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와 법해석

        오민용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강법률논총 Vol.11 No.2

        The problem of legal interpretation has been important in legal philosophy, legal theory, or practice, but it has not been dealt with at all about ‘read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law. Reading is a key performance that penetrates all processes, from legislative to law enforcement, judicial examination and trial. However, ‘reading’ has been treated as a meaningless premise that is naturally subordinate to such an act. ‘Reading’ has been considered a natural or incidental thing involved in the law. The interest in what was ‘reading’ itself and how it connected to the law was low. Is it a non -ready act of reading? Or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law interpretation? This article rejects modern thinking that ‘reading’ reproduces the meaning of the text, and accepts the achievements of the law of law interpret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reading is claimed to be an independent act and an independent act. This independent “reading” is embodied by Derrida's theory. This article breaks through this problem through Derrida's philosophy and der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law. To this purpose, this article consists of Derrida's Ⅱ. text philosophy, Ⅲ. metaphor philosophy, Ⅵ. deconstruction and legal interpretation. This process derives two implications. First, it reveals that it is a false of faith in the essential meaning or phrase that is naturally seen in the law. Second, it reveals that the useful understanding is not perfect. Therefore, the basic stance of the law of objective, subjectism and proceduralism, and the basic style of inclusion, sentence, and the basic style of the law, Derrida's reading philosophy, specially distinguished text and book, reading and earthquake, writing, play, difference, metaphor, catachresis only when it is supplemented through it, it can be fully achieved. 법철학이나 법이론 또는 실무에서 법해석의 문제는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지만, 법해석의 출발점인 읽기에 대해서는 전혀 다루어져지지 않았다. 읽기는 입법부터 법집행, 사법심사 및 재판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관통하는 핵심적인 수행이다. 그러나 ‘읽기’는 이와 같은 행위에 당연히 종속되어 있는 의미 없는 전제로 취급되어져 왔다. ‘읽기’는 이제까지 법해석에서 당연히 수반되는 당연한 것 또는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읽기’ 그 자체가 무엇이며, 그것이 법해석과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관심은저조했다. 읽기는 법해석에 종속된 비독자적인 행위일까? 아니면 읽기와 법해석의 관계는 무엇일까? 본 글은 ‘읽기’가 텍스트의 의미를 그대로 재현한다는 근대적 사고를거부하고, 법해석이라는 법학의 성과물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동시에 읽기는 법해석과독립된 행위로 주장한다. 이 독립된 ‘읽기’를 데리다의 이론을 전유해서 구체화한다. 본 글은 이 문제를 데리다의 철학을 통해서 돌파하고, 읽기와 법해석이 가진 관계를도출해 낸다. 이를 위해서 본 글은 Ⅱ.데리다의 텍스트 철학, Ⅲ. 은유 철학, Ⅵ. 해체와 법해석으로 구성된다. 이 과정을 통해서 두 가지의 함의를 도출해 낸다. 첫째, 법해석에서 당연히 여기는 본질적 의미나 구문에 대한 믿음의 허위임을 밝혀준다. 둘째, 화용론적 이해는 완벽하지 않음을 밝혀준다. 따라서 객관주의, 주관주의 및 절차주의라는 법해석의 기본입장과 포섭과 형량과 법해석의 기본양식은 데리다의 읽기철학, 특별히 텍스트와 책의 구분, 읽기와 지진, 글쓰기, 놀이, 차연, 은유, 남유를 통해서 보충될 때만 그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 KCI등재

