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성격에 따른 색채의 연구 : 작품 'color'를 중심으로

        오상민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적용된 색채와 성격간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한 연구이다. 색채의 속성 변화는 이미지의 상징적 기능에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잘못 적용된 색채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 같은 이유는 전반적으로 색채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분석 보다, 단편적인 경험과 개인의 기호(嗜好)에 의존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관념적이고 소극적인 색채 사용법을 개선하고, 보다 과학적이며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과정의 색채 활용법을 연구하였다. 첫 째, 캐릭터를 1차 3원색인 적색, 황색, 청색(Red, Yellow, Blue)으로 분류하였다. 각 색상에 해당하는 네 가지의 서로 다른 성격의 캐릭터 12개를 선정하여 세분화 하였다. 이때 캐릭터에 적용된 색채가 전달하는 상징성을 색채 일반론으로 분석하고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나타난 실제의 성격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둘 째, 12종류의 캐릭터 샘플(sample)을 10대~40대 남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색채에서 느껴지는 감정에 관한 설문조사를 SD법을 활용하여 작성하고, 통계 결과로서 도출된 색채의 정량적인 수치 차이를 분석 하였다. 세 째, 위에서 도출된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각 색채에서 인지되는 성격의 이미지를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COLOR』제작에 적용하였다. 전반적으로 캐릭터와 배경의 색채 변화에 의한 감정표현에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색채의 상징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었으며, 시각적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색채의 상징성을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었으며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성격과의 상관관계를 객관적 시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도출된 결과를 단편 애니메이션 『COLOR』의 제작 과정에 직접 활용하여 적절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colors and character which applied to Animation Character. Property change of colors affects the symbolic function of images. So wrong applied colors can weaken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which can be conveyed by colors. This is rather a phenomenon of depending on fragmentary experiences and individual tastes than a phenomenon of systematic study and analyzing of colors. Therefore, I studied the use of colors which is scientific and objective to improve the use of colors which is ideological and passive. Especially, for this study I analyzed the symbolic function of colors and used both statistics and a questionnaire used by SD method by sorting existing characters by colors. Through this study I could visually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symbolism of colors and property of Animation Character. I also drew a effective conclusion by apply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o the making-process of Animation『COLOR』.

      •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신용 예측 데이터 불균형 해결 기법

        오상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신용 예측에서 발생하는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iffusion Multi-step Classifier(DMC)를 제안한다. DMC는 Diffusion Model을 통해 신용 예측 데이터의 연속적인 수치형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들을 Multi-step Classifier로 구분하는 것으로 범주형 데이터를 생성한다. DMC를 통해 기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른 알고리즘보다 실제 데이터와 유사한 분포를 가지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었다.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신용 예측을 진행하였을 때 예측 부분에서 정확도가 높아졌고, 특히 소수 클래스인 연체를 분류하는 정확도가 매우 높아 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실제 금융기관에 적용 시 연체율 감소와 수익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In this paper, a Diffusion Multi-step Classifier (DMC) is proposed to address the imbalance problem in credit prediction. The Diffusion Model is used to generate continuous numerical data from credit prediction data, and the generated data is categorized using a Multi-step Classifier to create categorical data. Using DMC, data that closely resemble actual data can be generated, outperforming other algorithms for data generation. When using the generated data for credit prediction,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increased, particularly in identifying the minority class of defaulter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 decrease in default rates and an increase in revenue when applied to actual financial institutions.

      • Synthesis of steroid or triterpene-substituted alkylphosphocholine derivatives for Akt phosphorylation inhibitors

