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형제가 있는 비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엄인숙 영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형제가 있는 비장애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이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비장애아동의 억압된 부정적 정서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비장애아동의 긍정적인 자기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를 질적,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지적장애동생이 있는 비장애아동으로 초등 6학년 여학생 2명이다. 2011년 9월 15일부터 2011년 11월 24일까지 주 2∼3회, 총 27회기로 매 회기당 60∼90분씩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질적 분석방법으로 Miles와 Huberman의 매트릭스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자기표현과 스트레스 유발요인, 치료적 요인, 효과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보조평가도구로 자기표현행동척도, 스트레스척도, 스트레스대처능력척도, 빗속의 사람그림검사를 사전, 사후, 추후에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아동의 적절한 자기표현을 방해하고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들은 학업적 스트레스, 가정적 스트레스, 또래관계, 억압된 감정표현, 부정적 자기개념의 5가지 요인, 14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적 요인은 내담자, 치료자, 매체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화과정에서 살펴본 효과 요인은 긍정적 자기개념 획득, 가족간 의사소통 개선, 부정적 감정표현 및 해소, 자기표현력 향상의 4가지 요인, 9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척도에 의한 양적 결과에서는 두 아동 모두 자기표현행동, 스트레스, 스트레스대처능력 점수가 사전에 비해 사후점수가 향상되었고, 특히 적극적 자기표현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미술치료를 통해 비장애아동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과 치료적 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미술치료가 장애형제가 있는 비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년과 노년을 중심으로

        엄인숙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types of the leisure activities and the social supports which affect depression of middle ages and old ages positively. to achieve this purpose, prac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313 of middle ages and 275 of old ages who reside i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The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10.0.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or middle age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isure activities as the populational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varies. Second, analysis results of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the social supports of middle ages using the populational sociological variables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all the social supports for middle ages. Third, among the effect of the leisure activities on depression, the viewing, the social activities and the sports activities reduced depression hence these activities affect depression positively. Forth,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subordinate variables which affect depression positively shows that all subordinate variables of the social supports have no effect on depression of middle ages. Fift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amount of effectiveness of the leisure activities and the social supports of middle ages on depression shows that among the leisure activities, the viewing and the social activities, the sports activities are the factors of decreasing depression of middle ages. additional analysis which includes variables for subordinate factors of the social supports also shows that the social viewing impressions activities and the sports activities affect depression positively. For old ages, First, the populational sociological variables analysis results of the leisure activities of old ages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isure activities.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the social supports of old ages using the populational sociological variables shows that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social supports which affect depression of old ages positively are the appraisement support and the emotional support. Third,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leisure activities which affects depression of old ages positively shows that the sports activities and the viewing impressions activities affects depression positively. Indoor amusements which are static and mainly done in the house are found to be the depression increasing leisure activities as the result shows that the inactiveness is the increasing factor of depression of old ages. Forth,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subordinate factor variables which affect depression positively shows that the appraisement support and the emotional support affect depression positively.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al support is the factor that increases depression. Fift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amount of effectiveness of the leisure activities and the social support of old ages on depression shows that among the leisure activities, the viewing impressions activities, the sports activities are the factors of decreasing depression of old ages. The leisure activities which affect the depression negatively were found to be the indoor amusements and the inactiveness. additional analysis which includes subordinate factor variables of the social support shows that the emotional support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e social activities, the viewing impressions activities affect depression positively in the order named. Integr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of middle ages and old ages suggests that not only aspects of economic status, but also aspects of physical well being should be considered in the old aged life design. for positive way of life, it is necessary to interest in leisure activities and deliberate on which types of leisure activities affect middle ages and old ages depression positively. also, for successful old age life, preliminary socialization of the leisure activities which should be prepared in one's early days is necessary and these preparation will have great effect on the sound leisure activities of old ages. The leisure activities has an effect of relaxation and recovering the will to live, and give an opportunity of self discovery, so that it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to conclude,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and extension of various kinds of leisure programs should be emphas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uggests that the old age leisure activities and the social support affect depression positively.

