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인걸전> 속 複數의 주체와 그 의미

        엄태웅(Eom, Tae-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40 No.-

        본고는 고전소설이라는 장르가 단일한 작가에 의한 불변의 작품이 아니라, 전승을 통해 여러 층위·시대의 향유자들의 문제의식이 지층처럼 쌓인 작품이라는 점을 전제로 하여, <장인걸전>의 권지상과 권지하의 내용에 나타나는 콘텍스트의 차이를 통해 이 작품의 전승 양상을 재구하였다. 전승 과정에서 향유자의 콘텍스트로 수용되는 양상은 단일하지 않다. 직접 작품의 일부 내용을 바꿔 변화를 시도하기도 하고, 기존 내용을 그대로 둔 채 새로운 시대인식을 기반으로 새롭게 해석하기도 한다. 권지상에서 이러한 변모가 나타나는데, 전자의 경우는 ‘동해·경성·征東’ 등 근대적 징표가 될 만한 단어들을 삽입함으로써, 후자의 경우는 惡을 퇴치하는 서사의 양상을 근대적 맥락에서 이해함으로써 가능했으리라고 본다. 반면 권지하는 근대적 해석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변개 혹은 새로운 이해가 불가능했으리라고 본다. 20세기 초 <장인걸전> 향유자에 의해 이러한 이해가 가능했던 이유는, 조선후기에 명의 대리자로서의 자존의식을 보여주는 서사가 근대적 주체의 식의 서사로, 민담적 상상력으로 여우를 퇴치하는 서사가 약육강식의 근대적 논리로 이해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This paper reconstituted the transmission of <Jang-in-gul-Jeon>, through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volume & the second volume. Such a reasoning could be established because in Korean Classic novel there are not sole author but many people of transmission. The aspects of transmission are various. The one is changing directly in novel text suitably expressed as reader’s mind, the other is understanding as a reader’s mind though it’s not (in other word, interpret the novel after his/her own fashion). In <Jang-in-gul-Jeon>, there are both aspects of transmission as a modern trend in first volume. The replacement of modern words and autonomous words, for example ‘dong-hae(east sea, 東海)’, ‘kyoung-sung(京城)’, ‘Jung-dong(征東)’ is the former, Taking context of medievalism for a modern context is the latter. The reason why <Jang-in-gul-Jeon> could understand like this by readers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近代啓蒙期)’ readers accepted the context of Sinocentrism as a sense of sovereignty & the imagination of folktale as the law of the jungle. The bottom line is that readers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近代啓蒙期)’ accepted the context of Korean classic novel as the modern context.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紀異)」 <수로부인(水路夫人)>의 서술 의도 -<성덕왕>과의 관련성을 전제로-

