教程》、《语法研究入门》등에서 수집하고 정리하여 연구근거자료로 사용하였으며, 현재 중국어학과에 재학중인 한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중국어 중의현상의 교수를 위한 실질적인 언어자료로 활용하였다. 최근 십여 년간 해마다 수천 명의 한국 학생들이 중국어를 배우고자 중국으로 유학을 떠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거의 모든 대학교에 중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이미 180여 개 대학에 중국어학과가 개설되어있다. 뿐만 아니라, 많은 고등학교, 중학교 심지어는 초등학교에서 까지 중국어 학습을 점차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아래 한국에서 중국어를 배우는 많은 학생들이 중국어의 중의현상에 대하여 과연 얼마나 이해하고 또 이 방면의 어법지식은 어떠한지에 대한 의문과 함께, 중국어의 중의현상과 이에 관련된 구법지식을 학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고민하게 되었다. 그런 취지에서 본 논문은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학생들에게 중국어 중의현상의 이해와 중의현상의 분석방법, 그리고 그 해소방법의 모색에 대한 연구이다. 중국어의 중의현상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중의현상의 분석을 통해 중국어의 어법현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중의현상에 대한 연구는 중국어교수법 이외에 중국어 어법현상의 심층연구를 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비록 많은 언어학자들이 옛날부터 중의현상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연구의 성과도 두드러지지만 과거의 연구는 다만 형식이나 의미의 측면에서 연구한 것이다. 그러나 교수법과 심층분석에 대한 언급은 그다지 많지 않다. 그리고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중국어 교수법에 대해 연구한 것은 더욱 더 보기 드물다.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다. 중의현상을 설명함으로써, 한국학생들이 중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실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과정에서 비교적 특수하고 재미있는 어법현상을 이해하고 장악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중의현상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중의현상은 반드시 같은 형식에 다름 구조(同形异构)를 전제로 하며, 형식이 다른 경우 중의현상이라고 말할 수 없기 때문에 본 연구범위에서 제외하였다. 한 개의 표층구조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심층구조가 대응하고 있기도 하고, 한 개의 언어형식에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같은 표층구조, 또는 같은 언어형식이라도 다른 여러 가지 의미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주로 구법구조와 관련된 중의현상에 대해서 연구한 것으로 정태연구(静态研究)에 해당된다. 분석과정은 주로 본체연구, 중국어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얻어진 언어자료의 통계 및 분석, 조사결과의 분석, 연구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중의현상이 없는 문구와 중의현상이 있는 문구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으로 중의현상의 해소방법을 찾아본다. 비록 정태적인 연구이기는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일정한 언어환경이 없는 상황에서도 동일한 구법구조가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뜻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설문조사 통계자료에서도 나타났지만 학생들도 이 방면의 전문지식을 배우지 않으면 자연습득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방법을 통한 해결방법으로 는 층차분석법(层次分析法)이 언어내부의 중의현상을 분화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구법구조내부에 내포한 语义관계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변환분석방법(变换分析法)은 구법중의성도 나타낼 수 있고 语义관계중의성도 나타낼 수는 있지만 해석하기에는 빈약하다. 语义특정분석법은 중의현상이 조성된 원인분석에는 강한 편이지만 주관성을 띠고 있다. 语义指向分析法은 구법성분이 어법과 语义에서의 모순을 분석하여 명시할 수 있고 구법성분간 특히 간접성분간의 연계까지도 명확히 지적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법구조와 语义구조간의 복잡한 대응관계를 비교적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중의현상의 많은 법칙에 관하여 이론과 방법에서 심도 있는 결론을 내리기에는 부족하지만 향후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국내 점자도서관 서비스 현황과 대체자료 활용 실태 연구

