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映湖朴漢永의 抗日運動

        오경후(OH, KYEONG HWO)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3 No.-

        영호 박한영은 일제하를 중심으로 한 한국근현대 불교사에서수행자이자 개혁가로 활동했던 인물이다. 그는 쇠퇴한지 오래된 한국불교가 중흥할 수 있는 길은 불교계의 인재양성과 포교에 있다고 확신했다. 때문에 그는 한국불교의 성숙과 발전을 저해하는 것은 자만심과 게으름, 이기심과 인색함, 그리고 정진의부족함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불교가 미래사회에 가장 적합한 종교이며, 불교의 화엄철학이 문화와 종교, 과학의다원화를 통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와 같은 박한영의 불교계에 대한 비판은 불교개혁으로 이어졌고, 호법(護法)과 항일운동으로 전개되었다. 그가 한용운과함께 진행한 임제종운동(臨濟宗運動)은 일본불교의 침투와 일본불교에 경도되어가는 한국불교계에 각성과 함께 앞으로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하고 있었다. 그것은 불교청년회와 그 별도조직인 불교유신회의 활동으로 구체화되었다. 불교청년회는 30본산 주지회의 친일화에 저항했고, 불교유신회는 불교계를 분열시키고 황폐화시키는 사찰령 철폐를 위해 활동하였다.한편 박한영은 국권회복과 나라의 독립을 위한 저항운동에도참여하였다. 한성임시정부(漢城臨時政府) 수립 당시에는 이종욱과 함께 13도 대표이자 불교계 대표로서 에서명하였다. 또한 1921년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되는 세계회의에 한국의 독립과 자주를 희망하는 에 서명하기도 했다. 국민대표와 각계의 지도자들이 참여한 이회의서에는 “세계 여러 나라가 한국의 독립자유를 위해 노력해줄 것”을 희망하고 있었다. 한국불교의 정통성과 자주권을 지키고자 했던 박한영의 의식은 독립운동의 기조와 일치한 것이었다. 결국 박한영은 자신의 소임을 불교개혁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민족수호운동으로까지 확장시켰다 Yeong Ho(映湖) Pak-Hanyeong(朴漢永) had taken an energetic role as a eminent priest and reformer in modern history of Korean Buddhism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He believed firmly that Buddhist’s path to restore Korean Buddhism should not only cultivate talented men in Buddhist circles but also propagate Buddhism toward the Korean people. Besides this, he indicated that several causes impede the matureness and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were self-pride, idleness, ego-centric mind, stinginess, and the lack of religious surification. However he believed that Buddhism could be the more proper religion in the future and the philosophy of Hua-yen(華嚴) would unify the Pluralization among Korean religion, culture, and science. To Buddhist society Pak Han-yeong’s critical claim had lead the reform of modern Korean Buddhism, identified Korean Buddhism, and developed anti-Japanese campaign. The movements to popularize Imje Sect(臨濟宗運動) which he and Yong-un Han(韓龍雲) had practiced guided for an upcoming aggressive response against the invasion of Japanese Buddhism or for the great awaken movement against Korean Buddhist circles, which had leaned toward Japanese Buddhism. The reform movement of Buddhism actualized into the activities of Buddhist young men’s Association(佛敎靑年會) and Buddhist Association for reunification of Revitalizing Reform(佛敎維新會). The Former resisted the pro-Japanization of thirty main temple of Buddhist sect.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concentrated one’s energies on abolition against the temple Act promulg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encouraged estrangement between members of Korean Buddhist circles. Pak-Hanyeong took part in positively the campaign of restoring National Right as well as the resista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When Provisional Government was built at Seoul in april 1919, as representative of Buddhism circles he and Chong-Ouk Rhee(李鍾郁) affixed their signature to official paper named “the people meeting’s prospectus.” When the naval disarmament conference was held in washington in november 1921, he also signed his name to the other official paper titled “official document that All Korean people send into the Pacific Conference,” The gist of this official paper was included the following fact: All Korean people want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the a fully self-governing state. Furthermore this paper that nation’s representatives and leaders from various circles had signed petitioned that all nations in world should make effort on the independence and liberation of Korea. His consciousness to uphold the orthodoxy and identification of Korean Buddhism made no difference with independence movement. After all Pak-Hanyeong not limited his mission to the reform of KoreanBuddhism but expanded his duty into the defence movement of Korea peopl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기획논문 : 광해군(光海君), 인조년간승역(仁祖年間僧役)의 실제(實際)

