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정희 시에 내포된 불순한 신성(神聖)으로서 에로티즘

        엄경희 ( Eum Kyoung-he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7 국제어문 Vol.0 No.74

        문정희 시에 내포된 에로티즘의 상상력은 우리가 일반적인 `사랑시`로부터 얻게 되는 감미로움이나 따듯함과는 거리가 먼 실존의 갱신과 연계된 강력한 에너지의 방출과 깊이 관련한다. 에로티즘의 충동은 사랑에 대한 일반적 관념에 의해 다듬어질 수 없는 거칠고 파괴적인 힘을 내장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에로티즘의 본질을 이루는 근본적 요소가 신성한 추(醜)와 깊이 연관된다는 것을 대부분 망각한다는 점이다. 문정희의 에로티즘적 상상력은 이와 같은 불순한 신성의 세계를 노정한다는 점에서 우리 현대시사에서 매우 독자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논의는 문정희 시에 드러난 에로티즘의 상상력을 여성 젠더(gender)의 문제로 환언하는 것을 유보하고 이를 인간 본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실존의 축으로 확대하여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문정희의 시세계에 등장하는 가장 중요한 퍼소나는 자신을 `죄인`으로서 선포한 여성이라 할 수 있다. 이 죄인으로서 여성 화자는 시인의 에로티즘적 상상을 주도해가는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는데 문정희는 `죄의 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에로티즘적 상상의 돌파구를 기초화한다. 이것은 태생적 부정성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에너지의 방향을 에로티즘으로 선회시켜 재의 미화하는 의식의 활동성을 내포한다. 여기에는 자신을 묶어놓은 `부정성`으로부터 스스로를 구원하고자 하는 자유 의지가 담겨 있다. 그런데 그의 에로티즘의 상상 단계는 아무런 장애 없이 매끄럽게 진행되는 것이 아니다. 그의 에로티즘에는 희생제의(犧牲祭儀)적 단계가 중요한 과정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에로티즘을 드러내는 다른 시인들의 시편에 잘 발견되지 않는 독특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정희의 시에 드러난 에로티즘은 `끈`의 상징성으로부터 파생된 결박, 찔림, 태워짐 등의 희생적 과정을 내포한다. 이 희생적 과정은 `신의 촉감`에 이르기 위한 통과의례라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실존의 의미를 새롭게 쇄신하기 위해 에로티즘과 제의적 단계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키고 있는 것이다. 한편 죽음에 가까운 이러한 자기 쇄신의 과정에는 `재생`이라는 강한 생명욕구가 무의식적으로 잠재되어 있다. 희생제의적 단계를 거치면서 `다산(多産)하는 처녀`의 상징이 빈번하게 발견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문정희에게 `처녀`는 불순과 `죄의식`을 `축복`으로 바꾸며 `기적`을 낳는 신성한 재생의 몸이라 할 수 있다. 문정희의 시세계에 드러난 에로티즘은 인간 본성에 충실하고자 하는 한 존재의 실존적 에너지를 보여준다. 한국현대시에는 이와 같은 에로티즘적 상상력이 매우 빈곤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유교적 전통과 인간의 본능 충동을 억압해온 근대의 합리주의가 이중으로 작동한 결과로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문정희의 에로티즘적 상상력은 희소성으로서의 가치만이 아니라 근대에 억압된 인간 본성을 깊이 재고하는 성과물로서로도 큰 의의를 지닌다. Far from the sweetness or warmness in common `love poetry,` the imagination of erotism in Moon Chung-hee`s poetry is deeply related to the emission of powerful energy in connection with the renewal of existence. The drive of erotism has built in itself with wilde and destructive forces that could not be domesticated by the common idea of love. It is important that the essentially intrinsic element of erotism in deep connection with the divine ugliness has been forgotten in most cases. To the extent of its coursing the world of this impure divinity, Moon Chung-hee`s imagination of erotism seems to have a very singular value in Korean poetic history. To illuminate significances of this imagination in her poetry, this study tries thus to extend this imagination to an axis of existence for realization of human nature by keeping from translating this imagination into the problem of gender. The most important persona in Moon Chung-hee`s poetry can be a woman who declares herself a `sinner.` This female speaker as a sinner is to be a central person leading the imagination of erotism of the poet Moon Chung-hee who founds the breakthrough of imagination of erotism by emphasizing the persona`s identity as the `sinning blood.` This foundation involves not a negation against the persona`s inherent negativity but an activity of the persona`s consciousness turning her energy to erotism and re-signifying it. This activity contains the persona`s desire for saving herself from the `negativity` binding down her. But it is not the persona`s imaginary stage that develops smoothly without any obstacle. A stage of sacrificial rite as an important process in the persona`s erotism is a peculiar phenomenon that is rarely found in poems revealing erotism of other poets. The erotism in Moon Chung-hee`s poetry involves concretely sacrificial processes of being bound, being pierced and being burnt that have been derived from the symbolicity of `cord.` These form a initiation toward the touch of god. To innovate the significance of her existence, the persona combines organically erotism with the stage of sacrificial rite. An intense desire of life as `renewal` is unconsciously latent in this innovation approaching death. Hence symbols of the `fertile virgin` are frequently found in the stage of sacrificial rite. For Moon Chung-hee the `virgin` is to be a sacred body of renewal to change `guilts` into `blessings` and to generate `miracles.` The erotism in Moon Chung-hee`s poetry reveals the existential energy of a being for performing fully the human nature. Korean modern poetry seems to be very poor in this imagination of erotism. This result seems to come from a dual operation of the modern rationalism suppressing the confucian tradition and the instinctive drive of human. In this sense Moon Chung-hee`s imagination of erotism is not only to have a value of scarcity but also to be a achievement of rethinking deeply the human nature which has been suppressed in the modern age.

