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공개공지 디자인을 위한 기초연구

        여화선(Yeo, Hwa Sun),서주환(Suh, Joo Hwan),최유나(Choi, Yoo Na)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1

        도시민에게 좀 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공개공지의 흡연공간으로의 사용이라는 이론적인 배경과 사회적 이슈를 토대로 도심 속 공공공간인 공개공지에 대해 흡연자의 이용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위하여 흡연자와 비흡연자로 구분지어 그들의 행태를 관찰 조사분석하여 보다 쾌적하고 실용적인 공개공지 디자인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 결과, 대상 3개소의 공개공지 모두, 절반이상의 이용자가 흡연을 행태를 보이고 있었고, 홀로 행위를 하는 이용자들은 흡연과 동시에 휴대폰으로 정보 확인 및 통화 등의 행위를 동시에 행하였고, 한 흡연 시 구석진 곳이나 휴지통, 가로수 또는 식재가 되어 있는 공간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흡연을 하지 않는 이용자들의 경우, 대부분 지나가는 통행의 목적으로 이용하거나 잠시 앉아 누군가를 기다리는 목적으로 공간을 이용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행위가 이루어질 시에는 흡연자들을 피하여 동선을 이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공간분할과 시설물의 배치 및 종류, 공개공지 안의 흡연 공간 부족이라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하기 위해서는 흡연자와 비흡연자 모두를 고려한 적절한 방인이 필요할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좀 더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보다 폭넓은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공개공지의 심미성과 이용자의 행태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개공지의 디자인이 좀 더 자세한 대안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called the use of the open space as smoking space and social issue that are willing to provide the urban citizens with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about construction of smoking space at the open space by analyzing the behavior of the users who use the place regarding the open space that is the public space in the city and investigating the proper plan against that. As the result, more than half the patrons were shown smoking behaviour, it was observed that the users who performed the behavior alone did the behaviors such as checking the information with their mobile phones and calling, etc. together with smoking simultaneously at all three target places of the open space and the users who performed the behavior in group did the behavior such as talking or drinking coffee at the same time and mainly use the space where it is isolated or the wastebasket is located or street trees are planted when they smoke. In case of the users who don"t smoke, they mostly used the space for the purpose of passing or waiting for some one sitting for a while, however,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y moved along the traffic line avoiding the smokers when they did such behaviors. Through such study results, the problems such as space division, placement and kinds of facilities and insufficient smoking space in the open space were withdrawn and the construction of smoking space was suggested as the solution for the problems. Analysis of the results,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s that come up for smokers and non-smokers alike, it will be necessary for appropriate measures. A follow-up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more extensive analysis than to target various areas through these critical points and open the users behavior at the same time, the aesthetic and the bulletin on public notice that can satisfy the design should be presented more detailed alternatives to animal feed.

      • KCI등재후보

        경관정보에 기반한 농어촌 환경색채 연구

        여화선(Yeo, Hwa Sun),서주환(Seo, Joo Hwan),이지은(E, Jee E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3

        지금까지 환경색채에 대한 수립과 적용은 도시에만 국한되어왔다. 도시에 비해 비교적 낙후된 농어촌지역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라도 농어촌 환경색채의 계획이 절실하다. 하지만 농어촌이라는 지역적 특수성 때문에 획일화 되거나 그 기본 틀이 존재하지 않아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농어촌 환경색채가이드라인 수립시 농어촌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색에 맞게 대권역 도시에서 수립된 색채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소권역 농어촌 지역의 색채가이드라인이 수립 및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대권역 도시의 경관계획의 경관권역별 분류에 맞추어 농어촌 환경색채를 계획해야 한다. 경관권역별 분류는 농어촌을 포함한 도시마다 조금씩 그 분류체계가 다르며 그 지역에 맞게 분류되기 때문에 다분히 농어촌 지역을 포함하지 아니할 수 없기에 농어촌 환경색채를 적용함에 매우 적절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에 농어촌이 지닌 타 농어촌과의 차별성이나 특징 등을 포함하여 농어촌 환경색채에 활용하는 것이 농어촌 환경색채를 올바르게 풀어나갈 수 있는 잣대가 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적용한 이천시의 경우 경관계획의 경관권역별 분류는 역사문화권역, 중심정주권역, 관광문화권역, 전원문화권역, 남부정주권역 총 5개 권역으로 분류되었으며 이중 농어촌 환경색채에 적용 가능한 경관권역별 분류는 도시적 기능이 주된 권역을 제외한 역사문화권역, 관광문화권역, 전원문화권역으로 간추려졌다. 남은 3개 권역에 존재하는 농어촌 환경색채를 추출하기 위해 대표되는 자원은 각각 역사문화권역에 산수유체험 마을과 이천도예촌, 관광문화권역에 벼 경작지와 테르메텐 온천과 지산포레스트리조트, 전원문환권역에는 대표적 농촌취락지와 농촌체험마을이 존재하였다. 조사된 자원요소들에서 환경색채를 추출하여 이천시 환경색채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이천시 농어촌 환경색채를 계획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Related Establishing and environmental color, has been limited in a city far. Planning of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 environmental color is the urgent also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that are relatively slow compared to the city. However, because of the peculiarities of geographic Rural, make it possible for the standardization, the basic framework does not exist, it can be disruptive. Thing in this rural environmental color guidelines formulated at the time, should be applied and the development of color guidelines of small sphere rural area to match the color guidelines that have been developed in the city of great circle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and fishing community has there is, in accordance with the classification of the landscape sphere of landscape planning another great circle of city region, it is necessary to plan the color of rural environment. Because little by little, the classification system is different in each city, including the rural,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rea, because there is no that does not include rural areas maybe, landscape sphere separate classification the rural environmental color be applied can act as a factor very appropriate. It may be a one that can be utilized for rural environment colors including features and differentiation with rural other rural has a unravel correctly rural environmental color here.