        자연법에서 법적 추론의 고찰

        오민용 한국법철학회 2023 법철학연구 Vol.26 No.1

        This article explores how legal reasoning is conducted in natural law theory. Natural law theory does not claim that there is an eternal, immutable answer that must be enforced on real legal issues. However, this misunderstanding often occurs. This article aims to eliminate such misconceptions by explaining how legal reasoning is conducted in natural law theory. The article covers two main issues: how positive law can be linked to natural law from the perspective of implementation, and how legal reasoning is conducted in natural law theory by exploring the fundamental elements of inference. To explore these issues, this article examines the claims of John Finnis, the founder of the declaratory natural law theory, within the framework of natural law theory. The article evaluates Finnis’s claims separately and present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his theory.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law is a implementation of natural law. Second, this implementation is not a capture or reproduction from natural law, but rather a work based on moral principles and general principles of law. Third, legislation, interpretation, application, and the duty of obedience in positive law are tasks that take place between the proposition of neighborly love in natural law and positive law. Fourth, legal reasoning in natural law is not a theoretical linguistic activity but a practical reasoning that is conducted based on basic goods, human existence, and reason(practical reasonableness). Fifth, the basic elements of this reasoning are choice, reason, and action. Sixth, legal reasoning is a technical inference for determining right and wrong. Seventh, according to legal reasoning, a judgment is a decision based on the absolute morality of basic goods and the evidence, rather than proportionality, due to the irreducible diversity between them. Eighth, this decision is made possible by the law and legal system, which are based on the absolute morality of basic goods and fairness. Ninth, according to natural law theory, there is not a single fixed, correct answer to any problem faced by natural reason. 본 글은 자연법에서 법적 추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탐구한다. 자연법은 영원불변한 정답이 있고, 그 정답을 현실의 법문제에 강요하는 것을 자연법의 적용으로 오해하곤 한다. 그러나 자연법이론은 그런 주장을 하지 않는다. 본글은 이런 주장을 진지하게 직접적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다만 자연법에서 법적 추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밝힘으로써 이런 오해를 없애는 간접적인 효과를 취할 뿐이다. 본 글에서는 크게 두 가지를 다룬다. 자연법에서 어떻게 실정법이 연결될 수 있는지의 문제를 이행의 관점에서 포착하여 다룬다. 그 후에자연법에서는 법적 추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의 문제를 추론의 근본 요소를탐구함으로써 밝힌다. 본 글은 이 문제의 탐구를 위하여서 자연법 이론 중에 신고전적 자연법과 그 주창자인 존 피니스의 주장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방법으로 앞서 제기한 문제를 다룬다. 그리고 피니스의 주장을 따로 평가함으로써 그이론의 강점과 약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정법은 자연법으로부터의 이행이다. 둘째, 이 이행은 자연법으로부터의 포섭이나 재현이 아니라, 도덕원리와 법의 일반원리에 따른 작업이다. 셋째, 실정법의 입법, 해석, 적용, 준수의무는 이웃 사랑이라는 자연법의 명제와 실정법 사이에 이루어지는 작업이다. 넷째, 자연법의 추론은 언어철학의 이론 작업이 아니라 기본 좋음과 인간 존재, 실존 및 이성(실천적 현명함)을 요소로 해서 이루어지는 실천 추론이다. 다섯째. 이 추론의 기본 요소는 선택, 이유 및 행위이다. 여섯째, 법적 추론은 옳음과 그름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적 추론이다. 일곱 번째, 법적 추론에 의하면 판결은 기본 좋음과 근거들 사이에 통약불가능함에 따라 비례성에 따른 판단이 아니라 결정이다. 여덟 번째, 이 결정은 기본 좋음이라는 절대 도덕과 공평함을 자기 존재의 토대로 삼는 법과 법체계 및 정치에 부여된 권위에 의해 가능하다. 아홉 번째, 자연법이론에 의하면 자연적 이성으로부터 당면한 문제에 대해서 단 하나의 고정된 올바른 대답이 있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 KCI등재

        동성동거의 법률혼 인정 가능성에 대한 자연법적 탐구- 존 피니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

