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루소의 『사회계약론』 해석에 있어서 생피에르 신부의 『폴리시노디』의 유용성과 함의

        오수웅(Sue Woong Ohrr) 한국정치학회 2019 한국정치학회보 Vol.53 No.4

        이글의 목적은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해석함에 있어서, 루소가 발췌·요약·평가한 생피에르 신부의 『폴리시노디』와 『폴리시노디 비판』의 유용성과 함의를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 작품을 중심으로 생피에르 신부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문헌상의 증거들을 찾아내는데 천착한다. 2장에서는 생피에르 신부의 폴리시노디의 개념과 이론을 역사적 사례와 함께 살펴본다. 3장에서는 생피에르 신부와 폴리시노디에 대한 루소의 평가와 비판을 확인할 수 있는 증거들을 보여주고, 4장은 루소가 폴리시노디 제안을 비판적으로 수용했다는 증거들을 해석과 함께 보여준다. 결론에서는 루소의 『폴리시노디』 연구가 『사회계약론』을 해석하는데 유용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 연구가 우리의 정부와 의회에 주는 함의를 제시한다. Focusing on the Abbé de St. Pierre’s Polysynody that is selected, criticised, judged by Rousseau and Social Contract, this article aims at finding the clues and the evidences out, and showing the implications and the utilities of Polysynody in the interpretation of Social Contract. In doing so, in chapter 2, the theories and the practices of polysynody summarized and criticised by Rousseau are introduced, and its theore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are added. In chapter 3, this article shows some clues and evidences of Rousseau"s evaluations and criticisms on Polysynody with presenting plausible suppositions. In chapter 4, this article highlights and proves the evidences that Rousseau critically accepted the Abbe de St. Pierre’s theoretical projects and historical practices of polysynody. In the conclusion, this article confirms that Rousseau’s judgements, criticisms and acceptances on the works of the Abbe de St. Pierre have the utilities in understanding Social Contract, and remarks an implication on our government and parliamentary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루소의 시민교육: 개념, 역량 그리고 교육

        오수웅 ( Sue Woong Ohrr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5 韓國 政治 硏究 Vol.24 No.1

        이글은 루소의 사상에 천착하여, 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시민의 개념과 역량을 정의하고, 그런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론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시민교육에 대한 정치철학적 성찰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 『에밀』과 『사회계약론』에 천착하여 국가의 구성과 정치의 원리와 시민의 개념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부르주아에 대한 루소의 비판을 분석함으로써,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한다. 4장을 통해 시민의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론을 살펴봄으로써, 결론적으로 한국의 시민교육에 대해 루소의 교육사상이 가지는 함의를 부각시키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contribute to a sort of speculations in dimension of political philosophy on civil education of Korea by defining the concept of citizen, reasoning the capabilities for it, and analyzing educational theories on them in Rousseau’s works, especially Social Contract and Emile. In doing so, this article defines Rousseau’s concept of citizen in its relationship to the concept of Republic in chapter 2. In chapter 3, this article analyses Rousseau’s critics on the nature, mores, and behavior of bourgeois in order to draw out the capabilities of a good citizen. Moreover, this article investigates Rousseau’s theories about how to cultivate such capabilities for children and men in chapter 4 and finally highlights the implications on political and educational realities in Korea.

      • KCI등재

        루소의 도덕과 법 : 개념과 관계

        오수웅(Ohrr Sue Woo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09 정치사상연구 Vol.15 No.2

        이 글은 루소의 정치사상에 있어서 첫째, 도덕(moeurs) 개념을 정의하고, 둘째, 지식론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도덕의 발생경로를 드러내며 셋째, 도덕과 법의 관계가 어떻게 설정될 수 있을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덕은 이성과 감성에 의해 인간에 대하여 형성한 관계관념과 관계감정이며, 인간관계 속에서 습관, 예절, 관행, 관습 등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도덕들은 그 사회의 인간관계를 도덕관계로 그리고 그러한 관계들이 확장된 도덕관계망을 형성하고 유지하며 결속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들을 규율하는 질서로서 법은 이런 도덕들을 반영하게 된다. 따라서 개인적 차원의 도덕이 덕을 반영하고 있다면 그 사회의 도덕들은 좋은 도덕들로 나타나게 될 것이고 그로부터 도출된 법은 자연법의 지위를 부여받을 수 있게 되지만, 반대로 덕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면 그러한 도덕들과 그에 기반한 법은 오히려 사람들을 구속하는 인위적인 족쇄에 불과하게 된다. 따라서 루소는 개인과 사회의 도덕들이 덕을 반영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으로서 교육론, 『에밀』과 이미 타락한 도덕들을 가진 사회가 좋은 도덕들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차선의 방법으로서 제도론, 『사회계약론』을 제시하게 된 것이다. This study has three aims, the first is to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morals(the French, moeurs) the second is to trace out its path of genealogy to laws, and the third is to articulate the relationship of morals to laws. As the results, morals can be conceptualized as the relative ideas and sentiments by reason and senses. In the relationships of men, by language and behaviour, morals are extensively realized as habits(habits), manners(manieres), practices(usages), custom(coutume), and eventually engraved in laws. All of these function as the bonds to tie up, maintain and strengthen the relationships of men. All of these and the relationships form ‘moral networks’ like a chain. If the relative ideas and sentiments are formed in the state of their virtues, the moral networks can be justified by natural law which are approved as right reason and conscience deeply engraved in human soul. Otherwise, the moral networks, depending on the prejudices generated artificially from the civilized societies, will be a yoke to confine and violate freedom and equality of men. Rousseau advices about the latter are twofold, the best is to cultivate good morals in the hearts of the citizens as he shows in Emile, the second is to purify the corrupted morals by establishing good laws and good institutions as he designs in Social Contract.establishing good laws and good institutions as he designs in Social Contract.