        오경후 ( Kyeong Hwo Oh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5 한국불교사연구 Vol.6 No.-

        광해군과 인조 대의 승역은 조선후기 불교계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결정지을 정도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두 차례의 전란 이후 국방강화의 필요성에서 시작된 승려의 산성축조와 방어는 이후 국가재정의 부족과 부역자원의 확보를 위한 사회경제정책에 따라 그 부담이 확대되었다. 광해군대는 전국 각지의 사찰에서 승려가 동원되어 산성축조와 궁궐축조를 담당하였다. 광해군은 전란 당시 승려들의 기여를 참작하여 국가적토목사업에 동원된 승려들에게 대가를 지급하기도 했다. 인조 대는 남한산성의 축조와 방어를 위해 많은 승려가 동원되었지만, 대가는 지급되지 않았다. 국가재정의 부족과 승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원인이었다. 더욱이 인조 대는 남한산성이 축조되면서 전국의 승려가 정기적으로 동원되어 산성을 방어하는 승군제도가 창설되었다. 동원된 승려가 소비하는 식량이나 경비는 자급자족해야 하는 실정이었다. 이와 같은 불교계와 승려들의 부담은 대동법의 시행으로 더욱 무거워졌다. 백성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수취체제의 개선으로 인한 공백은 불교계와 승려들의 몫이 되었다. 이것은 조선후기 불교계가 피폐하게 된원인이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조선의 사회계제적 상황을 극복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Enlisting monks’ labor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and King Injo in Chosun Dynas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Buddhism in the late-Chosun period. Mobilizing monks to build fortresses and take on the responsibility of national defense began amid a keen need to reinforce national security after the two wars in the Chosun Dynasty. The monks’ labor burden increased along with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to make up for insufficient government budget and secure more resources for compulsory labor.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monks were mobilized from Buddhist temples across the country, to build fortresses and royal palaces. The King acknowledged monks’ contribution and paid them for taking part in the construction work.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a large number of monkswere enlisted to build Namhansanseong Fortress for national defense. However, they were not paid due to the shortage of government budget and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monks. At the time, after the fortresswas built, monks were enlisted as soldiers to regularly guard the fortress. The monk-soldiers had to cover their own expenses and food. The social burden of Buddhism and monks grew heavier with the introduction of Daedong law. The newly enacted law to collect goods from people aimed to mitigate ordinary people’s burden, but the reduced collection of goods had to be made up by monks. This led to a decline of Buddhism in the late-Chosun period, but at the same time, it provided a momentum to address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of the time.

