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긍정심리자본, 전문직 자아개념, 셀프 리더십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양희모(Hee-Mo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1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전문직 자아개념 및 셀프 리더십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도에 소재하고 있는 4개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31부를 최종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업무성과는 긍정심리자본, 전문직 자아개념, 셀프 리더십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긍정심리자본과 셀프 리더십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4.5%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간호사 스스로 긍정적이며 책임감 있고 자율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nursing work outcome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31 nurses working in the four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located K city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October 3 2016 to November 1 2016. Nursing work outcom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leadership.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work outcome we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leadership, and their explanation was 44.5%.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to improve nursing work outcome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programs to lead nurses themselves positively, responsibly and autonomously.

      • KCI등재후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입원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공감역량이 병원 재이용의사와 환자신뢰에 미치는 영향

        양희모(Yang Hee Mo),박선희(Park Seon Hee)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기간 동안 지각한 간호사의 공감역량 정도와 병원 재이용 의사, 환자의 신뢰 정도를 알아보고 입원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공감역량이 병원 재이용 의사와 환자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환자 19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공감역량은 5점 만점에 3.99점, 병원 재이용 의사는 4.13점, 환자 신뢰는 4.25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공감역량은 병원 재이용 의사, 환자 신뢰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공감역량이 병원 재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모형 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총 설명력은 38.4%였다. 또한,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공감역량이 환자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모형 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총 설명력은 59.1%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공감역량은 병원 재이용 의사와 공감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사의 공감역량이 높을수록 입원환자의 병원 재이용 의사와 환자신뢰 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서비스의 질 평가 향상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간호사의 공감역량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empathic ability of nurses perceived,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hospital, and the degree of patient trust during hospitalization by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hospital. An attempt was made to determine the effect of nurse s empathy ability on hospital revisit and patient tru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5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grated nursing and care service ward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gi-do,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21.0 statistical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empathic ability of the nurse was 3.99 out of 5 points,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hospital was 4.13 points, and the patient s trust was 4.25 poi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mpathic ability of nurses perceived by the subject had a similar score with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hospital and the patient s trust. Thir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model verification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nurse s empathic ability perceived by the subje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hospital,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38.4%.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model verification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empathic ability of nurses perceived by the subject on patient tru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59.1%.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nurse s empathy capacity perceived by the subjec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hospital and the empathy capacity. Furthermore, it showed that higher empathy ability of nurses increased willingness to visit the hospital again and patient trust level of hospitalized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in the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hospital,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empathy capacity of nurs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간호학생을 위한 임상상황기반 의사소통시뮬레이션 모듈개발

        양희모(Yang Hee-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을 처음 접하는 4학년 1학기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상황에 기초한 의사소통 시뮬레이션 모듈을 개발하고 실행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간호학생들의 의사소통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학습 전략을 개발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016년 1월부터 6월까지 간호사와 당뇨환자 간 의사소통에 중점을 둔 간호교육 내용이 포함된 상황을 시뮬레이션 모듈로 개발하였고, 실행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수업 경험이 없 는 일개 대학 4학년 1학기에 재학 중인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환자 활용그룹 25명과 단순마네킹 활용그룹 27명에 적용하여 모듈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표준화 환자 활용그룹에서는 모듈 적용 과정에서 작성한 성찰일지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분 석하였다. 연구결과, 단순마네킹 활용그룹의 사전·사후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사전·사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환자 활용그룹에서 사전·사후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찰일지 분석결과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 경험이 간호학생 자신의 의사소통기술을 성찰해보고 환자와 의사소통하는데 자신감을 가지게 하였으며,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효과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mmunication simulation module which can be utilized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nursing students and also verified the practicability of the developed module.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clinical practitioner, we derived the frequent clinical situations between nurses, nurses and doctors, nurses and patients. Among them, in order to verify the practicability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targeting nursing students, we constructed the module containing nursing education that is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nurses and patients. We identified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imul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practicability of the simulation modu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post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pre and post self-efficacy of the simple mannequin utilization group was found. In the case of the standardized patient utilization group, the improvement of the pre and post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communicat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lf-reflection diary, the practical experiences utilizing the standardized patients affected th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in reflecting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cating with patients. Also, the experiences were reported to be effective for them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cation.