        오상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항암제는 DNA에 직접 작용하여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하던 세포독성 항암제로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에도 작용하여 많은 부작용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표적 항암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항암 후보물질 중 하나로써, 세포성장 및 증식에 관여하는 PI3K/Akt pathway를 저해하는 화합물인 alkylphosphocholines(APCs)이 있다. 기존에 발굴된 APC 계열의 화합물들은 낮은 활성, 적혈구 용혈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를 개선한 유도체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PC 화합물의 alkyl chain 부분을 steroids 또는 triterpene으로 대신한 새로운 APC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들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Oleanolic acid, Oleanolic acid 또는 Ursolic acid methyl ester, steroids에 triethylamine, 2-chloro-2-oxo-1,3,2-dioxaphospholane 을 반응시켜 phosphate구조를 도입한 중간체를 합성하고, trimethylamine을 사용하여 최종 화합물 8가지를 합성하였다. 신규 합성한 APC 유도체를 대상으로 항암 활성을 측정한 결과, MCF-7 cell line 에서 9a(Oleanolic acid), 9b(Oleanolic acid methyl ester)화합물이 10μM 농도에서 54.60, 57.63 % Inhibition 값을 가져, 대조군인 edelfosine, miltefosine, erucylphosphocholine이 갖는 각각의 68.09, 45.91, 45.54 % Inhibition 값과 비교해 유사한 세포독성을 보였다. 특히 화합물 9b(Oleanolic acid methyl ester)는 MCF-7 cell line 뿐만 아니라, A431, A549, HepG2 cell line에서 대조군 중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갖는 edelfosine(10μM 농도에서 각각 38.25, 28.50, 31.95 % Inhibition)보다 뛰어난 활성(10μM 농도에서 각각 45.93, 42.30, 62.81 %Inhibition)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Ursolic acid methyl ester, cholesterol, stigmasterol이 도입된 APC 유도체들은 10μM 농도에서 기존의 APC 화합물들과 비교하여 세포독성이 뛰어나지 않았다.

      • 이스라엘 공동체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

        오상민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구약 이스라엘 공동체는 단일 공동체가 아니라 복잡한 집단들이 모여 구성된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공동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었던 원인은 이스라엘의 유목적인 삶의 양식과 한 조상의 자손이라는 혈연적 유대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공동체를 가능하게 만들었던 결정적인 구심점은 야훼 신앙이다. 야훼의 계시, 선택, 구원, 임재 및 동행, 심판과 구원,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찬양과 감사와 탄원 등은 공동체를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이스라엘 민족사 속에 나타난 성막은??계시와 만남??의 신앙적 구조를 지닌 종말론적 공동체이며, 성전은??임재와 제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성례전적 공동체이다. 그리고 회당은 이스라엘의 삶과 가장 오랜 세월 동안 운명을 같이 해 온 역사적 공동체이다. 또한 지정학적으로 고대 근동지역의 양대 문명의 틈바구니에서 숱한 위기 가운데서도 그들이 하나가 되도록 묶은 요인은 그들의 선조가 직접 경험한 야훼와 만남의 사건이었다. 특히 출애굽과 시내산 언약사건은 하나님 백성의 삶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보여준다. 즉 출애굽은 애굽으로부터의 해방과 동시에 약속의 땅을 향한 획기적인 사건으로 처음부터 하나님의 정치적 개입이었으며, 하나님의 주권적 행사였다. 그리고 시내산 언약사건을 통해 하나님은 비로소 당신의 이름을 백성들에게 공표하고 이스라엘 백성은 그의 백성이 되므로, 이 공동체의 특징은 야훼와 백성이 맺은 언약 관계이다. 따라서 구약의 언약 공동체는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라는 의미에서 창조주와 구속주가 되시는 야훼의 부르심에 대한 응답적인 교제와 순종과 충성 관계 속에서만 그 존재 이유를 발견할 수 있다. 이스라엘 백성을 통합시킨 다윗은 난관을 극복하고 분리되었던 백성들을 하나로 뭉쳐 하나님께로 통일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귀한 유업은 야훼를 충실히 섬긴 모범적인 인물이었다. 또 솔로몬은 정치적인 판단력과 능란한 외교술 덕분에 다윗이 벌여놓았던 정책을 잘 수행하였으나, 말년에 야훼의 언약의 기본 계명을 지키지 않았기에 그의 사후에 나라가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약 이스라엘 백성의 정체성을 가장 분명하게 설명하는 말이 바로??야훼의 언약 백성??으로, 그들은 야훼의 부르심과 언약에 의해 세워진 신앙공동체이며 언약공동체이다. 그리고 신약의 교회 공동체 역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새롭게 하나님 나라 백성들을 부르시고 세우시는 야훼의 약속과 그 성취에 따라서 태동된 언약공동체이다. 그러나 선교 2세기에 접어든 한국교회는 그 동안 교회사에 유래 없을 정도의 성장을 보였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급성장 현상으로 인하여 교회의 거대화에 따라 진정한 성도의 교제가 어려우며, 목회자도 교인 하나 하나의 신앙생활을 인도할 수 없는 실정으로 교회의 공동체 의식이 상실되어 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공동체의 다양한 형태 중 공동생활은 하지 않지만, 공동체성이 뛰어난 공동체적인 교회가 가족의식으로서의 교제, 나눔, 신앙훈련의 장으로 회복되도록 몇 가지 실천방안들을 제시해 보았다. 교회공동체는 하나님의 백성의 존재양식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을 믿는 모든 성도들과 교회는 성령의 역사로 영적, 정신적 교제뿐만 아니라 물질까지 나눌 수 있는 자원적인 교제가 회복되고, 또 고통 당하는 이웃의 필요를 채워주며 그들과 더불어 함께 하는 지역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What the Israeli community of the old testament era could form a community consciousness although it was not a sole community but a multiple community of different groups was because of the Israeli nomadic life style and the kinship resulting from the fact that they were descendents from an ancestor. And the backbone which made such community possible is Yahweh belief. Praise, thankfulness and plea as a response to the revelation, the choice, the salvation, the company and the judgement of Yahweh are based on a community. Therefore the tabernacle shown in the Israeli people's history is an eschatological community with the belief structure of revelation and meeting, the sanctuary is a ceremonial community focused on the company and the ceremony, and the church is a historical community which has been in the same boat as Israeli life for the longest years. Also what made Israeli people one in the midst of countless crises from the two great civilizations of the ancient Near East was the Meeting with Yahweh which their ancestors experienced directly. Especially "Escape from Egypt" and " Sinai Mountain" Covenants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of God's people and God. "Escape from Egypt" was a liberation from Egypt and at the same time a great event toward the promised land, which was a political intervention of God and a sovereign exercise of God. And God announced his name to his people through Sinai Mountain Covenant, and Israeli people have become his people. So, the characteristic of this community can be defined as the covenant between Yahweh and his people. Accordingly the covenant community of the old testament exists in the responsive companionship with the calling of Yahweh, Creator and Controller and in the obedience and the loyalty to God only. David overcame a lot of hardships and integrated the separated Israeli people into one toward God, and he showed amazing loyalty to God. Also Solomon performed the David's policy well thanks to excellent political judgement and diplomatic strategy, but because he didn't keep the basic commandments of Yahweh well in his late years, the county came to be separated after his death. As mentioned above, the word which explains the identity of the Israeli people of the old testament era most clearly is "people having the covenant with Yahweh", who are a belief community and covenant community built by the calling of Yahweh and by the covenant with Yahweh. And the churches of the new testament are a covenant community born based on Yahweh's covenant to call and gather the people of the Kingdom of God in Jesus Christ and based on the accomplishment of the belief. But the Korean churches which have had two (2) centuries of Christian history showed unprecedented growth in the church history until now, but as churches are growing large suddenly in recent years, it seems that true companionship between christians and the minister's leading of each christian's belief life are becoming difficult and as a resul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is being lost.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s some practice measures so that community-type churches can be recovered as a place for companionship between christians in "family" concept and for belief training. Churches must become a community where christians who believe in God as an existence mode of God's people have the spiritual and the mental companionships by the wonders of the holy spirit, have the material-related resourceful companionship, meet the needs of the underprivileged neighbors and share the suffering with them.

