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과 정신적 활동의 연관성

        여현철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치매를 포함한 인지장애는 의료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고, 정신적 활동을 통한 노인의 인지기능 감퇴를 막기 위한 시도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들이 실제로 참여하는 정신적 활동의 종류와 참여시간에 대한 기술적 자료를 제시하고, 정신적 활동과 인지기능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수원시 노인정신보건사업에 참여한 60세 이상 2217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신체적 질환 유무, 약물력,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노인성 우울척도(Korean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한국판 Beck 불안척도(Beck Anxiety Inventory) 등이 포함된 설문을 시행했다. 최소한의 신체적 또는 사회적 조건이 요구되면서 동시에 정보처리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11가지 항목의 정신적 활동을 선정하여 하루 평균 참여 횟수와 시간을 조사했다. 대상자들의 정신적 활동 총 참여 시간은 하루 평균 237.4±152.4분으로 나타났고, 남성이 여성보다 정신적 활동 총 참여시간이 높았다. 인지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나이, 성별, 교육연수, 만성신체질환의 총 개수, 우울, 불안을 보정한 후 정신적 활동과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텔레비전 보기, 책이나 신문읽기의 2개 항목과 정신적 활동 총 참여시간 만이 유의하게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정신적 활동 총 참여시간과 텔레비전 보기, 책이나 신문 읽기의 정신적 활동은 나이, 교육연수, 만성신체질환의 총 개수, 우울, 불안을 보정하여도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tatus of mental activity participa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mental activity and cognitive function after adjustment for depression and anxiety.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won Project, which was a cohort comprising of nonrandom convenience samples of ethnic Koreans aged 60 years and above. All the subjects completed the study questionnaire includ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urrent and past illnesses history, drug history, Korean versio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Korean version of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K), Beck Anxiety Inventory(BAI). We checked how many hours per day are used for each items of 11 mental activities through the checklist. Total time spent in 11 mental activities was 237.4±152.4 minutes per day.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tal time spent in 11 mental activities(MA-total), and time spent by watching television and reading book/newspap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K-MMSE score after adjustment with age, sex, education, chronic medical illness, depression and anxiety.

      •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수익성을 중심으로

        여현철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1999년 1월 종합유선방송법 개정은 SO, PP, NO간 상호겸영 허용, 복수 SO허용 등 케이블TV 산업 규제완화의 신호탄이 되었고, MPP와 MSO가 등장하였다. 2000년 방송법은 이전에 비해 더욱 더 규제완화를 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를 계기로 2001년 3월 PP 등록제가 본격 실시되었으며 신규 PP들이 대거 등장하였다. 허가제하에서 사업을 시작한 PP는 신규 등록PP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허가PP가 시장 초기 진입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선확보, 초기 SO런칭비 불필요, 높은 가입자 도달률을 통한 수입증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축적된 마케팅 노하우 및 환경변화 적응력, 등록제하에서 신규 진입한 PP에 비해 우세한 자본력에 따른 콘텐츠 충실화 등 후발PP보다 경쟁우위적 요소를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추세분석을 통해 나타난 또 다른 현상은 PP사업자간에도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다채널, 유료방송 시장에서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이유는 PP등록제로 인한 유통창구의 병목, 둘째, SO의 채널편성권 행사로 상대적 약자의 위치에 놓인 PP, 셋째, 중계유선방송의 SO 전환과정에서 전개되는 저가 가입자 위주의 출혈경쟁, 넷째, 독과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지상파방송 계열 PP의 뉴미디어 시장 대거 진입, 다섯째, MSO·MPP·MSP의 우월적 협상력과 개별PP·SO의 상대적 경쟁열위에 따른 힘의 불균형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상적 경쟁환경은 아니지만 사업중인 PP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새로운 PP가 시작되기는 그만큼 힘들다. 장르별 수익성의 차이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고 있다. 장르별 수익성의 경우 매출규모, 경쟁강도, 시장선발 진입자의 시장 장악력 정도, 콘텐츠 조달방법, 원가 구성, 시청률, 경영자의 능력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장르별 분석을 통해 발견된 점은 시장 선점효과가 장르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며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수평적 결합의 경우 내부 인력 및 자산, 브랜드 인지도 획득 용이, 채널 패키지를 통한 신규 채널 끼워 팔기 등의 장점을 확보할 수 있다. 수직적 결합은 SO와 PP간의 거래에서 발생하는 시장에서의 불확실성 및 양자의 거래비용을 감소시키는 효율성을 갖는다. 특히 MPP는 MSO에 대한 합리적 대응 체계이며, 공급자의 수평적 통합체계(MPP)와 수요자의 수평적 통합체계(MSO)는 협상력과 연계된다. MPP·MSO의 협상력 혹은 시장지배력의 증가는 경영 효율성의 증가와 경영성과 증대로 이어진다. 수평적 통합정도가 클 경우 SO 송출여부, 채널배당, 사용료, 계약 내용 등에 있어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 온미디어와 CJ미디어 계열 PP의 경우 실질적으로 SO에 대한 지분을 획득하여 송출창구를 일부 확보하였다는 점, 영화, 음악 등 시청률이 높은 장르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MPP의 수익성은 보다 개선될 전망이다. 