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삼을 이용한 가공방법 개발과 효능검증

        예은주,배만종,김수정,박창호 경산대학교 생명자원개발연구소 2003 생명자원과 산업 Vol.7 No.-

        본 연구는 인삼의 가공방법을 개발하고 제품을 다양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립하고자, 우리나라의 전통주인 약주로 증자한 후 홍삼의 일반성분과 ginsenoside의 함량을 분석하고 갈색도 및 탁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항암효과를 검증하였던바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1. 백삼과 홍삼, 증자 횟수별 인삼의 갈색 변화를 보기 위해서 각 인삼의 60% 에탄올추출물의 갈변의 측정 결과 갈변의 전구물질과 중간생성물 및 fufural, 갈색계의 색소, 탁도 모두 증자횟수가 증가 할수록 값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백삼, 홍삼 A1는 3가지 항목에서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A3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2. HPLC상으로 total ginsenoside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백삼 28.20mg/g, 홍삼 421.10mg/g이고 A1~A9에서는 46.10~76.80mg/g으로 홍삼과 백삼보다 증자 횟수가 증가 할 수록 total ginsenosied 함량이 증가하였다. 3. HPLC상에서 분석한 증자 횟수별 인삼의 ginsenosides(G-Rb₁, -Rb₂, -Rc, -Rd, -Re, -Rf, -Rg₁, -Rg₂, -Rg₃)의 함량변화는 G-Rc, -Rd, -Re는 1회 증자한 A1에서 함량이 증가 하다가 증자 횟수가 증가 할수록 다시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G-Rg₂, -Rg₃는 증자 횟수와 비례하여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인체유래 간암세포(Hep3B)에서의 항암효과 검증실험에서는 물, 60%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1000ppm, 2500ppm, 5000ppm으로 처리 한 후 세포 증식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백삼은 모든 처리군에서 미미한 증식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홍삼은 60%에탄올 추출물 5000ppm에서 54.52%, A9에서는 96.28%의 현저한 세포증식억제 효과가 있었다. A9가 Hep3B에 대해서 백삼과 홍삼보다 세포 증식 억제율이 더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약주를 이용해서 증자한 홍삼이 백삼이나 일반홍삼보다 총 사포닌,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기능과 효능이 증강된 것으로 확인되어 우수함이 입증되었다. 또한, 홍삼정과, 절편정과 등 제품의 다양화와 품질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증자 방법, 압력, 온도, 및 약주 등의 제조 조건에 따른 지속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This study takes place to establish basic data to develop various ginseng-processing methods and products. It analyzed components and quantity of ginsenoside in red ginseng after brewing with the traditional medicinal wine as well as the brownness and impurity level changes, and verified anti-oxidization and anti-cancer effects. The following is the founding of these analyse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brownness of white and red ginseng, premonitory materials of 60% ethanol extracts were examined As the result of these examinations, all of the values of examined matters premonitory materials, mid products, Fufural, coloring matters and impurity level were increased as the brewing continued. And the brownness level for white and red ginseng was similar in Al and the values were relatively high in A3. The total Ginsenoside on HPLC was 28.20㎎/g for white ginseng and 42.10㎎/g for red ginseng. The quantity of total Ginsenoside was increased as the brewing continued as 46.10∼76.80㎎/g was shown in A1∼A9. To see the quantity changes of Ginsenosides(G-Rbi, -Rte, -Re, -Rd, -Re, -Rf, -Rg₁, -Rg₂, -Rg₃) contained in ginseng on HPLC, the quantity of G-Rc, -Rd, -Re were increased in Al the first brewing and decreased as the brewing continued. The quantity of G-Rg2, -Rg3 was increased proportionate to the number of times for brewing. In an anti-cancer test in liver cancer cells(Hep3B) extracted from human body, each of water and 60% ethanol extracts were processed with 1000ppm, 2500ppm, and 5000ppm and checked the multiplication restrain rate. All of the processing groups in white ginseng have minimum multiplication restrain rates, but red ginseng has 54.52% at 60% ethanol extract 5000ppm. At A9, 96.28%) of cell multiplication restrain effects were shown. Comparing Hep3B to A9, white ginseng has higher restrain effects than red ginseng. As seen in the above results, the reinforced red ginseng using the medicinal wine has higher total saponin and ginsenosides, as well as with increased functions and effects leading the superiority. And it is possible to use Red Ginseng Jung Kwa; Jung Kwas with flower pattern imprinted, and expect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to use the extracts. Later, when brewing the pressure, temperature, and medicinal wine can be examined to continuous studies.