        엄태웅 ( Tae Ung Eom )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6

        본고는 『삼국유사』가 서사적 성격이 강한 역사서라는 전제 하에, 그리고 전후 이야기가 긴밀한 상관성을 갖고 있다는 전제 하에, 「기이」의 구성적 특성과 <성덕왕>에서 언급한 성덕왕대에 대한 인식을 분석틀로 삼아 <수로부인>에 접근했다. 「기이」는 국가별·왕조별 신이한 체험을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록들이 대개는 국가적 차원의 문제와 관련이 되어 있다. 이러한 면에서 성덕왕 시절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수로부인> 또한 그 신이한 요소가 국가적 차원의 문제와 닿아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어서 <성덕왕>을 통해 단서를 추출했다. <성덕왕>에는 백성들에 대한 구휼의 기록과 함께, 국가적 위기를 해결하고 왕권을 강화하려 했던 성덕왕의 업적이 부각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성덕왕>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수로부인>도 국경 지역의 위기 상황을 타개하고 중앙 집권을 강화하기 위한 서사로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수로부인>에서는 공통의 적대 세력에 의해 중앙 권력과 토착 세력이 화합하는 양상이 드러났다. 그 과정에서 수로부인은 유력한 존재이며 신이한 존재인 자신의 면모를 발휘하면서 화합과 갈등 해결에 기여한다. 결국 『삼국유사』의 편찬자는 <수로부인>을 <성덕왕> 기사에 이어 배치함으로써, 수로부인의 면모를 성덕왕대의 유력한 인물의 행적으로 부각하고 싶었던 것이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organization and formation of chapter 「Kiyi(紀異)」,『Samgukyusa(三國遺事)』. And then paid attention to meaning and concerning between the clause <Seongdukwang(聖德王)> and the clause <Surobuin(水路夫人)>, because these two clauses are based on the same period, the 33th King of Silla(新羅), Seongduk-wang. As a result, there were clues in <Seongdukwang> which can guess the meaning of <Surobuin>. Clues could be found in the three points. First, clause <Seongdukwang> commemorate the memory of the 29th King of Silla, Muyeol-wang(武烈王), was named Kim Chunchu(金春秋). It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strengthen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king, like Muyeol-wang. Second, clause <Seongdukwang> emphasized that Seongduk-wang was held the Buddhist religious rituals for resolving conflicts thereamong marginal states. It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tried his best to stabilize the Silla. Third, clause <Seongdukwang> mentioned that Seongduk-wang made a highest public position Sijung(侍中), even though it is different from the truth. It also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strengthen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king, because Sijung symbolized the power of king. So, by going through clause <Seongdukwang>, this thesis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clause <Seongdukwang> was written for describing Seongduk-wang as a powerful king and Sills as a safe country. Therefore <Surobuin> s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vein.

      • KCI등재

        『삼국유사』 「기이」편과 바다

        엄태웅(Eom, Tae-U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8

        This article focused on the documents that is concerned with ocean, the chapter 「Kiyi(紀異)」 in 『Samgukyusa(三國遺事)』. And purposed on the finding the meaning of the ocean in the documents" narrative, for example, why and how were oceans used in this chapte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documents that is concerned with ocean were concerned with the Silla(新羅) Dynasty, and there were three features. First, the ocean is the route of the existence of sacred being. By the way, these routes do not simply mean ocean"s way. These routes take on active part in the movement of holy being through the ocean, from one land to another land. Second, the ocean is the existence of sacred being who watched over the land of Silla Dynasty or the holy place that they lived in. The holy beings based on the ocean spread their wings, in case of protecting Silla Dynasty from enemy of outside of Shilla territory 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internal trouble. Third, the ocean is the place which remarkable persons showed the appearance and ability, and did their best for Silla Dynasty. They had Silla nationality, and on the ocean, they displayed dedication for Silla Dynasty. In summary, the period of Silla, people of Silla had positive awareness and fulfilled with a feeling of expectancy about the ocean. We can find this conclusion in chapter 「Kiyi」, 『Samgukyusa』.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hat transfer the attitudes and opinions from the land and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Koguryo(高句麗), Baekje(百濟), Silla) to the ocean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when we research about the Silla Dynasty. And we have to be interested in another chapters in 『Samgukyusa』 except「Kiyi」, so have to understand the awareness about 『Samgukyusa』, Silla Dynasty, Silla people.