        오민용 기독교학문연구회 2018 신앙과 학문 Vol.23 No.4

        In modern society, it becomes a problem whether we can accept homosexuality as a legal marriage. There has been a legal attempt to change the marriage between homosexual marriages in the West from the 1970s, and in Korea from 2013 to the marriage of men and men, or a combination of women and women, rather than a combination of men and women. A significant decision in the West is that the Supreme Court's decision to recognize same-sex marriage in 2015 from the viewpoint of equality and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ECHR), which does not include the right to marry under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In Korea, it was ruled that in 2016, same-sex marriage is not covered by the constitutional marriage provision. Where this issue is raised, there is a sharp disagreement over the pros and cons. In this article, the marriage institution deals with this problem from the legal philosophical point of view as the institution related to the law. From the point of view that law and morality are connected, the position of dealing with law is the position of natural law. This paper deals with this problem through John Finnis' theory of new natural law theory. 현대 사회에서 동성동거를 법률혼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문제가 되고 있다. 동성 간의 혼인 문제에 대해 서구에서는 1970년대부터, 대한민국에서는 2013년부터 혼인을 남자와 여자의 결합이 아닌 남자와 남자 또는 여자와 여자의 결합으로 혼인을 바꾸려는 법적 차원의 시도가 있었다. 서구에서 유의미한 판결은 2015년 동성 간의 혼인을 평등권의 관점에서 인정한 미연방대법원의 판결과 2016년 동성 간의 결합은 유럽인권협약에 의해 혼인할 권리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유럽인권재판소(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의 판결이 있다. 국내에서는 2016년에 동성 간 혼인은 헌법상의 혼인조항으로 보호되는 대상이 아니라는 판결이 나왔다. 이 문제가 제기된 곳에서는 첨예하게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나뉜다. 이 글에서는 혼인제도는 법과 연관된 제도라는 법철학적 관점에서 이 문제를 다룬다. 법과 도덕이 연결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법을 다루는 입장은 자연법의 입장이다. 자연법의 입장 중 신고전적 자연법이론이라는 존 피니스의 이론을 통해 이 문제를 다룬다.

      • KCI등재

        능력주의(Meritocracy) 테제에 대한 메타형이상학적 분석

        오민용 한국법철학회 2022 법철학연구 Vol.25 No.1

        법에서 능력주의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하나는 능력주의/권력자격 그 자체를 직접 다루는 방법, 다른 하나는 권력자격/능력주의가 유발하는 부정적인 효과를 전유하여 이 문제를 다루는 방법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능력주의/권력자격 테제를 직접 이 글의 분석대상으로 삼겠다. 이 테제는 ‘Intelligence and effort together make up merit(I + E = M)’이다. 이 글은 I와 E가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메타 형이상학적인 분석이다.

      • KCI등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정의론에 관한 법철학적 연구

        오민용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학문 Vol.37 No.-

        법의 이념은 정의(justice)이다. 이 정의는 법과 판결을 통해서 구체화되고 실현된다. 그러나 ‘제정법 된 법’과 이 법의 적용되는 ‘사안(case)’에는 시간적 간극이 존재한다. 이 간극은 ‘미래’라는 시간적 차원의 문제이다. 따라서 법의 이념인 정의를 온전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 간극을 고려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법의 정의 탐구는 정의의 본질 탐구뿐만 아니라 시간 차원에서 정의를 고려해야 한다. 정의를 시간적 차원에서 탐구하고 법에 적용하기 위하여서, 이 문제를 데리다의 해체론적 정의이론을 통해 탐구하려고 한다. 특히 데리다의 저서인 『법의 힘』을 중심으로이 문제를 다루겠다. 해체적 정의론의 중요 개념인 ‘차연(différance)’, ‘아포리아(aporia)’, ‘결정 불가능성(undecidability)’을 나침판으로 삼아 『법의 힘』을 탐구한다. 그리고 법의 구체적인 적용을 위해서 판결에서 판결의 해체와 해체의 판결, 현재의 법은 어디로?, 결정의 불가능성과 법의 결정 가능성, 법의 정합성, 판결에서의 계산 불가능성과 계산 가능성의 입맞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본 글은법적 정의는 계산 가능성의 합리성만이 아니라, 계산의 판단 중지, 계산 불가능성, 결정의 광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서 법의 보편성과 사안의 고유성문제가 해결되고, 법적 정의는 현재적 정의 안에 이미 전미래시제의 정의가 포함되어 있으며, 법의 정합성 역시 이 미래적 시간차원까지 포함되어 있음을 제시한다.

