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소설 속 개별적 자아와 화폐경제의 상관성

        오영록(Ou, Young-rock)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8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2

        근대소설의 논의에 있어서 늘 그 중추적 지점에 있는 것이 이상의 소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상 소설은 여전히 논의할 수밖에 없는 대상이 된다. 그것은 이상 소설에 담긴 밀도와 진폭이 여전히 구명되어야 할 소지를 남기고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근대라는 시기는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결절 지점에 위치한다. 그래서 근대소설은 여전히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양상을 지니고 있기에 이에 대한 보다 면밀한 해석을 필요로 한다. 궁극적으로 이와 같은 작업은 문학 전반의 근대성에 관한 구명과 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란 의의를 지닌다. 이상은 『날개』에서 소유와 교환을 통한 근대의 개별적 자아 성립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보여준다. 개별적 자아는 욕망하는 대상을 소유하는 것을 통해 의미를 획득한다. 모든 소유는 인격의 확장이고, 나의 소유는 나의 의지에 따르는 자아의 표현이다. 그리고 이것은 나아가 실현의 과정이다. 이와 같은 소유는 교환 관계를 통해서 성립된다. 교환은 독특한 사회학적 구성물이며 간(間)개인적 관계의 근원적 형식으로 기능한다. 근대적 의미의 교환은 인간과 인간 사이에 돈이 매개되며 성립된다. 근대의 인간은 교환 관계를 통해 상호적 관계를 맺고, 개별적 존재는 근대사회로 편입된다. 소유와 교환은 근대의 개별적 자아의 성립 조건이 되는 동시에 그들을 근대사회에 속하게 한다. 날개 에서 아내는 화장품을 비롯한 다수의 사물을 소유하고 있지만 ‘나’는 제대로 소유한 것이 없다. ‘나’는 아내의 소유물을 통해 자신의 자아를 확장하고자 하지만 본질적으로 그것들은 아내의 소유이기에 ‘나’의 인격적 확장이 이뤄질 수 없다. 더욱이 아내는 교환가치의 궁극이라 할 수 있는 돈을 소유하고 있다. 하지만 ‘나’는 돈이 지닌 교환과 그것을 통한 소유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나’는 소유와 교환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미쓰꼬시에 가서도 그 내부에 들어가지 못하고 옥상에서 풍경을 내려다보고 있을 따름이다. 이는 ‘나’가 근대의 개별적 존재가 될 수 없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근대라는 표지의 본질은 금속화폐에서 신용화폐로의 전환이 그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전근대의 주요 금속화폐의 소재가 바로 ‘은(銀)’이다. 우리의 경우, 은화에서 지폐로의 화폐 전환은 일제의 주도하에 이뤄진 화폐정리사업과 관련된다. 이후 지폐는 본격적으로 근대와 근대성을 대표하는 화폐로 작용한다. 이 가운데 은화는 전근대의 가치를 표상하면서도 여전히 근대의 경계에서 유통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와 같은 모습을 담아낸 것이 이상의 『날개』다. 『날개』의 기본적 서사는 크게 두 부분으로 양분된 다고 할 수 있다. ‘나’가 돈의 교환 성격을 모르는 전반부와 돈이 지닌 교환의 속성을 이용해 아내에게 돈을 건네는 후반부가 그것이다. 이 과정에서 주요하게 작용하는 것이 은화와 지폐다. 은화는 전근대의 가치를 대변하고, 지폐는 교환에 기반을 둔 근대의 양적 가치로 작용한다. ‘나’는 지폐를 사용하며 그에 따른 소비를 체험하지만, 양적 가치를 추구하는 진정한 의미의 근대적 인간이 될 수 없다. 그 과정에서 ‘나’는 양적 가치에 기반을 둔 근대 사회를 살아가며 전근대의 질적 가치를 추구하는 자신의 모습에서 모순과 괴리를 경험한다. 이것은『날개』의 서두에 나타나는 은화의 성격과도 상통한다. 이와 같은 금속화폐와 신용화폐에 담긴 각각의 가치는 이상의 다른 작품인 『봉별기』와 『지주회시』에서도 나타난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의 교과 현황과 교재 개편 양상 - 한밭대학교 ‘공학 글쓰기’ 교과와 교재를 대상으로 -