      • KCI등재

        <옹고집전> 두 이본의 서로 다른 문제의식 - 박순호30장본과 김삼불본을 대상으로 -

        엄태웅 ( Eom Tae-ung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4 No.-

        진짜 옹고집의 악행은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을 수 있는 것이기는 해도 법적으로 처벌을 받을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진가쟁주라는 사건이 등장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서술자나 향유층은 옹고집과 같이 반사회적이고 반인륜적인 인물을 징벌하고 싶지만, 실제 현실에서 공적으로 그런 인물을 처벌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 그래서 가짜 옹고집을 등장시켜 법정에 세우고 그를 공동체로부터 축출하였다. <옹고집전>의 이본들은 이러한 서사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이를 통해 문제 삼고 개선하고자 했던 바는 이본마다 차이가 있다. 박순호30장본과 김삼불본은 <옹고집전> 이본의 서로 다른 문제의식을 잘 보여준다. 박순호30장본은 사람들에게 인색한 모습을 옹고집의 주된 악행으로 보았다. 이에 이 이본에서는 옹고집의 고난과 징계, 그리고 뉘우침이 사회적 차원의 문제와 결부되어 진행된다. 반면 김삼불본은 부족한 효심을 옹고집의 주된 악행으로 보았다. 이에 이 이본에서는 옹고집의 고난과 징계, 그리고 뉘우침이 가족적 차원의 문제와 결부된다. 이를 통해 <옹고집전>의 이본들이 유사한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보편적인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도, 각기 다른 세분화된 방향으로 자신만의 문제의식을 구체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 Onggojip-jeon >, the appearance of a fake and the strife between real and fake are far from the stinginess and undutifulness that is original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work. Nevertheless, it is because the evil act of the Onggojip is an ethical issue, so it can be grasped socially, but it can not be legally punished. The narrator and the readers, in order to punish the antisocial and anti-human characters such as Onggojip, brought out a fake Onggojip and forced him out of the community, so that the real Onggojip regretted his mistake. Most of version in < Onggojip-jeon > is similar in that it has such a narrative structur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is method and the method that we tried to solve. Park Sun-ho version(thirty papers) and Kim Sam-bull version of < Onggojip-jeon > show different consciousness of different problems of < Onggojip-jeon >. Park Sun-ho version(thirty papers), the writer saw the stinginess of the people as the main evil act of Onggojip. In this way, the hardship, discipline, and repentance of Onggojip are connected with the problems of the social dimension. On the other hand, the Kim Sam-bull version, the writer saw the lack of filial piety as his main evil. In this case, the hardship, discipline, and repentance of Onggojip are associated with family matter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versions of the < Onggojip-jeon > shares a common problem consciousness based on similar narrative structure, but also shapes his or her own problem consciousness in different subdivided directions.

      • KCI등재

        김광순본(金光淳本) <구운몽>을 통해 본 ‘<구운몽> 판소리 계열 이본군(異本群)’ 성립(成立) 가능성(可能性)

        엄태웅(嚴泰雄) ( Eom Tae-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4

        이 論文은 『金光淳 所藏 筆寫本 韓國古小說全集』 9권의 <구운몽>(以下 金光淳本 <구운몽>)을 통해 ‘<구운몽> 판소리 계열 異本群’ 成立의 可能性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金光淳本 <구운몽>은 申在孝 집안이 소장했던 것으로 보이며 내용상 판소리의 色彩를 강하게 보여준다. <구운몽> 異本 중에는 先行 硏究를 통해 歌辭體로부터 주된 영향을 받았으며 부분적으로 판소리 문체의 영향을 받았으리라 추정되던 3종의 異本이 있다. 그 외에도 이들과 유사한 성격의 異本이 2종 더 있다. 이제 이들을 한데 묶어 ‘<구운몽> 판소리 계열 異本群’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金光淳本 <구운몽>이 판소리적 변화를 견인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구운몽> 판소리 계열 異本群’의 존재를 통해 우리는 古典小說 享有와 創作의 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異本은 善本에 비해 결함이 많은 혹은 不備한 존재가 아니라, 새로운 이야기의 가능성을 潛在하고 있는 다른 이야기이다. 古典小說의 享有와 創作을 논할 때, 새 작품 創作과 더불어 異本 生成의 樣相을 좀 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the establishment of ‘Pansori version group of < Ku-un-mong >’, through < Ku-un-mong > in 9th volume of the manuscript of Kim Kwang-soon’s collection of Korean old novels(hereafter). Kim Kwang-soon’s < Ku-un-mong > appears to have been owned by the Shin Jae-hyo family, and the contents show the color of pansori strongly. Among the manuscripts of < Ku-un-mong >, there are three versions that were mainly influenced by the Korean old lyric genre Ga-sa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were presumed to have been partially influenced by the style of pansori. In addition to these, there are two more version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Now, we have to group them together and understand them as ‘Pansori version group of < Ku-un-mong >’. It is presumed that Kim Kwang- soon’s < Ku-un-mong >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pansori change. Through the existence of ‘Pansori version group of < Ku-un-mong >’, we can get a glimpse of the enjoyment and creation of old novels. Different version is not an existence with many flaws or lacks compared to the original, but a different story that has potential for a new story. This is why, when discussing the enjoyment and creation of old novels, it is necessary to look more carefully at the aspect of the creation of a new work as well as the creation of a different version.