      • KCI등재

        문화와 문명개념 비교연구: 루소의 사상을 중심으로

        오수웅(Sue Woong Ohrr)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7 동서연구 Vol.19 No.2

        이글의 목적은 루소의 정치사상에 있어서 문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와 문명의 언어적 기원과 의미의 변천을 살펴봄으로써, 양 개념의 유사 성과 차이성을 드러내었으며, 이전의 많은 사상가들은 문화를 영혼에 관한 어떤 교육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했다는 것을 밝혀 내었다. 문화와 문명 개념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오늘날의 개념구분은 독일철학에서 비롯되 었음을 주장하면서, 그러한 독일철학 특히 칸트에게 있어서 문화와 문명의 구분에 영향을 준 것은 문명인(peuples poliçés)에 대한 루소의 비판이라는 사실을 주장하였 다. 루소는 문명인을 비판하면서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의 분리를 지적하고, 내적인 것을 문화로 외적인 것을 문명에 연계 시키고 있다. 이런 그의 구분이 독일사상가 들에게 수용되었던 것이다. 루소에게 있어서 문화는 “영혼의 어떤 능 력들의 형성과 그 결과 된 상태들”이라는 인간의 내적인 조건들을 지칭하며, 문명은 “한 사회에 있어서 사람들의 영혼에 있는 어떤 능력 또는 힘이 물질적으로 외재화된 것이나 구현된 것”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문명이 외적이고 물질적인 것이라면, 문화는 내적이고 정신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문화와 문명에 대한 루소의 구분과 비판은 양자가 일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하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이론들에서 문화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으나, 루소의 개념과는 다르다. 루소의 문화개념은 이런 이론들을 재검토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될 것이며, 문화 활동과 교육이 가지는 정치적ㆍ도덕적 함의를 이해하고 나아가 오늘 날의 문명사회 전반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the concept of culture in Rousseau’s political philosophy?” In doing so, I utilize a linguistic method in order to trac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from ancient times to Rousseau’s days. Although there had been confusions and complications in using the concepts of culture and civilization until the eighteenth century, many thinkers of pre-Rousseau period equated the concept of culture with soul-education. Immanuel Kant being the first, German philosophers began to use the concept of culture differently. Rousseau had influenced Kant and his German successors, and his critics on peuples poliçés (civilized people) became guiding light for them. According to Rousseau, peuples poliçés indicates the person whose “outwardness” is separated from “inwardness,” civilization is related to outwardness, and culture is related to inwardness. Building on Rousseau, I conceptualize culture as indicating “cultivation of some faculties or powers, and the state of soul resulted from such cultivation” as Cicero used. Thus, culture in Rousseau’s works is strongly related to education and has effects on moeurs (mores) because faculties or powers are the elements forming ideas and sentiments. Civilization means material externalization or embodiment of the faculties or powers of people’s souls in a given society. For Rousseau, civilization was about outwardness while culture was about inwardness; and civilization was something material while culture being something spiritual. These days, the concept of culture is often used very differently from Rousseau’s usage. Yet, his concept and insights on it may play an important role when we revisit contemporary theories. Furthermore, Rousseau’s concept of culture will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political and moral implications of cultural activities and education.