        오영록 ( Ou Young-roc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2

        대학의 가장 많은 학습자들이 필수적으로 들어야 하는 필수 교양 교과목인 대학의 글쓰기는 여타 대학 교양 교과목과 일부분을 공유하면서도 다른 성격을 지닌다. 대학 글쓰기 교과는 여러 조건을 지닌 학습자들을 포용하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목적을 가진다. 대학의 글쓰기 교과는 그 대학만의 고유하고도 일치된 형태의 교재를 통해 보편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그 대학 글쓰기 교과의 현황을 파악함에 있어 교재는 필수적으로 함께 살펴야 하는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기존 한밭대학교 글쓰기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교수법을 활용한 사례연구, 그리고 대학 글쓰기에서 다루는 내용 가운데 부분적 사항에 대한 연구, 추가적으로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통계 및 조사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사항은 한밭대학교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일부분을 살필 수는 있으나, 교과목과 교재를 거시적인 차원에서 조망할 수 있는 연구가 부재하고 있어 총체적인 이해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밭대학교 글쓰기의 교과 현황을 파악하고 그 향방을 살피고자 한다. 더불어 한밭대학교 글쓰기 교재 개편의 양상을 살피고 나아가 그 개선 지점을 함께 파악한다. 여기에서는 연구 대상의 명료함과 명백함을 위해 가장 많은 분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글쓰기 교과목 ‘공학 글쓰기’로 그 대상을 한정한다. 여기에서는 2001학년도부터 2021학년도에 해당하는 한밭대학교 국어 교양 교과목의 흐름을 맥락적으로 이해한다. 더불어 여기에서 문제적인 사항들을 살피고, 추후의 향방에 대해 조망한다. 그리고 대학 글쓰기 교재의 역할과 의미를 이해하고, 이에 따라 한밭대학교의 글쓰기 교재가 위치하는 지점과 개편 양상에 대해 파악한다. 나아가 한밭대학교 ‘공학 글쓰기’ 교재를 중심으로 하여 개선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핀다. Writing courses which are required liberal arts subject that students must take shares some similar but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liberal arts subjects. The university writing course aims to achieve a certain level or higher while embracing learners from different situation. University writing curriculum aims to achieve universal goals by creating unique and consistent forms of textbooks.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extbooks must be examined together in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university's writing subject. Existing research on writ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can be divided into case studies using new teaching methods, studies on partial matters among the contents covered in university writing, and finally studies targeted on student learners. Such research can examine some of the aspects of writing education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but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can be viewed at the overall level of subjects and textbooks,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s writing curriculum and examine its direction. In addition, we examined Hanbat National University's writing textbooks and further identified potential improvements. For clarification purposes of this study, we targeted “engineer writing,” most covered course in university. Here, we will learn the flow of Korean liberal arts subjects in liberal arts courses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from 2001 to 2021. Nevertheless, we will look at the problematic matters that exist and learn the future prospect. In addition, we will understand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and accordingly identify the current standing point and possible improvements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s writing textbooks. Furthermore, we will examine the matters to be improved, focusing on the textbook of "Engineering Writ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현대소설에 나타난 내러티브의 엮임과 플롯 짜기의 양상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아우를 위하여」, 「우상의 눈물」, 「소년 시대」를 대상으로