      • 유아 음악 교육의 리듬학습 지도 방안 연구

        오상민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은 사회적으로 중요성을 띤 예술이며 모든 사람에게 음악은 일상생활의 한 부분이다. 특히, 유아에게 있어 음악은 어느 순간에도 분리시킬 수 없을 만큼 중요한 삶 그 자체이다. 음악은 유아의 생활에서 얻어지는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심리적 발달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자연에 대한 호기심, 자발적인 자기표현으로 창의적인 활동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방법을 좀 더 효율적이도록 하기 위해 음악교육은 중요하다. Orff와 Kodaly는 유아에게 있어서 음악은 기능적이거나 부담스러운 요소가 아닌 흥미롭고 자연스러운 경험을 통하여 자발적인 학습 환경을 만들어 주는데 있다고 했다. 음악은 소리로, 리듬은 신체로서 각자의 생각, 느낌을 자연스럽게 표현함으로 우리가 느끼지 못하고 깨닫지 못한 새로운 반응인 창의성을 유아에게서 발견할 수 있다. 인간의 생활을 보면 어떤 규칙성을 띤 리듬을 느낄 수 있다. 호흡, 맥박, 하품, 심장 박동 등의 이 리듬은 동·서양에서 모두가 느끼는 한 부분이며 화음, 가락과 함께 음악의 3요소이기도 하다. 또한, 리듬은 본능적이고 원시적이며 즉흥적인 반응을 통해서 창의력과 상상력을 길러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의 음악교육은 리듬을 중심으로 자연스러운 생활 속 경험에 의하여 언어와 신체의 사용으로 좋아지며 유아가 자기표현의 기회를 넓혀 스스로 참여할 때 발달이 될 수 있다. Music is an art with social importance and a part of daily life. It is especially significant for infants at any time. It has influence on infants' psychological development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offers creative activities that foster curiosity for nature and spontaneous self-presentation. So, it is important to be effective using these methods. According to Orff and Kodaly, music offers infants a learning environment not through functional experience but through exciting, natural experiences. It can be found that creativeness can help them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music with sound and by rhythm with body. Rhythm is a necessary, visible part of daily life. Some regularities of rhythm are presented. This rhythm is shared with all as well as one of three components like tone and chord. And also, rhythm, on impromptu response, is instinctive and primitive as well as creative and imaginative. Therefore, it can be better and developed in infants' music education when infants speak and use their body parts focusing on rhythm and also infants have a chance to express themselves.