      • KCI등재

        루소의 공화정 모델: “현명하게 완화된 민주정”에 대한 역사ㆍ제도적 접근

        오수웅(Ohrr, Sue-Woo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21 정치사상연구 Vol.27 No.1

        이글은 루소가 「헌사」에서 언급한 “현명하게 완화된 민주정”이 어떤 정체일지, 나아가 이 정체가 『사회계약론』에서 의도한 공화정의 모델일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검증은, 정체에 초점을 맞추는 만큼, 역사ㆍ제도적 접근에 따라 루소가 모델로 삼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제네바공화국, 아테네 민주정, 로마공화정의 정치구조를 추적ㆍ해체ㆍ(비교) 분석하고, 이들의 정치구조가 얼마나 정부의 구성, 자기 입법 그리고 자치의 원리에 관한 루소의 설명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이 될 것이다. 이런 작업은 적어도 루소의 정치사상을 아테네 공화주의나 로마 공화주의로 해석하는 일이 적절할지를 확인해줌으로써, 논쟁의 여지를 해소하는 데에 이바지할 것이다. 또한, 자기 입법 및 자치의 원리와 정체의 관계를 좀 더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대의제에 대한 성찰과 직접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최근의 연구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제도 및 이론적 대상들을 선명하게 해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what kind of political body “A Democratic Government Wisely Tempered” that Rousseau described in The Origin and the Foundations of Inequality among Man is, and whether the political body is a model of republican government that he intended in Social Contract. The verification will be like this; according to the historical and the institutional approaches focusing on political body, it traces, deconstructs, and (comparatively) analyzes the political structures of Geneva in 18c, the ancient Athens and the ancient Rome, which are believed among researchers to have been modeled by Rousseau. Then it estimates how well those structures fit Rousseau"s accounts on the principles that constitute a government, and especially on self-legislation and self-ru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serve to resolve the controversy by confirming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interpret Rousseau"s ideas of the political body as (neo) Athenian or (neo) Roman republicanism. Also the results could show the researchers, who support direct democracy and reflection on the representative system, some institutional and theoretical objects that their studies shall focus on, by making it possible to clea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body and the latter two principles.

      • KCI등재

        인간 삶의 도덕적 좋음과 정치원리

        오수웅(Ohrr Sue Woo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10 정치사상연구 Vol.16 No.1

        이글의 목적은 장 자크 루소의 좋음과 좋은 삶의 관념을 추론하고 그것이 어떻게 정치원리에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루소의 좋음의 관념은 그의 취향개념을 매개로 하여 미학을 발견함으로써 추론하고자 했으며, 좋은 삶은 인간 본성에 있는 이성과 감성 외에도 쾌락과 고통, 욕망과 능력, 행복과 존재 등의 관념들과 같은 구성인자들과 그 관계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정의하고자 했다. 그 결과 루소는 좋음을 활동 중인 아름다움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아름다움은 비례균형과 조화로 간주하고 있다고 추론하였다. 그리고 아름다움을 아는 능력으로서 취향은 비례균형과 조화를 아는 능력과도 같으며, 도덕(moeurs)에 연계됨으로써 인간관계 속에서 도덕적 좋음을 알 수 있는 능력과도 같다고 추론하였다. 따라서 취향은 인간으로 하여금 개인적 존재는 물론 사회적 존재로서도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해주는 능력이며, 그러한 행복한 삶은 활동 중인 아름다움, 즉 좋음이 반영된 삶이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그리고 사회적 존재의 네 가지 유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그의 관념이 사회적 존재로서의 삶을 행복한 삶으로 이끌도록 유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그가 『사회계약론』에서 논의하고 있는 정치원리와 정치체의 구성에 그의 미학이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Rousseau’s ideas of the good itself and a good life, and to explain how such ideas appear in the four types of a social existence that can be found in his works and in the political principles that he suggested in Social Contract. The concept of the good was conceptualized on the basis of his ideas of the beautiful. His ideas of the beautiful, so to speak, his aesthetics was inferred from the concept of taste considering theories on it in his times. The concept of a good life was conceptualized by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stituent elements of a life such as pleasure and pain, desires and faculties, reason and sentiments in human nature, including happiness and existence as well. Eventually his idea of the good itself is identical to the idea of the beautiful that can be defined as ‘proportional balance and harmony.’ And then a good life can be achieved when each antithesi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reaches to the state of ‘proportional balance and harmon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Rousseau suggests that each person as a social existence reach to the state of ‘proportional balance and harmony’ of the antitheses in both private and public life in order to achieve true happiness in a state. In Social Contract, the evidences of his aesthetics as such can be found in his explan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tility and justice as political principles, and in his designs on a political body mainly consisting of power division among the parts of it.