대기업 계열 PP의 경우 모기업이 자본을 공급하는 준시장, 투자시장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들 간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는 조건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지상파방송 계열 MPP의 경우 사업 초기의 수익성 부진에도 불구하고 드라마, 스포츠 등 시청률이 높은 장르에 진입해 있고, 콘텐츠 지배력이 매우 높은 수준인 지상파방송 콘텐츠를 재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SO의 지분 취득을 통한 송출창구 확보 없이도 상당수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이며 실적 개선도 대폭 호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PP시장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PP는 홈쇼핑PP, 대기업계열 MPP·MSP 지상파계열 MPP, 허가제하의 PP가 대부분이며 프로그램 자체제작보다는 구매 중심의 사업을 하고 있다. PP의 자체제작 비율이 높거나 콘텐츠 품질이 우수하다고 하여 반드시 수익성이 향상되는 시장구조는 아닌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PP사업 활성화를 위해 수익성 제고와 국내 제작 비율을 높이는 정책방안이 요구된다. SO의 대역폭확대를 통한 병목해소, SO의 편성권 남용방지, 중고가 상품개발을 통한 PP수익 증대, PP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와 유통창구 지원, 공익적 PP의 제작지원 등 규제와 지원정책을 병행하여 PP의 이윤율을 제고하는 정책목표가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The revision of Cable Television(CATV) broadcast law in January 1999 was the true ignition of deregulation such as allowing cross ownership among SO(System Operator), PP(Program Provider), and NO(Network Operator) and in result, MPP(Multiple Program Provider) and MSO(Multiple System Operator) have appeared on the stage of CATV. The newly established Broadcasting law in 2000 was appraised as completing even more deregulation than ever before. Due to the new law, PP registration system has started and new PPs have come up in vast quantity. The PPs that have started the business under the umbrella of the government license shows higher financial performance(profit). It is because the early PPs are standing more competitive than the PPs that have entered the market later. Higher brand recognition due to preoccupying the market, no need of initial SO launching fees, maximization of the profit due to higher penetration rate, better adaptability in the changing market and know-how in marketing are some of the inferred reasons that early PPs are staying in better shape. Especially, struggles of the newly appeared PPs under the registration system have given the early PPs edge in capital and program contents. The analysis of the trend indicates that among the PP entrepreneurs, the richs get richer and the poors get poorer. There are five reasons that fair competition is not being practiced in the multi-channel and pay television market. First, the conversion of advancement of CATV PP industry from conventional permission system to registration system has created a neck of a bottle for PPs. Second, due to the SO's authority to organize channels, naturally fair competition becomes difficult for relatively inferior PPs. Third, in the process of conversion of ROs to SOs, some SOs have started incredibly low price channel tiering system. Fourth, three oligopolistic Network companies (KBS, MBC, SBS) are coming into the new media market. Fifth, the formation of MPP and MSO has given them a big edge in ability to negotiate with inferior PPs. As more PPs enter into the market, the entry barrier to the market will get higher.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financial performance in different CATV genres because numerous and complex variables work together for financial performance of CATV genres. They include total sales, degree of competition, the extent of preoccupying genre's market sharing, distribution of contents, price, program rating, and the ability of management. One factor that is clearly indicated in analysis of genre is that preoccupancy is critical and some entrepreneurs have built market power. In case of horizontal integration, MPP enhances existing business ROI(Return On Investment) through sharing manpower, finance, and infrastructure based on scale of economy and further more taking competitive edge against SOs by channel packaging with new channels and gaining brand recognition. It is also very efficient in reducing the transaction cost between SO and PP with lessened uncertainty in the market. Especially, MPP is a logical alternative to PPs for competing against SOs. The increase of negotiation or market power can be resulted in enhanced management efficiency and performance. When the degree of horizontal integration gets larger, PPs can stand in better position in the program fee, contract, organization of channels, etc. In case of On Media and CJ affiliated PPs, they have actually bought large sum of shares of many SOs which guaranteed them a definite window for their programs. Regarding the fact that they own popular genres channels such as film, music, and so forth that draw high ratings,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MPP will increase. In case of conglomerates affiliated PPs, the synergy effec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uch as a quasi-market which mother company provides the capital and becomes an investment market. For network affiliated MPPs, in the beginning, they struggled having made little progress in making profit; however, they have channels that have high ratings and they can reuse the contents they already possess. Considering such facts, without securing SO's shares, they can expect significant synergy effect, and eventually the performance is projected to turn out for the better. In the PP market, PPs that make profit are home shopping PPs, conglomerate affiliated, and the network affiliated, and their market behavior is purchasing programs oriented rather than making programs because in reality, although one has high quality program, it does not guarantee high profit. Therefore, in an attempt to develop the PP market,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PPs and domestic production rate must be uplifted. The policy goals such as increase of SO broadband to carry more channels, prevention of misuse of SO's authority to organize channels which would lead to increased program fees, protection of PP's copyright of contents, support of maximizing distribution window, etc. must be established to increase PPs financial performance.

