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지식론의 방향 탐색

        염은열 ( Eun Yeol Yeo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09 문학교육학 Vol.28 No.-

        Knowledge must be not only taught in literature class, but also be derived as a result of learning literature. For this reason, literary knowledge is the beginning and closing of teaching literature. So, it is important matter for us to show what knowledge is needed in literature education an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with literary knowledge and literary ability or competence.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peculiarity and position of literary knowledge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2007) and recognized the present of literary knowledge research and practice. We have found some problem. First problem is the goal or aim of teaching literature is vague or uncertain, so there are not criteria to select, display, and assess literary knowledge. Second problem is the confusion of contents and method. As this confusing, procedural knowledge (know how) has been regarded as the more important contents than declarative knowledge (know that) in literature education. We have shown that it is not right anymore. All kind of knowledge which is taught, is accepted as a mode of propositional knowledge to students. It is more important to alter literary knowledge to literary ability or competence.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e proposition that the goal is decided, literary ability or competence is specialized as the goal, literary knowledge is selected, and the method to alter literary knowledge to literary ability or competence is designed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학교육의 관점에서 본 문학치료학 이론

        염은열 ( Yeom Eunyeol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2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치료의 이론적 성과를 살핌으로써 문학교육적 시사점을 찾아내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문학이 곧 인간이고 인간이 곧 문학이라는 문학치료학의 발상이 주는 시사점과 서사의 다기성이라는 핵심 개념이 주는 시사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학이 인간이고 인간이 문학이라는 문학치료학의 발상은 문학교육의 목표와 그에 전제된 인간관에 대해 반성하게 한다. 학습자가 자기서사, 즉 고유의 이력을 가진 개인이라는 점을 자각하게 하고 문학교육의 목표 및 내용과 방법 등에 대해 반성하게 한다. 2) 문학교육의 장에서도 양육과 순응, 선택과 지속이라는 인간관계의 핵심 문제에 대해 다뤄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적 논리에 따라 적절한 작품서사를 선정하는 등의 교육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도 주장하였다. 3) 서사의 다기성에 주목한 작품서사 읽기의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인간관계뿐만 아니라 다방면에 걸쳐 학습자의 자기 이해를 깊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4) 마지막으로 비평교육의 차원에서 문학치료학의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문학 치료 자체도 중요하지만 문학치료의 방법을 배움으로써 비평능력을 길어야 한다고 주장이었다. 어느 정도의 문학 능력을 길러야만, 살아가면서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문학작품을 스스로 찾아 읽고 자신에 대해 성찰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literature education of literary therapy, by the critical survey on the idea and basic concept of literary therapy. Especially, We have focused on the idea `human is epic, and literature is human` and the basic concept `the divergence of epic` The result of our research are as follow. 1) The idea `human is epic, and literature is human` provide literature education to a new point of view about a human being. That is regarding a human being as a individual has own the epic of self. 2) Four basic issues like adaption, choice, continuance, bring up in human rel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literature education. 3) We proposed that using methods designed on the divergence of epic would have deepen human`s self understanding in various areas. 4) And, it is useful for student to learn about the critical method derived of literary therapeutic approach.

      • KCI등재

        디지털 시대 고전시가 읽기

        염은열 ( Yeom Eun-yeol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8 고전문학과 교육 Vol.16 No.-

        This study is on the reading method of Korean old poetry in the digital age. Now days, we are living in digital media. The method of getting, organizing, and producing information is changed a lot. So for keeping pace with this change, we should reflect our teaching method. Of course, the purpose of our reflection is not to follow digital media's method and change or alter existing reading or teaching method, but it is to identify proper own reading strategy of old poetry and adjust existing method for our student who are skilled with digital media. We propose three kinds of method for student readers in school. These are 1) starting like a newspaper reader, 2) getting context (reading, making hyperlink), and 3) figuring as an architect (reading as space or scenery creator). In addition, we think about recent tendency that Korean old poetry is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as digital contents in digital space. We call it digitalizing of old poetry. The experiencing old poetry as a digital contents is different from reading old poetry, so we cannot alter old poetry reading experience into experience of digital contents. In conclusion, digitalizing contents should be used restrictively to fertilize reading experience of original old poetry.

