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충동성, 불안과 피부뜯기 행동과의 관련성

        여선경 서울사이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청소년이 나타내는 피부뜯기 행동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러한 행동이 학업스트레스,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충동성, 불안과 관련된 정도 및 예측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2월부터 3월까지 서울, 경기 지역 초등학교 2곳과 중학교 4곳의 일부 학급을 대상으로 피부뜯기 척도 개정판(SPS-R), 학업스트레스 척도,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척도, 한국어판 충동성 척도(BIS-11), 상태-특성 불안 검사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52명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무선 응답과 누락 문항이 포함된 42부를 제외한 410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0.0으로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주요 변인과 피부뜯기 행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후 피부뜯기 행동 수준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각각의 집단이 보이는 특성을 t 검정을 통해 검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주요 변인들의 피부뜯기 예측력을 중다회귀분석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 대상 중 66.8%는 피부뜯기 행동을 해 본 적이 있다고 보고하였고, 5%는 현재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피부뜯기 행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부뜯기 행동은 학업스트레스, 충동성, 불안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피부뜯기 행동 상위 집단은 하위 집단에 비해 더 높은 학업스트레스, 불안, 충동성을 보고하였으며 부모 양육태도를 더 부정적으로 지각하였다. 넷째, 학업스트레스,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충동성과 불안 중 피부뜯기 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불안과 학업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의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여선경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피부뜯기 장애는 자신의 피부를 반복적으로 잡아 뜯고, 이를 멈추고 싶어도 멈출 수 없는 장애로 2013년 새로 개정된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5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DSM-5)에서 강박 관련 장애로 새롭게 진단 체계에 들어 온 장애이다. 우울 등의 정서 장애와 공병률이 높고 치료도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소 이질적인 특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의 피부뜯기 행동을 차원으로 접근하여 측정하는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를 번안하여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Korean version of the Milwaukee Inventory for the Dimension of Adult Skin Picking; K-MIDAS)를 개발하고 심리측정 도구로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해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의 저자 Walther, Flessner, Conelea와 Woods 중대표 저자인 Woods의 동의를 받은 후 연구자와 영어와 우리말이 능통한 심리학 석사 및 박사 과정생 5명이 1차 번역하였다. 이 후, 영어가 능통한 임상심리 교수 1인의 검토 과정과 이중 언어자의 역번역 후 감수를 거쳐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의 최종본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는 차의과학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19년 10월~11월 한 달 동안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학생 표본 A의 212명과, 표본 B의 28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 한국어판 단축형 강박 증상 목록, 한국판 역학 연구 우울 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 등의 척도를 가지고 온라인 설문 조사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는 ‘정서 조절적 피부뜯기’, ‘충동 반응적 피부뜯기’, ‘자동적 피부뜯기’의 3요인 구조가 지지되었으며 적절한 수준의 모형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우수한 수준의 내적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양호한 수준의 수렴타당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뜯기 행동의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정서 조절적’, ‘충동 반응적’, ‘자동적’ 차원에서의 피부뜯기 행동은 각각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정서 조절 차원에서의 피부뜯기 행동은 강박 행동, 상태 불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동 반응차원에서의 피부뜯기 행동은 강박 행동, 우울과 관련이 있었다. 반면 자동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피부뜯기 행동은 정서를 제외한 강박 행동만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밀워키 성인 피부뜯기 차원 척도가 한국에서도 심리 측정 도구로서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lthough skin picking disorder was formally codified as an obsessive-compulsive-related disorder in 2013, there has been a little research about skin picking disorder or skin picking scal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d investigate its psychological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ilwaukee Inventory for the Dimension of Adult Skin Picking, K-MIDAS. K-MIDAS is a self-reported scale which assess the style of skin picking style with 12-items. With the sample of 492 adults, Exploratory Factor Anaysis(EFA),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SE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re explored to investig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K-MIDAS has a three-factor structure-‘mood regulated’, ‘impulsive reacted’, and ‘automatic’- which was not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version, but consistent with Italian version. Also the data showed that K-MIDAS has a good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All three factors are related with compulsive behaviors. The ‘mood regulated’ pick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anxiety and the ‘impulsive reacted’ pick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depression, while the ‘automatic’ picking was not related any ofn them.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the K-MBPQ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scale, which can be widely used in Korea as a useful tool for conducting clinical assessment and providing aid in treatment. Keywords : OCRDs, skin picking, Korean version of the Milwaukee Inventory for the Dimension of Adult Skin Pick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Secondary metabolites analy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nine Mentha spp.

        여선경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composi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volatiles extracts was investigated in the aerial parts of nine different Mentha species, including M. piperita, M. pulegium, M. spicata, M. longifolia, M. aquatica, M. suaveolens, and M. × piperita (two hybrids). In addition, we reported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using extracts obtained from these plants. Various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epicatechin, p-coumaric acid, ferulic acid, benzoic acid, rutin, trans-cinnamic acid, quercetin, kaempferol, and rosmarinic acid were characterized in Mentha plants by HPLC. Of these, rosmarinic acid was found to be abundant in most of the plants. In addition, 77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otal, including 13 monoterpenoids and 19 sesquiterpenoids. In particular, monoterpenoids, such as eucalyptol, (±)camphorquinone, and menthol, were generally detected as major constituents in Mentha species. The species were collected and extracted with different solvents and screen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ix pathogenic bacteria and for antioxidant activity. The ethanol extracts of the species showed higher activity than other solvent extracts (methanol, hexane, diethyl ether). Among the species, choco mint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l bacteria. In addition, ethanol extracts of the species were analyzed in a reducing power assay and DPPH assay, and for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Horse mint showed higher reducing power activity than the other mints, and pine mint had lower activity. In the DPPH assay, horse mint (88.6 ± 1.6% at 100 µL/mL) had higher activity than the other species. Hydrogen peroxide radical-scavenging activity was highest in horse mint ethanol crude extract at 76.2 ± 0.3% at 100 µL/mL. 본 연구에서 아홉 가지의 Mentha 종 (M. piperita, M. pulegium, M. spicata, M. aquatic, M. suaveolens, 그리고 두 가지의 M. x piperita hybrid)의 지상부를 이용하여 phenolic compound와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와 항균 작용을 비교하였다. 다양한 phenolic compound를 확인하였는데, 그 종류에는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epicatechin, p-coumaric acid, ferulic acid, benzoic acid, rutin, trans-cinnamic acid, quercetin, kaempferol, 그리고 rosmarinic acid를 HPLC를 통해 구분하였다. 그 중에서도 rosmarinic acid가 모든 Mentha종에서 가장 많이 축적되었다. 총 77가지의 휘발성분이 나타났으며 13가지의 monoterpenoid, 19가지의 sesquiterpenoid가 포함되었다. 특히 eucalyptol, (±)camphorquinone, menthol과 같은 monoterpenoid가 Mentha 종에서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다. 6가지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작용을 각각 다른 용매로 추출한 extract로 screening 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물이 methanol, hexane, diethyl ether와 같은 다른 용매들 보다 효과적이었다. 9가지 Mentha 종 중, choco mint가 모든 박테리아에 억제 능력이 가장 뛰어났다. 에탄올 추출물로 reducing power assay, DPPH assay, hydrogen peroxide scavenging을 분석하였다. 다른 Mentha 종에 비해 horse mint에서 가장 높은 reducing power activity를 나타내었고, pineapple mint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DPPH assay와 hydrogen peroxide radical scavenging 작용에서는 horse mint가 100 μl/ml의 농도에서 각각 88.6%, 76.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