      • KCI등재

        함성호 시에 나타난 건축위상학적 상상력과 헤테로토피아

        엄경희 ( Eum Kyoung-hee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4 No.-

        문명 발달사는 공간-장소의 분할·배치에 의해 형성된 사회·문화적 위계(位階)를 지속시키려는 계층과 해체하려는 계층 간의 역학관계라는 측면으로 설명될 수 있다.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 장소로서의 유토피아는 현실에 존재하는 부정적 장소로서의 디스토피아와 추상적 ‘역’(逆)의 관계를 이룸으로써 비(非)역사적 성격을 드러낸다. 그러한 유토피아의 비역사성을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는 “감미로운 유토피아”로 지칭하고, 그에 맞서 “지도 위에 위치 지을 수 있는 장소를 가지는 유토피아들”로서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를 대항담론으로 제시한다.그렇다면 헤테로토피아는 어떻게 현실화되는가? 이 질문을 바탕으로 공간-장소와 실존의 위상학(位相學, topology)적 관계를 규명하고, 공간-장소의 위상학이 어떻게 시적 상상력에 투영되어 근대 도시의 디스토피아적 현실과 헤테로토피아적 전망을 제시하는지를 함성호의 시를 중심으로 밝힌 것이 본고의 핵심 내용이다. 그러한 논지 전개를 위한 이론적 기초 작업으로 미셸 푸코가 제시한 헤테로토피아와 헤테로토폴로지의 배치원리가 지닌 내적 한계를 먼저 살펴보고, 그에 대한 보완으로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의 ‘세속화’(世俗化, profanazione) 개념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헤테로토피아의 실천 전략이 공간-장소의 ‘재구성’을 목적으로 하는 세속화 방식,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수사(修辭)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위의 작업을 토대로 함성호 시에 나타난 1) ‘성’(聖)과 ‘속’(俗)의 장소적 ‘교직’(交織), 2) ‘실존’과 ‘역사’의 장소적 ‘교차’(交叉)라는 위상학적(=건축학적) 구도가 세속화를 기반으로 한 헤테로토피아적 전망에 있다는 것을 분석하고, 함성호 시의 시사적(詩史的) 의의가 80~90년대 한국 현대시의 주조를 이루었던 지식인들의 자기반성적 ‘해체’ 경향과 달리 ‘장소-실존적 분투’로서의 해체를 실험한 ‘건축학적 헤테로토피아’에 있다는 것을 결론으로 제시했다. A developmental history of civilization is explicable in the dynamic relation between two types of class. One type desires to maintain the sociocultural hierarchy that has been formed by the division-placement of space-place, and the other type desires to deconstruct the same hierarchy. Utopia as an ideal place in nowhere reveals its non-historical nature by its abstractly ‘reverse’ relation to distopia as a negative place in reality. By Michel Foucault who calls the non-historicity of utopia a “sweet utopia,” heterotopia as “utopias having their respective places to be posited on maps” is presented as a counter-discourse against it.If so, how can heterotopia be realized? This paper purposes essentially to inquire, from this question, into the topological relation between space-place and existence, and to illumine, centering around Hahm Sung-ho’s poetry, how this topology of space-place is projected to the poetic imagination and presents the distopian reality and heterotopian prospect of modern cities. To develop this argument, a theoretically basic study begins by considering the inner limits of the placing principles of heterotopia and heterotopology which are proposed by Foucault. And to supplement this study by connecting organically with Giorgio Agamben’s conception of ‘profanazione,’ a close relation is discovered between the practical strategy of heterotopia and the method of profanazione, especially postmodernistic rhetoric, aiming for the ‘reconstruction’ of space-place.On these studies, it is analyzed that the topological (=architectonic) composition of (1)the spatial ‘fabric’ of ‘divinity’ and ‘profanity’ and (2)the spatial ‘cross’ of ‘existence’ and ‘history’ in Hahm Sung-ho’s poetry consists in the heterotopian prospect on the basis of profanazione. Consequently, a significance of poetic history of Hahm Sung-ho’s poetry consists not in the self-reflective ‘deconstruction’ of intellects that was the main trend of the modern poetry of Korea in the 1980~90s but in the ‘architectonic heterotopia’ that experimented in deconstruction as a ‘spatial-existential struggle.’

      • KCI등재

        1990년대 남성 시인들의 시에 발화된 언어적 추(醜)의 한계

        엄경희 ( Eum Kyoung-hee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 Vol.0 No.66