      • KCI등재

        기행가사 감상의 경험적 성격과 의의

        염은열 ( Yeom Eun-yeol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3 고전문학과 교육 Vol.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at the understanding literature is useful for us to write. Of course, lots of researcher have already proposed this idea. But we have few ideas why it is useful and how to understand. We research the meaning and value of understanding literature as experience. The understanding literature is a kind of experience for student. Through this experience, student abstract some knowledge and some sense attached the knowledge. This knowledge lead them to understand literature more deep and write more fluently. At this time, the thing is important is the sense attached the knowledge. The sense is a kind of positive attitude to learning. So it is necessary not only to throw our student some knowledge from outside, but also let them experience of literature properly.

      • 문학 수업 컨설팅의 구조와 효과에 대한 연구

        염은열 ( Yeom Eun-yeol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7 문학치료연구 Vol.7 No.-

        C.N.U.E(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arted a new project with its lab school in 2005, and this project is still in place at this time. From 2006, I has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which had been for improving instruction in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2 professors) and lab school(3 or 4 teachers). This paper is a kind of report about this projet participation experience. In department of Korean Education, 2 professors and 4 teachers joined in this project. 6 participants designed literature instruction together, and a teacher in lab school had a instruction in front of the others. It was the first our action. And then we talked and discussed about the instruction freely, and reflected the process of the project together. We did the second action after reflecting all process of the project. Of course we did reflect the second action in the same way. Going through this process, we monitored our previous understanding of lots of things related to literature instruction. And we rewrote our story about books for children, teaching method us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 relation with theory and practice in teacher`s mind, and literature instruction, by dialogue with one another. We found this process itself was very educative and it could be a method for teachers to improve their instruction. So we hope this report will contribute to develop a model of consulting literature instruction in service for teachers.

      • KCI등재후보

        문학 교사 `되기`에 대한 치료적 접근의 필요성과 그 방향 탐색

        염은열 ( Yeom Eunyeol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4 No.-

        지금까지의 문학교육 논의와 실천은 주로 학생들의 성장이나 성숙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반면에 학생들의 성장과 성숙을 담당할 문학교사교육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이 논문은 문학교사로서의 성장이나 문학교사 `되기`의 과정 및 그 의미에 대한 의문과 책무감에서 출발하였다. 장차 문학교사가 될 예비교사들이 고전문학이나 고전문학을 가르치는 일에 대해 열정이나 호기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열정의 결여가 게으름 등 학습자 개인의 태도의 문제가 아니라, 이전의 부정적인 학습 경험을 통해 형성된 것이라는 점에서 교사양성기관에서의 교육적 배려가 필요하다. 이에 필자는 예비교사들을 왜곡된 학습 발달의 서사를 가지고 있는 치료의 대상으로 볼 필요가 있으며, 예비교사들이 문학의 효용을 다시 경험하고, 문학 이론과 가치의 유용함을 다시 경험한 후 교사가 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교육의 차원에서 예비교사들을 치유하고 회복하려는 거시적 기획은 물론이고 구체적인 실천이 있어야 한다고 보고, 구체적인 실천의 하나로 필자의 수업을 소개하였다. 필자의 수업은 예비교사가 학습 경험 주체로서 자신의 문제점과 현재 상태에 대해 진단한 후, 학자처럼 깊이 읽고 교사처럼 설명하는 일련의 경험을 거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학자처럼 접근하여 작품에 대해 깊이 이해한 성공의 경험 혹은 발달의 경험이 있어야만, 자신이 이해한 내용을 알려주려는 설득에의 열정이 생겨나고, 성공한 자신의 학습 과정을 성찰함으로써 교육의 내용과 방법 및 과정에 대한 시사를 얻을 수 있다고 본 것이다. Most researches and actions in the literature education has focused on `students`. By comparison, the researches and actions related with teachers who have a key part in teaching student are insufficient. This paper is on the reflection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teacher to being a literature teacher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oday, lots of student-teachers have no passion for literature and teaching literature. This is not the problem of an indolent student, but the problem of our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or solution, we have to introduce the approach of literary therapy in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We have to regard our student as patients being cured, diagnose their condition exactly, and provide a new content and method to arouse their passion and curiosity. Only student-teacher have passion and curiosity of literature and teaching literature, would be a good literature teacher in the future.

