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가족 시회(詩會) 연구

        오성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2 한국학논집 Vol.- No.88

        Just as the gate was difficult for noble women to overcome as a living space, it was also difficult for women’s literatures to leave the gate in Joseon. Within the ideological and cultural constraint of womanly virtue, women's literary activities were regarded as vice. And literary activities within the family were almost impossible except for some awake families.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works dealing with women's poetry creation or participation in poetry in Korean lineage novels with women as the main enjoyment layer reflects this cultural atmosphere of Joseon. Considering this atmosphere of Joseon society, the existence of family poetry in which women participated in the Kim Seong-dal family or Pungsan Hong family was a special cas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women were participating in literary activities through family poetry, and the theme was that the same title or letters were used as spirits in living spaces, mainly in residential spaces. In this regard, it was considered that the family poems appearing in Yussisamdaerok(劉氏三代錄) and Myeonghaengjeongrok(明行正義錄) may have reflected the tastes and demands of the readership of families who were relatively open to the literary activities of women in the family at the time. Through the scenes of family poetry in the two works represent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e can read the noble women’s desire to be remembered by their descendants beyond ideological and realistic limits and self-consciousness about their literary abilities. In particular, in the two works, it was confirmed that women showed a considerable degree of hesitation, even if it was a exhibition held within the family fence, and that sufficient justifications and excuses were expressed in the work. This contradicted the aspect of family poetry identified in the family of Sanggyeongran in China at the end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or the appearance of women writing poems at family poetry in the representative Chinese novel Honglumong(紅樓夢). Through this, it was concluded that the family poetry in the Korean novel was close to the reality of Joseon, not the reality of China at the time. 조선 시대 사대부가 여성들에게 대문이 생활공간으로써 결코 넘어서긴 힘든 현실적 제약이었던 것과 같이 여성들의 글 역시 대문 밖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부덕(婦德)이라는 이념적·문화적 제약 안에서 여성들의 문학 활동은 부덕(不德)으로 여겨졌고, 몇몇 깨어있는 집안들을 제외하고는 가족 내에서의 문학 활동이 거의 불가능했다. 여성을 주요 향유층으로 하는 한글장편소설에서 여성의 시 창작이나 시회 참여 모습을 다루고 있는 작품을 찾아보기 힘든 사실은 이러한 조선의 문화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사회의 이러한 분위기를 감안했을 때, 김성달 집안이나 풍산홍씨 집안에서 여성들이 참여하는 가족 시회의 존재는 특수한 사례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당시 조선 후기 사대부가 여성들이 현실적 한계를 충분히 감안하며 가족의 울타리를 넘어가지 않는 선에서 가족 시회를 통해 문학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고, 그 주제는 주로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공간 내의 영물로 동일한 제목이나 운자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가족 시회가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유씨삼대록>과 <명행정의록>에 등장하는 가족 시회는 당시 가족 내 여성들의 문학 활동에 비교적 열려있는 집안들의 독자층의 취향과 수요를 반영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각각 18세기와 19세기를 대표하는 두 작품에 나타난 가족 시회 장면을 통해 당시 조선의 여성들이 이념적이고 현실적 한계를 넘어 집안의 후손들에게 기억되고 싶은 욕망과 스스로의 문학적 능력에 대한 자의식을 읽어낼 수 있었다. 특히 두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여성들이 비록 가족의 울타리 안에서 열리는 시회라 할지라도 상당한 정도의 거리낌과 주저함을 보이는 모습, 그리고 이를 상쇄하기에 충분한 명분과 변명이 작품 내에서 표현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했다. 이는 명말청초 중국의 상경란 집안에서 확인되는 가족 시회의 양상이나 중국의 대표적 장편소설인 <홍루몽>에서 여성들이 가족 시회에서 시를 짓는 행위에 대해 크게 거리낌이나 변명이 없는 모습과 상반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가족 시회가 당시 중국의 현실이 아니라 조선의 현실과 가깝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5G와 고정통신 간의 간섭 연구

        오성준,김경원 한국전자파학회 2015 전자파기술 Vol.26 No.2

        현재 IMT 용도의 주파수 포화로 인해,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확보 예정에 있다.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해서는 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기존 시스템과의 공유연구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5G의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밀리미터 대역에서 고정통신과의 간섭 효과를 분석하여 보여준다.