      • KCI등재

        법과 용서- 쟈끄 데리다의 용서론을 중심으로 -

        오민용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9 No.2

        The idea of law is justice. The state builds stability and integration peace through legislation and law enforcement appropriate to this ideology. And the subjects and acts against them are treated according to the law by using the public power of the state. In modern society, only the state is the exclusive holder of this violence in accordance with the law. Exclusive violent acts of the state are exercised through law. The enforcement of this law consists of the aspect of legality and the aspect of ethics. In other words, the law and the law of the state must conform to justice. So what is the ethics required at this time? If we understand the opposite value of violence as love, we will be able to explore the ethics of the law. And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explore the right law. The philosophical position of recognizing the combination of law and morality is traditionally a position of natural law. According to Finnis, the moral of natural law and the principle and purpose of all other moral norms is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Therefore, from the standpoint of natural law, which recognizes the combination of law and morality, the law must adhere to the morality of this natural law. So what is love in practice? According to Reinhold Niebuhr(1892-1971), the essential expression of love is forgiveness. Forgiveness is “the most difficult and impossible moral achievement.” For that reason, forgiveness is “impossible possibility.” In this article, we examine Derrida’s theory for the theoretical inquiry of forgiveness. Derrida is a scholar who pushed contemplation of forgiveness up to the deconstructive horizon of postmodernism. To be precise, we have explored theoretical inquiry to the limits of reason by deconstructing forgiveness. For this inquiry, I treated the issue of amnesty, a realistic legal issu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an appropriate scholar to design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love. After examining Derrida's introductory theory on the theoretical level, I will examine how the law can practice forgiveness in practice. Through this work, we try to find the contact point between forgiveness as the embodiment of love and the legal system of reality.

      • KCI등재후보

        법에서 인간의 위상 - 존 피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오민용 안암법학회 2020 안암 법학 Vol.0 No.60

        The propositon “The law serves man” is the old maxim of the law. There is no great dificulty in understanding this sentence literaly. However, it is not easy to explain this sentence from a law point of view. So how can you aproach it to understand this propositon? Ancient Roman law states, "Al laws are made for human being." So what is the purpose of the law here, and what is the law and human being? For this problem, John Finis' theory was explored. Acording to Finis, the concept of modern law has the folowing human understanding: First, al human beings are the same person and are equal to each other. Second, healthy people can communicate with others and live the way they want. Third, wel-being as a human being and its pursuit are important. Hart argued that the purpose of the law was "survival." Dworkin claimed to be a “equal treatment” of members of the politcal community. However,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states that al human beings are equal in dignity and rights, are not discriminated against before the law, are entiled to equal protection, and have the right to be recognized as humans before the law. The law aims for 'the basic human god' and 'the common god'. That is because it is pursuing human wel-being. Humans embody and realize their intentions, judgments, and choices through the law. Through this proces, humans become what they want. The status of human beings is bestowed by its life, and it is not necesary for the law to impart legal personality to human beings. Another group of actors in the community is also the reality of the human order. The legal interpretation of the legal community is also more apropriate for the conversational model interpreted in dialogue betwen people than the technical model interpreted acording to simple logic and literary rules. Finaly, the foundation of human nature and fundamental equality is that human beings are soul-bearing beings. “법은 인간을 위해 봉사한다.”는 법의 오래된 격언이다. 문자적으로이 문장을 이해하는 것에는 큰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이 문장을 법학의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한다면 쉬운 일은 아니다. 그렇다면 이 명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까? 고대 로마법에서는 “모든 법은인간 존재를 위해 만들어졌다.”고 표현한다. 그렇다면 여기서 법의 목적은 무엇이고, 법과 인간은 무엇인가? 이 문제를 위해서 존 피니스(John Finis)의 이론을 탐구하였다. 피니스에 따르면 현대의 법 개념은 다음과같은 인간 이해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 모든 인간은 같은 사람이며, 서로평등하다. 둘째, 건강한 사람은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자신이원하는 방식으로 살아갈 수 있다. 셋째, 인간으로서의 웰빙과 그 추구가중요하다. 하트는 법의 목적을 인간의 ‘생존’이라고 주장하였다. 드워킨은정치공동체 구성원의 ‘동등한 대우’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세계인권선언문에 의하면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에 있어서 동등하고, 법 앞에서차별이 없으며, 동등한 보호를 받을 자격을 지니며, 법 앞에서 인간으로인정받을 권리가 있다고 천명한다. 법은 ‘기본적 좋음(the basic human god)’과 ‘공동의 좋음(the common god)’을 지향한다. 즉 인간의 웰빙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법을 통해서 자신의 의도와 판단 및선택을 구체화하고 실현시켜 간다. 이 과정을 통해서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존재로 되어간다. 인간이라는 위상은 그 생명에 의해 수여되지, 법이인간에게 법인격을 부여해야 인격이 되는 것은 아니다. 공동체 속에 존재하는 또 다른 행위자인 집단 역시 인간질서의 실재일 뿐이다. 법공동체의법해석 역시 단순한 논리와 문리적 규칙에 따라 해석하는 기술모델(artistic model)보다 사람 사이에 이루어지는 대화 속에서 해석하는 대화모델(conversational model)이 더 적절하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본성과 근원적 평등의 토대는 인간은 영혼을 지닌 존재라는 점이다.

