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동시대 미술에 나타난 일본 표상: 자기 탐색하는 현대미술과 포스트모던한 알레고리

        엄광현 현대미술학회 2011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5 No.1

        Even though critically using and applying subcultural images and representational methods to question and undermine the concept of art based on and defined by the logic of Western Modernism from the early 1980s, contemporary art in Japan has been considered only as the antithesis of modern art of which practices are described as avant-garde. However, in the 1990s, Japanese art world began to reconsider the historical importance and role of contemporary art, which brought about radical transformation in both the style and function of Japanese contemporary art. Young Japanese artists not only attempted to ‘otherize’ their country’s modern history and post-war cultural identity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but also reflected upon the postmodern reality in Japan and their own self-consciousness toward it. These changes came into their works actively and positivel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tylistic and functional transformation of Japanese contemporary art since the 1990s. For this purpose, it elaborates on its argument based on Craig Owens’s discussion of the role of ‘allegory’ and ‘allegorical impulse’ in postmodern art. And by placing emphasis on, in particular, the mediating function of allegory, it performs cultural-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ree Japanese artists such as Nobuyoshi ARAKI, Yasumasa MORIMURA and Miwa YANAGI. Their simulative photographic works successfully represent the artist’s self-reflection on and self-conscience toward Japanese postmodern reality, thereby lending a strategic method and a critical tool for realizing the allegorical impulse of contemporary or postmodern art.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se artists lies in providing a critical framework to approach Japanese contemporary art. 1990년대를 경계로 일본의 동시대 미술(contemporary art)은 양식적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1980년대 초반서부터 일본의 대중문화와 하위문화의 이미지와 제작방식을 비판적으로 도입하여 그간 서구 모더니즘의 논리에 토대를 두고 내재화된 ‘미술’ 개념을 의문시하기 시작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80년대 후반까지 일부 예술가와 평론가들 사이에서 공유되던 아카데믹한 전위예술로서의 현대미술에 대한 안티테제로밖에 인식되어 오지 못한 동시대미술이 90년대를 거치면서 새롭게 인식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일본의 동시대 미술은 1990년대를 거치면서 기능적으로도 크게 변화하였다. 일본의 동시대 미술은 그간의 일본표상에서 벗어난 사회학적 차원의 고찰방식과 자세에 근거하여 제2차 세계대전 이후(전후, 戰後) 일본사회의 역사적 기억과 문화정체성에 대한 시선을 타자화함으로써, 일본사회의 포스트모던화, 그리고 그에 따른 현실과 자의식의 변용과정을 미술에 적극적으로 투영하기 시작하며 기능적으로도 크게 변화한 것이다. 이러한 일본 동시대 미술의 기능적 양식적 변용과정과 움직임을 포스트모던 미술의 종합적 특징으로서의 ‘알레고리’ 개념에 주목하여 포스트모던 미술을 ‘알레고리적 충동’으로 정의하고자 했던 크레이그 오웬스(Craig Owens)의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여기’를 통하여 ‘저기’를 지시하는 알레고리의 매개적 기능에 주목, 현대미술의 알레고리적 충동을 위한 주요한 전략적 방법이자 비평적 수단으로서 무엇보다도 중요시 인식되는 ‘사진’이라는 표현수단을 통해 로컬한 이미지이자 현실로서의 ‘일본 표상’에 대한 자기반성과 인식을 모더니즘의 ‘상징적 충동’이 아닌 ‘포스트 모던한 알레고리적 충동’으로 재현함으로써, 미술의 기능과 역할을 새롭게 탐색하고 정립하고자 하는 일본 동시대 미술작가들-아라키 노부요시(Nobuyoshi ARAKI)와 모리야마 야수마사(Yasumasa MORIMURA), 야나기 미와(Miwa YANAGI)-의 시각적 담론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분석을 시도, 일본의 동시대 미술에 대한 전망과 비평적 틀을 시론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응노의집’과 새롭게 이응노 활용하기: 창조적 파괴의 개념을 통해 본 이응노의 예술세계와 ‘이응노의집’의 미래경영