      • KCI등재

        고전시가 연구 및 고전시가 교육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고전문학과 교육』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염은열 ( Yeom Eun-yeol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8 No.-

        이 논문은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에서 발간하고 있는 『고전문학과 교육』에 실린, 고전시가 관련 연구 경향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고전시가 연구 및 고전시가 교육 관련 연구물들을 1차 자료로 삼아, 어떤 시기의 어떤 작품이나 장르, 문학현상 등이 주된 연구 자료가 되었는지 그 자료들이 어떻게 다뤄졌는지, 주된 관점이나 방법론은 무엇인지, 어떤 학문적 결과 내지 성과를 제출했는지 살핌으로써 학회의 학문적 정체성을 되짚어보고, 이후 학회 구성원들이 함께 논의하거나 해결해야 할 문제나 탐구 과제 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나아가 고전시가 교육 및 교육 연구를 둘러싼 갈등의 양상을 포착함으로써, 고전시가 연구에 바탕을 둔 고전시가 교육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가 성실한 기초 연구의 전통을 바탕으로 고전시가 연구의 본류에 있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으며 고전시가 교육연구의 정체성 탐색 및 내용론 구축과 관련해서도 활발하게 연구 성과를 제출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고전시가 연구자들과 고전시가 교육연구자들 사이에 ‘문학의 확장인가 아니면 축소인가’, ‘역사성의 외면이인가 아니면 보편성의 획득인가’, ‘인문적 기획인가 아니며 공학적 기획인가’ 하는 쟁점이 부각되어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제기된 쟁점에 대한 성찰을 통하여, 고전시가 연구 및 고전시가 교육 연구의 지향과 철학, 방법론 등을 재점검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문학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거나 문학교육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는 학술단체는 많지만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처럼 고전문학연구와 고전문학교육연구 둘 다에 초점을 두고 있는 학회는 국내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 점에서 고전문학 연구 담론과 고전문학교육 연구 담론간의 길항 관계와 갈등 양상 등을 포착하는 데, 『고전문학과 교육』 만한 학술지가 없다. 따라서 이 학술지에 대한 검토는 비단 한 학회의 학술 활동을 점검하는 차원을 넘어서, 새롭게 학문적 정체성을 탐색하여 기존의 학술 생태계에 진입하고자 하는 고전시가교육 연구 담론을 성찰함으로서, 한국 학술 담론의 지형도를 점검하고 다시 그려본다는 차원에서도 그 의미를 지닌다. 구체적으로 보면, 고전시가 연구와 고전시가 교육 연구의 상생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우리가 반드시 살펴봐야 할 쟁점과 그 쟁점에 전제된 철학 및 방법론의 다양성과 차이를 확인하고 점검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적지 않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the critical survey on the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its education in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Education published by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From first volume(1996) to 16th volume(2009), 64 papers were published in this Journal. And, there are three research trends, one is the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poetry(38), another is the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20), and the last is the literary therapeutic approach(6). In the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poetry, historical approach has been preferred, and historical position and meaning of work or genre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ly. In the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the identity of education research and the theory of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has been pursued, and discussed how to approach old poetry as modern reader. After this general survey, we extracted several issues we should have discussed together in our academic society. These issues are 1) 'expansion of poetry? or reduction of poetry?', 2) 'lacking of historical perspective ? or getting universality?', and 3) 'educational technological approach ? or approach of humanities?'. As a fact, this survey was planned on the occasion of a celeb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So, we hoped that we would reflect our researches and ourselves as researchers by now through our survey and find new themes to research through these issu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