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지연금제도 정립을 위한 농지가격 장기예측 방안 연구

        여창환(Yeo, Chang-Hwan),조덕호(Cho, Deok-Ho) 한국지역개발학회 2010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2 No.3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s that a farmland reverse mortgage system(FRMS) will be established in 2011 in the world for the first time. It liquidates the farmland assets of the rural elderly land owners, like the housing reverse mortgage which liquidates the housing assets of elderly homeowners in order to resolve the lack of living costs for the elderly far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the long-term forecasting method farmland price which is a key factor in establishing the model of farmland reverse mortgage. It uses an ARIMA and Monte Carlo Simulation method (Integrated model) to reflect the stochastic aspect which is included in the long-term land value forecasting. The farmland value forecasted with Integrated model shows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volatility of farmland price rate. The future higher value in the FRMS actuarial model results in the less default risk in the aspect of a FRMS lender. Its results show that the price of Jun(the land use of field for cultivating farm products) is higher than that of Dab(the land use of paddy field) in the deterministic estimation method. It concludes that the Integrated model which reflects the uncertainty and volatility in the long-term forecasting method is better than ARIMA, VAR, or deterministic method for the building the value forecasting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ong-term FRMS.

      • KCI등재

        역사공간 재생을 위한 지적원도의 유용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여창환(Yeo, Chang Hwan) 한국지적학회 2015 한국지적학회지 Vol.31 No.1

        본 연구는 역사 도시재생 정책이나 사업 추진과정에서 지적원도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 사례분석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적원도의 유용성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측면을 고려하였다. 첫째, 현대의 좌표체계와의 정합성 문제이다. 둘째, 점, 선, 면적인 역사환경의 분석 사례를 통해 지적원도의 유용성을 제시한다. 셋째, 기존 수치지형도 등 국가공간정보체계와의 연계가 가능한 지를 살펴본다. 분석결과, 지적원도는 현대적 측량기법으로 구축되었고, 조선시대 후기에서부터 일제강점기 기간까지의 도시형태와 구조를 파악할 수 있어 자료적 측면에서 가치가 높다. 또 현대의 국가공간정보체계와 통합이 용이하며 도시재생정책 측면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original cadastral map is useful for the establishment of historic urban regeneration policies. In the next three viewpoints, we propose an effectiveness of the original cadastral map in planning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1) the location coordinates calibration between the original cadastral map and modern digital maps, 2) an analysis results of the historical environments of points, lines and polygons based on overlay analysis in GIS, 3) integration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nd the original cadastral map. As the result, the original cadastral map built by modern surveying method can be transformed into modern projected coordinate system in brief. In addition to, this map include various urban informations of the urban form, structure and so on from the late Chosun dynasty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refore, the original cadastral map is very useful for urban generation policies.

      • KCI등재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의 적정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여창환 ( Chang Hwan Yeo ),장영진 ( Young Jin Ja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GIS 분석기법을 활용한 가시권 분석이 활발해 지고 있으나 분석결과의 정확도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가시권 분석방법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통해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있다.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은 분석 대상지의 특성, 수치지형도의 축척, 분석의 공간 해상도, 지형자료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도출되어 분석결과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공간 해상도가 낮아지면 가시권 분석결과의 면적은 넓어지고 유효 한계해상도보다 해상도가 낮아지면 분석결과의 면적은 불안정한 변화추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공간 해상도별 가시면적의 변화추이와 공간 일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분석 대상지와 수치지형도의 축척, 공간 해상도, 입력된 지형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결과가 상이하게 도출되어 분석결과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시영역이 산지 지형인 경우에서 안정적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또 입력되는 지형자료의 경우는 제한된 조건에서 TIN보다 레스터 자료에서 안정적인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해상도별 가시면적의 변화추이와 공간 일치도 분석결과에 비춰보면 축척별 수치지형도에 따른 유효한 최소의 공간 해상도가 존재하는데, 1/1,000의 경우는 8m, 1/5,000은 20m, 1/25,000은 35m를 넘지 않은 범위에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enhancing the accuracy of viewshed analysis through the explanation for an analysis method of viewshed analysis using GI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visible area using digital terrain in viewshed analysis depends on a visible interest area, scale of terrain, spatial resolution and surface data. In this study, we used trend analysis and RMSE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effect of a visible interest area, scale of terrain, etc in viewshed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viewshed analysis depends on a visible interest area, scale of terrain, spatial resolution, surface data such as previous studies. Second, the results in forest area are reliable than those of flat area in terms of a visible interest area. Third, the results based on raster grid data are stable than those of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in terms of input surface data.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rend and RMSE analysis, the spatial resolution for analysis is differently applied to different scales digital terrain map in viewshed analysis. In detail, it is desirable that the spatial resolution is set less than 10m(in the case of 1/1,000 digital terrain map), 20m(in the case of 1/5,000 map), 30m(1/25,000 map).