      • KCI등재

        <최필공전>의 서사적 특징과 문학적 의미

        오성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3 한국학논집 Vol.- No.90

        <Choipilgongjeon> is a work created by Hong Yang-ho at the order of King Jeong-jo, in the case of Choi Pil-gong, a Catholic leader of middle class, who was captured during the Sinhae Persecution in 1791, choosing to choose apostasy due to King Jeongjo's edification. Given that it deals with the Catholic issue and was built at the order of the king, <Choipilgongjeon> was inevitably created to secure the legitimacy of King Jeong-jo's political actions and to promote the edifying message as much as possible. The introduction of the subject of entry and the phrase of Mencius, which represents royal politics, are placed before and after the narrative, and the optimistic view that Catholicism from China, like other heresies, is reflected in this creative narrative. Looking at the narrative features of major events, first, he emphasized the edification of King Jeong-jo by reducing the period between the actual declaration of King Jeong-jo's edification policy and Choi Pil-gong's confession. Second, it promoted edification by describing the preferential policy for Choi Pil-gong, a re-converter who returned to Confucianism from Catholicism. Third, by objectifying the artist himself and appearing in the work, he tried to secure the credibility of testimony on how effective King Jeong-jo's edification was, from Choi Pil-gong's case of conversion to preferential treatment. In that sense, <Choipilgongjeon> can be said to be a kind of political plan or propaganda to cope with the Catholic problem for Hong Yang-ho, who is literary entrusted with the political message of King Jeongjo and King Jeongjo. However, it is up to the artist to decide on the creative direction, but Jeon(傳)'s sense of genre to present the object's life eagerly can not be overlooked. As a result, Choi Pil-gong, who hates lies and is honest in his mind, is partially captured. Through this, we could find the literary meaning of this work in that we could guess Choi Pil-gong as an honest human being who tried to carry out his beliefs in the time and space when Confucianism and Catholicism were sharply competing at the time. <최필공전>은 1791년 신해박해 때 잡혀 온 중인(中人) 출신 천주교 지도자 최필공이 정조의 교화로 인해 배교를 선택한 사건을, 정조의 명령으로 홍양호가 창작한 작품이다. 당시 중요한 사안이었던 천주교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왕의 명령으로 지어졌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정조의 정치 행위에 대한 정당성 확보와 교화적 메시지를 최대한 알리기 위한 방향으로 작품이 창작될 수밖에 없었다. 입전 대상에 대한 소개와 주요 사건 서사의 앞과 뒤에 왕도정치를 대표하는 『맹자』의 구절을 배치하여 마치 해당 내용이 정조의 교화 정책을 대표하는 사례인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도, 논찬 부분에 인물의 삶에 대해 평가가 아니라 중국에서 유래한 천주교가 다른 이단들과 마찬가지로 곧 무너지게 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을 적어놓은 것도 이러한 창작 지향이 서사 구조에 반영된 결과이다. 주요 사건의 서사적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실제 정조의 교화 정책 선포와 최필공의 회심 사이에 걸린 기간을 축소하는 설정으로 정조의 교화를 강조했다. 둘째, 천주교로부터 다시 유교로 돌아온 재전향자 최필공에 대한 우대 정책을 서술함으로써 교화를 홍보했다. 셋째, 작가 자신을 객관화하여 작품 속에 등장시킴으로써 최필공의 회심 사건과 그에 대한 우대에 이르기까지 정조의 교화가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한 증언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런 의미에서 <최필공전>은 정조와 정조의 정치적 메시지를 문학적으로 위임받은 홍양호에게 있어 천주교 문제에 대처하는 일종의 정치적 기획물 혹은 선전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창작 지향을 결정하는 것이 작가의 몫이지만, 대상의 삶의 모습을 핍진하게 제시하려는 전(傳)의 장르 의식 역시 간과할 수 없다. 그 결과 눈에 잘 띄지는 않지만, 거짓을 싫어하고 자신의 마음에 솔직한 최필공의 면모가 부분적으로나마 포착되고 있다. 이를 통해 당시 유교와 천주교가 첨예하게 힘겨루기를 하고 있던 그 시간과 공간에서 자신의 신념을 관철하고자 했지만 결국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솔직한 인간으로서의 최필공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문학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