      • 북한의 과학기술 교류·협력에 관한 연구 : 국제기구에 대한 북한의 입장과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여현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북한과 UN산하 과학기술관련 국제기구간의 교류·협력에 관한 연구이다. 북한과 과학기술관련 국제기구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북한과 국제기구들간의 교류·협력관계, 특히 북한이 어떤 입장과 이해관계에 토대를 두고 국제기구(UN산하 과학기술 관련)와 교류·협력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북한이 요망하는 가능한 교류·협력의 분야, 내용, 방식은 무엇인가, 그리고 교류·협력을 통해 북한이 얻은 성과는 무엇인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북한은 1970년대 이후부터 국제사회와의 교류·협력관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관계구축을 모색하였다. 특히 1973년에 세계보건기구(WHO)에 가입하여 ‘옵저버’(observer) 자격을 획득한 이후부터는 UN산하에 있는 수많은 국제기구들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경제재건을 위한 필수요건임을 인식하고, 국제기구 및 비정부기구들과의 과학기술 교류·협력을 모색해왔다. 이에 상응하여 국제기구들 및 비정부기구들은 북한체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자생적으로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지원을 해왔다. 이를 통해 국제기구들은 북한과의 교류·협력을 통해 가치 있는 경험을 축적하였고, 북한은 국제기구들 및 비정부기구들의 역할과 활동방식 등에 관하여 학습의 효과를 얻었다고 평가한다. 북한의 입장에서 국제기구들과의 교류·협력관계 특히, 과학기술지원을 통해 국가이익을 추구하는 것은 북한이 받아들일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 줄 뿐만 아니라 체제의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지 않고도 경제재건을 이룰 수 있는 하나의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 선호의 대상이 된다. 본 논문에서 북한과 UN산하 과학기술관련 국제기구간 교류·협력관계를 분석한 결과, 북한은 낙후되어 있는 기술과 생산시설들을 개발 또는 개선하고자 노력해왔다. 북한은 과학기술 분야(특히, UNDP와 UNIDO)의 교류·협력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북한은 UNDP로부터 농업, 산업인프라, 분석기계, 산업재산권, 기술 및 교육지원을 제공받았고, UNIDO로부터는 농업, 의식주, 산업 인프라, 제지, 의약, 산업 환경 및 유해물제거, 금속처리, 기술 인력훈련, 품질관리, 제도개선, 설비지원, 투자세미나 등의 지원을 통해 상당한 성과를 얻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implication)은 다음과 같다. 북한과 국제기구간의 교류·협력관계, 특히 북한에 대한 ‘개발지원’은 다른 분야의 그것과는 달리 정치적 문제의 발생소지가 적다. 또한 기술지원 협력의 성과달성에 기반이 되는 ‘산업 하부구조’(industrial infrastructure)를 구축하는데 분명히 도움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국제기구와의 교류·협력관계, 과학기술지원과 같은 ‘제한된 접근’(limited approach)을 통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교류·협력관계 구축은 북한에게는 경제적·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다른 국가들에게는 북한과의 교류를 통한 신뢰구축과 북한 내부 사정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기적으로 북한을 개혁·개방으로 유도하여,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한다. This study relates to an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 science technology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 science technology organizations is as follows. This study analyzes what kind of efforts North Korea is putting for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cience technology related organizations under the United Nations) based on what kind of situation and understanding, what are the fields, contexts, and methods of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that North Korea is aiming for, and what are the achievement of North Korea through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North Korea has tried to build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countries, having interests on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since 1970s. In particular, North Korea started to participate in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under the UN after obtaining the qualification as an observer by joining the WHO in 1973. North Korea recognized that a development of the science technology is an essential factor for economic development as it comes into 1990s, and has been seeking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of the science technology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ccordingl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have been helping North Korea with various supports which can help North