      • 발달지연 유무에 따른 영아의 특성(K-ASQ 수행 및 기질)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양육 스트레스 및 자기 효능감) 비교

        엄인숙 울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PSKC: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자료 중 3차년도(2010) 자료를 사용 하였다. ‘한국형 Denver Ⅱ’ 발달선별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발달지연 영아와 정상발달 영아를 선별하였다. 영아의 특성 중 발달은 K-ASQ수행, 기질은 EAS기질 척도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중 양육 스트레스는 김기현과 강희경(1997)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 효능감은 PSID-CDS Ⅱ에서 사용된 Pearlin Self-Efficacy Scale을 수정·번안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PSKC)의 3차년도(2010년) 자료의 총 표본 1,802명의 영아 중 ‘한국형 Denver Ⅱ’ 발달 선별검사가 완료된 1,770명의 영아이다. 발달지연을 보이는 영아 186명과 정상발달 영아 중 186명을 무선 선별하였다. 조사 대상자 중 발달지연 영아의 평균 월령은 26개월이고, 남아 117명, 여아 69명이이다. 정상발달 영아의 평균 월령은 26.3개월, 남아 117명 여아 69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연 영아와 정상발달 영아의 K-ASQ수행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발달지연 영아의 K-ASQ수행 점수가 정상발달 영아의 K-ASQ수행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발달지연 영아와 정상발달 영아의 기질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발달지연 영아 어머니와 정상발달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발달지연 영아 어머니와 정상발달 영아 어머니의 자기 효능감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영아의 K-ASQ수행과 영아의 기질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영아의 K-ASQ수행의 의사소통과 기질의 사회성은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고, K-ASQ수행의 소근육 운동과 개인/사회성은 기질의 정서성과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여섯째, 영아의 K-ASQ수행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양육 스트레스, 부적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영아의 K-ASQ수행의 개인/사회성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고, 부적 자기 효능감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양육 스트레스, 부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의 기질 중 정서성은 양육 스트레스, 부적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 중 활동성은 양육스트레스와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여덟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의 부적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이미 수집되어 있는 한국아동패널자료(PSKC: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중 3차년도(2010년)의 패널 자료를 분석하였다는 점을 전제로 논의 할 필요가 있다. 패널 자료는 최소한의 문항으로 변인을 측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러므로 패널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측정 도구 선정 시 문항수의 제약이 따랐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패널 자료를 사용한 연구가 가지는 동일한 한계를 고려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종속 변인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측정에 사용된 도구가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개발된 도구이므로, 해외의 패널 연구들과 상호비교하기가 어렵다. 이는 한국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전반적 수준에 대한 비교·문화적 분석을 하기에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구축된 국가 수준의 신생아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층화다단계표집을 통해서 한국 영아 어머니 모집단의 대표성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발달지연 원인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가 대부분 의학적인 관점에서 진행된 데 반해, 어머니의 심리적인 변인차이를 알아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발달지연 영아의 어머니와 정상발달 영아의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차이에 대한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영아의 발달심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 및 영아기 발달지연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발달지연, 영아기질, 양육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엄인숙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right way for senior welfare of Korea surveying the influence of knowledge and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 generated through contact with old people. Th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372 students enrolled in the universities which are located in Daegu and Kyeongbuk of Korea. Firstly in results, there was the mean difference in the attitude for old people according to sex. Especially, the students who have the religion were more positive for old people. Secondly, the mean difference in the knowledge for old people was also shown according to sex, and the religious students have more advanced knowledge for old people than students without the religion. Thirdly, in contacting old people, the education related with gerontology influenced university students to have familiar attitude. Fourthly, the students, who had lived with an old person in the same house or usually had the relationship with some old persons, had positive mind for the knowledge on old people. Moreover, the education or volunteer experience for old people affected the knowledge for old people affirmatively. Finally, we could conclude that more knowledge on old people make students be more affirmative. Namely, the knowledge level and attitude of students for old people can be changed positively through the education on old people and senility. Based on these results, for having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be positive toward old people, the number of liberal arts on old people has to be increased for them understanding old people. In addition, young generation must be educated to withdraw prejudice on the attitude and knowledge for old people and to cope with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o old people. In particular, the education for effective interchanges and contacts between generations is needed because such frequent and intimate behavior was required in an aging society. Such education will be a foundation for us preparing an aging society. Furthermore, understanding old people will be prepared as contacting with them through voluntary work and family in the local society. Lastly, the negative recognition for old people has to disappear as bring their positive side into relief through the mass media. For the future study, the research with selecting variously characterized sample subject is demanded, and the development on the scale relate with the attitude for old people must be carried out. Moreover, various educational chances for geratology such as lifelong education and liberal arts on old people have to be offered. In additi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and program development relevant to old people have to be perform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접촉경험과 지식이 노인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연구함으로써 노인복지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현재 대구․경북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 37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서는 성별에 따라서 평균의 차이가 있었으며, 종교가 있는 대학생들이 노인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은 성별에 따라 평균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종교가 있는 대학생들이 종교가 없는 대학생들보다 노인에 대한 지식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노인과의 접촉경험에서는 노인관련 교육경험 유무가 노인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접촉 경험과 지식에 있어서는 노인과의 동거경험이 있는 대학생들과 평소 아는 노인이 있는 대학생들이 노인에 대한 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노인관련 교육경험과 노인에 대한 자원봉사 경험 또한 노인의 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들의 노인의 관한 지식이 많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으며, 노인 및 노화에 관한 교육을 통해 노화에 관한 지식을 향상과 노인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대학의 교양수업에서의 노인관련 과목의 비중을 늘려서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세대 간의 차이를 해소해야 할 것이다.