      • KCI등재

        농가가구주 연령대별 가구 특성 분석을 통한 농촌경쟁력 강화방안

        여창환(YEO. Chang- Hwan),심규원(Sim. Kyu-Won),조덕호(Cho. Deok- Ho) 한국지역개발학회 2009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1 No.3

        This study analyzes the farrners household characteristics by the age groups using ordered logit model in order to provide the ‘ icy altematives for promoting rural area competitiveness. It uses the fanners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the 2005 korea Agricultural Census Data. It anys the agricultura1 characteri stics. household and housing attributes, mdenti location characteristics by the fanners age groups in order to provide tailored policy a1tematives for promoting the rural area com야{itiveness according ω age groups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analysis note thal lhe farrners age is highly related with lhe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fanning activities. residential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older farrners are relativeJy αr groups due to the lower prc잉ucti v ity and smaller farming scale. Moreover‘ it also notes the geographic differences in tenns of the far age groups and their incomes in the local autonomies of Gyeongbuk Provinces. These results can provide Lhe lailored policy altematives according to the age groups and geogralic location of each local autonomy in order ω promole the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of rural area

      • KCI등재

        아파트의 사회적 자본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여창환(Yeo, Chang-Hwan),조덕호(Cho, Deokho),신민식(Shin, Min-Sik) 대한부동산학회 2016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4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전통적인 헤도닉 모형에서 설명하지 못했던 개별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자본 변수를 고려하여 아파트 가격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때 아파트간 입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통계적 오류를 개선하기 위해 공간시차모형(spatial lag model)을 적용하여 아파트 가격결정 모형을 구축하였다.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써 전통적인 헤도닉 모형에 포함되는 독립변수와 더불어 개별 아파트에 해당되는 고등학교의 수준과 아파트 건설 회사의 브랜드 가치를 정량화하여 독립변수에 포함시켰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공간시차모형의 설명력이 전통적인 헤도닉 회귀모형보다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적 자본변수들은 일관성 있게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아파트 가격 요인을 파악함에 있어서 기존 헤도닉 모형의 독립변수와 더불어 사회적 자본과 관련된 변수를 포함하여 모형을 개선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individual apartment prices. In order to do so in this research, spatial lag regression model in the spatial econometrics models has been applied to improve problems on spatial autocorrelation that can’t be fixed in the traditional hedonic price regression model. Especially, social capital variables such as social network of high schools and the apartment construction firm’s brand have been involved as independent variables with physical variables of individual apartment and the variables concerning access to public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model fit of SLM(spatial lag model)has been better than that of OLS considering the various statistical indicators. Second, the variables concerning social capital have highly affected individual apartment prices. It means that social capitals should be consider as determinant factors for apartment value. In addition, the various variables on social capital that might affects the apartment price should be included in housing survey.

      • KCI등재

        GIS를 활용한 도시개발과 기반시설의 합리적 연계

        여창환 ( Chang Hwan Yeo ),김재익 ( Jae Ik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0 No.4