      • 상호텍스트의 한 종류로서 소설에 관한 소고 - M. Bakhtin의 대화이론을 중심으로

        오민용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4 콘텐츠 문화 Vol.4 No.-

        본고는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론의 원형을 소설에서 보여주고 있는 바흐친(M. Bakhtin)의 대화이론을 탐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크게 바흐친의 언어관과 소설관을 살펴보고, 언어관은 기호와 언어 중 심으로 탐구하며, 소설관은 단성적 소설과 다성적 소설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바흐친의 언어관 탐구를 통하여 언어는 중립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 속에서 영향을 받는 사회적 산물의 소산임을 밝히며, 소설관의 탐구를 통 하여 텍스트의 해석이 단순히 근대인식론의 전형인 주체적 사고에 머물지 않고, 주체간의 상호주관적인 대화와 더불어 감추어진 목소리를 들음으로써 텍스트는 하나의 텍스트가 아니라 상호 연결된 텍스트임을 밝히고, 텍스트의 의미는 그와 같은 대화적 과정을 통하여 산출됨을 밝힌다 This paper is purpose on showing to M.Baktin’s discourse theory connected to intertextuality. For this, I explore that bakhtin’s viewpoints of language and literature. This studies of language will show to language is a neutral but language is a result of society. and studies of literature will show to interpretation of text is not only to depend on text itself rather than inter-subjective action, discourse, make a meaning of text.