      • 섀도잉(Shadowing) 학습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미치는 영향

        오상민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ttention to pronunciation has been less paid compared to grammar and vocabulary in Korean education even though there has been a little attention paid to segmental pronunciation factors. Moreo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methods for teaching pronunciation to implement in class. This study begins at these problems and tries to draw up a method for teaching pronunciation in an effective way. The existing teaching pronunciation is mostly implemented as a way of ‘listen and repeat’. It is a way that learners repeat what they hear teachers’ utterance or other listening material sound, It has a positive effect for a short sentence including vocabulary, however, it is problematic for foreign learners to recognize and repeat what they hear from Korean native speakers exactly for a long sentence.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utilizing ‘shadowing’ as an effective way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tion. It is possible to imitate regardless of the sentence length, and it is especially effective to learn suprasegmental factors. Therefore, the method was implemented in real class of Korean pronunciation to verify its effects on the learners’ Korean pronunciation.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foreign learners 10 times for about 5 weeks.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control group of ‘listen and repeat’ and experiment group of ‘shadowing’.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hadowing on learners’ Korean pronunciation, the pronunciation skills were divided into accuracy and fluency first, and then divided into each segmental sound, phonological rules, and suprasegmental sound to assess. In addition, the learners’ attitude and response to shadowing was dealt with a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s that shadowing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Korean pronunciation and their attitude and its effectiveness in class was verified.