        엄광현 한국미술이론학회 2022 미술이론과 현장 Vol.- No.33

        Since the early 2000s, a large number of public art museums have opened in Korea, marking public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uch museums. The number of public art museums will continue to grow at an increasing rate, further strengthening their influence on the society.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public artist museums in Korea, and then focus specifically on Maison d’Lee Ungno which opened in 2011 to commemorate Lee Ungno’s art world. It also aims to propose a future management plan for Maison d’Lee Ungno based on the concept of creative destruction. Creative destruction, a notion put forward by Joseph Schumpeter, is a process of innovating existing practices through the continual combination and adoption of new ideas. Given the relative absence of modern art museums dedicated to particular artists in Korea, the proposed plan shall incorporate the creative destruction process as its core strategy.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공립미술관이 대거 개관하면서 그 중요성을 새롭게 재인식하는 시대를 맞이하였다. 이와 함께 공립작가미술관도 계속 증가해가며 그 입지를 더욱 강화해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요제프 슘페터는 새로운 것들의 끊임없는 결합과 적용을 통해 기존의 것들을 혁신해나가는 ‘창조적 파괴’의 개념을 고안해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응노의집’에초점을 맞춰 우리나라 공립작가미술관의 현황을 점검해보고, 창조적 파괴의 개념을 통해 이응노의 예술세계를 기념하는 이응노의집의 미래경영 방안을 제언해 보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는 근대미술관이 부재한 한국의 미술관 현황을 고려하여 이응노의 예술세계를 핵으로 하는 근대미술관으로 자리매김하는 이응노의집의 미래경영 전략과 방안을 구상해 보여주고자 한다.

      • KCI등재

        서양의 미술가들과 일본의 공부미술학교 : 일본 메이지 시대 초기, 미술교육 제도의 수립과정에 관하여

        엄광현 유럽문화예술학회 202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1 No.1

        일본의 메이지 정부가 서양의 국가들과 대등한 근대국가 만들기를 위해 내건 근대화 프로젝트의 슬로건은 식산흥업과 부국강병을 통한 서양화와 문명개화의 완성이었다. 이를 위해 메이지 정부가 추진한 근대화 프로젝트는 일본 미술계에도 커다란 변화를 불러온다. 그러한 가운데 메이지 정부가 가장 먼저 손을 댄 사업이 ‘미술교육’에 대한 서양화이었으며 이를 제도화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하여 메이지 정부가 실현하고자 한 것은 서양의 정통한 미술을 습득하여 국가에 유용한 전문인력을 양성하 는 일이었다. 그 결과 1876년, 일본의 첫 근대적 미술교육기관으로 공부미술학교가 문을 열게 되고, 미술교육의 근대적 개혁을 위해 서양으로부터 미술가를 불러와 서양의 미술을 섭취하고자 하는 신속 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일본의 근대미술은 미술교육의 제도적 개혁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메이지 정부가 추진한 미술의 근대화 프로젝트를 공부미술학교를 통해 살펴보고 그 서양미술의 이식과정에서 서양의 미술가들이 어떠한 역할을 발휘하였으며, 그들로부터 교육받은 일본의 근대미술가들이 일본 근대미술의 발전과정에 미친 영향은 무엇이었는지를 되짚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럼으로써 한국 근대미술 연구에 또 다른 지표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Japan's Meiji government plans making modern nation to create a modern state on par with Western nations. And the purpose was the completion of westernization as well as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rough a policy for enhancing the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and encouragement of new industry. To this end, the moderniz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Meiji government has brought about a great change in the Japanese art world. In the meantime, the first project undertaken by the Meiji government was the westernization of art educ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and through this project the Meiji government intended to acquire authentic Western art and to cultivate beneficial human resources for the country. As a result, Kobu Art School opened in 1876 as the first modern art education institution in Japan. In this school, Western artists are invited to educate authentic Western art, thereby realizing the modern reform of Japanese art. In this sense, Japanese modern art can be said to originate from the modernization project of art promoted by the Meiji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examines the modernization project of art education promoted by the Meiji government through Kobu Art School and the role of Western artists in this process. It also aims to review on the influence of Japanese modern artists educated from them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Japanese modern art. In doing so, this paper intends to provide another index to the study of Korean modern art.