        도시성장관리는 도시개발의 위치와 시기를 조절하여 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향하는 정책이다. 도시기반시설은 도시성장관리의 핵심관리대상으로써 미국의 경우 대표적으로 도시서비스구역(urban service boundary), 공공시설의 충분성 및 동시성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관리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반시설의 관리를 위하여 밀도관리구역과 기반시설부담구역 제도를 도입한 바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도시기반시설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반시설용량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없이 도시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기반시설의 용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반시설용량지도를 작성하여 이를 다시 주상복합아파트 개발과 연계함으로써 도시성장관리 측면의 적용 가능성을 검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로와 초등학교를 대표적인 기반시설로 선정하고 기반시설용량 지표로서 도로율과 초등학교 학급당인원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계산결과를 관련 법령에서 정하거나 권장하고 있는 수준의 용량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도로율은 외곽지역과 도심, 도심과 인접한 지역에서 높게 나왔고, 반면, 소규모 공장이 입지한 공업지역, 공원, 공항, 군사시설 등이 있는 지역에서 낮게 나왔다. 초등학교 수용용량은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며 그중 농촌지역, 도심과 기성시가지 지역은 용량이 충분하였고 반면, 주택밀도가 높은 아파트 지역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반시설용량과 주상복합아파트개발 입지를 중첩하여 분석한 결과, 대구광역시의 경우 대부분의 주상복합아파트가 기반시설용량의 여유가 있는 지역에 입지하여 과밀개발의 가능성이 낮았으며, 인구측면에서도 인구감소지역에 개발되어 어느 정도의 인구유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Urban infrastructure is a core of urban growth management which concerns with location, time and costs of development. Despite an inevitable link between development density and infrastructure capacity in urban areas, little study have been performed. For this reason, development activities are undergone without any clear evidence or analysis. The main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build subject maps of urban infrastructure capacity which illustrate the level of education service and road capacity, and to give reference standard for development decision at given location. For these purposes, the case study of the high-rise multi-purpose buildings in Daegu metropolitan city is performed. The main findings are follows. First, road ratio is high in the CBD and its surrounding areas as well as rural area, and low in areas of manufacturing, parks and military use. Second, educational facility,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student per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 is fairly abundant across the city, especially in the CBD and rural areas. Third, the high-rise multi-purpose buildings have been built in population-losing infrastructure-abundant areas, in genera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high-rise multi-purpose buildings may induce population-inflow and have low possibility to bring about overly dense developments.

      • KCI등재

        공간자기상관을 활용한 농촌지역 인구 고령화의 공간적 확산 분석

        여창환 ( Chang Hwan Yeo ),서윤희 ( Yun Hee Seo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7 No.3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현상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농촌지역의 인구 고령화가 도시지역보다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인구 고령화에 관련한 정책이나 연구들은 농촌지역보다 주로 도시지역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고령화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일깨우고, 나아가 지역 맞춤형 인구 고령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농촌지역의 인구 고령화 수준을 미시적으로 제시하고 인구 고령화 현상의 공간적 확산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읍면 단위의 농촌지역에 따라 인구 고령화 수준과 공간적 확산 패턴이 각각 다르게 분석되었다. 둘째, 고령화의 시공간적 확산 측면에서 인구 고령화 지수가 높으면서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지역(High-High, hot spot 지역)과 지수가 낮으면서 집중되어 있는 지역(Low-Low, cold spot 지역)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 맞춤형 인구 고령화 정책, 특히 농촌지역의 인구 고령화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Korean population is aging rapidly and a disproportionate share of older people(aged 65 and older) lives in rural areas. The rural population is aging more rapidly than the population in urban area. However, the majority of studies on aging population focuses on an urban area rather than a rural area. Rural areas have been alienated from the priority of the national policy.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is to show the level of population aging and to analyze the spatial spillover patterns of aging population in rural areas for the establishment of localized policy on population aging.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opulation aging varies in different localities such as socio-economic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Secondly,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hot spot region(clustering of high aging index) and cold spot region(clustering of low aging index) in spatio-temporal spillover patterns.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n useful information to establish the area-specific policy on aging population through the results of analysis.