      • KCI등재

        세책본 영웅군담소설의 서사 지향 - 기존 연구 고찰을 중심으로 -

        엄태웅 ( Tae Ung Eo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5 No.-

        본고는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되어 있는 세책본 영웅군담소설을 중심으로 하여, 세책본이 공유하고 있는 공통의 서사적 지향이 있는지, 있다면 어떠한 서사를 지 향하는지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인물의 영웅적 면모가 부각 되는 .남정팔난기.와 .이대봉전., 환몽구조를 갖추고 있는 .구운몽.과 .옥루몽., 일반적인 영웅군담소설의 부류에 해당하는 .장경전.과 .현수문전.을 대상으로 하 여, 이들 작품의 세책본 이본이 동일 작품의 여타 이본과 어떠한 서사적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를 참고하고 작품별 세책본의 특징을 고찰한 후 종합해본 결과, 세책본 영웅군담소설은 동일 작품 이본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였다. 첫째, 무엇보다 핵심적인 변화로 군담이나 영웅 서사보다는 결연 이나 가문 서사가 중시된다. 둘째, 결연이나 가문 서사가 중시되는 가운데 첩의지위나 처첩의 위계를 강조하여 중세 가족 질서 이데올로기를 충실히 따른다. 셋째, 환몽구조로 된 작품의 경우 환몽구조가 균열을 일으키며 속세의 부귀영화를 긍정하는 방향으로 주제 의식이 변화한다. 넷째, 삽입 한시, 장회 제목, 表文, 科詩 등에 잦은 오류가 확인된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세책본 영웅군담소설은 군담이 나 영웅 서사보다는 결연이나 가문 서사를, 중세적 가족 질서의 해체보다는 유지 를, 탈속적 가치관보다는 세속적 욕망을 긍정하는 방향으로 작품의 축이 다소간 이동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세책본 유통의 과정에 서울 지역의 여성 독자들이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이라는 추정을 하였다. In ``The Oriental Library`` in Tokyo, Japan, there are many ``Korean classical heroic martial novels for lending``(Se-chack-bon) in Seoul, Korea, in premodern.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mon narrative orientations in the Korean classical heroic martial novels for lending circling around the The Oriental Library collection. <Nam-jung-Pal-nan-gi>, <Yi-dae-bong-jeon>, <Goo-un-mong>, <Ok-roo-mong>, <Jang-kyung-jeon>, <Hyun-soo-moon-jeon> which were all producted for lending, had been studied for this research. As a result, Korean classical heroic martial novels for lending had four characteristics. First, they were interested in narration about love or family rather than narration about war or hero. Second, while being interested in narration about love or family, they regarded order of rank of ``wife and concubine`` as important. It means that they were bothered about patriarchal system in medieval times. Third, they overlooked the structure of empty dream or dreamfantasy. So they long for the wealth and honor in the the mundane world. Fourth, they made some writing fails. Judging from them, Korean classical heroic martial novels for lending, prefered the narration about love or family, patriarchal system in medieval times, earthly desires. From them we could make a guess that these novels were related women in the upper classes in Seoul, Korea, in premodern.