      • KCI등재

        일제 식민정책과 조선불교의 일본화에 대한 재검토

        오경후(Oh, Kyeong-Hwo)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9

        한국근대불교는 1895년 승려의 도성출입금지가 다시 허용되면서부터 시작된다. 조선왕조 전시기 동안 불교는 수탈과 착취, 소외의 길을 걸으면서 정체성이나 사상의 발전은 기대할 수 없었고, 겨우 그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었다. 일본의 한국점령이라는 무방비상태에서 맞이했던 근대불교의 물결은 당시 불교계가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조선총독부의 사찰령 시행은 우선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진행되었던 사찰의 행정과 운영이 주지 1인 중심체제로 변했다. 조선총독부 관장하의 불교계는 친일적 성향이 짙어가면서 한국불교가 지닌 고유의 정체성은 희박해져 갔다. 특히 승려의 결혼 풍조는 일반화되어 가면서 금지하라는 청원서까지 제출할 정도였다. 최근의 근대불교 연구는 승려의 결혼이 일본불교에 영향받은 친일적이라는 그동안의 인식에 대해 비판적이다. 예컨대 그동안의 인식은 항일과 친일이라는 단순범주화에 불과하며, 다른 역사적 시각을 억압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이와 같은 비판적 인식은 근대불교-승려의 결혼-선진불교라는 등식을 전개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 전통불교의 가치를 내세우며 그 정체성을 재확립하려는 당시 근대지성들의 노력은 근대불교와 조선불교의 격차에 대한 열등감을 보상받고자 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근대불교와 정체성 회복이 비례하지 않고, 근대불교와 한국전통불교가 선진과 후진이라는 도식화된 인식은 적지 않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근대시기 동안 한국불교가 겪었던 역사적 경험은 단순히 불교학적 측면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The revival of permits for Buddhist priests’ entry to the capital city in 1895 marked the beginning of modern Buddhism in Korea.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Buddhism suffered from exploits, abuse and marginalization, which made it hard to achieve any progress in related philosophy and culture. Buddhism barely survived during the period. Buddhism in Korea was in a quite defenseless state when the wave of modernization came with Japanese colonization, and it was a daunting time to face. The enforcement of the rule on Buddhist temple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changed formerly democratic process of templ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to a system dominated by chief priest of Buddhist temple.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Korea’s Buddhism gradually became pro-Japanese, and its unique identity weakened. In particular, it became common for Buddhist priests to get married, and petitions were sent in to ban such practice. Recent studies on modern Buddhism have been critical of this widespread notion that Buddhist priests’ marriage is a pro-Japanese customs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Criticizing Buddhist priests’ marriage is a result of simple division between anti-Japanese and pro-Japanese practices, which represses other historical perspectives. This critical view leads to a flow from modern Buddhism, to the practice of marriage by Buddhist priests, and to advanced Buddhism. Also its view is that the efforts of the intellectuals at the time to promote traditional value of Korean Buddhism and reestablish its identity were a mere attempt to compensate for the sense of inferiority due to the gap between antiquated Buddhism of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Buddhism. A transition to modern Buddhism and restoration of identity is not necessarily closely tied, and the simplistic view of regarding modern Buddhism as sophisticated and Korean Buddhism as backward has significant limitations. It is because the historical changes that Korea’s Buddhism underwent during the modern era cannot be assessed solely from the standpoint of Buddhism.

      • KCI등재

        선학원 운동의 정신사적 기초

        오경후 ( Kyeong Hwo Oh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6 禪文化硏究 Vol.1 No.-