노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에 대해서 적극 대처해 나가려면 젊은이들에게 노인에 대한 태도와 지식에 편견을 갖기 않게 교육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노령화 사회에서는 세대 간에 보다 빈번하고 긴밀한 접촉이 요구되기 때문에 세대 간의 효율적인 접촉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는 노령화 사회의 대비에 가장 초석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노인관련 자원봉사활동 및 가족 속에서의 노인과의 접촉경험을 통하여 노인을 이해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중매체에서 노인의 긍정적인 모습을 부각시켜 더 이상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명확하게 규명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대상자에 대한 연구 및 노인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변화에 미치는 노인과 관련된 교양 교육 및 평생교육 차원에서의 다양한 교육의 제공이 있어야 할 것이며, 노인과 관련된 여러 가지 프로그램개발 및 다방면의 양적․질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내용 스키마 활성화가 한국어 독해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재미 교포 청소년을 중심으로

        엄인숙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create a reading program that uses diaspora literary works to activate the content schema so that Korean–American learners can read Korean in an interesting manner and then apply it to classes to analyze how it affects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affective domain and examine its effect. Reading is an understanding process that occurs when text and readers interact with each other. This also appli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econd- and third-generation Koreans who do not speak their native language despite being Korean. However, the environment for improving the reading ability of Korean–American youth is relatively limited, and the imbalance between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is a problem. Accordingly, the effectiveness of a reading education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address the reading education problem of Korean–American adolescents will be evaluated. Chapter I discusse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explores previous research on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youth. The chapter also examines research on reading education using diaspora works and education methods that activate the schema.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programs for Korean–American youth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examined in detail. The theories of content schema and diaspora are also discussed, and the value of this paper as a research tool has been considered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theory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affective domain are provided. Chapter III describes the program development for this study. First,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program, and research problems were performed. In Chapter IV, the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program effectiveness of this study are given. The study verified the research subject, tool, and analysis method using technology.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cusing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attitude.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 and post-reading comprehension evaluation sheets to find out how the Korean reading education program that activated the content schema affected reading comprehension, both groups improved their post-reading evaluation scores in the reading area. In particular, through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reading class of the schema activation group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than the simple reading-oriented class of the general class group. Based on this, an interview was conducted to draw conclusions on active Korean reading and increasing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Korean literary works.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content schema-activated Korean reading education program influenced the affective attitude, a questionnaire was analyzed to find out the pre- and post-affective attitudes of the schema-activated group. The affective attitude toward Korean reading was generally positive, and the general class group was rather reduced, indicating that the schema activation program was relatively more effective than the general class program in improving the affective domain of Korean–American youths. Based on this, the interview concluded that interest and confidence in reading Korean through various strategies were raised. Upon examining how classes using diasporic literary works affected the content schema activation and general class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schema activation group experienced a more positive effect, with improved scores in the areas of interest and usefulness, compared to the general clas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in-depth results of schema activation, and it was concluded that it contributed to improving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increasing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Korean literary works, facilitating active reading of Korean, increasing interest in reading Korean through various strategies, raising confidence in reading Korean, and improving interest in Korean society and culture. Chapter V describ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terms of significance, first, a content schema activation reading program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merican learners. Secon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the actual situation of reading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child learners was identified, 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ading education were considered. Accordingly, a reading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which activated the content schema by selecting diasporic literary works as a reading tool to discover the limitations of the reading education offered to Korean Americans and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Korean-American learners are limited in their selection because they have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living abroad.