      • KCI등재

        루소의 일반의지와 공동심의

        오수웅(Sue Woong Ohrr) 한국정당학회 2017 한국정당학회보 Vol.16 No.1

        이글의 목적은 루소의 사상을 중심으로 일반의지와 공동심의의 개념과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공동심의에 있어서 심의의 기준과 원리를 탐색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절에서는 의지와 일반의지, 개별관념과 일반관념의 개념과 관계를 정의하였다. 3절에서는 일반의지와 공동심의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공동심의의 개념과 조건을 제시하고 공동이익과 동등한 자유를 구체화할 때 정언명령 B가 심의의 기준이 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 과정에서 파당에 대한 루소의 비판적 논거를 제시하고, 심의의 기준과 원리를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기하였다. 4절에서는 공동심의의 실제에 있어서의 파당의 영향에 대한 설명을 토대로, 그런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정언명령 A가 심의의 원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5절에서는 논의를 정리하면서, 결론적으로 정언명령 B와 A를 심의의 기준과 원리로서 정립하는 것이 오늘날 의회에서의 공동심의와 정당정치의 실제에 대해 함의를 가진다는 것을 부각시켰다. This article aims to discover the criteria and the principles of public deliberation by defining and analyzing the concepts and the relationship of general will and public deliberation in Rousseau’s works. In chapter 2, the relationship and the concepts of will, general ideas and general will are defined through reasoning the meaning of will on the basis of human nature, and the genesis of an idea. The general will is defined as the categorical imperative B by comparing to the idea of god that gives the universe an order of harmony and accordance, and that can be known by conscience as the categorical imperatives A. In chapter 3, it is argued that the categorical imperative B combines the general will and public deliberation, and can be a criterion of public deliberation, introducing the critics of Rousseau to the factions(the parties). The concept of public deliberation is defined as an act to discuss about and vote to what the common good(interest) and the equal freedom are. Some conditions for public deliberation are shown as well. In chapter 4, on the basis of practices of public deliberation in several countries in Europe, such as Poland, it is argued that the categorical imperative A should be a principle of public deliberation in order to avoid the negative influences of the factions. In conclusion, summarizing all of arguments, it is highlighted that the implication of establishing the categorical imperatives A and B as the principle and the criterion of public deliberation on the recent political practices of the parties and the public deliberations in the National Assembly.

      • KCI등재후보

        루소의 정치경제

        오수웅(Ohrr, Sue Woong)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7 문화와 정치 Vol.4 No.2

        이 글의 목적은 루소의 경제사상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18세기 경제사상에 있어서 그의 사상의 위치와 특징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절에서는 18세기의 사상가들의 정치경제학에 대한 이해와 이후의 발달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루소의 경제사상의 자리매김과 동시에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 추론한다. 3절에서는 경제사상은 경제현상을 설명하려는 노력이라는 점을 전제하여, 프랑스 경제에 대한 중농주의와 루소의 처방을 비교함으로써 루소의 경제사상의 특징을 부각시킨다. 4절에서는 『코르시카헌법초안』, 『폴란드정부론』, 『사회계약론』과 『정치경제론』을 중심으로, 루소의 경제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5절에서는 루소의 정치체제와 경제체제의 관계에서 국부와 자유개념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결론에 이르러 현대 경제학에서 사라진 정치의 역할을 되살리고자 시도한다. This article aims at explaining the meaning of Rousseau’s economic thoughts in the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The first section traces out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political economy since the 18th century. In the second section, I try to examine why his economic thoughts had been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economics. The third section illumines the characteristics of Rousseau’s economic ideas, comparing them to Quesnay’s physiocracy in terms of the contemporary economic situations of France. In the fourth section, I analyze the concrete ideas of Rousseau’s political economy focusing on his Discourse on Political Economy, The Social Contract and other important works that contain his economic thoughts. The fifth section explicates Rousseau’s own conception of wealth and freedom, which are related to his political view of the state’s wealth and citizenship. In conclusion, I argue that as Rousseau’s views of political economy show, the role of politics must be considered in our grasp of the current economic problems.

      • KCI등재

        취향교육의 도덕정치적 함의

        오수웅(Ohrr, Sue-Woong) 한국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 Vol.38 No.-

        This study has two aims. One is to conceptualize the French words, goût (taste)and moeurs (morals or mores), and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Rousseau`s political philosophy. The other is to highlight the implications of taste education on moral politics by tracing out the logical path that taste judgment makes an effect on political judgment. If taste was considered as an object of culture, the results can be thought of an ins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politics. In Rousseau's political philosophy, taste and morals have the same origin, so to speak, relative ideas and sentiments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essence of them, and they go through the same revolution. Morals include the diverse forms that the relative ideas and sentiments are realized by means of language and behaviour in the relationships of the individuals in society. They can be branched into manners, habits, practices, and customs, and finally be transformed into the laws. This path can be taken as the moral network which has morals and moral relations. Taste judgment forms or changes the moral judgment because it carries the ideas of not only the beautiful but also the right and the good through this moral networks in society. There are two kinds of taste in Rousseau's political philosophy. One is physical or personal, the other is moral or social. For Rousseau, the latter is taken as a very important one because it can narrow the gap between private interests and public interest, namely common good. The realizations of taste judgment should be accompanied with the wills of the judges toward common good. Therefore, taste education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as one of objects in the field of pedagogy, because political judg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in the society depend on how to set up tast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