        본 논문은 욕설과 비속어에 의한 ‘격하’의 방식과 의미를 1990년대 남성 시인의 시에 나타난 ‘개’와 ‘년’의 수사적 확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후, 그것을 바탕으로 1990년대 시에 나타난 언어적 추의 사회적 의미와 미적 성과를 밝혀내고자 의도한 것이다. 이 글에서 동시대의 여성 시인들이 사용한 추의 언어를 분석 대상에서 배제한 까닭은 논의의 초점이 페미니즘 문제로 귀결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논리 전개를 위해 카를 로젠크란츠의 ‘추의 혼합감정’, 미하일 바흐찐의 ‘탈관(脫冠)’, 김지하의 ‘찬탈’의 의미를 염두에 두었다. 1990년대 시편에 드러난 비속어와 욕설은 권력과 정치에 대한 환멸, 퇴폐적이고 향락적인 대중문화에 대한 혐오, 무력감에 빠진 지식인들의 냉소와 자학이 응축·반영된 혼합감정의 반항적 표출이라 할 수 있다. 1987년 6월 항쟁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환멸과 쾌락적 소비주의로 점철된 일상의 타락화는 그 자체가 객관적인 ‘추’로 인식될 만큼 혐오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로인한 감정의 폭발이 ‘개새끼’라는 욕설로 집중되어 표출된다는 것이 1990년대 시의 특징이다. 그런데 ‘개’라는 비속한 표현을 통해 시대의 추를 고발함과 동시에 그에 맞서지 못하는 주체의 무력감을 비탄과 격앙의 어조(tone)로 드러낸다는 점 또한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모욕, 경멸, 조소의 의미를 담은 비속어의 활용이 풍자의 수사로 전이되지 못할 경우 시의 비속어는 자기모멸과 비하의 정서를 함축한 비탄의 어조에 머물게 된다. ‘개’의 수사적 확대과 더불어 타락한 시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의 초점을 ‘서울’, ‘여관방’, ‘창녀촌’ 등 구체적 장소를 통해 맥락화한 시편들이 있는데, 그러한 시편의 특징은 불결한 장소의 속성과 여성의 신체를 환유적 관계망으로 묘사한다는 것이 그 특징이다. 이러한 시편들은 장소의 타락, 즉 시대의 추함을 고발하려는 것이 시적 의도였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여성 폄훼의 측면으로 읽히는 결과를 낳고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 즉 시대의 타락을 함의하는 장소의 부정적 의미를 여성 신체와 관련한 비속한 표현으로 빗대는 문맥화의 과정 자체가 가부장적 의식에 의한 관습적 언어사용의 습관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한계는 ‘언어적 추’가 갖는 미학적 효과를 깊이 고려하지 않은 채 감정의 과잉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빚어진 결과로 판단된다. 그런 의미에서 1990년대 남성 시인들의 시에 발화된 언어적 추의 양상은 ‘추의 미학’이 지향해야 하는 김지하의 ‘찬탈’이나 미하일 바흐찐의 ‘탈관’이라는 생산적 의미로까지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On the basis of analysing the ways and senses of abusive and slangy ‘demotion’ by focusing on the rhetorical expansion of terms as ‘gai(bitch)’ and ‘nyon(wench)’ in poems of Korean male poets during the 1990s, this study illuminates the social meanings and aesthetic fruits of linguistic ugliness in Korean poetry during the 1990s. To deter its focus from leading to a feminist problem, it excludes from itself the language of ugliness in poems of Korean female poets. Thus its basic conceptions are ‘the mingled emotions of ugliness’ of Karl Rosenkranz, ‘the de-coronation’ of Mikhail Bakhtin, and ‘the usurpation’ of Kim Ji Ha. In poems of Korean male poets during the 1990s, the slangs and abuses exposed the disillusion at power and politics, the disgust at decadent and merrymaking popular culture, and the languid intellects' mental revolt with condensing and reflecting their sneers and self-torments. Despite the results of The June Struggle of 1987, the daily decadence full of the disillusion at political ideologies and of the merrymaking consumerism became a disgustful tendency as much as to be perceived as an objective ‘ugliness.’ This featured Korean poetry during the 1990s by exploding the spiteful sentiments typically as the abuse ‘gaisekki(a son of a bitch).’ It is another important trait that its slangy term ‘gai’ denounced its contemporary ugliness while its grievous and furious tone exhibited the languid sentiment of a subject incapable of struggling against the ugliness. If the usage of scornful, contemptuous and jeering slangs is not transferred into the satirical rhetorics, the slangs in poems are only within a grievous tone full of the self-scornful and self-humble emotions. The metonymic description of dirty spatiality and female body featured the poems whose critical focus to recognize the decadent tendency was contextualized by the rhetorical expansion of ‘gai’ as well as by the concrete spatiality of ‘Seoul,’ ‘a inn-room,’ and ‘brothels.’ The poetic intent of theses poems to denounce the ugliness of the age for the spatial decadence is difficult to deny itself to be read eventually rather as the female denigration. The conventional usage of language under the patriarchal mentality is not like to be independent of the very process of contextualization that the slangy terms about the female body expressed metonymically the negative spatial meaning of the decadent tendency. This was a limit to the poems incapable of escaping from their sentimental excesses indifferent to think deeply aesthetic effects of the ‘linguistic ugliness.’

