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체 문화 형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만 3세 유아들의 적응 과정

        오문자,이방실,이유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explicate, through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the adjustment process of 3-year old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al culture construction. One classroom of three year olds was chosen for collecting data that include on-site observational records, teacher journals, photographs, artifacts produced by children, and audio tapes.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transformed and reorganized into text, coded, and categorized.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ata show that this group of children constructed relationships and their own communal classroom culture through various modes of participation in activities, focusing on object and space, play act, and community members. They were also found to experience tensions that were derived from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situations among children and teachers. Those tensions functioned as a fertile ground, not an obstacle, for classroom culture construction as well as children’s socialization. In conclusion,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gards to the adjustment process in the classrooms of 3-year old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offered. 이 연구는 만 3세 유아 학급이 하나의 공동체가 되어가며 그들 나름의 문화를 구성해 가는 것을 적응이라 보고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유치원 만 3세 한 개 학급을 선정하여 1년 동안 유아들의 공동체 되어가기와 관련된 에피소드를 현장기록 작업, 교사저널, 사진, 녹음 자료를 통해 수집하여 범주화 작업을 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 만 3세 유아들은 사물과 공간, 놀이 행위, 구성원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활동들에 참여함으로 해서 관계 맺기를 시도하고, 그 참여 양식을 변화시켜가면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유아-유아, 유아-기존 문화 간의 상이한 관점들이 만나게 되면서 유아들은 긴장을 경험하고 있었는데, 이 긴장 상황들은 부정적 요소가 아니라 적응이라는 사회화 과정과 학급 공동체 문화 형성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만 3세 유아의 학급 적응 과정의 특성을 논의해 보고 그 교육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협력적 탐문으로서의 어린이들의 대화

        오문자,김희연 한국교육학회 2004 敎育學硏究 Vol.42 No.1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s of collaborative inquiry and,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s of collaborative inquiry, analyzes classroom discourse occurred in projects with a microscopic approach. The meanings of collaborative inquiry are identified with three aspects: 1) inquiry as an integration of sociality, cognition, and expression, 2) inquiry as a communication event, and 3) collaborative inquiry as a learning context. The microanalysis on dialogues from two projects, 'a space project' and 'a tree project', showed children's abilities to develop dialogues into a collaborative inquiry and teacher's intervention skills to make this inquiry more meaningful. First, children make negotiations to build a frame of collaborative inquiry. Secondly, children make inter-connections among dialogues within a frame of collaborative inquiry, seeking the relevance in terms of a higher topic and the promotion through transformation, addition, modification, and amplification. Thirdly, children's expressions are unique in the use of metaphor, imagination, inference, and comparison, and of descriptive forms of sentences. Children also utilize various meta-pragmatic expressions and various contextual cues. It is concluded that children's discussion is educationally meaningful in a sense of collaborative inquir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children's rights to be supported in accordance with their abilities and predispositions, and in relation to classroom goals to value transactive dialogues of childr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istening within a learning community. 본 고에서 어린이들이 자신들의 주변세계와 상호작용하고 의사소통하며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으로서의 협력적 탐문의 의미를 탐색하고, 어린이들의 협력적 탐문의 실제 사례에 대한 담화분석을 통해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짚어보고자 하였다. 먼저, 협력적 탐문은 1) 사회, 인지, 표현의 통합 행위로서, 2) 의사소통 사건으로서, 3) 학습상황으로서 그 의미가 도출되었다. 두 프로젝트 사례로부터 추출된 대화에 대한 담화 분석에서는 어린이들의 대화 능력과 이를 지원하는 교사의 지원전략을 볼 수 있었다. 어린이들은 협력적 탐문의 틀을 갖추기 위해 협상해 나가며, 협력적 탐문 내 발화들은 전체 토픽과의 상관성을 유지하고 발화들 간의 연결성을 높이면서 진행되었다. 또한, 은유와 상상, 추론, 비교 등의 표현과 문장 형태, 초의사소통적 표현들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표현하는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상을 통해 어린이들의 대화는 협력적 탐문으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규정하였으며, 어린이들의 능력과 성향에 따라 지원받을 권리와 그러한 권리에 입각한 상호교류적 대화의 중요성과 교사와 어린이를 포함한 학습공동체 내에서의 귀 기울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 KCI등재

        어린이들이 시쓰기에 부여하는 의미: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오문자,이유나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3

