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日本의 對北韓 認識 變化에 따른 經濟 制裁의 施行

        엄승표 북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Japan has inflicted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ince missiles launch and nuclear test.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hard line policy has taken any effect or not. Major trade partners of North Korea such as China and South Korea do not take part in the economic sanctions. Additionally, North Korea has been already enduring blockade from the United States for nearly 50 years. It is obvious that North Korea has not changed a position about kidnapping incidents of Japanese nationals in spite of various pressures. Japanese economic sanction against North Korea was considered in favor of following public opinion. Most of media in Japan reported sensationallyto focus on kidnappings by North Korea rather than historic summit between Japanese Prime Minister Koizumi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eongil. Especially, Japanese opinion against North Korea is based on the activities of kidnapping association supportedby anti-North Korean intellectuals in Japan. Japanese government passed the measure of independent economic sanctions in advance without multilateral agreement. Thorough reinvestigation into Japanese kidnapping incidents is precondition to lift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ccordingly, it is contradictory with the origin of economic sanctions which is military threat from North Korea. Independent economic sanctions eventually brought relation with North Korea into deadlock. Japan rejected energy assistance to North Korea as a compensation of denuclearization process which was agreed among 6 parties. Moderate Prime Minister Fukuda negotiated with North Korea as a part of Asian diplomacy. However, Japanese public opinion was reluctant to simultaneous action between partial ease of economic sanction against North Korea and reinvestigation of kidnapping inciden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Japanese government take an initiative to lead public opinion as Koizumi tried to negotiate with North Korea. 현재 일본은 사실상의 금수 조치와 금융 규제 그리고 이동 제한과 같은 전방위의 대북 경제 제재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자력 갱생을 추구하는 북한의 폐쇄 경제 체제에서 일본의 경제적 영향력은 제한적이며 중국과 한국이 참가하지 않는 일본의 단독 제재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납치 사건의 재조사에 있어서 북한이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은 일본의 강경책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증명한다. 일본이 대북 경제 제재를 단행하였던 배경에는 일본 국내의 여론이 중요한 작용을 하였다. 과거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에 관심을 가졌던 좌파 지식인들은 탈냉전을 거치면서 세력이 위축되었다. 일본 경제의 고도 성장에 따른 중산층의 형성은 보수 정당의 핵심 지지 기반이 되었으며 거품 경제 붕괴 이후의 불황은 일본 국민들의 위기 의식을 자극하였다. 소련 해체 이후 일본은 북한을 안보적 위협으로 인식하고 언론은 북한 때리기에 동조하였다. 일본의 대북 경제 제재는 미사일 발사와 핵 실험을 계기로 시행되었지만 해제의 조건은 납치 사건의 해결이라는 점에서 모순을 가지고 있다. 과거와는 달리 일본의 대북 제재가 국제 공조에 기반하여 실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북일 관계의 개선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은 6자 회담의 핵 폐기 진전 과정에 따라 북한을 테러 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였지만 일본은 납치 사건의 해결을 강조하면서 에너지 지원을 거부하였다. 미일 간에 대북 정책을 둘러싸고 갈등이 표면화되면서 일본에서는 민주당까지 추가 제재안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 정부는 여러 가지 제약 속에도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하였다. 아시아 외교를 중시하는 온건파 후쿠다 내각에서는 북일 국교 정상화 실무 회담에서 납치 사건의 재조사와 대북 제재의 일부 해제에 합의하였지만 대중 여론의 반발에 실행에 이르지 못하였다. 대북 경제 제재가 일본 국민의 여론 대응에 따라서 실시되었기 때문에 북일 관계의 개선을 설득할 수 있는 내각의 성립으로 주도권을 발휘하여 현재의 경색 국면을 타개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 메이커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엄승표 부산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 of maker education on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ung Pyo, EOM Major in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DongWon, Le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erging maker education o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s of each subdomain of creative personality. It is also to provide basic research materials for making maker education in the preferred direc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creative personality test for 24 third graders of M elementary school, the Northern Educational Support Office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e maker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ighth class. First, maker educ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The average of the experimental personality improved by .23 from 2.78 to 3.01,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p <.05 level with the t = -6.23 as a result of the pre-post t-test. Second, maker educ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task obsession', 'curiosity', 'openness of thinking' and 'risk risk'. As a result, 'task obsession' improved by .45 from 2.63 to 3.08 on average, 'Curious' increased by 2.14 from 2.68 to 2.82, and 'openness of thinking' increased from 3.02 to 3.31. 