      • KCI등재

        김신용 초기시에 나타난 실존적 병소(病巢)로서 헤테로토피아

        엄경희 ( Eum Kyoung-h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3

        장소는 실존의 표현이다. 실존의 개입이 없는 장소는 ‘무위’(無爲)의 추상 공간, 즉 인간 활동이 배제된 자연 상태를 지시할 뿐이다. 생명활동은 실존의 약동이며, 장소의 생기(生氣)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존의 전개는 장소 활력(活力)과 연동된 몸의 정동(情動), 즉 장소감(場所感)으로 표현된다 할 수 있다. 본고는 장소란 곧 실존의 상태, 즉 몸의 감각으로 발현된 장소들의 ‘징후적(徵候的) 인식’이라는 것을 김신용의 초기시편에 집중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집’, ‘자궁’, ‘신체’, ‘도구’의 미미지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마르틴 하이데거는 실존의 상태를 ‘장소-안에-있음’으로 규정하고, ‘안에-있음’의 의미를 ‘거리없앰’과 ‘방향잡음’으로 설명한다. 실존들간의 거리를 없애 한 곳으로 방향을 잡는 ‘배려’와 ‘친숙’의 접합 지점이 하이데거가 말하는 장소-실존의 관계인데, 이는 장소가 곧 실존이라는 것을 뜻한다. 장소-실존의 교섭은 ‘몸’의 감각으로 체감되면서 이루어진다. 미셸 푸코는 “내 몸, 그것은 나에게 강요된, 어찌할 수 없는 장소다.”라는 규정과 함께 현실의 장소에서 유토피아를 이루려는 대항담론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를 근대의 장소철학으로 내세운다. 다나카 준(田中 純)은 몸으로서의 장소에 축적된 기억과 예감은 로고스적 인식보다 오감(五感)이나 정동(情動)을 총동원한 파토스적 인식에 의해 구체화된다는 것을 ‘징후적 인식’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본고는 하이데거의 장소론,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다나카 준의 징후적 인식이라는 개념을 토대로 김신용 초기시편에 나타난 장소와 실존의 양상이 어떻게 자본주의의 ‘병소’(病巢)를 만들어내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종합해 실존과 장소 회복의 역설적 전망으로 제시된 ‘불결함의 헤테로토피아’가 김신용 시의 뿌리임을 밝혔다. 본 연구의 의의는 김신용의 시를 노동자 시나 빈궁시로 규정하려는 도식적 견해를 보완함으로써 그의 시가 우리 시사에 보기 드문 실존주의적 리얼리즘의 영역을 개척했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있으며, 이는 향후 장소론 연구에 장소와 실존의 불가분성을 내용으로 하는 실존주의적 리얼리즘의 개념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 place is an existential expression. Without the intervention by existence, it is an abstractive space of ‘abulia’ that refers only to a natural condition excluding human activity. The activity of life is an existential movement, and can be a vitality of place. The existential unfoldment can be thus expressed as the bodily affect gearing with vitality of place, namely the sense of place. By its analyses of images of the ‘house,’ ‘womb,’ ‘body,’ and ‘instrument’ repeating mainly in Kim Sin-young’s early poetry, this study shows that a place is an existential condition, namely a ‘symptomatic cognition’ of the manifested places by the bodily senses. Martin Heidegger defined the existential condition as the ‘being-in-place,’ and explained the ‘being-in’ by the ‘erasing-distance’ and ‘orientation.’ The relation between place and existence, as he said, is a joint point of ‘solicitude’ and ‘familiarity’ into one direction of erasing distances among existences, and this means that a place is an existence. The connection between place and existence is realized in the experiences of senses of ‘body.’ With his prescribing “my body, it is for me a forced, inevitable place,” Michel Foucault asserted a modern philosophy that ‘heterotopia’ is a counter-discourse to realize utopia in the real place. With concept of the ‘symptoatic cognition,’ Tanaka Jun explains that the accumulated memories and premonitions in the place as a body are embodied by not the recognition of logos but the cognition of pathos using all the five senses or affects of body. On Heidegger’s theory of place, Foucault’s heterotopia, and Tanaka Jun’s concept of the symptomatic cognition, this study analyzes how the aspects of place and existence in Kim Sin-yong’s early poetry have made the capitalist ‘ill-nidus,’ and shows, by synthesizing results of this analysis, that the root of Kim Sin-yong’s poetry is the ‘heterotopia of dirtiness’ as a paradoxical prospect of recovering place. By its supplement to a schematic opinion to attempt prescribing Kim Sin-yong’s poetry as a worker’s or penurious poetry, it reveals meaningfully that his poetry pioneered a rare field of the existential realism in Korean poetic history. In the future study of theory of place, it will contribute to activating concept of the existential realism with the inseparability of place from existence.

      • KCI등재

        근대성과 자연합일의 시

        엄경희(Eum Kyoung-Hee) 한국시학회 2002 한국시학연구 Vol.- No.6

        This Study has tried to illuminate a pattern of the poems united with nature affected in the modern paradigm with a rapid collapse of traditional world, and to lighten a view of the world exposed in the pattern of them. The chapter of ‘the Loss of an Origin-Home and the Yearning for There’ in this main discourse has analyzed the poems about the loss of home in the modern world on assumption that an intention of unity with nature has been posited in our ‘home-idea.’ The problem of the loss of home has been able to be a modern phenomenon it rarely have been found in traditional poems about nature. The loss of home in the modern Korea has been caused by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from which had exploited all of her people and land, by the division of her territory in where had been affected conflicts of interests of the western or pre-industrialized powers, and by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which had been rapidly and forcedly progressed. These violent reforms have issued problems of departure and wandering from home, dispersion and loss of home, and rural exodus. These tragic stories have been filled with Seok Back’s poems for which have spoken the loss of hom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Bong Gun Jeon and Yoon Sook Hong’s poems in which have incorporated experiences of the division of nation and the loss of home, and Jai Goo Guak and Yong Tack Kim’s poems about which have expressed the rural exodus and grieves of the losers of home under the wave of the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home-idea’ exposed in these poems is to be characterized by the same point it has been placed in a kinship relation with nature, and simultaneously, by the what a longing for return of there have been connoted in it. It is thus to be considered that the consciousness of unity with nature and of yearning for the Eden has been lodged in this poetic home. And, in the modern paradigm, the home is also to be characterized by what it has been geared into the ‘loss.’. The chapter of ‘the Contemplative Eyes and the Aesthetic Senses about Nature’ has focused on the poems of Ji Yong Jeong, Mock Worl Park, Ji Hoon Jo, and Yong Le Park who have made the nature aesthetic objects, and have tried to expose what this contemplative nature has connoted in itself. The nature as an solitary and silent space excluding human daily life and realities has predominantly risen from the poems of Ji Yong Jeong, Mock Worl Park, Ji Hoon Jo, which is to be interpreted as an expression of the poets’ longings for disconnection from the revolting realities of life. There is only an unity of the contemplative self between the nature it has had its own beauty in itself. This is to be a nature as a space of comfort when it is impossible to discover an aesthetic style of life from the realities and history. In a different way from them, the human life and nature has appeared as harmonized or united one ‘landscape’ in Yong Le Park’s poems about contemplated nature. His poems united with nature are to be identified as antimodern and anti-urban created from antipathy against civilizations and cities. All of the poems united with nature in the modern paradigm have been created from a distorted structure of history and a dearth it has been made by that structure. The violent reforms that had been brought about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 Korean war, and the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led to make the poets yearn for the nature as a space of the beauty, of the nostalgia, of the Eden. Consequently it is to be concluded that the longing for the unity with nature has been generated in the poets’ psyche to overcome the fundamental dearth of the people in modern times.