        오영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점자도서관의 시각장애인 서비스 담당자와 이용자 대상으로 시설, 장비, 자료, 교육 정보 서비스 만족도 및 시각장애인 서비스 활성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인 서비스와 대체자료 운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34개 점자도서관과 6개 공공도서관의 시각장애인실 서비스 담당자 40명 및 이용자 9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에 의해 조사하였는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주체는 사단법인 위주로 설립된 것으로 나타났고, 직원의 소지 자격증은 사서, 점역사, 사회복지사가 주류를 이루었다. 세부공간은 점자․녹음 ․전자도서 제작실 등 대체자료 제작시설이 큰 공간을 차지하였고, 2011년 예산은 대체자료 제작과 자료구입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조공학기기는 녹음과 점역 등 대체자료 제작 장비가 많고, 다양한 대체자료의 보급 확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각장애인들이 선호하고 확충되어야할 대체자료는 점자․전자․녹음도서이고, 문학, 안마, 침술 자료가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서비스는 대체자료 활용에 필요한 점역과 녹음서비스가 대부분이고, 교육과 독서문화프로그램은 전문 인력이 부족해서 다양하게 운영되지 않지만, 독서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운영 시 애로사항은 전문 인력, 예산, 장소, 설비, 자료 부족 및 전용홈페이지 개편을 가장 큰 문제로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점자도서관 이용목적은 독서 외에 여가활용과 지식 정보 습득이 필요하다고 했으며, 자료이용은 우편대출을 선호하고, 보조공학기기는 점자정보단말기, 확대독서기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선호하는 서비스는 대체자료 활용에 필요한 점역, 녹음, 전자도서이고, 이용 및 직원 서비스 만족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결과와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점자도서관의 서비스와 대체자료 활용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가 매체별 원하는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전담 사서의 양성과 대체자료를 제작할 수 있는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하다. 둘째, 비영리 민간단체 위주로 설립된 점자도서관의 대체자료 제작과 연구 개발에 필요한 사업 추진을 위해 상당한 예산확보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셋째, 대체자료 활용에 필요한 보조공학기기의 보급 확대로 자료를 편리하게 이용하고, 원하는 매체로 쉽게 변환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넷째, 국가기관 중심으로 시각장애인기관 간에 협력망을 구축하여 각 도서관별로 대체자료의 중복 제작을 피하고, 특화된 분야를 제작해야 한다. 다섯째, 시공간을 초월하여 가장 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 전용 홈페이지 개설과 홍보를 통한 커뮤니티 형성이 필요하다. 여섯째, 시각장애인들의 요구가 반영된 국가 차원의 총괄적인 대체자료 개발 정책과 다양한 매체의 자료 확충이 요구된다. 일곱째, 시각장애인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 및 독서문화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awareness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personnel in charge of providing services for the blind and users with facilities, equipments, data and education․information services and their awareness of utilization of services for the blind,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encouraging the utilization of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and services for the bli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As research method, questionnaires reported by 92 users and 40 people providing services for the blind from 34 libraries for the blind and 6 public libraries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operating bodies seemed to have been established by corporate bodies, and the personnel mainly consisted of certified librarian, braille transcriber, and social workers. In terms of space application, space for producing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such as rooms for producing braille․recording․electronic books, occupied a large part of building, and the budget for year 2011 showed that there had been heavy investment in producing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and purchasing them. Secondly,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largely consisted of manufacturing equipment for recording and braille translation, and there was a lack of distribution of various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that are preferred and need to be expanded included braille․electronic․recording books, and literature-, massage-, and acupuncture -related data had usually been used. Thirdly, information services mostly consist of braille translation and recording services required to utilize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and a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reading programs was noticed although they had not been operated in various ways due to a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Fourthly, with regard to difficulties in managing programs, the biggest problems seemed to be lacks of manpower, budget, place, facility and data, as well as troubles with restructuring the web site. Fifthly, as the purpose of the library for the blind, recreational activities other than reading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ere required, borrowing materials by mail service was a preferred method to utilize the materials, and the most commonly use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were braille information instruments and reading magnifiers. Sixthly, preferred services seemed to include braille translation, recording and electronic books that are needed to use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library users and personnel with services were found to be moderate.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and document research, there are some suggestions below for the utilization of services and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at the libraries for the blind in Korea. First, there should be training for specialized librarians who ar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guiding users to acquire the required information and professional manpower who’s capable of making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needs to be assigned. Second, business which is required to make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and promot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libraries for the blind that are mainly established by private organizations requires a considerable amount of budget constantly. Third, data should be easily accessible by expanding the distribution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at are needed to utilize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and easy conversion to desired media should be supported. Fourth, duplicates of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for each library should be avoided by establishing cooperation network among organization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with a government institution as the center, and specialized fields need to be made. Fifth,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web site for the blind that provides the most convenient access any time place and to form a community through publicity activities. Sixth, national polici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reflecting the needs of people who are visually impaired and an expansion of various media materials are required. Lastly, it is believed that differentiated educational and reading culture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nd supported that could help blind people develop their characteristics.