Korea to develop their own security and efficiency. It is examined that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acquired valuable experiences through these activities, and North Korea has acquired various effects on the role and activity method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rom North Korea's point of view, it is favorable subject since pursuing the exchange, cooperation, and particularly the science technology support with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s not only providing an actual plan that North Korea can agree with, but also it can be another opportunity for North Korea to achieve economic development without an abrupt change in their syste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cience technology related organizations under the UN, North Korea has been trying to develop or improve their technology and producing facilities that are still fallen behind. North Korea is showing their interests on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science technology field (especially, UNDP and UNIDO). Based on this, North Korea have been receiving supports on various fields such as farming, industrial infrastructure, an analyzing machine, an industrial property right, technology, and education from the UNDP. Also, North Korea have been receiving supports on various fields such as farming, food/clothing/housing, industrial infrastructure, paper, medicine, industrial environment, hazardous removement, metal process, technology manpower training, quality control, facility support, and investment seminars, and thereby achieving actual outcome. An implication result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Unlike other fields,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relationship, and especially the support for North Korea on the development have less political controversies. Also, it is certain that it is definitely helpful for building industrial infrastructure that is a foundation of the outcome achievement of the technology support cooperation. Therefore, a systematic and a step-by-step building of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relationship through a limited approach such as the exchange &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science technology support is a method that North Korea can solve their economical and technological difficulties. Thus, it can become a method building trust through the exchange with North Korea and understanding information on internal matters in North Korea. Also, it can lead North Korea to reform and open themselves in a long term basis, thereby providing an opportunity that North Korea participates as a member of an international society.

      • 전시 납북자 가족의 생애사 연구 : 납북자 가족의 피해 경험을 중심으로

        여현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한국전쟁 시기 납북된 피해자의 생애사 연구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납북자와 그 가족에 대한 피해실태를 심층 분석하고, 역사사회학적 관점에서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국가폭력, 그리고 사회적 차별에 대한 진실을 규명하는 데 있다. 전시 납북자는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까지 한국 전쟁 중에 인민군 또는 북한에 동조하는 자에 의해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북으로 납치된 민간인이라고 정의한다. 한국전쟁 중 납북된 민간인의 수는 9만 명에서부터 12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납북자 피해 가족은 수백만 명이 태동하게 되었다. 