      • KCI우수등재

        1990년대 시에 나타난 ‘추(醜)의 미학’의 양상

        엄경희(Eum, Kyoung-hee)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2

        조화와 균형이라는 미학적 관점만으로 현실과 자아의 갈등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을 때, 부조화와 불균형의 요소를 통해 현실의 부정적 측면을 드러내는 ‘추의 미학’이 현대예술의 새로운 전망을 제시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1990년대 시에 나타난 추의 양상과 특징을 1)얼굴 훼손 2)장소 오염, 3)언어장애라는 현상을 통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얼굴 훼손, 장소 오염, 언어장애는 부정적 현실인식에 의해 파생된 것으로서, 1990년대 시에 드러난 추의 양상에 반영된 공통의 현상이다. 이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한 까닭은 그것이 한 존재의 정체성과 내면성, 그리고 외부와의 관계를 드러내는 주요 인자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얼굴 훼손은 현실의 잔혹성에 대한 고발이자 개인들의 심리적 불안을 드러내는 매개방식이다. 1990년대 시에 드러난 ‘얼굴’은 정체성을 잃은 얼굴, 타자와 동일화된 얼굴, 사물화된 얼굴, 칼질된 얼굴, 얼굴 없는 얼굴, 죽음의 얼굴, 수치심으로 분열된 얼굴, 경직된 얼굴 등 모두 존재의 온전함을 상실한 비존재의 얼굴로 드러난다. 이 훼손된 얼굴은 인간 존재의 고유한 인격이 살해되었음을 공통적으로 암시한다. 아울러 존재의 실종을 암시한다. 현실의 표면은 1980년대에 비해 개인성과 자유의 허용이 증폭된 것처럼 보였던 90년대의 허상을 이들 훼손된 얼굴들이 추의 형상으로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1990년대 시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일상적 장소는 오염된 불결한 공간, 전염병이 창궐하는 죽음의 공간, 폭력에 의해 부패한 코라(khora)의 공간, 여러 개의 방의 연쇄를 통해 그 황폐성이 확산․증폭되는 무덤의 공간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장소성이 바로 지금의 현존재가 정초된 ‘지금―여기’라 할 수 있다. 그것은 휘황찬란한 기술문명 뒤에 숨겨진 현존재의 상황을 폭로한다. 언어가 근본적으로 현실(대상)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끈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1990년대 시에 발견되는 ‘의도적 언어장애’ 즉 실어증과 토막난 단어들, 강박적 동어반복, 띄어쓰기가 무시된 다급한 리듬의 언어 등은 현실과 주체의 ‘풀기 어려운 결합’이 빚어낸 고착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현실이 벽처럼 불가항력적일 때 개인은 그곳에 자신을 고착시킬 수밖에 없으며 그러한 고착은 자유를 결박한다는 점에서 사유의 고착으로 이행되며 이는 결국 원활한 언어기능을 파괴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1990년대 문학은 1980년대 문학이 보여주었던 윤리·도덕적 준칙으로부터 벗어나 자유와 욕망을 추구하는 개인을 강조하고자 했으나 구체적 대안과 전망의 결여로 인해 세계와 자아에 대한 ‘환멸’의 정서를 내부적으로 갖게 된다. 이러한 환멸의 정서가 얼굴 훼손, 장소 오염, 언어장애로 드러난다는 것이 1990년대 시에 나타난 추의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추의 양상은 세계와 현존재 사이에 빚어진 모순과 갈등에 대한 고뇌의 표현이며 나아가 현실과 실존의 불협화음에 대한 폭로라 할 수 있다. 아울러 1990년대 시에 나타난 ‘추의 미학’은 바로 우리의 현재성 속에 은폐된 존재의 실존 상황을 적나라하게 드러냄으로써 우리들의 둔감해진 정신을 자극하고자 한다. 그것은 역겹고 혐오스러운 느낌을 야기하지만 일종의 내적 외상으로 손상된 우리들의 진실을 지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On a critical mind that the aesthetics of ugliness to expose the negative aspects of reality by the elements of harmony and unbalance can present a new vision of modern art when the aesthetic harmony and balance cannot explain enough the conflicts between the self and reality, this study illuminates the modes and features of ugliness in poetry during the 1990s by the phenomena of (1)facial injury, (2)spatial disgust and (3)linguistic disturbance. These phenomena from the negative reality reflected in common the modes of ugliness in poetry during the 1990s. The facial injury is an accusation of the cruelty of reality as well as a mediate way to reveal the anxieties of individuals. The facial injury appears concretely as the facial loss by identification, the facial damage by patricentric violence(Kim Eon-Hee), and the facial deformation by everyday grotesquery and conscious dissociation. The spatial disgust appears as the contagion and decay of the subject dwelling in a space with the cognition of pollution of everyday life and as the spatial dirtiness. Identifying a home with a space of death like a ‘tome, brothel or ruin,’ the spatial disgust converges especially on that home. In common with its aphasic expressions and its tautologies and syntactic confusions, the linguistic disturbance reveals especially compulsive tautologies gearing with an intention to expose the cruelty and grotesqueness of reality. While the literature of the 1990s emphasized the individual in quest of freedom and aspire beyond the morally and ethically collective criteria of literature of the 1980s, it had an inward emotion of ‘disillusionment’ at the world and the selves for lack of its concrete solution and vision. This emotion was to make the modes of ugliness in poetry during the 1990s by the facial injury, the linguistic disturbance, and the spatial disgust. These modes were to be expressions of agonies of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between world and presence and to be exposures of the discords between reality and existence. And to incite our dulled spirit, ‘the aesthetics of ugliness’ in poetry during the 1990s has frankly exposed an existential situation of being hidden behind our very own nowness. It has obtained a virtue of its reference to our injured truth from an inner trauma despite its telling about nauseous and disgustful senses.