      • KCI등재

        택민국학연구원 총서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유일본 및 희귀본의 문화재적 가치와 소설사적 의의

        엄태웅 ( Eom Tae-ung ) 택민국학연구원 2021 국학연구론총 Vol.- No.27

        택민국학연구원 총서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에는 유일본 14종과 희귀본 8종이 수록되어 있다. 유일본은 <윤선옥전>, <수륙문답>, <유생전>, <승호상송기>, <양추밀전>, <사명당행록>, <명비전>, <어득강전>, <정각록>, <장선생전>, <추서>, <제읍노정기>, <순금전>, <오일론심기> 등 14종이며, 희귀본은 <왕낭전>, <명배신전>, <서해무릉기>, <최호양문록>, <임시각전>, <다람전>, <장현전>, <마두영전> 등 8종이다. 여기서는 이들 작품을 간략히 소개하며 어떠한 이유에서 유일본 및 희귀본으로 분류되었는지 언급하였다. 그리고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외에도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에 여전히 유일본과 희귀본으로 분류될 수 있는 작품이 많이 있음을 주장하기 위해 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의 문화재적 가치와 소설사적 의의를 밝혔다. 개성적 이본이 많은 우리 고소설의 특징을 언급하며, 유일본과 희귀본은 물론이거니와 그 외의 작품(이본)들도 이본이 여러 종 있을 뿐 모두 같은 것이 아니라 각기 다른 개성적 면모를 지니고 있음을 환기하였다. 그리고 보존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contains 14 unique and 8 rare editions. The former is < Yoon-seon-ok-jeon >, < Soo-ryook-moon-dap >, < Yoo-saeng-jeon >, < Seung-ho-sang-song-gi >, < Yang-choo-mil-jeon >, < Sa-myeong-dang-haeng-rok >, < Myeong-bi-jeon >, < Eo-deuk-gang-jeon >, < Jeong-gak-rok >, < Jang-seon-saeng-jeon >, < Choo-seo >, < Je-eup-no-jeong-gi >, < Soon-geom-jeon >, < O-il-lon-sim-gi >, the latter is < Wang-nang-jeon >, < Myeong-bae-shin-jeon >, < Seo-hae-moo-reung-gi >, < Choi-ho-yang-moon-rok >, < Im-si-gak-jeon >, < Da-ram-jeon >, < Jang-Hyeon-jeon >, < Ma-doo-yeong-jeon >. Here, we briefly introduce these works and mention why they were classified as unique or rare. In addition to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a case was presented to assert that there are still many works that can be classified as unique or rare in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s』. Through these works, the cultural value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novel were revealed.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our classic novels with many individual versions, and point out that there are several types of works(versions) which are considered unique or rare, and have different individual aspects. The necessity for the preservation of these types of works was once again confirmed.

      • KCI등재

        동양문고본 세책 <구운몽>의 서사적 지향과 주제적 특징

        엄태웅 ( Eom Tae-ung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0 No.-

        이 논문은 동양문고 소장 세책 <구운몽>이 지니고 있는 독자적인 면모에 주목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처럼 <구운몽>의 이본 중에서도 특히 상업적 목적으로 간행된 이본들은 독자적인 면모를 구축하기 위한 흔적이 확인된다. 세책 <구운몽>의 개성은 서사적 지향에서 확인되며, 이는 주제적 특징과도 연결이 된다. 세책 <구운몽>의 서사적 지향을 살펴본 결과, 이 이본은 남성주인공이 폄하되거나 난처한 상황에 처하는 장면을 포함시키지 않으려는 경향, 처와 첩에 대한 위계적 시선을 견지하려는 경향, 가족이나 가문과 관련한 서사를 중시하는 경향 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성은 세책 <구운몽>이 가문 구성원의 위상과 역할에 부합하는 서사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세책 <구운몽>의 주제적 특징 또한 서사적 지향과 무관하지 않았다. 서사적 지향을 토대로 볼 때 세책 <구운몽>의 생산자와 수용자는 가부장제의 질서를 긍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들의 세속적 가치 지향이 주제에도 반영되어 <구운몽> 본래의 주제를 흥미로운 형태로 변형시킨 것이다. 이 이본은 그 주제를 인생무상의 차원으로 축소시키는 한편, 작품의 맨 마지막에 양소유 일가의 후일담을 넣어 속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비일관성은 세책본 향유층의 바람과 원망을 드러냄으로써 세책본 향유의 실상을 파악하는 데 기여하였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narrative and theme of rental < Ku-un-mong > which is one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 Ku-un-mong >. Generally researchers regarded different version as a means of research for finding best version. But this paper aimed at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version rental version.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in narrative. First, the situations that made man(Yang So-yu) embarrassed are disappeared. Second, cognizing differences between his wife and concubine. Third, being interested in the narrative about family. These characteristics changed direction of rental version's narrative that expanded family narratives. And these characteristics also had influence on the theme of rental version. Through the theme of rental version, we could find that class of enjoyment answered in the affirmative about patriarchal system, so their preference cut cross the theme of rental version. Rental version set limits the theme to frailty of human life, meanwhile inconsistently revealed worldly success through the way that brought Yang So-yu into the end of the story though he was already had disappeared. Through these information, we could understand the actuality of enjoyment of rental version and rental books.