      • KCI등재

        SBAR를 활용한 건강사정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양희모(Hee-Mo Yang),김연정(Yeon-J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건강사정실습 교육과정에 구조화된 SBAR를 활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충남 소재 4년제 A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45명을 대상으로 SBAR를 활용한 건강사정실습 교육을 적용한 후 사전, 사후 관련 변인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IB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값은 각 척도 별로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였다. 둘째,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학습동기는 기술통계를 활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셋째,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SBAR를 활용한 건강사정실습 교육 후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명확성은 사전 1.88±0.57, 사후 4.87±0.3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Z=-5.846, p<.001).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자신감은 교육 전에 비해 사전 5.33±0.57, 사후 7.92±0.6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Z=-5.875, p<.001). 학습동기는 사전 3.71±0.25, 사후 3.97±0.3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Z=-4.617, p<.001). 결론 SBAR를 활용한 건강사정실습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과 의사소통자신감,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표준화된 SBAR도구를 활용한 교육은 예비 간호사의 의료인 간 효율적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적절한 교육 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learning motivation by utilizing structured SBAR in the health assessment practice curriculum. Methods The pre and post-related variables were measured after applying health assessment training using SBAR to 45 students who are in the second grade of nursing at A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IBM). First, the confidence value of the scale used was Cronbach s α for each scale. Second,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calculated using technical statistics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ir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verify the theory. Results As a result, the communication clarity of the study subjects after training in health assessment using SBAR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o 1.88±0.57 in advance and 4.87±0.30 in post-SBAR (Z=-5.846, p<.001). The communication confidence of the subjects ros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o 5.33±0.57 in advance and 7.92±0.64 in post-training (Z=-5.875, p<.001). The learning motivation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o pre 3.71±0.25, post 3.97±0.34 (Z=-4.617, p<.001). Conclusions Health assessment practicum education using SBAR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learning motivation for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respond to future nursing practices in a recent medical environment that requires fast and accurate judgment and comprehensive problem-solving skills, teaching strategies such as practical training using SBAR are needed as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졸업 학년 간호학생의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지도와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

        양희모(Yang Hee Mo)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3

        본 연구는 졸업 후 곧바로 의료기관 현장에 투입될 졸업 학년 간호학생의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지도와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여 환자 안전을 위한 병원감염관리 질적 향상과 감염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021년 1월 4일부터 1월 10일까지 C도 소재 3개 대학의 졸업을 앞둔 4학년 간호대학생 16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로 측정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지도와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 정도는 빈도분석과 기술 통계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 인지도와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의 평균비교는 t검정으로,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지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3점,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는 평균 3.23점으로 나타났다. 표준주의 인지도의 8가지 하위 영역 중 손 위생영역이 3.53점으로 가장 높았고, 환경관리영역이 3.0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성별, 전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환자 안전에 대한 교육 이수 횟수에 따른 표준주의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여성보다는 남성(t=.333, p=.592)이, 전공에 만족하는 경우(t=-1.187, p=.237), 임상실습에 만족하는 경우(t=-1.124, p=.902), 환자 안전에 대한 교육을 2회 이상 이수한 경우(t=-1.324, p=.245)에서 표준주의 인지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는 여성(t=-1.349, p=.634), 전공에 만족하는 경우(t=-.738, p=.461), 임상실습에 만족하는 경우(t=.059, p=.359), 환자 안전에 대한 교육을 2회 이상 이수한 경우(t=-1.324, p=.187)에서 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상자의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지도는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 .216, p<.05). 즉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지도가 높을수록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도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야 하는 최근의 국제적 공중 보건 사태의 상황 속에서도 선행연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표준주의 인지도와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 점수는 추후 반복연구를 통해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지도와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환자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hospital infection management and infection prevention for patient safety by identifying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attitude of nursing students who will be deployed to the medical institution site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From January 4 to January 10, 2021, 165 fourth-grade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were about to graduate from three universities in C-do were studi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21.0 statistics program.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was measured with Cronbach s α,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average comparison of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attitudes to patient safe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t-tes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analyzed using Pearson s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study, the averag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was 3.43 out of 5 and the average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was 3.23 points. Among the eight sub-regions of standard precautions, the hand hygiene area was the highest with 3.53 points, while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area was the lowest with 3.03 poi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ccording to gender,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number of training completion on patient safety, men rather than women (t=.333, p=.592), if you are satisfied with your major(t=-1.187, p=.237), if satisfied with the clinical practice(t=-1.124, p=.902), if more than one training session for patient safety has been completed (t=-1.324, p=.245). Although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was hi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the attitude to patient safety is female (t=-1.349, p=.634), if you are satisfied with your major(t=-.738, p=.461), if satisfied with clinical practice(t=.059, p=.359), if patient safety training has been completed more than once(t=-1.324, p=.187), the scores in were high,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in subjec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ttitudes to patient safety(r=.216, p<.05).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the better the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Despite the recent international public health crisis in which awareness of patient safety needs to be high,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and attitude scores for patient safety need to be reconfirmed later in repeated studies. It also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s is required to enhance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attitudes toward patient safety.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공감역량,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Lee Yun-Jeong),양희모(Yang Hee-Mo),이경주(Lee Kyou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공감역량, 임상실습스트레스, 진로적응성 정도를 알아보고,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 162명이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하여 자가보고식 형태로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2월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은 5점 만점에 평균 2.60점, 공감역량은 평균 3.80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평균 2.96점, 진로 적응성은 평균 3.95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진로적응성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진로정체감, 공감역량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공감역량, 임상실습스트레스, 진로정체감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들 중 공감역량이 가장 높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실습스트레스는 낮추고 진로정체감과 공감역량을 강화시키기위한 다양한 교육적 전략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areer identity, compassionate competence, clinical practice stress, career adaptability, and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affect career adapt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162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December of 2018 to February of 2019. The research found that the subjects’ career identity averaged 2.60, compassionate competence averaged 3.80 points, clinical practice stress averaged 2.96 points, and career adaptability averaged 3.95 points out of 5 points. The subjects’ career adaptabili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identity and compassionate competenc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career adaptability were significant in compassionate competenc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areer identity, among which compassionate competence had the highest influ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 order to enhance career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tress needs to be lowered, and diverse educational strategies are needed to strengthen career identity and compassionate compe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