      • KCI등재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한 도시성장모형의 개발과 대도시권 도시성장관리의 정책적 시사점

        여창환(Yeo, Chang Hwan) 한국지적학회 2016 한국지적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도시기본계획 등 도시성장관리정책의 개선점을 제시하기 위해 장래 시가화지역을 예측하 였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장래 시가화지역을 예측하기 위해 공간자기상관의 문제가 개선된 도시성장모형을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공간자기상관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통계적 에러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독립변수에 공간변수를 포함시켰고, 모형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에서 분석자료의 수를 샘플링하여 추정했다. 그 결과, 공간자기상관의 정도를 나타내는 moran’s I 계수도 양호해졌고, 전반적으로 모형의 설명력도 개선되었다. 장래 시가화지역 예측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성장관리정책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도시와 주변지역을 동시에 고려하여 장래 토지수요를 추정해야 한다. 둘째, 장래 시가화지역의 규모, 위치, 개발시기를 결정할 때 합리적인 기준 또는 근거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a policy implications on current urban growth management through urban growth model reducing spatial autocorrelation error. This study adopt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generate maps on urban growth probability. To reduce spatial autocorrelation error in urban growth model. we estimated logistic regression model involved spatial coefficients in independent variables and reduced data size through random sampling. As estimation results, moran’s I which measured spatial autocorrelation was decreased considerably from 0.306 at full data set to 0.190 at sample data. In order to prove the rationality of the consolidated urban growth management, the future urban growth which illustrates location, time, and size of development is predicted by the urban growth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emphasize on the importance of the consolidated urban growth management which consider metropolitan city and its hinterlands simultaneously in planning and policy making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 two kinds of policy implications - land use regulation and urban planning. The land use regulation should be more flexible to the stage of urban development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ttract more development in indigenous urban area. National planning act and other planning-related laws must be revised in order to control land development more smart. The higher level of land use planning institute such as METRO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manage land development more effectively in the integrated manner.

      • KCI등재

        도심의 가구특성과 도심주택시장 : 대구광역시 사례연구

        김재익(Jae-Ik Kim)ㆍ여창환(Chang-Hwan Yeo) 한국주택학회 2008 주택연구 Vol.16 No.4

        도심쇠퇴현상은 거의 모든 대도시에서 목격되는 도시현상이다. 많은 도시에서 도심재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철저한 분석과 연구를 하지 않으면, 정책적 노력이 항상 성공을 거둘 수 없다. 본 연구는 도심지역과 관련된 가구를 기존의 거주자, 신규 전입자 그리고 도심을 떠난 도심이탈자 세 집단으로 나누고 그들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심주거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도심주택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의 장기거주자는 자가를 보유한 고령의 저학력, 영세 자영업자들의 비중이 높다. 둘째, 도심신규전입가구는 미혼이거나 식구수가 적은 고학력의 젊은 봉급생활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셋째, 도심을 이탈하는 가구는 생애주기상 자녀양육의 의무가 있는 가구로써 앞의 두 집단의 중간적 특성을 보인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도심으로 신규로 전입한 가구와 도심을 떠나는 가구의 특성을 극명하게 대비시킴으로써 도심공동화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수립에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decline of urban core is global phenomenon in modern era. As the most popular policy choice against the decline, many local governments try to revitalize the urban core area. However, policy efforts to solve the problem may not always successful due to poor analyses and researches. This study examines household characteristics in urban core area by their residential location preferences and derives housing market characteristics which suggest some useful policy implications in the case of Deagu metropolitan city. The household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 indigenous residents, central city movers (gentrifiers) and suburban move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residents can be summarized as old, less educated, self-employed or the owner of small business in the CBD. Second, the central city movers are characterized as young, single or newly-married, highly-educated salary men. They prefer short commuting than amenities available in the suburbs. Third, suburban movers are found to be middle-aged households with relatively larger family siz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housing services for central city mover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attract more people into the central city.

      • KCI등재

        도시 근린공공시설의 서비스수준의 공간적 격차 분석

        김재익(Kim. Jae-Ik),여창환(Yeo, Chang-Hwan),정현욱(Chung. Hyun-Wook),서안나(Seo, An-Na) 한국지역개발학회 200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17 No.1

        This paper eva1uates the service level of the neighborhood public facilities in Daegu city through the GIS buffering ana1ysis. Among many public service facilities, three representative facilities such as post office, police box and branch office of loca1 government are selected and ana1yzed. Fi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various sources -basic statistica1 unit data from the Nationa1 Statistica1 Office, digita1 maps from the Nationa1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field surveys when necessa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tells us that the service level is good in and around the centra1 district and poor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in genera1. The service level a1so varies by housing type - high in single detached housing areas and low in apartment housing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