      • KCI등재

        완판본 <구운몽>의 인물 형상과 주제 의식

        엄태웅 ( Tae Ung Eom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2

        이본은 선본을 확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본 그 자체로 독자적인 면모를 지닌다. 그렇기에 이본은 해당 작품군의 향유 범위와 양상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표지이다. 지금까지 완판본 <구운몽>은 <구운몽>의 비선본 계열로 분류되어 작품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으나 선본 계열과 비교해본 결과 나름의 서사적 지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인물 형상의 측면에서 완판본은 선본 계열인 서울대본에 비해 남성주인 공인 양소유의 효심이 강조되고 영웅적 면모가 부각되는 반면 여성주인공들의 서사적 위상이나 역할은 약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완판본 <구운몽>이 서사적으로 양소유를 보다 더 중요한 인물로 인식하고 양소유 쪽으로 서사의 축을 이동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징은 <홍길동전>, <장풍운전>, <소대성전>, <용문전>, <조웅전>, <이대봉전> 등 여타 작품의 완판본에서도 공히 포착되는 ‘완판본의 특징’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주제 의식을 살피기 위해 환몽구조의 각몽 부분을 살펴본 결과, 완판본의 각몽 부분에서 불교적 색채가 대부분 제거되고, 성진이 불교적 수행의 주체가 아니라 그저 가르침을 받는 존재로만 형상화 된 것이 확인되었다. 주제도 空 사상이 아닌 인생무상·일장춘몽이었다. 즉. 특정한 이념이나 종교에 귀속되지 않으면서도 세속적 욕망에 대한 경계를 제대로 드러낼 수 있는 결말을 고민하는과정에서 이와 같은 내용이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완판본 <구운몽>은 향유층의 이해와 요구를 반영하여 선본 계열과 다른 미감을 구현한 독자적 면모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copy of a different edition not only exists for the means that determines the best version, but also exists for the purpose itself. And furthermore it will be the important sign that estimates the territory and aspect of the group of one literary work. Until now the edition wanpanbon <Ku-un-mong> couldn``t get a good write-up in the researches of different editions about <Ku-un-mong> because it wasn``t evaluated as best version. But it takes it``s own line. First, in terms of characters, it emphasizes his devotion to his parents and heroic appearance of the male character Yang-so-you, whereas weakens the status and role of the female characters. These facts attest that edition wanpanbon <Ku-un-mong> moved the axis of narration to Yang-so-you. Such orientations appear other wanpanbon classical novel, <Hong-gil-dong-Jeon>, <Jang-pung-un-jeon>, <So-dae-seong-jeon>, <Yong-moon-jeon>, <Jo-ung-jeon>, <Yi-dae-bong-jeon>, and so on. Second, in terms of subjects, it disappears the tone of Buddhism, so Seong-jin is portrayed as a person who is not a man of religion but just requests the enlightenment. And ultimate message does not connect to the idea of Gong[空] in the Diamon stura but the frailty of human life. Namely edition wanpanbon <Ku-un-mong> did not want to belong to particular religion or ideology, and it wanted to tell the truth of human life. Through the foregoing statement, we can make an affirmation that the different editions have their own narrative and ident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