23 improvements were made. Third, maker educ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esthetics', which is a sub-factor of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girls. Male students averaged .05, down from 2.56 to 2.51, while girls averaged .43 from 2.91 to 3.34. As a result of pre-post t-test, male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5 level, and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5 level. Fourth, maker education seems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independence,” a subfactor of creative personal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ea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2.91 before the pretest, was 3.03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p <.05 level. As a result of the t-test with the mean group, both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ere p> .05, which was analyzed as a homogeneous group. Based on the above findings, maker education has an effect o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mong the sub-domains of creative personality,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ask attachment', 'curiosity', 'risk' and 'openness of thinking'. . Therefore, mak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erson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maker education programs in th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maker education, which is triggered by the establishment of infinite loss (maker space), approach the education site more meaningfully, the applic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existing creativity, humanity and convergence curriculum should be studied. In addition, in order to become a meaningful maker education for students,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programs considering the role of teachers in each stage, gender, ag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precis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nd programs to develop high-level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should be studied. * keyword : Maker Education, Maker Movement, Creativity,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Personality Test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논 문 요 약 메이커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엄 승 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발명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이동원) 4차 산업혁명시대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메이커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와 창의적 인성의 각 하위영역들에는 어떤 효과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또한 메이커 교육이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 M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사전 창의적 인성 검사를 실시 한 후 8차시에 걸쳐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사후 창의적 인성 검사를 실시 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메이커 교육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실험집단의 창의적 인성 평균이 2.78에서 3.01로 .23 향상되었고 사전-사후 t검정 결과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메이커 교육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 ‘과제집착’, ‘호기심’, ‘사고의 개방성’, ‘위험감수’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분석 결과 ‘과제집착’은 평균 2.63에서 3.08로 .45 향상되었고 ‘호기심’은 2.68에서 2.82로 .14 증가하였으며 ‘사고의 개방성’은 3.02에서 3.31로 .29 ‘위험감수’는 2.86에서 3.09로 .23 향상되었다. 셋째, 메이커 교육은 초등학교 여학생의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 ‘심미성’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남학생은 평균 2.56에서 2.51로 .05 감소한 반면 여학생은 평균 2.91에서 3.34로 .43 향상되었다. 사전-사후 t검정 결과 남학생은 p<.05 수준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여학생은 p<.05 수준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메이커 교육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 ‘독립성’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전검사 결과 2.91이었던 실험집단의 평균은 사후검사 결과 3.03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집단과의 일 표본 t검정 결과 사전, 사후 검사 모두 p>.05로 평균집단과 차이가 없는 동질집단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메이커 교육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효과가 있으며, 창의적 인성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과제집착’, ‘호기심’, ‘위험감수’, ‘사고의 개방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메이커 교육은 창의적 인성함양에 효과가 있기에 초등교육과정 속에 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무한상상실(메이커 스페이스)의 구축으로 촉발되고 있는 메이커 교육이 더욱 의미 있게 교육현장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기존의 창의·인성·융합 교육과정과의 적용 및 재구성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메이커 교육이 되기 위해서 단계별 교사의 역할, 성별, 연령별, 지역별 학생의 특징을 고려한 맞춤 프로그램 개발, 학생의 고차원적 사고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정밀한 교수학습과정 및 프로그램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키워드 : 메이커교육, 메이커운동, 창의성, 창의적 인성, 창의적 인성검사 * 본 논문은 2020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