        선학원의 설립은 1910년에 진행된 임제종(臨濟宗) 운동과 같은 항일적 성격과 그 맥락을 함께 하고 있다. 조선불교가 일본불교에 종속되는 것을 반대하는 명분이라든지 운동의 주체 세력들이 선학원 설립에도 역시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한 것이다. 선학원은 설립과 중흥을 통해 급격하게 쇠퇴해 가는 계정혜(戒定慧) 3학(學)의 체계를 면면히 계승하고 발전시키고자 한 의도 역시 강하게 지니고 있었다. 3학은 한국 불교가 지닌 독자성과 암울하고 질곡의 시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생명력의 근원이기도 하였다. 이 존립의 근간이 불교의 일본화와 탄압, 그리고 소외로 소멸 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당시 전통 선원(禪院)이나 강원(講院)은 수행자가 부인을 거느리고, 고기를 먹는 풍조와 신학문 강조로 인해 불교계의 관심에서 멀어져 갔다. 당시 불교계를 대표하는 교무원(敎務院)과 대다수 본산 주지들이 학교교육만을 강조하여 교리연구뿐만 아니라 지리학 심리학 천문학 등을 가미하고자 한 결과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묘하고 헤아리기 어려운 교리(敎理)를 연구한다는 자긍심이 생겨나리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선학원은 1931년 중흥을 계기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청정비구승의 수행풍토 개선을 위해 우선적으로 진력하였지만, 대승경전에 대한 설법과 백용성 송만공 등 고승들이 일반대중에게 다양한 설법과 강화를 펼치기도 하였다. 선학원의 설립과 중흥의 배경에는 일제하 불교계의 화두이기도 한 대처식육과 긴밀한 연관관계를 지니고 있다. 대처식육의 문제는 한국 불교의 이념, 수행, 교육, 일제의 불교정책 등 당시 불교계가 직면한 근본적이고도 실제적인 문제와 결부되어 있었으며, 해방 이후 불교계의 정화운동(淨化運動)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수행자가 부인을 거느리는 풍조는 1910년대 일본 유학승이 귀국하기 시작한 1920년대부터 불교계의 일반적인 현상으로 나타났다. 결국 계율을 지키고 수행하는 불교의 전통은 사라져 버렸다. 이에 대해 백용성을 중심으로 한 비구승들은 1926년 수행자가 부인을 거느리고 고기를 먹는 풍조를 금지하는 것을 건의하는 건백서(建白書)를 2차에 걸쳐 제출하기도 하였다. 불교계의 이러한 요구는 1935년 선학원이 개최한 제3차 조선불교 수좌대회에서 재현되었다. 교무원 종회(宗會)에 수좌들의 안정적인 수행과 그 환경을 위해 청정 사찰을 할애해 달라는 건의서를 제출하였다. 이러한 요구는 1939년 선학원의 조선불교선종정기선회(朝鮮佛敎禪 宗定期禪會)가 개최될 당시에도 계속되었다. 결국 선학원은 침체된 선원의 부활과 수좌들의 수행여건 향상만을 위해 설립된 것은 아니었다. 일본의 침략과 일본불교의 유입으로 인한 불교계의 혼란과 위기를 총체적으로 극복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 아울러 한국불교가 지닌 독자성과 주체성을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해 중흥의 면모를 보이기도 하였다. The establishment of Seonhakwon(禪學院) had something to do with an anti-Japanese character such as Imjejong(臨濟宗)`s movement. Through establishment and restoration, Seonhakwon(禪學院) intended to develop and succeed to a system of three learnings(三學) such as Buddhist commandments(戒), feeling(定) and knowledge(慧). Three learnings(三學) were an originality of Korean Buddhisim. These were a root of vitality, and it was a power that Korean Buddhisim overcame a dismal age. This root came to a crisis, because of japanizing Korean Buddhisim, pressure against Korean Buddhisim and estrangement to Korean Buddhisim. Monks in Korean traditional seonwon(禪院)s and gangwon(講院)s got married, ate meat. So Korean Buddhisim was indifferent to these monks. This was an result, because the place in charge of religious affairs(敎務院) and most head priests of head temples emphasized a school education. In this situation, Seonhakwon(禪學院) provided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taking a restoration in 1931. These activities were a close connection with a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 to get married and eat meat. And these activities succeeded a cleanup movement in Korean Buddhist world after liberation. A trend for monks to get married generalized in Korean Buddhist world of 1920`s. So Buddhist monks with Baek Yong Seong(백용성) entered a protest(建白書) covering double times, and they proposed to prohibit getting married and eating meat. This demand was reappeared in the third Korean Buddhism Most Reverend Priest meeting(朝鮮佛敎首座大會), and Seonhakwon(禪學院) held this meeting in 1935. Seonhakwon(禪學院) intended to overcome the disorder and crisis of Korean Buddhist world, so this was created by a Japanese aggression and an influx of Japanese Buddhism. And Seonhakwon(禪學院) strove to preserve and succeed the originality and subjecthood of Korean Buddhism.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朝鮮後期) 벽송사(碧松寺)의 수행전통(修行傳統)과 불교사적(佛敎史的) 가치(價値)

