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80년대 이후 한국 ‘사찰음식’의 소비 양상 연구

        오가와 레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1999

        仏教は国を超えて多くの人に信じられている宗教であり、仏教が誕生したイ ンドから中国、朝鮮半島そして日本まで伝来する過程で少しずつ変化してき た。その変化は教義や習慣に限らず、食に関しても同様で、修行者だけではな く、信徒たちの食にも影響を与えることもある。 韓国では、仏教の修行者である僧侶には動物性食品、五辛菜(にんにく、ね ぎ、にら、ヒメニラ、つるぼ)、飲酒などを避けるという禁忌がある。これら の条件と朝鮮半島の気候が融合し、韓国独自の精進料理が作り出され、その 食事内容は精進料理だけではなく、当時の一般人の食事にも影響を与え、韓 国料理の基礎の一部となった。まら、韓国人の食生活には欠かせない発酵食品 と保存食品の発達にも影響を与えた。 朝鮮半島に仏教が伝来し、以来1000年以上もの長きにわたり寺院で僧侶 たちに食され、僧侶の生命維持、健康維持だけではなく修行の一部を担ってき た。しかし、経済発展による食生活の西洋化、健康や食への関心の高まりによ り、1980年代後半か一般人の寺刹飲食(サチャルウムシク/精進料理)の消費 がみられるようになった。1990年代になるとそれがさらに広まり、「韓国の伝 統食文化」、「韓国固有の文化」等の表現が一般化することで、寺刹飲食は韓国 国内だけにとどまらず、海外にむけて紹介されるようになった。これを筆者 は、「寺刹消費範囲の拡大」とし、消費目的・消費空間・生産と消費に関わる 人々の多様化、つまり消費範囲の拡大の過程、拡大の要因を確認することを 本研究の第一の目的とした。 研究方法としては、まず新聞記事を通して大まかな韓国の寺刹飲食に関する 歴史的な変化の流れを調査した。次に、僧侶が出版している寺刹飲食に関する料理本を年代別にまとめ、現在活躍中の3人の僧侶の料理本を一人一冊ずつと りあげ、メニューの構成やそれぞれが定義する寺刹飲食の内容について整理し た。そして、現在一般人が寺刹飲食を食べることのできる場として灌仏会、テ ンプルステイ、寺刹飲食専門のレストランを対象とし、筆者が実際に食事を し、同時に、食べたことのある韓国人にインタビューを行った。これらに加 え、寺刹飲食の世界化を目指す仏教文化事業団(불교문화사업단)の活動内 容も参考にし、<宗教→健康→伝統>という寺刹飲食の消費の実態を確認し た。その結果、現在健康食品・伝統文化として開発、広報が進んでいる寺刹 飲食は、以前のようなの僧侶の修行の一環としての料理とは異なる、新しい寺 刹飲食であ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のである。 Buddhism is a religion followed by countless people across national boundaries. During the process of transmission from India to China, Korea, and Japan, Buddhism experienced certain changes. Such changes took place not only in Buddhist teachings and traditions, but also in culinary. In particular, the restrictions regarding food consumption influenced those who trained in the way of Buddhism as well as the eating habits of the followers. In Korea, monks are prohibited from consuming animal-based food and five types of vegetables (garlic, chives, green onions, wild chives, and Chinese squills), and also are not allowed to drink alcohol. Unique temple foods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due to such religious restrictions as well as the climate and ecosystem of Korea. Such meals also influenced culinary practices of the general public. Further, temple foods provided the basis for Korea’s traditional food, and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fermented and stored food in Korea, which are both indispensable to Korean cuisine.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in Korea, the monks consumed temple foods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This helped the monks’ health and longevity as well as their training. However, as the foods that Koreans consumed were westernized with economic development, Koreans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ir health and well-being. Beginning in the late 1980s, the general public had greater access to temple food, originally consumed by monks. This became even more widespread during the 1990s, and now temple food is considered a part of Korea’s traditional cuisine and culture. Temple food is being introduced in other countries as well. This author considered such a phenomenon as a change in consumption patterns, and aimed to study the changes affected in such consumption patterns. In order to identify this, this author first investigated the appearance of newspaper articles dealing with temple food in different decades. This author then selected temple food cookbooks published by monks in different periods. Three separate books by three prominent monks actively engaged in research of temple food were analyzed for their overall definition of temple food and menu composition argued by each. This author further sought out opportunities for the general public to have access to temple food, such as Buddha’s birthday celebration, temple stay programs, and visits to temple-food specialty restaurants. This author either ate the foods or interviewed those who had experiences with such foods. Further, activity details of the Buddhist Cultural Association were reviewed, as their goal is to enhance global awareness of temple foods. From the review, the consumption pattern of “Religion -> Health -> Culture” was confirmed. Furthermore it was noted that the temple food under development and promotion right now as both a healthy diet choice and a traditional cultural experience is in different context from the temple foods that monks have traditionally consumed for their training. 불교는 국경을 넘어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는 종교인데, 불교가 탄생한 인도에서 중국, 한반도 그리고 일본으로 전래되는 과정에서 조금씩 변화가 생겨났다. 이러한 변화는 불교적 가르침과 관습 뿐 아니라 음식에도 나타났는데, 특히 음식에서의 규율은 수행자는 물론 신도의 식사방식에도 영향을 주었다. 한국에서 불교 수행자인 승려는 동물성 식품과 오신채(마늘·파·부추·달 래·흥거)에 대한 금기가 있고, 술 마시는 것도 금기시되고 있다. 이처럼 음식에 대한 종교적 규율과 한반도의 생태계 및 기후 때문에 한국에서는 독특한 사찰음식이 형성되었는데, 이러한 식사 내용은 일반인의 음식에도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찰음식은 한국 전통음식의 기초가 되어 한국 식생활 에서 빼놓을 수 없는 발효식품과 저장식품의 발달에도 영향을 주었다. 한반도에 불교가 전래된 후 그 뒤로 약 천 년 이상 승려들은 절에서 음식을 먹으며 살아왔다. 그리고 이는 승려들의 생명 뿐 아니라 건강을 유지시키고, 또 수행을 도왔다. 그러나 경제 발전으로 인해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이에 건강과 음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1980년대 후반부터는 일반인들이 본래 승려의 식사였던 사찰음식을 접할 기회가 많아졌다. 그리고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그러한 양상이 더욱 확산되어 이제 사찰음식은 한국의 전통음식문화, 한국 고유의 문화라고까지 불리게 되었다. 또한 사찰음식은 이제 한국을 넘어 해외에도 적극적으로 소개되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현상을 사찰음식의 소비 범위의 변화라고 보고, 그 소비 양상 연구를 목적으로 했다. 이것을 규명하기 위해 필자는 먼저 신문기사를 통해 대략적인 사찰음식의 시대적 흐름을 조사했다. 그 다음 단계로 승려가 출판한 사찰음식 요리 책을 연대별로 정리하여 현재 사찰음식 연구가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승려 3명의 책 3권의 메뉴구성과 그들이 각각 주장하는 사찰음식에 대해서 정리했다. 그리고 사월초파일 행사, 템플스테이, 사찰음식전문점 방문 등, 일반인들이 사찰음식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상정하여 필자가 직접 먹어 보거나, 식사를 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인터뷰하였다. 또한 사찰 음식의 세계화를 목표로 하는 불교문화사업단의 활동 내용을 참고하여 '종교→건강→문화'라는 사찰음식의 소비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현재 건강식품, 전통음식문화로 개발, 홍보가 진행되고 있는 사찰음식은 승려들이 수행을 위해 먹던 사찰음식과는 다른 맥락의 음식이라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