      • 파티공간연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여화선(Yeo, Hwasun),정윤정(Jeong, Yunjeo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29 No.-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 예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파티문화가 보편화되었고 파티의 접근성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파티문화와 더불어 파티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성 있고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연출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였다. 파티공간연출에서 사용되는 화예디자인의 빈도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파티공간의 주된 연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화예디자인은 파티공간의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연출요소로써 범위가 커져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세계적인 플라워 디자이너 프레스톤 베일리의 최근 6년간(2006년~2012년) 4개의 작품집에서 30개의 파티공간을 선별하여 각 구성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화예디자인은 파티공간의 총체적 이미지를 통합하는 연출요소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표현양식으로 화예 조형예술의 발전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다양한 연출요소가 화예디자인과 접목되어 더욱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파티공간을 창조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분석된 공간연출 요소의 특징을 인식하고 접목한다면 우리나라의 파티공간연출은 더욱 발전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파티공간연출에 있어서 화예디자인이 단순한 장식품이 아니라 공간의 가치를 재창출하고 선진화된 파티공간연출로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More people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party space due to the progress in culture and art. And naturally people begun to desire more unique and emotionally stimulating space. Floral art and design is more frequently being used in directing a party and the role of floral art and design is getting more significant. Despite this change, the study on the floral art and design is still lacking.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30 party-directing spaces which were selected From Preston Bailey`s 4 recent collections of works (2006~2012) As a result, floral art and design was used as a directing element, which unifies images of party space, and showed potential of future progress as art and design due to its various expression styles. In addition, various directing elements could create more efficient and competitive party space in collaboration with floral art and design. Directing a party space in Korea would also improve if the outcomes from this study is applied. Floral art and design should be developed even more in order to recreate the value of the party spa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역아이덴티티의 확립을 위한 환경색채 연구 : 수원의 관공서 외벽을 중심으로

        여화선(Yeo Hawsun),서주환(Suh Joohwan),최유나(Choi Yoon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경관의 아이덴티티는 그 지역의 이미지와 문화를 보여주고 관광 산업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도시의 잠재력을 활용한 지역 개발을 통하여 도시 자체를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하고 도시 전체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도시의 아름다움은 형태와 재질 색채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색채는 도시경관의 시각적 질을 연상시킬 수 있는 여러 요소 중 가장 강력한 시각적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개발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는 지역의 아이덴티티에 대해 정확한 개념을 정의하고 지역을 구성하는 데에 꼭 필요한 요소인 관공서에 대입함으로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과 더불어 대상지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그 곳의 건축물 외관에 사용되고 있는 색채를 분석하고 그것에 대한 색채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원시의 영통구와 팔달구를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고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공공기관인 구청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청은 지역발전을 위해 주민과의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그들의 생활을 돌봐야 할 의무가 있다. 이러한 역할을 가지고 있는 구청이 주민들에게 친근함이 있는 이미지로 다가갈 수 있고 또한 관공서 외벽의 주조색의 경우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색상을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주변 환경과의 조화 역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판단하고 친근함과 부드러움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어떠한 색상과도 모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Beige계열의 색상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역 아이덴티티를 나타내기 위하여 각각의 특성을 담은 Red Yellow Green Blue Brown계열 등의 강조색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색채계획은 지역 아이덴티티의 확립과 발전에 기여 할 것이다. Identity of landscape is show up about the images of region and cultural. And 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tourism industry. Recently the city itself is a brand so people do focus on increasing brand of city through the community development that using potential of city. Also colors of the urban landscape to improve the visual quality of the various elements are the most powerful visual el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definition of accurate idea about identity of region. And then it showing about analyzing the color and it sought to improve the color through an outer wall the district offices in Yeongtong-Gu and Paldal-Gu. A district office has responsibility that should take care of residents for development of region. So this study proposes beige color to main color of an outer wall of building for making image of friendliness and harmony of surrounding environment. Because a district office of outer wall design should consider both of other works that is taking care of residents and making harmony of surrounding environment at once. Beige is right color for that work. Also it suggests accent colors that include each local character for showing identity of region. Such as plan of color will be contribute to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region identity.