      • 방언을 활용한 서도민요지도 연구 : 서도민요 산염불, 자진아리를 중심으로

        오영옥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도소리란 평안도, 황해도를 중심으로 그 지방 사람들이 주로 농사를 지으며 일터에서 혹은 일상에서 즐겨 부르던 노래다. 조선조 말엽부터 해방 당시까지만 해도 ‘소리’라고 하면 서도소리를 말할 정도로 대중적인 소리였으나 6.25 분단 이후 남하한 서도 명창들에 의해 어렵게 전승되어 왔다. 서도소리 원형전승의 가장 큰 어려움은 서도 출생 소리꾼이 이어지지 못하는 시대적 배경이 아닐까 생각한다. 대부분 서도소리를 배울 때에 어려워한다. 서도 사람, 서도 소리, 서도의 말을 자주 들을 수 없었고, 따라서 흉내 내 볼 수도 없던 것이다. 자주 듣고 말할 수 있는 환경과 노래의 관계는 밀접하다. 일정 지역 사람들의 삶 속에 녹아있는 문화, 정서가 담긴 말을 사투리라고 한다. 다른 지방의 말과 문화와 차이가 있음을 알고 각 소리를 배우게 된다면 그 교육 효과가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서도소리 학습에 있어서 방언이 필요하며, 선행적인 방언 학습의 중요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본다. 각 지방의 민요는 그 지방 특유의 시김새를 살릴 수 있는 가창법으로 지도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언과 그 억양을 먼저 익혀서 소리의 흐름을 알게 한 후 서도소리를 지도하였는데, 그 방언과 억양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보았다. 방언의 높낮이와 흐름이 그 지방의 자연발생적인 목쓰임새이고, 그 방언의 억양으로부터 나온 것이 그 지방의 특징인 시김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12차시에 걸쳐 표본그룹(방언과 억양을 적용 지도), 비교그룹(소리만 따라서 하도록 지도)을 나누어 방언을 활용한 민요가창 지도 시 나타나는 학습성과를 파악하였다. 결과는 방언과 억양을 활용한 지도방법이 서도민요의 맛과 분위기에 가까워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방언과 억양의 구사력이 실제 서도 민요 가창과 시김새 표현에 효과가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 교수법이 방언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서도민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다른 민요에까지도 호기심을 일으켰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서도소리 전수에는 그 방언과 억양을 병행 학습해야 한다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즉, 방언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고 그 고유의 언어부터 정확하게 이해하는 작업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서도소리와 전승에는 앞에서 다루었듯이 여러 환경적 한계가 있다. 점차 잊혀져가고 있는 서도의 문화와 방언에 대해 대중들의 이해는 부족할 수밖에 없다. 접근성이 떨어지면서 그 어려움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런 때일수록 지속적인 서도방언과 소리연구가 필요하다. 서도소리의 억양을 구사 할 수 있는, 남아있는 서도인의 서도소리와 옛 스승들의 소리들을 끊임없이 듣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Seodosori refers to the songs frequently sung in workplace or everyday life by farming people in Pyeongan-do and Hwanghae-do. From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liberation, ‘Sori’ nearly always referred to Seodosori, for it was very popular at that time. However, it has been barely transmitted to this day by Seodo master singers who came to the south after the partition of the Korean War. A most difficult thing for the transmission of Seodosori in its original form seems to be the time setting in which Seodo singers could not be properly succeeded. Most of Seodosori students find difficult when they learn it. It is because they rarely encountered with Seodo people, Seodo songs and Seodo language and therefore, they could not practice it. Frequently hearing and uttering environment is closely related to songs. A dialect refers to the language of local people in which their culture and emotion in everyday life are infused. When one understands there is difference of language and culture between dialects and then learns every regional Sori, educational effects will be improved. On this account, Sodosori learning needs its dialect, and learners must take the importance of advanced learning of its dialect into account. 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investigator’s recognition that every regional folk song had to be taught by the unique mode of singing that could vitalize a regionally unique sigimsae. After making students accustomed to Seodo dialect and intonation and understood the stream of sounds, the investigator taught Seodosori to them. It was because the investigator thought dialect and intonation were crucial. The pitch and stream of dialect seems to be a naturally generated regional use technique of voice and a regionally unique sigimsae seems to come out of the intonation of the diale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12 sessions by dividing students into a sample group (dialect and intonation-applied teaching) and a control group (teaching only singing along Sori), and examin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dialect-used teaching of folk songs. Study findings showed that the method of dialect and intonation-used teaching seemed to make students close to the taste and mood of Seodo folk songs. In other words, the language ability of dialect and intonation was effective in actual singing of Seodo folk songs and expressing its sigimsae. The teaching method seemed to induce students’ interest in the dialect. In addition, they were interested in Seodo folk songs all the more and had curiosity for other folk songs as well. Based on study findings, the investigator thinks it is necessary to convert consciousness to the direction that in the transmission of Seodosori, simultaneous learning of its dialect and intonation is a must. In other words, the educational value of dialect must be recognized first and understanding the dialect must be carried out in advance. However, the transmission of Seodosori has had a variety of environmental limitations, as previously mentioned. The masses’ understanding Seodo culture and dialect, which gradually receded into the dim past, cannot but insufficient. With the rare accessibility, difficulty is ever increasing. In this vein, it is necessary to study Sedo dialect and its songs continuous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dlessly hear and study the Seodosori of Seodo people who are still alive and can command the intonation of Seodosori, together with old masters’ songs.