        This study explores, from a communication perspective, the meanings children construct from the act of 'poetry writing' in a kindergarten classroom. The teacher, one of the authors, supported and documented the process of a class of 5-year-old children writing poems as a part of their routine activity, by exposing them to various types of poems and also by reading their own poems at group sharing time throughout the whole school year. The documented materials, including children's more than 1,650 poems and related journal entries by the teacher, were analyzed to find out children's communicative intentions/purposes for writing poem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involved in writing poems. Through the act of writing poems, the children in this study were found to work out their communicative intentions by alleviating emotional distress, inquiring, establishing relations, and leaving traces of their own experiences. By way of reflecting on the process of writing poems in a group context, they also came to expand upon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a poem, and became aware of the recursiv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houghts and the act of writing poems. The following strategies for supporting and encouraging poetry writing for children are suggested:1) Work with an expanded definition of a poem. 2) Acknowledge the dialogic principle inherent in the act of poetry writing, 3) Integrate poetry writing into the everyday life of the child. 4) Help children build a poetic community by actively sharing their own poems in a group setting.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어린이들의 시쓰기를 접근하여 그들이 시쓰기라는 언어 행위에 부여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만 5세 학급의 교사가 어린이들의 자율적 시쓰기를 격려하고 그 시를 학급 내에서 대집단을 통해 적극적으로 나눈 결과, 1년 동안 약 1,650여 편의 시가 산출되었다. 시쓰기와 관련된 기록물을 토대로, 어린이들이 시쓰기를 통해 이루고자 한 의사소통 의도와 자신들의 시쓰기 과정에 대한 이해를 분석해 보았다. 어린이들은 시쓰기를 통해, 감정을 해소하고, 탐문하며, 관계를 수립하고 경험의 흔적을 남기고자 하였다. 또한 시쓰기 과정을 돌이켜 보면서 어린이들은 시에 대한 정의를 확장시켰고, 시와 생각은 분리되기보다는 상호 순환적 관계임을 이해하면서 시는 단순히 생각을 담는 것만 아니라 생각을 하게 해 주는 사고의 매개체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어린이들의 시쓰기 지원 책략으로, 교사는 시에 대한 정형화된 개념에서 벗어나, 시의 외형적 특징보다 시쓰기 과정에 스며 있는 대화의 원리(dialogic principle)에 주목하며, 자연스러운 일상 속에 시쓰기가 녹아들도록 하고, 학급 내에서 적극적으로 시를 읽고 나눌 것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유아들의 비형식적 수학과 형식적 수학의 만남: 소집단 프로젝트 과정의 수학적 의미 구성 사례 분석

        오문자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0 No.3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mathematical meaning co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s as a social and communicative activity, by performing a discourse analysis on the data gathered during the small group project, called “counting coins.” Working toward the goal of calculating the total sum of coins with various denominations, 5-year-old children collaborated to find out the sums for each denomination and to represent the sum with numbers, supported by the classroom teacher. During this process, children could, first, construct mathematical meanings for plain vocabulary by coordinating referential perspectives of utterances, secondly, they could learn how to calculate the sum by transforming group strategies into their own, and finally,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number notation system by re-inventing their own unconventional notations. In conclusion, how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respectively and collaboratively,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mathematical discourse was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classroom teaching were also offered. 본 논문은 사회적 활동이며 의사소통으로서 수학이라는 관점에서 소집단의 ‘동전 세기’ 프로젝트의 담화 분석을 통해 어떻게 유아들의 비형식적 수세계가 형식적 수세계와 만나며 다양한 수학적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다양한 단위의 동전으로 이루어진 전체 동전의 합을 알아내고자 하는 문제해결 상황에서, 유아들은 교사의 지원을 받아 협력 작업을 하면서 단위별 동전의 합과 전체 동전의 합을 셈하고, 그 수량을 숫자 표기로 전환시켰다. 이 과정에서, 유아들은 발화의 참조적 관점을 조율하면서 일상적 언어의 수학적 의미를 구성하였고, 집단 또래의 책략을 재해석하고 교류하면서 수세기 책략을 습득하였으며, 숫자 표기를 비관례적 방식으로 재고안해 내면서 숫자 표기체계에 대한 이해를 획득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교사와 유아 또래가 수학담화 구성에 어떻게 기여 하였는지를 살펴보고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집단 즉흥공연으로서의 가상놀이 : 만 4세 남아들의 놀이틀 협상과정 분석