        오영록(Ou, Young-rock)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82

        현대소설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는 서사학에서 출발한다. 그러한 이유로 여러 주제와 소재를 담아내며 파생되어 니타나는 현대소설 작품에 대한 이해는 시의성을 필요로도 하지만 본질적인 차원에서의 내러티브적 이해가 동반된다. 이와 같은 사항에 근거하여 내러티브적 측면을 파악하기 적절한 작품이 「아우를 위하여」, 「우상의 눈물」,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소년 시대」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 작품들을 내러티브의 반복적인 동질 요소에 근거하여 접근했다면, 본고에서는 이 작품들의 본질적인 내러티브 양상을 주요한 대상으로 하여 살피고자 한다. 소설의 서술적 시간은 근원적으로 과거적 양상을 지닐 수밖에 없다. 내러티브의 엮임은 서술자의 서술 행위가 일어나는 시점과 언급되는 상황에 대해 시간적 거리가 발생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서 서술자는 40대의 인물이 10대였던 자신의 과거 상황을 떠올리며 시간적 거리를 발생시킨다. 이 과정에서 분리되는 자아는 인식적 차이가 나타나며 상이한 내러티브의 엮임으로 나타난다. 「아우를 위하여」 역시 소급 제시가 사용되지만 서술자는 그 성향이 극명하면서도 단면적으로 나타나는 인물의 모습을 언급하며 단선적인 상황 제시를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교훈을 전달하고자 하는 일관된 목적은 그 나름의 형식적 기반과 서술적 태도를 통해 내러티브를 엮어낸다. 「우상의 눈물」에서 서술자는 체험적 자아와 서술적 자아 사이의 시간적 거리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현재에 가까운 발화시점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서술자는 권력의 숨겨진 민낯이 주는 충격을 철저하게 언술하는 관찰자로 기능하며 내러티브는 보도되는 형태의 담화로 작용한다. 『소년 시대』에서는 서술자가 과거의 체험적 자아만이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여기에서 서술자는 묘사하는 것에 치중하며 관찰자가 아닌 관망자로 기능한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아우를 위하여」, 「우상의 눈물」은 내러티브가 시작을 하고 난 뒤 끝을 향한 나아감의 움직임을 보이며 서술자는 요약의 방식으로 말해주기를 수행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서술자의 인식이 보다 틈입하기 용이하다. 그와 달리 『소년 시대』의 경우는 요약의 방식을 최대한 배제한 채 지연의 방식으로 내러티브를 전달한다. 여기에서는 큰따옴표 안에 들어간 인물 사이의 대화를 주된 방식으로 드러내며 요약하지 않은 채 장면으로 제시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지연이 내러티브적 우회를 하고자 의도한 바가 아니라, 말 그대로 모든 세세한 풍경에 대한 관망을 제시하고자 함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인간은 각 순간을 보다 큰 내러티브에 연결시켜 그 의미를 찾으려는 충동을 지니고 있다. 피터 브룩스는 이와 같은 플롯이 내러티브가 추구하고 추동하는 욕망 자체를 설계하고 의도하는 가운데 그것을 의미화하여 파악하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특히 그는 내러티브가 결말을 향해 치닫는 플롯들의 운동이면서 동시에 이 운동이 가장 극단적이면서도 강렬하게 일어나는 지점을 결말이라 파악한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네 작품들은 각기 상이한 결말부를 구성하며 각자만의 내러티브적 의미를 제시한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독재의 힘 앞에서 누구보다 괴로워했던 도입부의 자아와 독재에 기생하며 그 권력 안에서의 안락함을 그리워하는 종결부의 자아가 합쳐지며 그 안에서 괴리되는 양가적인 모습을 드러낸다. 이와 같은 결말은 한 개인이 권력에 대해 가지는 미묘한 두 감정의 모순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가운데 이를 하나의 플롯으로 제시한다. 「아우를 위하여」에서는 인식의 전환 혹은 변환 없이 작품 도입부에 밝힌 교훈의 목적을 결말부에서도 일관되게 드러낸다. 이 과정에서 선과 악을 담당하는 인물의 역할과 내러티브는 뚜렷하게 대비되며 과거 고전소설에서 볼 수 있는 권선징악의 단조로운 플롯이 나타난다. 「우상의 눈물」에서 관찰자인 서술자는 권력의 진짜 모습은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과 함께 이것이 어떻게 재배치를 하고 언술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맥락으로 사람들에게 이해될 수 있는가에 대해 전달한다. 『소년 시대』에서는 독재에 대한 처단이나 몰락은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힘의 이동에 의한 권력 이양만이 나타난다. 여기에서는 독재와 폭력에 대한 항거나 해결 없이 모든 일을 지난날의 추억으로 봉합하는 양상으로 종결부가 나타난다. 소설은 이야기의 형태 속에서 사건을 제시하고 세계의 모습들을 집약시킨다. 거대한 담론이라 할 수 있는 정치적, 역사적 문제들을 지역적이고 개인적 문제로 치환시키며 소설은 정치성의 영역이 개인적 영역으로 현현할 수 있도록 한다. 네 작품 역시 이와 같은 측면에서 사적 맥락이 내러티브 형성에 있어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한다. The essential understanding of modern novels is based on narratology. For that reason, the understanding of modern novels derived from various themes and materials not only requires timeliness, but also is accompanied by a narrative understanding at an essential level. In this respect, works appropriate to identify the narrative aspect are 「For My Brother」, 「Tears of Idol」, 「Our Twisted Hero」, and 『Boyhood』. While previous studies have approached these works based on the repetitive and homogeneous elements of narrative, this paper attempts to mainly examine the essential narrative aspects of these works. Fundamentally, the narrative time of a novel is bound to have a historical aspect. The intertwining of the narrativ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temporal distance between the point in time when the narrator"s narrative action occurs and the situation where it is mentioned. In 「Our Twisted Hero」, the narrator creates a temporal distance as a person in his 40s recalls his past when he was a teenager. In this process, the separated self shows a cognitive difference and appears as intertwining of different narratives. In 「For My Brother」, retrospective presentation is also used, but the narrator delivers a unilinear presentation of the situation while referring to a character with clear and sectional tendency. In this process, the consistent purpose of conveying a lesson intertwines the narrative through its own formal basis and narrative attitude. In 「Tears of Idol」, the narrator show a point of utterance close to the present in which there is almost no temporal distance between the experiential self and the narrative self. Here, the narrator functions as an observer who thoroughly recounts the impact of the hidden naked face of power, while the narrative acts as a discourse in the form of reporting. In 『Boyhood』, the narrator appears as an aspect in which only the experiential ego of the past appears dominantly. Here, focusing on the description, the narrator functions as a spectator rather than an observer. 