      • KCI등재

        현대시 연구방법론 확장을 위한 20세기 이전 ‘醜의 美學’의 이론적 성찰

        엄경희(Eum, Kyoung-Hee)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4

        본 논문은 추의 미학과 관련된 근대의 핵심 이론들을 소개(정리) · 검토함으로써 앞으로도 계속 우리 문학계를 추동해갈 추의 미학에 대한 이론의 구체적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추의 미학’을 이 글에서 문제 삼는 이유는 현실적 추의 편재성을 말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의 당당한 예술 미학으로서 그것이 우리 문학에도, 특히 현대시의 영역에도 미의 미학을 압도할 정도로 수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상에 대한 보다 심화된 미학적 · 인식론적 접근을 위해 ‘추의 미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이론의 소개(정리)와 점검이 현대시 분야에 필수적이라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국문학계에서 추의 미학의 문제는 대부분 ‘그로테스크(grotesque)’라는 용어 정도로 포괄되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필자는 우리 현대시에 드러난 추의 미학에 관한 연구를 다년간에 걸쳐 진행하면서 문학과 철학(미학)의 정교한 융합이 절실히, 그리고 시급하게 요청된다는 것을 스스로 실감할 수 있었다. 그런데 추의 미학에 관한 핵심 이론들이 대부분 철학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기 때문에 이 논문은 주로 서구 근대미학의 번역서와 이에 대한 한국 철학계를 통해 발표된 논문에 의지해서 조심스럽게 이루어졌음을 미리 밝힌다. 이 논문에서는 일차적으로 20세기 이전의 이론인 ① 임마누엘 칸트의 『판단력비판』(1790)으로부터 제기된 ‘부정적 취미판단’의 문제, ② 헤겔의 『헤겔 예술철학 - 베를린 1823년 강의. H. G. 호토의 필기록』(1823)에 내포된 근대의 더 이상 아름답지 않은 ‘부조화의 미’, ③ 빅토르 위고의 「크롬웰」 서문(1827)에 쓰인 ‘그로테스크’ 선언, ④ 카를 로젠크란츠의 『추의 미학』(1853)이 지닌 추의 다양성과 구체성 등에 관한 이론을 소개(정리) ‧ 검토하였다. 아울러 이들의 쟁점이 우리의 현대시에 어떻게 인식론적 ‧ 방법론적 확장을 줄 수 있는지 결론에서 그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By introducing(arranging) and examining the essential theories of the aesthetic of ugliness, this study tries to make possible their concrete applications to drive continually Korean literary arts even in the future. The ‘aesthetic of ugliness’ is questioned in this study not for presenting the ubiquity of the actual ugliness but for noticing the tendency of Korean literature, particularly of Korean modern poetry, accepting rapidly this aesthetics as an imposing aesthetics of art to overcome the aesthetics of beauty. To deepen an aesthetic and epistemic approach to this tendency, this study starts with a notion of the necessity of introducing(arranging) and examining theories directly related to the ‘aesthetic of ugliness’ in Korean literary circles(modern literature). Most problems of this aesthetics in Korean literary circles seems to remain in their state to be comprised roughly in the term ‘grotesque.’ The imminent and urgent necessity of a delicate fusion of literature and philosophy(aesthetics) therefore has been felt actually in the investigation into this aesthetics. However, there must be a previous limit in this study that has been written by a professor who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because most of the essential theories of the aesthetics of ugliness have been discussed in the fields of philosophy. The limit has produced this prudent study depending mainly on the translated books of western aesthetics into Korean and the published treatises about them in Korean philosophic circles. So, this study introduces(arranges) and examines sequently (1) the problem of ‘negative taste judgement’ in Kant’s Kritik der Urteilskraft(1790), (2) the ‘inharmonious beauty’ that was not beautiful any longer in the modern age in Hegel’s Vorlesungen uber die Philosophie der Kunst(1823), (3) the ‘grotesque’ manifesto in Victor Hugo’s preface of his Cromwell(1827), and (4) the aesthetic theories dealing with the diversity and concreteness of ugliness in Karl Rosenkranz’s Aesthetik des Haesslichen(1853).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반논문 : 이상의 시에 내포된 소외와 정념