      • KCI등재

        가공방법을 달리한 홍삼의 품질 특성

        예은주,김수정,박창호,곽희부,배만종,Ye Eun-Ju,Kim Soo-Jung,Park Chang-Ho,Gwakg Hee-Boo,Beal Man-Jong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5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5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new processing methods and products from steamed ginseng with rice wine. The brownnes, turbidity and the total ginsenoside in ginseng were examined All the values of examined premonitory materials, intermediate products, coloring matters and turbidity were increased as the steaming continued The quantity of total ginsenoside was increased when the steaming with rice wine continued in A1 - A9($1^{st}$ traditional rice wine steamed red ginseng: $A1{\~}9^{th}$ traditional rice wine steamed-red ginseng:A9). The quantity of ginsenoside-Rc, ginsenoside-Rd, ginsenoside-Re in Al were increased as the steaming continued. The quantity of ginsenoside-$Rg_2$ and ginsenoside-$Rg_3$ was increased when the number of steaming increased.

      • KCI등재

        뽕잎발효차 제조에 따른 in vivo 상에서의 S-180 항암 및 항알레르기 효과

        예은주(Eun-Ju Ye),이성태(Sung-Tae Yee),배만종(Man-Jong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 추출물의 S-180 고형암, 항알레르기 활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in vivo 상에서 S-180 고형암 억제 효과는 뽕잎차에서 16.67%, 뽕잎발효차에서 17.78%로 나타났다.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검증한 결과 두 군 모두 에탄올 추출물보다 열수 추출물이 히스타민 분비 억제에 더 효과적이었고, HMC-1의 염증성 cytokine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 군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염증성 cytokine의 억제율이 더 높았고 뽕잎발효차군이 뽕잎차군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다. 뽕잎발효차 추출물의 기능성이 더 우수한 것은 발효를 통해 생리활성 물질이 생성된 것이 원인으로 사료되며 이 점에 있어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qualitative properties of MLT (mulberry leaf tea) and FMLT (fermented mulberry leaf tea) on the basis of the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S-180 solid cancer in vivo were measured as 16.67% for FMLT and 17.78% for MLT. When the anti-allergy effects of the extracts of MLT and FMLT were evaluated, the hot water extract was shown to block histamine secretion more effectively than the ethanol extract for both groups. Furthermore, when the levels of the inflammatory cytokine of HMC-1 were measured, the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inhibit the inflammatory cytokine more effectively than the hot water extract, and the FMLT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the MLT group.

      • KCI등재

        전통적 탁주증자법으로 처리한 홍삼의 일부 항산화 및 항암효과

        예은주(Eun-Ju Ye),김수정(Soo-Jung Kim),박창호(Chang-Ho Park),배만종(Man-Jong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5

        본 연구는 인삼의 가공방법을 개발하고 제품을 다양화하기위해 우리나라의 전통주인 탁주로 인삼을 증자한 후 홍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항암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A1~A9시료의 60%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DPPH 라디칼 소거효과는 1,000 ppm에서 인삼의 증자 횟수와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특히 A3에서 79.5±3.3%로 라디칼 소거율이 뚜렷하게 증가함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W.G는 25.9±4.4%, R.G는 12.9±1.1%, A1~A9는 26.2±0.1~56.1±0.6%로 증자 횟수가 증가할수록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냈다. 인체유래 간암세포(Hep3B)에서의 항암효과로 실험에서 W.G는 에탄올 추출물 5,000 ppm으로 처리했을 때, 19.6±4.5%로 나타나 증식 억제율이 미미하였으나, R.G는 에탄올 추출물 5,000 ppm으로 처리했을 때 54.5±6.1%를 나타냈으며, A9에서는 96.3±2.4 %로 높은 항암효과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탁주를 이용한 증자홍삼이 일반 홍삼 및 백삼보다 본 실험의 항산화 및 항암 system(in vitro)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더 높은 항암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ew processing method for ginseng.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the new product (the traditional rice wine steamed-red ginseng: RWS-RGS),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RWS-RGS were examin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RWS-RGS extracted with ethanol was increased in dose-dependent manner. Especially, A3 (3^(rd) traditional rice wine steamed-red ginsengs) exhibited effectiv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white ginseng (W.G), red ginseng (R.G) and RWS-RGS (A1~A9: 1^(st) traditional rice wine steamed-red ginseng~9^(th) traditional rice wine steamed-red ginseng) were 25.9±4.4%, 12.9±1.1% and 26.2±0.1~56.1±0.6% at pH 1.2, respectively. The antitumor effects of W.G, R.G and RWS-RGS (A9) were examined in Hep3B cancer cells. Their growth inhibition against Hep3B cancer cells showed 19.6±4.5%, 54.5±6.1%, 96.3±2.4% at 5,000 ppm, respectively.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traditional rice wine steamed ginseng will be useful product with antioxidant and antitumor effect