「Our Twisted Hero」, 「For My Brother」, and 「Tears of Idol」 show the movement toward the end after the narrative begins, and the narrator appears in the form of performing speaking in a summary manner. In this way, the narrator"s awareness is penetrated more easily. In the case of 『Boyhood』, however, the narrative is delivered in a delayed manner, excluding the method of summary as much as possible. The dialogue between the characters enclosed in quotation marks is revealed in the main way, which is shown in a manner that is presented as a scene without being summarized. The main purpose of this delay is not to circumvent the narrative, but to present an observation of literally every detailed landscape. Human beings have the urge to connect each moment to a larger narrative and find its meaning. Peter Brooks explains such a plot as a process of meaning and identifying the desire itself that the narrative pursues and drives, while designing and intending it. In particular, the narrative is the movement of plots towards the end, and also identifies the ending point at which this movement occurs most extremely and intensely. Each of the four works discussed in this paper constitutes different endings and presents their own narrative meaning. As the self at the beginning, who suffered more than anyone in the face of the power of dictatorship, and the self at the end, who parasitizes the dictatorship and misses the comfort of being in power are combined, 「Our Twisted Hero」 reveals an ambivalent aspect that is separated in it. While effectively individual for power, such an ending presents it as a plot. In 「For My Brother」, the purpose of the lesson revealed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is consistently revealed in the narrative at the end without any change of awareness or transformation. In this process, the roles and narratives of the characters in charge of good and evil are clearly contrasted, revealing the mono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재 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오영록(Ou Young-rock)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6 No.-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에 대한 강화가 이루어지며 교과목 및 교재 명칭에서 필수적으로 ‘글쓰기’란 용어를 발견할 수 있다. 대학 글쓰기 교재는 각 대학의 교육 과정이자 목표, 교양교육의 지향 그 자체를 의미한다. 그래서 대학의 글쓰기 교재는 교수자와 수용자, 나아가 대학교육이란 세 영역을 매개하며 수단이자 방법으로 작용한다. 충남대학교는 개편된 글쓰기 강좌가 개설되어 약 4년의 시간 동안 시행됐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분석적 검토가 필요한 시기다. 또한, 이를 반성적으로 검토하여 이후의 개발 방향에 대한 제언 또한 가능하기에 이와 같은 연구는 의미를 지닌다. 여기에서 그 대상이 되는 것은 충남대학교 글쓰기 교재인 기초글쓰기 – 사고와 표현이며 그와 함께 이에 대한 발전적 논의가 오간 교강사 워크숍이다. 대학 글쓰기 교재는 대학 구성원인 학생이 자신의 지적 체계를 표현하고, 이를 이해하는 학술적 담화 공동체로의 진입을 본질적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수용자가 요구하는 글쓰기 또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대학 글쓰기 교재의 역할이다. 본고는 충남대학교 글쓰기 교재의 체계를 검토하고, 수정을 필요로 하는 사항을 중심으로 하여 이를 분석적으로 살핀다. 더불어 본고는 매 학기 진행된 교강사 워크숍에서 논의된 사항을 살핀다. 그리고 이를 통해 글쓰기 교재 개선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파악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충남대학교 글쓰기 교재에서 나타나는 문제적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이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한다. As the writing education in the university has strengthened, you may find the term writing easily in the title of the course and the textbook. The textbook of university writing is a curriculum of each university, a goal, and the orient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tself. Thus, the writing textbook of the university is the means and the method itself, mediating the three areas, teachers and learners, as well as universit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opened a modified writing course for about 4 years, which is the timeframe when an analytical review is necessary.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it is possible to review this in a reflective way and suggest a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Basic Writing - Thinking and Expression」, the writing textbook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an instructor workshop where a progressive debate was discussed.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textbooks is to allow students, the members of university, to express their intellectual systems and become an academic communicative community that understands this. In addition, another role of textbooks is to enable students to learn the writing required by learners. This paper reviews the overall system of writing textbooks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analyzes them in detail, focusing on issues that need revision. This goal of study is to identify the issues discussed in the instructor workshop held every semester. Based on this, the matters to consider to improve writing textbooks are examined. Through this process, methods to improve them practically, focusing on the problematic issues in the writing textbook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will be suggested.