      • 장애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유아교사와 장애유아 부모의 인식 분석

        오영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주도하고 있는 유아교사와 장애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장애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관해 유아교사와 장애유아 부모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3년 2월에서 4월까지 서울과 수도권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을 선정하여 재직중인 교사 200명과 장애유아 부모 160명에게 설문을 배포하고, 수집된 자료 중 교사용 151부와 부모용 102부를 SPSS10.0 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이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검정, χ2검정, constant-comparative methodology를 사용하여 통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와 장애유아 부모는 장애유아 교육목적의 전체적인 중요도 인식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위항목에서 유아교사는 장애유아의 교육뿐 아니라 부모와 가족지원에 대한 중요성을 부모에 비해 보다 비중있게 인식하고 있었고 장애유아 부모는 장애유아의 직접적인 수행능력과 관계된 부분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유아의 통합교육 프로그램 요소에 대해서는 유아교사와 장애유아 부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교사는 조기 개입을 통해 장애를 예방하거나 전반적인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부분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장애유아 부모는 통합환경에서 일반유아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 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통합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유아교사와 장애유아 부모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집단의 차이가 없는 점으로 보아 유아교사와 장애유아 부모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통합교육 내용에 있어서 어느 정도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유아교사와 장애유아 부모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부정적인 영향에서는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에서 장애유아 부모는 유아교사에 비해 통합교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장애유아의 열등감이나 피해의식과 같은 자기 인식에 대해서는 유아교사에 비해 오히려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장애유아의 통합을 위해 우선시 되는 준비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와 장애유아 부모의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성영역을 제외한 학급적응영역, 인지영역, 조작영역, 언어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사회성영역은 두 집단 모두 평균값 4.3이상의 기대치를 보여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장애유아의 성공적 통합의 필요사항에 대한 유아교사와 장애유아 부모의 인식은 차이를 보였다. 유아교사는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발전을 위한 노력과 교사에 대한 재교육을 높게 인식하였고, 장애유아 부모는 장애유아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인 태도를 가장 중요시하였고, 모든 장애유아에게 통합 기회를 부여할 것와 통합환경의 개선을 필요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study was intende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to provide the basic data that is applied to the right inclusive program as to investigate and to analyze the needs and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For this, the data of 200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160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were collected, who enrolled in inclusive preschool program at Seoul and Kyungido, from February to April, 2003. Among the collective data, for the teacher's 151copies and for the parents' 102copies were applied SPSS 10.0 program according to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nd to be used frequency study, t-test, χ2 -test, constant-comparative method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ducational purpose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the several sub-item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eachers thought important the family support as well as the instru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erceived important the increasing the performance level of their children. Seco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lements of inclusive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teachers perceived important the prevention of disability condition by early intervention and the basic developmental program as adaptive areas. The parents thought important the proactiv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ir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implementation contents of inclusive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wo groups did not show differences in the sub-items. They agreed with each other in the implementation contents of inclusive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ur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ositive impacts of inclusive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negative impact. In the positive impact perception of the inclusive program, the parents were higher than the teachers, but they were also high than the teachers in the negative impact perception as the child's withdrawal and being the object of ridicule. Fif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erequisite skills of inclusive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y showed the differences in classroom adaptive, cognitive, manipulation, communication areas, with exception in social area. Even though there was no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in the social area, that was rated as highest, 4.3 in mean score. Six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were different from the conditions to establish the successful inclusive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open responses. The teachers described the needs for qualitative development of inclusive program and in-service training, but the parents focused the positive attitudes of teachers, providing the opportunity for inclusion, and improvement of inclusive conditions.

      • 油菜油 燃料를 利用한 디젤 機關의 性能 特性에 關한 實驗的 硏究

        오영옥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A four cycle diesel engine performance test was performed with four kinds of oils such as rape seed oil, effective micro-organism rape seed oil, activated clay rape seed oil and light oi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full load condition with constant injection time of the engine and the test oil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70±2℃. 1. The torque and the horsepower with rape seed fuel is increased about 10% compare with light seed oil at full load condition of the engine. High viscosity of the rape makes oil films in the combustor which leads to higher compression ratio and explosion. The results of the high viscosity make higher torque of the engine. The brake specific fuel consumption of the rape seed fuel increased 8%∼10% than that of the light oil. This effect could be the difference of heating value between the two kinds of oil. 2. The emission of the smoke gas was decreased 29%, 38% and 52% compare with light oil in rape seed oil, effective micro-organism rape seed oil and activated clay rape respectively due to the low volatility and high viscosity of the soot. The NOx emission with rape seed oil is twice larger than that of the light oil at full load condition. The reason is that the fuel temperature increment effects on the combustor temperature and it makes thermal NOx of the engine. 3. The test engine could be started over 40℃ of the rape seed oil. Engine inspection results shows that the soot adherence amount of the cylinder head piston head is higher in following order; activated clay rape seed oil > effective micro-organism rape seed oil > rape seed oil > light o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