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ly to present instructional plans.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used an online platform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conduct actual classes, analyze how the reading class that activated the content schema affects Korean–American learners, and derive the results. Second,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content schema activation reading program,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responses of interviews based on the analysi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affective domain and derived the diversity of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interest, understanding, ability, and interest in Korean reading. By concluding that Korean reading interest increased through various strategies and confidence in Korean reading in the affective domai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ation of the content schema positively affected Korean reading and affective areas. However, due to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the conclusions cannot be generalized. Furthermore, the program of the general class group comprises relatively simple programs, whereas the program of the content schema group involves various strategies; this functions as a limiting factor in the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the two groups. Therefore, more advanced and comprehensive research must be conducted by involving more learners and systematic schema activation programs to continuously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s, including those living overseas. 본 연구는 재미 교포 청소년(Korean-American) 학습자가 흥미 있게 한국어 읽기를 할 수 있도록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읽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장 수업에 적용하여, 독해력과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며 그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읽기는 텍스트와 독자가 서로 상호 활동을 하며 이루어지는 이해 과정이다. 이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재미 교포 2‧3세대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재미 교포 청소년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하기에는 그 환경이 매우 제한적이고, 구어 능력과 문어 능력 간 불균형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재미 교포 청소년들의 읽기 교육 문제를 완화시켜 줄 읽기 교육 프로그램을 디아스포라 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으며, 연구의 목적에 대하여 재외 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디아스포라 작품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스키마를 활성화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와 교육 방안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읽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 재미 교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교육을 통해, 첫 번째로 재미 교포 청소년을 위한 읽기 프로그램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내용 스키마에 대한 이론과 디아스포라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며 본 논문의 읽기 프로그램 설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세 번째로 독해력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이론을 통해 연구 도구로서의 가치를 이론적 배경을 통해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해 기술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 프로그램 목적 및 구성, 연구 문제, 프로그램 내용 및 절차로 진행되었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 효과 검증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 방법에서는 연구 대상, 연구 도구, 분석 방법에 관해 기술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에서는 독해력과 정의적 태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은 읽기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에 관해 기술하였다. 먼저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한국어 읽기 교육 프로그램이 독해력 분석 결과, 읽기 영역에서는 스키마를 활성화한 집단의 독해력이 더 향상되었으며 내용 스키마 활성화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한국어 읽기 교육 프로그램이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본 결과, 스키마 활성화 집단의 경우 전반적으로 한국어 읽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가 긍정적이며, 반면에 일반 수업 집단은 오히려 감소되는 결과를 통해, 스키마 활성화 프로그램이 재미 교포 청소년의 정의적 영역의 향상에 있어서 일반 수업 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디아스포라 문학 작품을 활용한 수업이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집단과 일반 수업 집단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본 결과, 일단 수업 집단보다 흥미와 유용성 영역에서의 점수가 향상된 내용 스키마 활성화 집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키마 활성화 영향에 대한 심층 결과 분석을 위해 진행된 인터뷰를 통해, 한국어 읽기 이해 능력의 증진, 한국어 문학 작품에 대한 이해와 관심도 상승, 능동적 한국어 읽기, 다양한 전략을 통한 한국어 읽기의 흥미도 상승, 한국어 읽기에 대한 자신감 고취, 한국 사회 및 문화에 대한 관심도 향상에 대한 기여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미 교포 학습자의 특징을 반영하여 내용 스키마 활성화 읽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선행 연구와 이론 연구를 통해 재외 동포 아동 학습자들의 읽기 교육에 대한 실정을 파악하였으며, 읽기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이에 재미 교포들을 위해 제시되는 읽기 교육의 한계를 발견하고 이들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읽기 도구로 디아스포라 문학 작품을 선정하여,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읽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재미 교포 학습자는 해외 거주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학습자 선정에 제한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수업 방안 제시에 한정되어 진행된 연구가 많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지역적 한계점을 극복하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며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읽기 수업이 재미 교포 학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둘째, 내용 스키마 활성화 읽기 프로그램 진행 후 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독해력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분석과 인터뷰의 응답을 분석하며 한국어 읽기의 관심, 이해, 능력, 흥미 등에 대한 개별 변인의 다양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수가 적어 논의에 대한 결론을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프로그램 제시에 있어 다양한 전략으로 구성된 내용 스키마 집단의 프로그램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프로그램 위주로 구성된 일반 수업 집단의 프로그램 제시가 두 집단의 비교 유효성에 제한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재미 교포를 비롯한 재외 동포의 향상된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더 많은 학습자와 체계적인 스키마 활성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더욱 흥미롭고 발전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