      • KCI등재

        일본 동시대 미술에 나타난 일본 표상 : 자기 탐색하는 현대미술과 포스트모던한 알레고리

        엄광현(UM Kwang Hyun) 현대미술학회 2011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5 No.-

        1990년대를 경계로 일본의 동시대 미술(contemporary art)은 양식적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1980년대 초반서부터 일본의 대중문화와 하위문화의 이미지와 제작방식을 비판적으로 도입하여 그간 서구 모더니즘의 논리에 토대를 두고 내재화된 ‘미술’ 개념을 의문시하기 시작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80년대 후반까지 일부 예술가와 평론가들 사이에서 공유되던 아카데믹한 전위예술로서의 현대미술에 대한 안티테제로밖에 인식되어 오지 못한 동시대미술이 90년대를 거치면서 새롭게 인식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일본의 동시대 미술은 1990년대를 거치면서 기능적으로도 크게 변화하였다. 일본의 동시대 미술은 그간의 일본표상에서 벗어난 사회학적 차원의 고찰방식과 자세에 근거하여 제2차 세계대전 이후(전후, 戰後) 일본사회의 역사적 기억과 문화정체성에 대한 시선을 타자화함으로써, 일본사회의 포스트모던화, 그리고 그에 따른 현실과 자의식의 변용과정을 미술에 적극적으로 투영하기 시작하며 기능적으로도 크게 변화한 것이다. 이러한 일본 동시대 미술의 기능적 양식적 변용과정과 움직임을 포스트모던 미술의 종합적 특징으로서의 ‘알레고리’ 개념에 주목하여 포스트모던 미술을 ‘알레고리적 충동’으로 정의하고자 했던 크레이그 오웬스(Craig Owens)의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여기’를 통하여 ‘저기’를 지시하는 알레고리의 매개적 기능에 주목, 현대미술의 알레고리적 충동을 위한 주요한 전략적 방법이자 비평적 수단으로서 무엇보다도 중요시 인식되는 ‘사진’이라는 표현수단을 통해 로컬한 이미지이자 현실로서의 ‘일본 표상’에 대한 자기반성과 인식을 모더니즘의 ‘상징적 충동’이 아닌 ‘포스트 모던한 알레고리적 충동’으로 재현함으로써, 미술의 기능과 역할을 새롭게 탐색하고 정립하고자 하는 일본 동시대 미술작가들-아라키 노부요시(Nobuyoshi ARAKI)와 모리야마 야수마사(Yasumasa MORIMURA), 야나기 미와(Miwa YANAGI)-의 시각적 담론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분석을 시도, 일본의 동시대 미술에 대한 전망과 비평적 틀을 시론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Even though critically using and applying subcultural images and representational methods to question and undermine the concept of art based on and defined by the logic of Western Modernism from the early 1980s, contemporary art in Japan has been considered only as the antithesis of modern art of which practices are described as avant-garde. However, in the 1990s, Japanese art world began to reconsider the historical importance and role of contemporary art, which brought about radical transformation in both the style and function of Japanese contemporary art. Young Japanese artists not only attempted to ‘otherize’ their country’s modern history and post-war cultural identity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but also reflected upon the postmodern reality in Japan and their own self-consciousness toward it. These changes came into their works actively and positivel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tylistic and functional transformation of Japanese contemporary art since the 1990s. For this purpose, it elaborates on its argument based on Craig Owens’s discussion of the role of ‘allegory’ and ‘allegorical impulse’ in postmodern art. And by placing emphasis on, in particular, the mediating function of allegory, it performs cultural-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ree Japanese artists such as Nobuyoshi ARAKI, Yasumasa MORIMURA and Miwa YANAGI. Their simulative photographic works successfully represent the artist’s self-reflection on and self-conscience toward Japanese postmodern reality, thereby lending a strategic method and a critical tool for realizing the allegorical impulse of contemporary or postmodern art.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se artists lies in providing a critical framework to approach Japanese contemporary ar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