      • KCI등재

        존 피니스(John Finnis)의 웰빙(well-being)이론에 관한 연구

        오민용 한국법철학회 2020 법철학연구 Vol.23 No.1

        Law is a plan that regulates reality according to the normative idea. The idea of the law serves as a constructive principle for legal reality, and as a measure of value. The normative idea of the law is justice. Modern society seeks justice and peace through law. And in a state of justice and peace, human beings can achieve well-being, the realization of the integral fulfilment of persons of their existence. Well-being is not simply a subjective psychological satisfaction, but a life combined with a good life. Human laws and institutions embody and protect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this good life to realize well-being. The pursuit of well-being is embodied and realized by participating in basic goods. And through this process, human beings grow and mature into more than they can become. A basic good is an inherent or unique good in realizing the integral fulfilment of persons. Good, which is not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the integral fulfilment of persons, may be important to the individual, but it is not a basic goods, but an external goods. The function of basic goods provide the basis for screening the possibilities of numerous opportunities in human life as follows. It is to help me to judge and choose if the opportunity in front of me is worth choosing. If human beings are obsessed with their emotions or desires and live while pursuing greed, they will fail to realize the integral fulfilment of persons, and life itself will fail. For example, it becomes clear when you think about a life in which you have committed acts of murder, adultery, lying, and slander to meet your desires. There are countless values ??in human life. However, not all of these opportunities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he integral fulfilment of persons. Basic goods distinguishes the value of your choice from your choice. According to John Finnis, the basic good things are: (1)life, (2)knowledge, (3)play, (4)aesthetic experience, (5)sociability(friendship), (6)practical reasonableness, (7)religion. These seven basic goods have no hierarchical order. This is because human existential situations are different. Therefore, the ranking of these basic values ??can change. This can be called a cycle of basic values. This cycle forms the horizon of opportunity for humans to choose in life. So what are the basic requirements for practical reasonableness to choose and practice basic goods? According to Finnis, (1)the good of practical reasonableness structures our pursuit of goods, (2)a coherent plan of life, (3)no arbitrary preference amongst values, (4)no arbitrary preference amongst peoples, (5)detachment and commitment, (6)efficiency, (7)respect for every basic goods in every acts, (8)the requirements of the common good, and (9)following one’s conscience. And the choice and practice according to these nine can be called moral judgment. Through the synthesis of these nine requirements, humans achieve their well-being by realizing their integral fulfilment of persons. 법은 규범적 이념에 따라 현실을 규율하는 기획이다. 법의 이념은 법적 현실을 위한 구성적 원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가치척도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법의 규범적 이념은 정의이다. 현대 사회는 법을 통해 정의와 평화를 추구한다. 그리고 정의와 평화의 상태에서 인간은 자기 존재의 완전한 인격 실현인 웰빙을 달성할 수 있다. 웰빙은 단순히 주관적 심리의 만족 상태가 아니라 좋은 삶과 결합된 삶이다. 인간의 법과 제도는 웰빙을 실현하는 이 좋은 삶을 위해 필요한 조건을 구체화하고 보호한다. 웰빙의 추구는 기본적 좋음에 참여함으로써 구체화되고 현실화된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인간 존재는 자신이 될 수 있는 그 이상의 존재로 성장하고 성숙해진다. 기본적 좋음은 완전한 인격 실현에 있어서 내재한 또는 고유한 좋음이다. 완전한 인격 실현과 상관이 없는 좋음은 개인에게 중요할 수는 있지만 기본적 좋음이 아니라 외재적 좋음일 뿐이다. 기본적 좋음의 기능은 인간의 현실적 삶에 놓인 수많은 기회의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선별하는 근거를 제공해준다. 자기 앞에 놓인 기회가 선택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지 판단하고 선택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인간이 만약 자신의 감정이나 욕망에 사로잡혀 탐욕을 추구하면서 산다면 완전한 인격의 실현에 실패할 뿐만 아니라 삶 자체도 실패한 삶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자신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살인, 간통, 거짓말, 모함 등의 행위를 저지른 삶을 생각해 보면 명확해진다. 인간의 삶에는 무수한 가치가 있다. 그러나 그 모든 기회들이 완전한 인격 실현에 기여하는 기회는 아니다. 이 지점에서 기본적 좋음은 자신의 선택과 판단에서 선택할 만한 가치를 구분해 준다. 피니스에 따르면 기본적 좋음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생명, (2)앎, (3)놀이, (4)심미적 경험, (5)우정, (6)실천적 현명함, (7)종교 등이다. 이 일곱 가지의 기본적 좋음은 어떤 위계질서도 갖지 않는다. 인간의 실존적 상황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기본 가치의 순위는 변할 수 있다. 이것을 기본 가치의 순환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순환은 삶에서 인간이 무엇을 선택할지 그 기회의 지평을 구성한다. 그렇다면 기본적 좋음을 선택하고 실천하기 위한 실천적 현명함의 기본적 필요조건은 무엇인가? 피니스에 따르면 (1)실천적 현명함의 실천 차원의 이해, (2)정합성 있는 삶의 계획, (3)가치들 사이의 자의적 선호 금지, (4) 사람들 사이의 자의적 선호 금지, (5)초연함과 헌신, (6)효율성, (7)모든 행위에서 모든 기본적 좋음의 존중, (8)공동의 좋음, (9)자신의 양심을 따르기이다. 그리고 이 아홉 가지에 따른 선택과 실천을 도덕 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아홉 가지 필요조건의 종합을 통해 인간은 완전한 인격 실현으로서 자신의 웰빙을 달성하게 된다.

      • Maspar 머쉰상의 병합 알고리즘

        민용식(Yong sik Min)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 1994 호서대학교 논문집 Vol.2 No.-

        In th is paper, we suggest a parallel algorithm to merge priority queues organized in two heaps, kheap. and nheap of sizes k and n, correspondingly. Employing max(2i⁻¹, (m+l)/4) s processors, this algorithm requires O(log(n/k)*log(n)). Also, when we run it on the MasPar machine, this method achieves a 33.934-fold speedup with 64 processors to merge 8 million data items which consist of two heaps of different sizes. So, our parallel algorithm s EPU is close to 1, which is considered as an optimal speedup rati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