        오경후 ( Oh Kyeong-hwo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6

        지리산 벽송사는 1520년 벽송 지엄이 주석한 이후 禪敎學의 수행처로 정착되었다. 벽송 지엄은 고려 중후기 보조 지눌의 禪敎兼修의 遺風을 계승하고 있었다. 그는 초학자를 위한 공부의 절차를 제시하였고, 선교학 입문서를 간행하여 후학을 양성하였다. 이후 벽송사는 浮休 善修의 문파들이 대대로 주석하면서 講經과 선 수행을 지속하였다. 조선후기 벽송사의 『講會主伴錄』은 講會와 安居기록으로, 강회의 기간과 講主 및 학인들의 명단이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기록은 부휴 선수의 제자들뿐만 아니라 청허 휴정의 제자들 역시 수행에 참여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덕망과 학식이 있는 승려라면 문파를 가리지 않고 스승으로 모셨던 것이다. 요컨대 벽송사의 선교학 수행경향은 조선후기 불교계의 수행전통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조선후기 벽송사의 위상과 가치는 중창 당시 불교계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수행공간과 경제적 여건 마련을 위한 관심과 지원은 팔도의 크고 작은 암자와 사찰, 그리고 신도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벽송사의 이러한 대내외적 동향은 조선후기 불교사를 실제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Byeoksongsa Temple in Mountain Jiri established itself as a center for Zen sect and doctrinism of Buddhism(禪敎學) ever since Byeoksongsa Jium has stayed as head monk. Byeoksongsa Jium was inheriting the trend of thought of Seongyo Gyeomsu (禪敎兼修:simultaneous training of meditation and doctrine) from Bojo Jinul in the middle and late Koryo. He suggested a procedure of learning for novices and trained young students by publishing beginner’s guide in Zen sect. Afterwards, Byeoksongsa Temple maintained lecture on Ganggyoung(講經:Buddhist sutra) along with Zen practice, while religious sects of Buhyu Seonsu(浮休 善修) stayed generation after generation. Byeoksongsa Temple ‘s “Ganghoejuballok(講會主伴錄)”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a record of lectures(講會) and live at peace(安居), which contains a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nstruction’s period, sutra master(講主), and the list of learners. The record indicates that not only the students of Buhyu Seonsu, but also those of Cheongheo Hyujeong participated in Zen practice. They look up to the monks as their teacher regardless of their religious sect as long as the man has high moral and erudition. In summary, the features of the Zen practice at the Byeoksongsa Temple served as a momentum for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Zen practice in Buddhist commun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tatus and value of Byeoksongsa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associated with active supports from the Buddhist community at the time of rebuilding. The interest and supports for meditation space and financial condition came from small and large hermitage, temples, and devotees in eight provinces of Korea. The domestic and foreign trend surrounding Byeoksongsa Temple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actually understanding the Buddhist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성과의 검토와 과제