      • KCI등재

        2000년대 영웅서사의 특징과 변모 양상 : 인물과 서사 구축을 중심으로

        오영록(Ou, Youngroc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2

        영웅 서사는 주로 과거의 전유물로 인식되기에 관련 연구 또한 이와 관련하여 진행됐다. 그러나 여전히 2000년대 이후에도 영웅 서사는 존재한다. 이것은 여전히 영웅 서사에 대한 수용자들의 필요와 수요가 있고, 이에 대한 소환의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영웅의 근원을 발굴하는 고고학적 작업보다는 영웅 서사가 존재하는 현실을 인과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역사학적 작업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2000년대 영웅 서사의 특징과 변모 양상을 살핀다. <어벤져스>는 영상 매체인 영화로 대중들에게 다가간다. 신화적 결핍은 민족의 정체성에 대한 부재를 의미하는 것이기에 반드시 충족을 필요로 하기에 상상된 공동체의 서사가 바로 <어벤져스>다. 이 작품은 정통성 부여와 함께 미국의 현 상황을 드러내는 공동체의 서사를 형성한다. <어벤져스>는 선악의 대립에서 극적 긴장감을 유지하고자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되지 않도록 서사를 구성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의 영웅들은 여전히 고전적인 영웅의 면모를 드러낸다. <왓치맨>은 만화 원작의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문자 매체의 활용, 사실주의의 추구, 서술자의 존재와 같은 근대소설적인 면모를 드러낸다. 그리고 이 작품의 패러디적 인물 설정은 단순 차용이 아닌 인물을 사실적으로 그려내고자 하는 의도이다. 이 작품은 고전적 영웅서사의 문법을 거부하며 영웅을 사실적인 인간들로 나타낸다. <왓치맨>은 모순적 상황 속에 놓인 문제적 개인들이 나타나는 가운데 주요 인물이자 서술자의 죽음이라는 비극적인 결말로 이어진다. 『지구영웅전설』은 미국 DC 코믹스의 영웅인 슈퍼맨, 배트맨, 원더우먼, 아쿠아맨을 각각 무력, 자본, 대중문화, 자유무역의 의인화로 그려낸다. 여기에서 이들은 자본주의의 세계화에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는 미국 그 자체의 알레고리로 나타난다. 이 작품은 미국인도 백인도 아니기에 영웅이 될 수 없는 바나나맨의 시선으로 제시된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의 세계화가 다양성을 표면적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결국 미국의 영향력에 근거한 일방적 논리의 주입임을 나타낸다. Since heroic narratives are mostly regarded as sole possessions of the past, releva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light of this fact. However, even after the 2000s, there are still some heroic narratives. Why? This is mainly because there are needs and demands for heroic narratives and there are some people who want to recall them from the past. This article aims to assess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the heroic narratives of the 2000s based on the historiographical needs that involve efforts of explaining the cause and effect of reality where heroes exist, instead of archaeological studies that are supposed to discover the origin of heroes. <Avengers> reach out to viewers through popular video media called movies. The lack of myth means the absence of the identity of certain people. Therefore, assuming this must be fulfilled, they created the community’s heroic narrative called <Avengers>. This work, as well as the granting of legitimacy, forms a heroic narrative for the community that reveals the current status of the USA. Amidst the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in order to maintain dramatic tensions, <Avengers> writers successfully formed a narrative, while avoiding the possibility of being misunderstood as a mimic of Deus Ex Machina. Nevertheless, heroes in the <Avengers> movies still reveal the facets of traditional heroes. Although <Watchman> is based on the original cartoon series, it still shows modern, nove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se of SMS, pursuits of realism, and existence of the narrator. The parodic characters in the movie show that the writers wanted to depict persons as real as possible, instead of just borrowing characters somewhere else. The work denies the traditional grammars used in heroic narratives but depicts heroes as real people. As problematic individuals facing contradictions appear, the <Watchman> movie ends as a tragedy where the main character and the narrator dies. “Earth hero legend” depicts USA DC comic heroes such as Superman, Batman, Wonderwoman, and Aquaman as brutal military power, capital, public culture, and free trades, respectively, in its personification. They represent the allegory of the USA that fulfils its roles in the world of capitalism. In this work, bananman, who cannot become a hero because he is neither American nor White, tells the story. As a result, the writer tries to express that even if the globalization of capitalism is seemingly aiming at diversity, it is just a one-sided logic claimed by the USA with its huge influence on the world.