      • 유휴산업시설 감성평가 연구 : 식음 공간디자인을 중심으로

        오상민 상명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era of next-generation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the cutting-edg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oT(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mobile technology, are converged to bring about innovative changes to whole economy and society, and we are facing the changes in lifestyle in this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fast speed and information. In the cities,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and shift in social paradigm have given rise to the increasing cases of reproduction of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inherent value that cannot be found in new architectural structures. Therefore, the architectural structures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should be continuous, and their value needs to be conveyed as continuous recycling space to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through recycling of not only space but also materials with historic traces.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take an approach from the aspect of sensibility in food and beverage space design among the types of commercial space using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Korea and abroad. As it is meaningful to research into the sensibility evaluation based on the effect of space marketing, this study intends to evaluate the sensibility of recycled materials in food and beverage space design amo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Moreo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aking an approach of sensibility to the scope of sustainable value.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present a sensibility evaluation index for evaluating the sensibility, perceived by consumers from utilization of recycled materials in food and beverage space design that use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rough sensibility vocabulary. Based on aforesai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following framework: Chapter 1 specifie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scope and methodology of research, and presented the courses of the study differentiated through preceding studies on idle industrial facilities. Chapter 2 presented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literature study pertain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rendered with recycle materials of food and beverage space design using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approach of the sensibility to the space. The evaluation index of food and beverage space design using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was presented by extract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method of recycling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recycling and deriving the sensibility vocabular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rendered by recycled materials from the realm of food and beverage space design. Chapter 3 presented the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us and analyses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with a focus on related overseas and domestic cases. Domestic cases were investigated in 18 locations, including Seongsu-dong, Mulrae-dong, Hapjeong-dong, regarding the cases that had occurred since 2013. Meanwhile, overseas cases were investigated in 6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and Thailand, with respect to the cases that had occurred in the South East Asia since 2007. The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factors and evaluation indexes derived from Chapter 2. As a result, the index item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rendered with recycle materials of food and beverage space design using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were derived. Chapter 4 presented the results of survey of ordinary consumers on each of the most typical cases of overall preservation, partial conservation, and overall improvement, depending on the state of preservation, among domestic cases of food and beverage space design using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s a stage of analyses on the outcomes of the survey. Regarding the analyses of survey which were necessary for sensibility evaluation, we performed the important factor analysis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reliability analysis, image evaluation analysis by SD method, and analysis of model structure and model itself through factor analysis, and based on the results, we compiled the items of sensibility indexes. Chapter 5 presented the sensibility evaluation index as an indicator item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survey result based on the details addressed in Chapters 1, 2, 3 and 4 in respect of the sensibility evaluation of food and beverage space design using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Chapter 6, which drew up the conclusion of overall details related to this study, presented the course for proposal of sensibility evaluation for the study on evaluation of sensibility of food and beverage space design using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long with the measures for utilization in the period ahead. Through the sensibility evaluation index of the food and beverage space design using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proposed by this study, we derive the conclusion in connection with the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suited to the sensibility preferred by consumers for the environment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methods of expression rendered by the recycled materials. In addition, It is also expected that aforesaid indexes will be expanded into the systematic research indexes based on the sensibility space factor of recycled space using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is study represents a comprehensive research on sensibility evaluation as an evaluation index that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environmental indicator and spatial factor index of recycled materials though the sensibility vocabulary,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evaluation factor items. Therefore, the items, analyzed based on the categories of overall preservation, partial preservation, and overall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preservation of recycled space and frequency of use of recycled materials, will be used in the spac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furthermore, serve as the sensibility evaluation index presented in newly-built buildings or space to be remodeled other than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also as an index for recycled spatial design of sustainable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rough examination of concerned details. key wood : idle Industrial Facilities, Sensibility Evaluation, recycled material, Food and Beverage Space Design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빅 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의 시대로 4차 산업시대를 빠른 속도와 정보로 살아가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를 맞이하였다. 도시는 산업구조의 변화와 사회적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유휴산업시설이 새로운 건축물에서 볼 수 없는 잠재적 가치가 내재되어 있다고 인식되어 재생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때문에 유휴산업시설의 건축물은 연속적이어야 하며, 공간뿐만 아니라 역사적 흔적의 재료의 재활용을 통해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까지 지속적인 재생공간으로써 그 가치를 전달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상업 공간 중 식음공간의 감성적 측면의 관점에서 접근하려 한다. 이는 스페이스 마케팅의 효과로 감성평가의 연구가 가치가 있음에 의미를 두어,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상업 공간 중 식음공간의 재활용재료 감성평가를 하고자 한다. 또한 지속가능한 가치의 범위가 공간의 감성적 측면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식음공간의 재활용재료의 사용이 소비자에게 느끼는 감성을 감성어휘를 통해 평가하는 감성평가지표를 제시 및 활용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 하에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연구된다. 1장은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범위 및 방법을 설정하였으며 유휴산업시설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차별화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2장은 이론적 고찰로써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식음공간의 재활용재료 표현특성과 공간의 감성적 접근에 관한 이론 고찰과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휴산업시설의 재생 방법 및 재생 특성으로 디자인특성을 추출하고, 식음공간의 영역의 재활용재료의 표현특성으로 감성 어휘 추출을 하여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식음 공간 평가지표를 제안한다. 3장은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유휴산업시설 현황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국내사례조사는 2013년 이후의 사례로 성수동, 문래동, 합정동 외 18곳이고, 국외사례조사는 2007년 이후의 동남아지역의 사례로 일본, 중국, 태국의 6곳을 조사하였다. 2장에서 도출한 분석요소와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식음공간의 재활용재료 표현특성에 관한 지표항목을 구성하였다. 4장은 설문연구 분석 단계로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식음공간의 사례에서 국내 사례 중 보존여부에 따라 전체보존, 부분보존, 전체개조의 대표사례를 한 개씩 선정하여 소비자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감성평가를 위한 설문연구는 기술통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중요 인자 분석, 독립 표본 T-test, 신뢰도 분석, SD법에 의한 이미지 평가 분석, 요인분석에 의한 평가 구조와 모델 분석을 하여 감성지표항목을 구성하였다. 5장은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식음공간의 감성평가’로 1장, 2장, 3장, 4장의 진행된 내용에 따라 문헌 고찰과 설문연구 분석을 통한 지표항목으로 감성평가지표를 제안하였다. 6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전체 내용에 대한 종합으로서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식음공간의 감성평가연구를 위한 감성평가지표 제안에 대한 방향제시와 향후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식음 공간 감성평가지표를 통하여 유휴산업시설 환경에 대한 소비자 선호감성에 맞는 공간적 디자인 특성과 재활용재료의 표현 방법에 관해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재생공간의 감성적 공간요소를 축으로 체계적인 연구지표로 확대 될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는 감성어휘를 통한 공간 환경 지표와 재활용재료의 공간 요소 지표와의 연관성, 즉 평가요소 항목 간의 상호관계성을 분석한 평가지표로써 포괄적인 의미의 감성평가연구이다. 따라서, 재생공간의 보존여부와 재활용재료의 사용빈도에 따라 전체보존, 부분보존, 전체개조로 나누어 분석한 사항들은 향후 유휴산업시설의 공간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유휴산업시설이외의 신축건물 또는 리모델링될 공간에서 제시된 감성평가지표와 세부사항에 따른 검토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유휴산업시설의 재생공간디자인을 위한 지표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주요어 : 유휴산업시설, 감성평가, 재활용재료, 식음공간