        오문자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6

        본 연구는 유아들의 가상놀이를 즉흥공연으로 간주하고, 유아들이 집단 안에서 놀이를 협상해 나가는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만 4세 남자 어린이들 4명으로 구성된 놀이집단이 105분 동안 공룡의 복제물을 갖고 놀이하는 모습을 비디오로 촬영하고 전사하였다. Goffman의 틀(frame)의 개념을 토대로 이 자료를 정리한 결과, "공룡시대"라는 하나의 주요 놀이틀과 레고와 블록 구성자료를 중심으로 하는 2개의 잠정적 놀이틀이 드러났다. 분석을 통해 한편으로는, 이 세 개의 틀이 횡적으로 어떤 관계를 갖고 놀이를 발현시켜나가는 지를 살펴보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룡시대" 주요 놀이틀 안에서 종적으로 유아들이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다양한 모티브들이 어떻게 협상을 거쳐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놀이틀의 구성에 기여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가상놀이는 주요 놀이틀 안에서 다양한 모티브들이 종적인 흐름에 따라 활성화되는 다성성(polyphony)을 드러내었으며, 놀이틀 간에 횡적으로 상호침투 현상이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들의 가상놀이는 놀이틀 속에서 다양한 모티브들의 협상을 통해 조율되기도 하지만, 중심 놀이틀과 공존하는 잠정적 놀이틀들 간의 교류를 통해 변화하면서 놀이가 발현되고 유지되어 갔다. 이 연구를 통해 집단 놀이에서 드러나는 상호주관성의 개념을 재고찰해 보고, 연구 결과의 교육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n effort to analyze the process of negotiating multiple play frames and multiple proposals within a frame, from the perspective of pretend play as group improvisation. A group of four 4-year-old boys were videotaped for 105 minutes during their pretend play with dinosaur replicas and various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Lego and blocks. Using Erving Goffman's concept of "frames", this transcribed materials were coded and reorganized to investigate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ithin the primary "dinosaur" play frame, how do the children negotiate multiple motives to construct emerging play frames?; Second, what is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ary frame and other tentative play frames? The frame analysis findings shows that multiple voices were activated and negotiated in order to establish coherence within the primary "dinosaur" play frame, and that the boys' frequent inter-penetrations across play frames resulted in an enrichment of their play. In sum, children's spontaneous pretend play with replicas were constructed and main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constantly negotiating multiple motives, and of interweaving diverse play frames. Finally, the study revisits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in light of the result of analysis and discu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 KCI등재

        최근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의 계절 내 특성 변화

        문자,박창용,최영은,편도의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4 기후연구 Vol.9 No.3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traseasonal variability and change of winter temperature over South Korea using long-term observations. The lowest temperature in the wintertime, using daily mea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data occurred on January 7th in the period of 2003~2012, while on January 22~25th in the past 30 years(1973~1982, 1983~1992, 1993~2002). Representative seven stations in South Korea also showed consistent result. The strengthening of Siberian High and weakening of Aleutian Low in recent 10 years are found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recent intraseasonal temperature change over South Korea. The baroclinic structure of upper-level low and lower-level high system near Korean peninsula provided good condition for vertical cold-air advection, which resulted in minimum temperature on late January in 1973~1982 and early January in 2003~2012 with strengthened low-level northerly flow.

      • KCI등재

        신 기후평년값 기준 우리나라 극한기온의 변화경향

        문자,김기영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21 기후연구 Vol.16 No.2

        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climate change and trend of extreme temperature events occurred over the Republic of Korea. The observation data used are daily averag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from 6 weather stations for the period of 1912-2020. Seven extreme indices regarding frequency and extreme value of temperature are calculated in seasonal and annual time range. In addition, hot extremes and their changes by four physical terms that include information on the annual mean temperature, the amplitude of the annual cycle, the diurnal temperature range and the local temperature anomaly on the day of the extreme are analyzed. The climatology for the analysis is updated to the new normal year of 1991-2020.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findings,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was detected in the indices of annual lowest daily minimum temperature, annual extreme temperature range, frequency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below -12℃ and 10%ile(TN10p) during winter. Due to the gradual decrease of the occurrence days regarding the extreme minimum temperature during winter, the frequency calculated by the relative threshold in extreme high temperature during summer prevail since 1990s. Indices related with extreme high temperature had larger low-frequency variability than significant climate change during the analysis period. However, the assessment of hot extremes according to the terms describing mean, variability and tails during the new normal year of 1991-2020, significant increasing trend was detected not only in the annual mean and the amplitude of the seasonal cycle, but also in the daily hot extreme anoma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