      • KCI등재후보

        뉴실버(New Silver)세대의 선호색채 연구 : 휴대폰 색상에 대한 선호도 중심으로

        여화선(Yeo Hwasun),서주환(Suh Joohwan),최정욱(Choi Jeongwook),김현영(Kim Hyun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서 실버세대의 특성을 이해하고 뉴실버세대의 색채 선호 특성을 휴대폰을 매개로 조사 분석하여 뉴실버세대의 감성과 기호를 탐지하고 뉴실버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제품의 디자인 제안시 그들의 감성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출시되고 있는'실버폰'의 색상을 조사하며 그들을 대상으로 남성과 여성을 집단으로 구분하여 선호색채를 조사·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뉴실버세대 남 ·여의 색상선호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남성 여성 모두 무채색을 좋아했고 남성은 퍼플블루(PB) 여성은 레드퍼플(RP)와 퍼플블루(PB)로 넓은 톤(tone)의 분포로 나타났다. 뉴실버세대 대상 선호 색채 조사를 통해 다양화된 뉴실버세대의 변화와 기호를 탐지 할 수 있었으며 뉴실버시장을 공략할 때 그들의 감성을 대변하는 색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뉴실버세대의 경우 색상 면에서는 무채색인 블랙(Black) 그레이(Gray or Silver) 화이트(White)과 유채색인 레드퍼플(Red Purple) 퍼플블루(Purple Blue)과 블루(Blue)을 선호하고 톤(tone)의 측면에서는 페일(Pale) 다크(Dark) 베리페일(Very pale) 라이트(Light)에서 높은 호감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휴대폰뿐만 아니라 다른 상품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준의 색상이 적용되어야하며 차후에도 심도 깊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ilver generations through the study of the literature to identify a sensibility and preference of a new silver generation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a color preference trait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in connection with a mobile phone and to propose it as basic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ir sensibility in case of proposing a product design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As a resul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reference by male and femal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color preference. That is both male and female prefer achromatic color and male is PB while female is RP and PB which shows a distribution of broad tones. A mobile phone which is customized for the elderly tends to focus on the functional aspect rather than diversification of colors in the aesthetic aspect. Therefore this study could identify diversified changes and preferences of a new silver generation through a research on color preferenc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and found that a color which can represent their sensibility would be necessary when targeting a new silver market. This study found that new silver generations prefer achromatic colors such as black gray (silver) and white as well as chromatic colors such as RP PB and B in the aspect of hue while they show a high degree of preference for'pale','dark','very pale' and'light' in the aspect of tone. In sum it is necessary to apply colors based on a new standard to other products in addition to a mobile phone and such application must be made in depth.

      • KCI등재후보

        문화의 거리 가로경관의 색채 현황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수원 나혜석거리를 중심으로

        여화선(Yeo Hwa Sun),서주환(Suh Joo Hwan),황지희(Hwang Ji He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1

        현대사회는 인간의 감성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와 인간을 연결해주는 통로로서, 사람들의 유기적인 관계가 일어나는 장소로서의 '문화의 거리'는 현대 도시의 중요한 외부 공간이다. 하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도시 가로환경은 경관의 통일성과 정체성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거리전체의 이미지를 좌우하고 인간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색채'의 분석을 통해 문화의 거리의 색채현황과 가로이미지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는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에 위치한 문화의 거리인 나혜석거리를 대상하였으며 건축입면, 옥외광고물, 가로시설물, 바닥포장의 색채현황과 색채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존의 나혜석 거리의 이미지와의 관련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문화의 거리 가로공간에 대한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해당 거리의 활성화를 위한 특색 있는 가로공간으로 정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With view of 5th dimentional concept, The human beings persuit emotional values in the con temporary space. And also the culture street is important exterior space, because connecting a city with people and linking human activities. But most streetscape today lacks the unity and identity. Therefor I worked on a color state and the street image by analyzing the color which has great impact on human psychology and street image.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eet Hey-seok Na located in Ingye-dong, Paldal-gu, Suwon City. And tri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nd the image and the street has now and the image the street used to have by analyzing the color state and the image of building facades, billboard, street furniture, surface pavement. This study will make people reconsider the value of streetscape and will give us indexes for revitalizing this street.

      • KCI등재

        도시 환경개선을 위한 상업가로의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여화선(Yeo Hwa-Sun),김신원(Kim Shin-Won),이유나(Lee Yu-Na)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5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colored plan of business street to improve urban environment, which was done through the exterior color of structures located around Seok-Chon Station. As concerns to improve the urban streetscape rise, various studies on the color design of urban facades are now taking place. One of the problems found is the exterior color of buildings around Seok-Chon Station as it did not form harmony between surrounding buildings and Seok-Chon Lake.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will grasp the problems on business street an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exterior color of structure in the city. Another focus is to establish and propose appropriate colored plan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to produce aesthetic and comfortable street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