        오경후(Oh, Kyeong-Hwo) 한국역사민속학회 2017 역사민속학 Vol.0 No.52

        최근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는 양적 질적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식민사학의 영향과 부정적 시각에도 불구하고 불교탄압 일변도의 불교정책을 재검토했고, 승려의 부역이 조선후기 수취체제의 변화 속에서 검토되어 그동안 불교계에 대한 맹목적인 수탈과 착취라는 시각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승려의 신분 역시 천민으로 인식했던 이전의 부정적 연구시각을 재검토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도 하였다. 불교계의 法統과 禪敎學에 대한 연구와 교육의 유행은 이전 시기의 불교와는 뚜렷한 차별화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아울러 불교서적 간행뿐만 아니라 寺誌검토를 통해 조선불교사의 복원과 그 독자성을 규명하기도 하였다. 한편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는 일련의 과제를 해소해야 한다. 첫째는 부정적 연구시각이다. 그동안 선입관과 관심의 부족이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를 부진하게 했고, 다양한 연구의 축적을 가로막았다. 둘째, 시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다. 조선후기 불교는 확실히 조선전기보다는 다채롭게 전개되고 있었다. 전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불교존립의 근거를 확보했고, 폐허가 된 불교계를 부흥시키기 위해 선교학을 정립시켰고, 법통을 확립했다. 문집과 비문, 법맥강조는 전란을 거친 지배층의 동향 속에서 태동하기도 하였다. 조선후기 불교계의 전개가 내재적 요인으로만 설명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더욱이 임진왜란 이후 인구감소, 자연재해, 경작지의 황폐화 등은 사회경제적 변화와 혼란을 필연적으로 잉태할 수밖에 없었다. 요컨대 조선후기 불교사에 대한 객관적 연구는 시대상황의 이해 속에서 이루어졌을 때 다양성과 주체성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recent study on Buddhist history show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crease. Despite effects of colonial history and negative perspective, Buddhist policy of total oppression of Buddhism is reviewed again and forced labor of monks was reviewed within the change of the collection system, raising the qu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devoted plunder and exploitation of the Buddhist society so far. This established a background for reviewing again the prior negative perspective of research recognizing the social title of monk as being of the lowest class. The popularity of study and education about religious tradition and missiology of the Buddhist society showed clear difference from the Buddhism in prior times. More, through publication of Buddhist books and history of temples, Chosun Buddhist history is restored and its independence is explained. On the other hand, the study of the Buddhist histo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has series of task to solve. The first is the negative perspective of the study. So far, stereotypes and lack of interest caused research on the Buddhist histo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to be done poorly and prevented accumulation of various studies. Second is clear recognition about the period. Buddhism in the late Chosun Dynasty clearly spread more diversely than during early Chosun Dynasty.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haos of the war, the basis for the existence of Buddhism was procured, missiology to grow the Buddhist society which had been destroyed was set up and a religious tradition was established. Emphasis on collection of works, epitaph and religious context were born in the midst of trend of the leading class which passed the chaos of war. The spread of the Buddhist society in the late Chosun Dynasty cannot be explained only by internal element. More so, reduction in population, natural disaster and destruction of farming land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evitably conceived socioeconomic changes and confusions. Namely, objective study on Buddhist histo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is thought to be able to explain the diversity and identity when it is done under the understanding of circumstances of the era.

      • KCI등재

        조선후기 『삼국유사』 인식과 그 가치

        오경후(Oh, Kyeong-Hw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1

        조선의 주자성리학적 가치체계는 『삼국유사』를 이단의 역사서로 규정하였고, 그 내용은 미신이나 전설을 취급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삼국유사』는 17세기 이후 부터 진행된 고대사 복원과 체계화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우리 역사의 시작인 고조선의 건국신화를 비롯하여 삼국사와 가야사 등 상고사와 고대사를 정립시키는 과정에서 『삼국유사』는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역사서와 동등하게 활용되었다. 아울러 실학자들은 우리나라의 절기(節氣) ․ 성씨(姓氏) 등 다양한 우리 풍속의 시원(始原)을 『삼국유사』를 통해 규명했던 것이다. 한편 『삼국유사』는 우리나라 불교사 복원에도 기여하였다. 「의해(義解)」·「탑상(塔像)」·「흥법(興法)」은 잃어버린 우리 불교사를 체계화시키는 디딤돌이 된 것이다. 결국 『삼국유사』는 17세기와 18세기 불교계에서 사지(寺誌)를 찬술하는 과정에서 그 신뢰성을 의심받고 비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조선불교사를 확립하는데 기여한 것은 사실이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amgukyusa” book was regarded as a heretical historical record according to the philosophical system of Chu Hsi and Neo-confucianism. Its contents were regarded as mere superstition and myth. However, Samgukyusa began to become a widely quoted text in efforts that had been underway since the 17th century to restore and firmly reestablish the ancient history of the country.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founding myth of Gojoseon,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and ancient history including the three kingdoms and Gaya, Samgukyusa was treated equally to other domestic and Chinese historical records.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Silhak) also found the origins of various traditions, including jeolgi (節氣; 24 subdivisions of the year) and seongssi (姓氏; family name), in Samgukyusa. The book also contributed to restoring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e country. Its contents on “Euihae (義解),” “Tapsang (塔像),” and “Heungbeop (興法)” provided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e country, which had largely been missing up to that point. Although the truthfulness of “Samgukyusa” was criticized and questioned in records written about Buddhist temple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book clearly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