      • KCI등재후보

        1910년대 문명조선(文明朝鮮)의 진단과 전망

        오영록(Ou, Young-Rock)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9

        19세기와 20세기 초 동아시아는 문명의 번역이라는 과정을 통해 ‘근대’라는 시기를 맞이한다. ‘문명번역’을 통한 ‘문명조선(文明朝鮮)’으로의 발흥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던 시기에 이광수의 문학적 활동 또한 두드러진다. 이러한 ‘번역’의 문제는 단순한 ‘문헌의 번역’이 아닌 ‘문명의 번역’이었다.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은 ‘서구문명’을 그대로 ‘직역(直譯)’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기에 이미 일본과 중국을 통해 번역된 ‘중역물(重譯物)’을 통한 ‘의역(意譯)’의 방식을 택한다. 이광수는 자신의 번역물인 『검듕의 셜음』 역자 서문에서 직역(直譯)’을 지향하고 ‘의역(意譯)’을 지양하는 의식을 드러낸다. 이광수는 『무정』에서 문명을 그대로 ‘직역(直譯)’하지 않고 ‘의역(意譯)’하는 태도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낸다. 이러한 이광수의 인식은 『무정』에서 이형식이 문명에 대한 ‘직역(直譯)’의 태도를 고수하는 것에 반해 배명식, 김종렬, 이희경, 김장로는 ‘문명’에 대한 ‘의역(意譯)’의 태도를 지니며 ‘문명’을 올바르게 번역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광수에게 있어 ‘문명’에 대한 ‘의역(意譯)’의 태도는 ‘문명조선(文明朝鮮)’을 이룩할 수 없는 시행착오의 과정으로 진단된다. 그리고 이광수는 『무정』에서 ‘문명조선(文明朝鮮)’의 성립을 위해 ‘문명직역(文明直譯)’을 지향하는 열망을 드러낸다. 이러한 이광수의 인식은 『무정』에서 어린 이형식의 호기심, 이형식과 신우선의 비교, 낙동강 주변에서의 양악(洋樂) 연주 등을 통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하지만 이광수의 ‘문명직역(文明直譯)’에 대한 열망은 조선민족을 위함에 있음을 밝히면서도 그들이 문명을 받아들여 스스로 각성할 수 있는 주체가 아니라, 소수의 선각자들이 이룩한 ‘문명번역(文明飜譯)’의 시혜를 받아야 하는 존재임을 드러내게 된다. 이광수에게 있어 ‘문명’에 대한 ‘직역(直譯)’은 ‘문명조선(文明朝鮮)’을 전망할 수 있게 하는 가장 이상적인 형태였던 것이다. East asia represented by Joseon, China and Japan heralds ‘modern era’ through the process of translation of civilization during 19th and early 20th century. When Yi Gwang―su was prolific, the emergence of ‘Civilized Joseon’ through ‘Civilization Translation’ was quite visible. The ‘translation’ at that time was not just translating ‘western text’, but ‘western civilization’. At that time, the scholars of Joseon were not able to do literal translation of western material, so they had to translate what was already translated into Chinese and Japanese. Yi Gwangsu has said in the Translator’s Preface of his translation of Uncle Tom’s Cabin that he stayed away from ‘contextual translation’ and aimed for ‘literal translation’. In his book Mujong, Yi displays negative view on translating the civilization not ‘literally’, but ‘contextually’. This recognition is visible in his portrayal of character Yi Hyeongsik in Mujong who adheres to ‘literal translation’ of civilization whereas the characters such as Myeongsik Bae, Jongryeol Kim, Heekyeong Lee, Jangro Kim makes a mishap in rightly translating the civilization by taking ‘contextual translation’ approach. Therefore, ‘contextual translation’ of civilization is a hindrance to achieving ‘civilized Joseon’. Therefore, in Mujong, Yi Gwangsu shows his belief in ‘Literal translation of civilization’ in order for ‘civilized Joseon’. This is particularly visible in his characterization of young Hyeongsik Lee’s curiosity, comparison between Hyeongsik Lee and Wooseon Shin, playing of western music near Nakdong River. However, this approach makes it seem like the ‘literal translation’ of civilization is for the benefit of the people of Joseon while in fact, it downplays the role of the Joseon people to only being the beneficiary of ‘translated civilization’ achieved by only the enlightened few. To Yi, ‘literal translation’ of civilization was indeed the most ideal method to project ‘civilized Joseon’.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과의 현황과 개선지점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의 경우를 중심으로

        오영록(Ou Young-rock)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7 No.-

        고려대학교의 글쓰기 교과는 2018년을 기점으로 변화의 양상을 보인다. 기존 2004년부터 2017년까지 고려대학교의 공통교양 교과목으로 존재했던 ‘사고와 표현 Ⅰ·Ⅱ’를 2018년부터 ‘글쓰기 Ⅰ·Ⅱ’로 변경한다. 현재는 이와 같은 기점에서부터 약 3년의 시간이 지났다. 그리고 현재 고려대학교 교재의 경우 7년 전인 2014년에 집필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봤을 때 보완해야 할 사항들이 발견된다, 현 시점은 이에 대한 일련의 반성적 고찰이 적절히 요구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고려대학교 글쓰기 교과에 대한 연구는 특정한 영역에 집중되었고,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의 글쓰기 교과에 대한 사항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글쓰기 교과를 그 대상으로 하여 대학 글쓰기 교과의 현황과 개선 지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는 연구는 개별적인 차원에서 고려대학교 글쓰기 교과에 대한 개선 사항을 살피며 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것은 개별 대학의 글쓰기 교과에 대한 연구이자, 나아가 넓은 범주에서 대학의 글쓰기 교과 현황을 진단할 수 있는 한 단면으로 삼고자 함이 또 하나의 목적이다.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의 글쓰기 교과는 서울캠퍼스와는 별개의 표준 강의계획서를 통해 교과의 목표를 설계하고 있고, 이러한 특수성과 변별성을 반영하고 있다. 표준 강의계획서와 교재의 목차를 비교했을 때 부재하는 내용이 있거나 층위적인 균일함에 있어 문제적인 부분이 있기에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된다. ‘글쓰기 Ⅰ·Ⅱ’의 교재의 경우 코로나 사태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더욱 중요한 지점에 위치한다. 여기에서는 불충분한 내용의 구성, 교과목명과 괴리되는 부분, 문제의 소지가 있는 사항, 최근 글쓰기 교재에서 나타나는 사항의 미반영 등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했을 때 일련의 사항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된다. The writing subject of the Korea University changed the subject name on the basis of 2018. The teaching material, ‘Writing Ⅰ·Ⅱ’ of Korea University were published on 2014, so the items should be supplemented are found. The study for existing writing subject of Korea University was concentrated on somewhat specified area and it was focused on the item for the writing subject of Korea University Seoul Campus. So,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point of writing subject of the University will be examined targeting the writing subject of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The subject purpose of writing subject of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is designed by separated standard syllabus with Seoul Campus and reflects this speciality and discrimination. It is requested to supplement because there are the contents absent at one side and the parts beside the uniform when comparing the table of contents of standard syllabus and the teaching material. In case of ‘Writing Ⅰ·Ⅱ’ teaching material, it is located more important point because non face-to-face class is progressing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In here, insufficient contents composition, the part having a gap with subject title, the item with the problem, no reflection of the item showing on current writing teaching material and so on are shown. It is understood that the improvement on it shall be necessary.