이처럼 납북자 피해 가족들은 가족 간의 이별이라는 아픔과 함께 정부로부터 연좌제 적용 대상이 되어 이중적인 피해를 수십 년 동안 겪어야만 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피해사례를 파악하고, 이산가족 중에서도 가장 큰 아픔을 겪어야만 했던 전시 납북자 가족의 생애사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생애사 연구와 양적 연구방법인 코퍼스 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생애사 연구를 위해 우선적으로 77명에 대한 설문자료를 통해 피해의 규모 및 양상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후 납북피해자 가족들 중 30명을 선별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일대일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참여자들의 특성상 고령인 점을 고려하여 여러 번에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였고, 경우에 따라서 눈덩이 표집 방법도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역사사회학적 관점에서 범주적(categorical), 통합적(holistic), 담론적(discourse) 영역에서 분석하고, Mandelbaum(1973)의 차원(삶의 영역: dimension), 전환점(turnings), 적응기(adaptation) 이상 세 가지 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코퍼스 분석으로는 참여자들의 인터뷰 자료를 중심으로 핵심어의 빈도수를 분석하였고, 참여자들의 삶에 있어서 중요시 되어온 맥락들을 짚어보았다. 특히 앞서 연구된 질적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양적 연구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생애사 연구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과거 납북자 가족은 월북자와의 혼용 등으로 인해 납북자 가족이라는 이유만으로 사회 활동 중 다양한 제약과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납북자 가족의 발생 이후 북한에 협조했다는 오해와 우려, 그리고 자진 월북자라는 의혹으로 인해 연좌제의 대상으로 적용받게 됨에 따라 취업, 해외여행, 훈장, 공직진출 등 각종 권리와 기회가 차단되고 제한되었다. 납북자 문제는 북한에 의해 납북된 본인뿐만 아니라 남겨진 가족들과 주변인이 함께 연결되어 있는 역사적 산실(産室)인 동시에 해결되어야만 하는 사회적 과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납북규모와 현황 파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납북자 가족의 애환과 상처의 깊이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국가폭력으로 인한 납북자 가족의 피해 사례와 보상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합법적이라는 미명하에 자행된 국가의 폭력은 유가족을 몸과 정신을 멍들게 하였기에 이에 대한 보상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법・제도적 장치들이 부재한 상황이며 이와 관련한 연구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납북자와 그 가족들은 북한에 의해 1차적인 폭력을 당했으며, 남한의 ‘반공주의’ 담론에 의해 또 다른 2차 폭력의 피해를 당해왔던 것이다. 한 쪽에 의해 가족을 잃고, 다른 한쪽에 의해 감시당하는 삶을 살아왔던 전시 납북자 가족의 생애사를 통해서 국가폭력으로 빚어진 삶의 진실을 밝혀내고 그 피해는 어떠한 형태로 나타났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납북자 가족들은 먼저 6.25전쟁에 대한 인식보다 북한에 의한 가족의 납북 사실에 대해 더 주목하였고, 가족의 생사확인을 간절하게 원하고 있었다. 납북자 가족들이 고령화되어감에 따라 납북된 가족의 생사를 확인하는 것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가족을 잃은 슬픔에 더해 정부의 감시와 차별로 인한 암묵적인 폭력, 연좌제를 적용한 점에 대해 정부로부터의 사과와 명예회복을 원하고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시간의 흐름이라는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납북자 가족들의 감정 또한 분노에서 침묵으로, 침묵에서 원망으로, 원망에서 체념과 회한으로 바뀌는 모습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납북자’를 ‘피해자’라는 단순한 개념 범주 하에서 고찰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삶을 생애사적 관점에서 면밀히 추적함으로써 국가폭력의 다양한 양상을 밝힐 수 있었다. 납북자 가족들에게 연좌제는 국가에 의해서 자행된 국가폭력인 동시에 분단 상황으로 인해 짊어질 수밖에 없었던 사회적 편견의 멍에였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납북자 가족들은 분단국가에서 강요된 이데올로기에 의해 하위주체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납북자 가족들의 생애사는 한국전쟁이 남긴 우리민족의 상흔의 역사와 함께 했다. 납북자 가족들이 경험한 가족의 피랍(被拉) 및 이산(離散)의 상황은 극도의 공포와 분노로 전이되었고, 이러한 상황의 지속은 자신의 삶과 사회에 대한 침묵으로 이어졌다. 전쟁은 끝났지만 돌아오지 않는 가족의 그리움마저 사회적 시선과 제약으로 인해 표출할 수 없었고, 어디에서도 하소연 할 곳이 없었다. 이러한 삶의 구조 속에서 납북자 가족들의 침묵은 수십 년 동안 지속되었고, 가슴의 한(恨)으로 남아 있게 되었다. 이처럼 오랜 시간의 침묵은 원망과 회한으로 남아 삶의 질고(疾故)가 되어 있었다. 전후 산업화와 민주화시기를 거치면서 생계유지에 급급했던 납북자 가족들은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성장해가는 자식들에 대한 책임감으로 자신의 인생에 대한 체념으로 수용하고자 했다. 물론 이러한 특징은 국가폭력의 특성인 은닉성 차원에서도 재해석해 볼 필요가 있다. 납북자 가족들이 자신의 상처를 애써 외면하려는 경향에서 사실 관계를 자위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납북자 가족들의 감정 변화의 과정들을 통해서 전쟁과 가족의 이산이 남긴 심리정서적 트라우마의 잔재도 확인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납북자 가족들이 아동기에 경험한 전쟁 공포와 가족의 이별은 전쟁 트라우마로 남아 있게 되었고, 북한에 대한 적개심과 공포를 넘어서서 가족의 이별로부터 오는 심리적 압박을 안고 삶을 살아오고 있었다. 즉, 시간의 흐름 속에서 납북자 가족의 감정 변화는 전쟁 트라우마의 잠재적 연속이었다. 시간은 흘러 어느덧 납북자 가족들의 나이는 평균 80세를 넘기고 있다. 이들에게 있어서의 적응은 이제는 세상에 대한 적응이 아니라 인생에 대한 적응이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령의 납북자 가족들은 67년 전에 북에 끌려간 가족의 만남을 기다리고, 헤어진 가족의 소식이라도 알기 위해 또 기다리고 있다. 납북자 가족들은 6.25전쟁으로 인한 이산의 고통과 아픔을 국가가 기억해 주기를 간절하게 원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