        엄경희 ( Kyoung Hee Eum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소외를 관계가 빚어낸 비인간적 사태로 파악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작용태’와 소외가 양산해내는 개별 ‘정념’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이상시에 드러난 자기이해와 세계 인식의 문제, 그리고 소외가 야기하는 고통의 실체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이상 시에 나타난 소외 상황과 정념 등의 분석을 위해 ‘상품구조의 본질’을 통해 소외를 설명하는 루카치의 ‘사물화’ 개념과 사회심리학적 입장에서 소외의 제 형태를 분류한 멜빈 시이맨의 소외론 등을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이상의 시에 등장하는 여성들 대부분은 ‘매춘부’(상품)이며 이에 관계된 남성은 매춘행위를 욕망하는 자이거나 그것을 용인해야 하는 남편으로 나타난다. 매춘부로서의 아내는 남편과의 관계방식을 규정할 뿐만이 아니라 남편의 욕구와 의식에 관여함으로써 그를 소외시키는 원인된다. 이것이 사물화된 관계구조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남편과 아내의 관계로부터 빚어지는 ‘나’(남편)의 자기소외의 국면을 살펴보면 권리 양도의 문제가 깊이 개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내와의 관계 속에서 ‘나’는 이미 남편으로서의 권리와 자격을 아내의 애인에게 그리고 신부인 아내에게 양도함으로써 그들에게 종속된다. 한편 소외의 고통은 특수한 정념, 감각, 느낌, 정서 등을 촉발하는 요인이 된다. 이상의 시에서 소외가 야기하는 감각은 주로 ‘극한(極寒)’으로 표현되면 그에 따른 정념은 무력감으로 드러나곤 한다. 그런데 이상이 드러낸 무력감으로서의 정념은 기성의 가치의 부정이나 거부를 내포하는 능동성을 지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의 시에 내포된 소외와 정념은 사물화된 관계구조가 어떻게 인간적 유대를 훼손하는가, 어떻게 한 존재의 존립을 비생명적인 상태로 강등시키는가를 여실히 드러내준다. 아울러 이와 같은 비극적 존재 상황을 돌파하는 방법은 무엇인가를 묻게 한다. 상품구조에 의한 사물화의 과정은 근대인들이 타자와 맺는 관계방식을 압축적으로 지시한다. 이상은 이를 자신의 문학을 통해 선취한 시인이라 할 수 있다. By comprehending the alienations as inhuman situations resulting from relations, and by analyzing the correlativity between the actual ``operative modes`` of alienations and the mass-produced individual ``passions`` by alienations, this study tries to solve the problems of Lee Sang``s self-understanding and Weltanschauung in his poetry and to explain the substances of pains arising from alienations. And to analyze the situations of alienations and the passions in his poetry, this study adopts theoretical bases such as Gyorgy Lukacs``s concept of the ``reification(Verdinglichung)`` explaining the alienations with the ``essence of commodity-structure`` and Melvin Seeman``s theory classifying every alienation from a sociopsychological standpoint. In Lee Sang``s poetry, most women are ``prostitutes(commodities),`` and men relating to them appear as men who desire, or as husbands who must tolerate, prostitutions. A wife as a prostitute defines a way of herself relating to her husband and causes herself to alienate him by participating in his desire and consciousness. This is to be a reified relational structure. To illuminate an aspect of self-alienation of the ``I(husband)`` is to confirm that a problem of transfer of his right intervenes deeply in this aspect. The ``I`` relating to his wife subjects himself to her lover and her as a bride by transferring already his husbandly right and qualification to them. Meanwhile, the pains of alienations become motivations triggering off specific passions, sensations, feelings, and emotions. In Lee Sang``s poetry, the sensations from alienations are mainly expressed as ``extremities,`` and the passions from them are often exposed as impotent sensations. By the way, these passions that Lee Sang exposes are comprehended as those containing activities involving the negation or rejection against existing values. In addition to illuminating explicitly how the reified relational structure spoils the human relationship and demotes one being``s existence to the situation of non-life, the alienations and passions in Lee Sang``s poetry makeit a question what way can break through the situation of this tragic being. The process of reification by commodity-structure indicates compressedly ways of the moderns relating to their others. Lee Sang is a poet preoccupying this indication in his own literature.

      • KCI등재

        박남철 시에 드러난 원한(ressentiment) · 인정투쟁(recognition struggle)의 방식과 의미

        엄경희 ( Eum Kyoung-h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7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3