      • KCI등재

        채만식 「낙조」의 서사 양상 고찰

        오영록(Ou, Young-rock)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7

        본고는 한국의 근대를 그 자신의 문학적 시선으로 포착하고, 이를 생생한 진실의 한 대목으로 남기고자 한 채만식의 작품인 「낙조」를 살핀다. 이 작품은 채만식이 자기 자신을 풍자의 대상으로 두는 것에 개의치 않으며 그의 작가적 역량이 정점에 달하던 시기에 발표된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여타의 채만식 작품에 비해 뚜렷한 연구 대상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낙조」에 나타나는 인물의 대립을 중심으로 하여 여기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서사적 의미를 보다 면밀하고 적확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이 작품에서 인물 사이의 대립은 평면적이지 않다. 그 대립의 양상은 중첩되어 나타나는 동시에 복합적인 양상을 보인다. 이와 같은 인물 사이의 대립은 「낙조」의 서사를 진행시키며 그 의미를 구성한다. 그 가운데 함축된 작가의 비판적 목소리가 나타난다. 그리고 다성적인 목소리를 통해 세계와 진리에 대한 보다 총체적인 인식을 유발한다. 각 장에서 중첩되어 나타나는 인물의 대립은 작자의 지양 및 지향하는 바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며 서사를 진행시킨다. 「낙조」에서 작자는 후속 세대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전망 의식과 함께 드러낸다. 그리고 그는 황주 아주머니란 인물의 외적 풍자와 함께 내적 풍자를 동시에 시도한다. 이것은 이 땅의 친일파 세력이 어떻게 반공주의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자칭 보수 세력으로 탈바꿈 했는가에 대한 인과적인 맥락을 제시하며 이를 비판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나’와 춘자의 대립을 통해 서술자 ‘나’에 대한 비판, 작가 본인에 대한 비판, 나아가 위선적인 당대 지식인 계층에 대해 다층적으로 비판을 시도하며 서사를 구성한다. In this study, I intend to examine “Nakjo” by Chae, Man-shik who tried to understand the modern times of Korea in his own literary viewpoint and wrote about it sincerely. When his authorial capacity reached its peak, he published this work for which he sacrificed himself as the subject of satire. Nevertheless, this work did not gain as much attention as his other works. In this respect, I try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e narrative composition of this work more in detail and accurately, focusing on the confronta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In the work, the conflict among the characters is not simple and flat. It seems overlapping and complex. such conflict composes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of “Nakjo” as it flows. That is, his voice implies in it. And at the same time, his multi-natured voices make it possible to attain the holistic awareness of the world and truth. The characters conflict that unfolds and overlaps in each chapter reveals the writer"s direction to go and those he orientates to, leading a narrative effectively. In “Nakjo” the author exposes his own expectation and hope for the subsequent generations with his own perspective. And Chae, Man-shik attempts to satire both inner and outer of madam Whangju. He did so to criticize the pro-Japanese groups for disguising themselves from anti-communists to self-proclaimed conservatives through a casual context. In addition, he composes the narrative, trying to criticize the speaker "l" and himself as a writer, and further hypocritically intellectuals of the contemporary period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I" and Chun-ja.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과 운영 개선을 위한 비판적 고찰 - 충남대학교 글쓰기 강좌 현황과 글쓰기 센터 운영을 중심으로 -