      •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장 내 괴롭힘, 자기효능감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오상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직장 내 괴롭힘, 자기효능감 및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고,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6월 27일부터 8월 5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J시와 B광역시에 위치한 500병상 이상의 5개 종합병원의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120명을 대상으로 I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 program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직무스트레스, 직장 내 괴롭힘, 자기효능감 및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장 내 괴롭힘, 자기효능감 그리고 전문직 자아개념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 직장 내 괴롭힘, 자기효능감 및 전문직 자아개념간의 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고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여자가 94.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28.52세로 26세에서 30세가 45.8%로 가장 많았다. 결혼여부는 미혼이 78.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종교는 없는 경우가 62.5%로 더 많았다. 교육정도는 간호학사가 65.2%로 가장 많았으며 중환자실의 평균 근무경력은 3.55년으로 1년 이상 3년 미만이 46.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평균 임상경력은 6.03년으로 1년 이상 3년 미만이 31.7%로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의 근무 부서는 외과계 중환자실이 40.7%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91.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대상자가 느끼는 간호 만족도는 보통이 62.5%로 가장 많았다. 연봉은 3,000만원 이상이 75.8%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3.67±0.57점이었으며 직장 내 괴롭힘은 4점 만점에 평균 2.01±0.66점이었다.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47±0.59점이었으며 전문직 자아개념은 평균 2.60±0.30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임상경력(F=3.05, p=.03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장 내 괴롭힘은 연령(F=4.78, p=.004), 결혼여부(t=2.95, p=.005), 중환자실 경력(F=2.71, p=.033), 임상경력(F=4.91, p=.003), 근무부서(F=3.79, p=.025), 간호만족도(F=3.88, p=.023), 연봉(F=4.61, p=.01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연령(F=3.27, p=.024), 결혼여부(t=-2.41, p=.017), 임상경력(F=3.22, p=.025), 간호만족도(F=7.02,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은 연령(F=9.14, p<.001), 결혼여부(t=-4.64, p<.001), 종교 유무(t=2.36, p=.020), 교육정도(F=3.76, p=.026), 중환자실 경력(F=3.76, p=.006), 임상경력(F=7.08, p<.001), 직위(F=-1.99, p=.049), 간호만족도(F=19.39, p<.001), 연봉(F=3.34, p=.039)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7.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직장 내 괴롭힘과 음의 상관관계(r=-.33, p<.001)를, 자기효능감과는 양의 상관관계(r=.60, p<.001)를 가지고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직장 내 괴롭힘과 양의 상관관계(r=.27, p=.002)를 가지고 있었다. 8.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ß=.41, p<.001), 직장 내 괴롭힘(ß=-.13, p=.047), 간호만족도의 불만족(ß=-.45, p<.001), 간호만족도의 보통(ß=-.27, p=.004), 연령(ß=.27, p<.001)의 순이었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직장 내 괴롭힘이 적을수록, 간호직에 불만족 또는 보통인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았다. 이들 변수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한 설명력은 55.1%였다(F=30.22, p<.001, Adj R2=.551). 결론: 이상에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직장 내 괴롭힘, 간호만족도, 연령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영향요인인 자기효능감 및 간호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직장 내 괴롭힘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