        본 논문은 박남철의 시를 니체의 ‘르상티망’(ressentiment)과 헤겔의 ‘인정투쟁’(recognition struggle)이라는 개념에 근거해 살펴보고자 한다. 르상티망이란 가치설정의 기준을 내부가 아닌 외부로 顚倒시킨 원한감정이며, 자신의 문제를 내적으로 해결하는 긍지와 긍정의 감정과는 달리 적대적인 외부세계를 설정하고 그것을 부정하는 데서 발현되는 창조적이고 반항적인 원한감정으로서, 헤겔의 ‘인정투쟁’이라는 개념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이는 니체가 귀족과 노예의 관계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제시한 르상티망의 발생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한편 약자의 원한감정에 내포된 전복적 성격이 문화의 동력으로 작용한다는 니체의 주장은 르상티망이 예술창작, 특히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작품의 내적 動因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런 의미에서 르상티망은 추(醜)의 감정이면서 동시에 그것을 넘어서려는 역설을 지닌다. 르상티망에 내포된 반항과 창조의 힘은 예술창작에 있어 독창적인 ‘수사’의 근거가 될 수 있는데 본 논문은 박남철 시에 나타난 원한과 認定의 문제를 자아의 위치와 척도, 타자(이웃과 가족)와의 관계를 통해 살피면서, 그의 시에 나타난 무력감, 분노, 분개, 비난, 증오, 복수 등의 감정을 분석하였다. 르상티망의 주체들이 내세우는 전략과 그들의 수사적 특징은 1)저주의 수사, 2)주체의 무력성이 전면으로 드러나는 자조와 한탄의 수사, 3)사랑과 승화의 수사로 구분해 볼 수 있으며, 이 세 가지 경향은 각기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드러나기도 하지만,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복합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박남철의 경우는 어느 한 방향으로 경도되기보다는 이 세 가지 특징이 중첩되어 드러난다. 구체적으로 박남철 시에 드러난 원한감정은 ‘나’라는 유일의 척도를 위협하는 ‘모든 것’에 대한 격정과 분노에서 출발하며 ‘나’라는 위치의 변별성을 확보하려는 자기중심성의 척도를 고수하기 위해 표출된다. 이는 자신을 인정해주지 않는 타자(이웃)에 대한 무차별적인 독설과 조롱, 공갈과 협박, 경멸과 訓示의 수사로 드러난다. 박남철의 시는 가족을 부양하지 못한 자신의 무력한 모습에 대해서는 자기비하와 자기학대의 수사를 드러내는 한편 대 사회적인 관계(이웃과 지인 등)에 대한 태도는 폭력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 결과 자신의 르상티망을 자기의(self-righteousness)로 전환하는 ‘상상의 복수’를 통해 최소한도의 자기긍정을 확보”하는 윤리적인 轉回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전회와 자기암시의 상징적 표현이 ‘참는 법’으로 드러난다는 것을 밝혔다. 원한과 인정투쟁은 부조리한 삶에 대한 보편적 대응방식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삶의 방식을 내면화하면서 표면적으로는 ‘선량’, ‘겸허’, ‘순응’의 자세로 현실에 적응해간다. 즉 노예적 감정의 상태인 르상티망에 수동적으로 부응하는 것이다. 박남철 시의 원한과 인정투쟁의 문제는 순응적 삶의 자세로부터 자신의 주체성을 구출해내려는 한 인간 존재의 고뇌를 드러낸다. 그의 화자는 분노하고 복수하고 조롱하고 협박하면서 자신을 노예화하려는 세계를 가로지르고자 한다. 여기에는 자기중심성을 양도하지 않으려 하는 노예의 역설적 의지가 담겨있다. 그의 시가 줄곧 드러내는 과격한 실험 뒤에는 이러한 시인의 자존감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이 그의 시가 표출하고 있는 시정신이라 할 수 있다. Nietzsche's the 'ressentiment' and Hegel'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re basic concepts of this study of Park Nam-Chul's poetry. Unlike a proud and positive emotion resolving its problems inwardly, the ressentiment close to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is a creative and defiant emotion to reverse its inner criteria of valuations into its outside and to manifest itself in settlement and denial of its hostile outer world. This is an important proof of the generation of the ressentiment as Nietzsche's criterion of distinguishing the slavery from the nobility. The defiant and creative power of ressentiment can be a basis of the unique 'rhetoric' of artistic creation. Considering the problems of ressentiment and recognition in Park Nam-Chul's poetry in his ego's position and scale and his relation to the others(family and neighbors), this study analyzes the emotions of impotence, angry, indignation, blame, hate and revenge in his poetry. The strategies and rhetorical traits of subjects of ressentiment can be classified as rhetorics of 1)curse, 2)self-scorn and regret exposing their impotences front and 3)love and sublimation. Manifesting themselves separatedly, those three tendencies also operate multiply in influencing themselves mutually. His poetry does not tilt to one of them but appears to fold up all of them. Springing from its passion and grudge against 'all that' menaces the singular scale as its 'I,' the ressentiment in his poetry expresses concretely itself in order to persist in its selfish scale for securing a distinction of the position as its 'I.' It manifests itself as a rhetoric of reckless curse, scorn, blackmail, menace, contempt and admonition against the other(neighbor)s refusing to recognize its 'I.' By converting itself to the self-righteousness, its 'imaginary revenge' produces its ethical transposition to secure at least its self-affirmation. Its transposition and self-suggestive symbols prove its 'methods of patience.' The ressentiment and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belong to the general methods facing the absurd life. Though most people internalize these methods, their 'obedient' attitudes accept externally realities. Indeed, they obey passively the ressentiment as an emotion of slavery. The problems of ressentiment and recognition in Park Nam-Chul's poetry reveal agonies of a human existence for saving his subjectivity from the obedient attitudes of life. In angry, scorn, revenge and menace, his speaker attempts to traverse the world forcing him to be a slave. In this attempt, the paradoxical will of a slave refuses to yield his selfishness to the world. This self-existent emotion of a poet abides behind the violent experiment continuing in his poetry. This is to be a poetic spirit that his poetry expr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