      • KCI등재

        연구논문 : 장뇌삼 및 장뇌삼엽차의 생리활성평가

        예은주 ( Eun Ju Ye ),김수정 ( Soo Jung Kim ),남학식 ( Hak Sic Nam ),박은미 ( Eun Mi Park ),배만종 ( Man Jong Bae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0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5 No.3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발효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장뇌삼엽차의 추출물보다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이 장뇌삼엽차와 발효장뇌삼엽차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결과를 얻었다.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의 항산화 활성은 비슷하였다. SOD 유사활성도 측정에서는 대조군인 vitamin C와 비교할 때 모든 군이 SOD 유사활성도가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3.0의 조건에서 1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아질산염 소거능이 장뇌삼엽차, 발효장뇌삼, 장뇌삼, 발효장뇌삼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pH 6.0의 조건에서는 모든 군이 아질산염 소거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HeLa cell에서 시료 중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1 mg/mL의 농도에서 30%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발효장뇌삼과 장뇌삼엽차는 각각 약 24%, 22%로 분석되었다. MCF-7 cell 발효장뇌삼과 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1mg/mL의 농도에서 27%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어 비슷하였고, 장뇌삼 추출액이 21%로 가장 낮았으며, 발효장뇌삼엽차 추출액이 70% 이상으로 나타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각 시료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When extracts of KMG(Korean mountain ginseng) leaf tea and fermented KMG leaf tea were compared, the fermented KMG leaf tea extract showedhigher activity at each stage of density. Among the material groups, the KMG extract hadthe least profound SOD-like activity, and similar SOD-like activities were noted in the fermented KMG, KMG leaf tea, and fermented KMG leaf tea extracts. With regard to nitrite scavenging ability at a pH of 1.2, the KMG, fermented KMG, and KMG leaf tea groups exhibited similar results, and at pH 3.0, the KMG and KMG leaf tea extract groups exhibited more profou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compared to the fermented groups. In the case of HeLa cell treatments, the KMG and fermented KMG leaf tea extracts exhibited cancer cell propagation restraint rates in excess of 30%, at a density of 1mg/mL. And MCF-7 cells treated with fermented KMG and KMG leaf tea showedsimilar propagation restraint rates at more than 27% of cancer cells, at a density of 1mg/mL. Among the materials, the KMG extract hadthe lowest cancer cell propagation restraint rate at 21%, and the fermented KMG leaf tea extract had the highest rate at more than 70%.

      • KCI등재

        뽕잎차와 뽕잎발효차의 성분 비교

        예은주(Eun-Ju Ye),배만종(Man-Jong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일부 성분을 분석하였다. 두 시료간의 일반성분 중에서 지방 함량이 뽕잎발효차 가 더 높았고, 탄수화물의 함량은 뽕잎차가 더 높았다.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뽕잎발효차가 뽕잎차에 비해 전체 유리당 함량이 줄어들었으며, 특히 뽕잎차에서는 maltose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뽕잎발효차의 경우 maltose가 분석되지 않았고 lactose가 소량 분석되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뽕잎차가 뽕잎발효차보다 높았으며 뽕잎차에서는 glutamic acid, 뽕잎발효차에서는 cyst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 유도체에서는 γ-aminobutyric acid(GABA) 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각 시료 간 함량은 비슷하였다. 지방산의 조성에서는 뽕잎발효차가 뽕잎차에 비해 불포화 지방산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식용식물로서 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가치가 있는 뽕잎에 생균제를 이용하여 개발한 뽕잎발효차를 뽕잎차와 비교하였을 때 뽕잎발효차에서 유리당과 유리아 미노산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유용성분 및 특이성분의 함량은 충분히 유지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tive and general components between mulberry leaf tea (MLT) and fermented mulberry leaf tea (FMLT). Among the general ingredients, the crude lipids of FMLT contained higher than that of MLT, while the level of carbohydrates was higher in the MLT. Although free sugar of FMLT was a lower concentration than MLT, the value of maltose was higher in the MLT. In FMLT, maltose was not analyzed but small amount of lactose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level of total free amino acid of MLT was higher than that of FMLT. The level of glutamic acid was highest in MLT, while that of cystine was highest in FMLT. The value of γ-aminobutyric acid (GABA) was greater in the derivatives of amino acids, and the content was similar for both MLT and FMLT. FMLT also contained a lower level of unsaturated fatty acids than MLT. In addition, the content of total mineral was higher in FMLT, and the level of K was the highest and similar in both teas.