        오영록 ( Ou Young-roc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2

        2000년 이후 대학 작문 관련 강좌는 교과목 혹은 교재의 명칭이 ‘글쓰기’로 개편되는 양상을 보인다. 대학에서 글쓰기 강좌가 강조되는 것은 정보화와 자동화 시대가 급격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역설적으로 글쓰기 능력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 대두됐기 때문이다. 동시에 대학에서의 교양글쓰기는 본질적으로 학술적 담화 공동체의 구성원이자 하나의 능동적인 주체가 될 수 있는 근본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충남대학교는 2014년을 기점으로 ‘기초글쓰기’라는 교과명과 함께 『기초글쓰기 - 사고와 표현』이란 교재를 새로이 편찬하게 된다. 본고는 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이 발전적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충남대학교 글쓰기 강좌 운영 현황을 살핀 결과 박사 수료 이상의 전문가로 담당교수가 배정이 됐고, 대다수의 학습자가 만족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많은 학생이 ‘기초글쓰기’의 추가적인 설강을 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본부 교무처에서는 설강 강좌 수를 줄이는 선택을 한다. 이에 대한 강좌 확대 편성과 내국인 및 외국인을 구분한 강좌 편성이 요구된다. 그리고 ‘기초글쓰기’ 강좌를 담당하는 강의전담교원 및 초빙교원을 확보해 이에 대한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추가적으로는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전공심화 과정의 글쓰기 교과목을 변경하고, 나아가 이를 수요에 맞게 계열별 글쓰기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 충남대학교 글쓰기 센터의 운영 상황을 살핀 결과, 전문 상담 인력 확보를 통해 ‘CNU 글쓰기 클리닉’에 상주할 수 있는 인원이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독립된 형태의 기관 편성과 예산 확보를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운영 시간과 같은 중요 사항을 공지하고, 온라인을 통한 상담이 가능하도록 홈페이지 개설이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글쓰기 관련 대회를 열어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함께 의욕을 고취시키고, 관련 워크숍을 개최하여 성취와 성과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추구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CNU 글쓰기 클리닉’은 충남대학교 글쓰기 교과와의 밀접한 연계를 추구해야 한다. Since 2000, the name of the course or textbook of the university writing related lecture has been changed to 'writing'. The emphasis on writing classes in universitie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age of computerization and automation is rapidly progressing and paradoxical writing skills are needed more. And the writing as liber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plays a fundamental role that can essentially become a member of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one active subject. In this contex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revises the textbook "Basic Writing - Thinking and Expression" with the title of "Basic Writing" starting from 201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dvance th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hrough a critical review.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writing classes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t was founded that the professors were assigned as experts who were more than completion of doctor course, and that the majority of learners were satisfied.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many students are asking for an additional course on "basic writing", the university headquarters office chooses to reduce the number of courses offered. It is required to organize the lecture expansion and lecture class that distinguish between Korean and foreign people. In addition, the professors and invited professors who are in charge of 'basic writing' lectures should be secured and the expertise and efficiency of the course should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urse of writing in the course of intensive majors which is easy to misunderstand and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is into “writing by department“ according to dem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peration situation of the Chungnam University Writing Center, it is necessary to acquire professional counseling personnel and secure the personnel who can reside in 'CNU Writing Clinic'. A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independent organization and secure the budge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nnounce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operating hours and to open a homepage to enable online consult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pen up a writing competition to inspire motivation and enthusiasm among students, and to hold related workshops to pursue achievement continuously. Ultimately, 'CNU Writing Clinic' should pursue a close connection with the writing education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이상 수필에 나타난 (자)의식의 지양 및 지향

        오영록(Ou,Youngrock) 한국언어문학회 2016 한국언어문학 Vol.99 No.-

        For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of Lee Sang, an investigation of his essays is a prerequisite. The investigation can help identify the values that Lee Sang either rejected or searched for, which allows us to explore his consciousness in depth. Furthermore, the investigation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allows us to understand better the consciousness of modern man in general. Women is an important subject in Lee Sang’s essays. Lee Sang interprets women in the symbolic dichotomy of “whore” or “holy mother.” Lee Sang defines as “whore” those who engage in exchanges based on capitalistic value system. However, his aversion is closer to the hatred of the capitalistic aspect of the modern condition itself that forces him to perceive women as “whore.” Lee Sang represented as “whore” all tendencies for seeking materialistic values embedded in capitalism and expressed his renunciation of it. On the other hand, he used the term “holy mother” for women who are not polluted by such materialistic value of capitalism and respect the value of life and expressed his approval. There are two types of “weariness” that Lee Sang describes in his essays. One is the feeling of “numbness” resulting from the inundation of the repeated sensations produced by constant stimulations of capitalist society. This is clearly expressed in his essay Tokyo in which he describes his disappointment about the city of Tokyo, which was imitated by Seoul, when he visited the city in Japan. The other one is simply the “boredom” caused by not having enough stimulations. In his essay Weariness, Lee Sang expresses his attitude toward such weariness caused by boredom. Also, in his letter to Kim Kilim, he wrote that, compared to Tokyo, Seoul was closer to a farm village, which illustrates the relativeness of stimulations where one can only feel stimulated when one encounters a stimulation that is stronger than his previously experienced stimulations. In his essays, Lee Sang often shows his attitude toward the idea of the “crowd” and the “public,” the terms that represent social group in modern society. He calls the “crowd” the ignorant social group and feels humiliation and anger about the fact that they consist of the majority of people in modern society. On the other hand, he regarded as his true readers the “public,” which was an extreme minority at the time, who was capable of rational thinking. It is only the public who could understood his works. His strong anger toward the “crowd” is shown in his later confession that it even drove him to hate the idea of “minjok” and “family.” Later Lee Sang admits that it was an error on his part. However, he did not withdraw his negative attitude toward social group neverthel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