      • KCI등재

        인동초로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항암 및 알레르기 억제효과 검증

        배만종,예은주,Bae, Man-Jong,Ye, Eun-J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4

        인동초를 이용하여 표고균사체를 접종, 배양하여 얻어진 인동초균사체 추출액의 간암세포, 유방암세포, 자궁경부암세포 그리고 고형암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3가지 암세포의 형태변화 및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암세포와 유방암세포에서 암세포에 대한 특이적 형태변화가 관찰되었고, 특히 간암세포에서 인동초균사체 추출물이 인동초추출물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동초균사체를 간암세포에 3mg/mL로 처리했을 때 $85.60{\pm}4.66%$의 암세포 증식억제율을 나타내어 인동초를 처리한 것보다 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61.10% 높았다. 유방암세포에서는 인동초 및 인동초균사체를 처리한 것 모두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율을 보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경부암세포에서는 인동초 및 인동초균사체를 처리한 것 모두 암세포 증식억제율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형암 억제효과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인동초균사체 추출물에서 고형암이 61% 억제되었으며, 인동초균사체가 인동초추출물보다 고형암 억제효과가 30%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히스타민 유리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compound 48/80처리군에 비해 인동초추출물은 9.07%, 인동초균사체 추출물은 43.05%의 히스타민 분비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ycelia of Lentinus edoes mushroom-cultured Lonicera japonica Thunberg (LLJ) on proliferation of the cancer cell lines (Hep3B, MCF-7 and HeLa), sarcoma 180 (S-180) and antiallergy. In an anti-cancer test using Hep3B (hepatic cancer cell), MCF-7 (breast cancer cell) and HeLa (uterine cancer cell), LLJ extract showed higher antiproliferating effect than that of LJ (Lonicera japonica Thunberg) extract. In an anti-cancer testing using Hep3B cells, LLJ extract showed growth-inhibitory effect of $85.60{\pm}4.66%$ at 3mg/rnL. In an anti-cancer testing using MCF-7 cells, LLJ and LJ extracts showed high antiproliferating effect. LLJ showed the tumor suppressive effect in mice injected with S-180 cells. The growth-inhibitory rates against tumor cells were 61% for LLJ, 37% for LJ. LLJ inhibited histamine release from rat peritoneal mast cells activated by compound 48/80.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ntinus edodes mushroom-cultured herb has an antiproliferating effect against cancer cell lines (Hep3B, MCF-7 and HeLa) and S-180 tumor, and will be beneficial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reaction.

      • KCI등재
      • KCI등재

        여지초의 in vitro항암효과 및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배만종,예은주,김수정,김재명,이성태,박은미,Bae, Man-Jong,Ye, Eung-Ju,Kim, Soo-Jung,Kim, Jae-Myoung,Yee, Sung-Tae,Park, Eun-M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여지초의 cell line상에서의 항암효과(in vitro) 및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체유래 위암세포주인 AGS의 형태변화는 여지초 물과 60% 에탄을 추출물 처리 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의 밀도가 감소하였고 세포의 원형화나 손실이 증가하였다. 암세포 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은 AGS의 경우 농도에 비례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나타났으며, 물 추출물 $1,000{\mu}g/mL$에서 43.3%, $3,000{\mu}g/mL$에서 69.7%, 60% 에탄을 추출물 $1,000{\mu}g/mL$에서 37.3%, $3,000{\mu}g/mL$에서 75.8%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여지초 추출물이 비장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은 여지초 물 추출물은 $30{\mu}g/mL$, 60% 에탄을 추출물은 $10{\mu}g/mL$에서 각각 25.0%와 43.2%의 증식반응 증가가 나타났으며, $300{\mu}g/mL$에서는 비장세포의 증식이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여지초 추출물이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IL-2의 경우 여지초 물 추출물 $1{\mu}g/mL$처리군에서 $20.75{\pm}3.54pg/mL$, 60% 에탄을 추출물은 $100{\mu}g/mL$ 처리군에서 $20.75{\pm}7.07pg/mL$로서 $15.75{\pm}7.07 pg/mL$인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모두 31.7%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IL-6 분비량 또한 물 추출물 $1{\mu}g/mL$에서 $31.75{\pm}15.91 pg/mL$, 60% 에탄을 추출물 $10{\mu}g/mL$에서 $14.25{\pm}1.77pg/mL$로서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물과 60% 에탄을 추출물 모두 $10{\mu}g/mL$에서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각각 69.6%, 25.3%의 $TNF-{\alpha}$ 생산 증가를 유도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ebeiae Herba (Salvia plebeia R. Br.) on the proliferation of AGS cell lines and the activation of splenocytes. In an anti-cancer test using AGS cells,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lebeiae Herba inhibited the growth of AGS cell lines and morphological changes were also observ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ater extract of Plebeiae Herba showed growth-inhibitory effect of 43.3% at $1,000{\mu}g/mL$ and 69.7% at $3,000{\mu}g/mL$. Ethanol extracts of Plebeiae Herba showed growth-inhibitory effect of approximately 37.3% for $1,000{\mu}g/mL$ and 75.8% for $3,000{\mu}g/mL$. The Plebeiae Herba induced the proliferation of spleen cells and increased interleukin (IL)-2, interleuki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lebeiae Herba seems to have antiproliferationg effect against the AGS cell and acts as a potent immunomodul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