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세기 두모포왜관의 경관과 변화

        양흥숙 ( Yang Heung Sook ) 부경역사연구소 2004 지역과 역사 Vol.- No.15

        When the Imjin Weran(壬辰倭亂) ended, Korea and Japan started negotiation to resume their diplomatic relations. In 1609 the two finally concluded an agreement, called Giyu Yakjo(己酉約條), which confirmed the peace. Immediately after that, Korea and Japan sent out their delegates. The Koreans in particular needed an accommodation for the incoming Japanese, so built Japan House, Wekwan(倭館). At first a temporary Wekwan was built in 1601 in an island called Chulyoungdo(絶影島), then another in a port called Dumopo(豆毛浦) in 1607. The latter existed for around 70 years, till Wekwan in Choryang(草梁倭館) was built in 1678. During these 7 decades many important changes occurred to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ncluding their establishment of a trading as well as diplomatic system, Gyumdeje(兼帶制), in 1637. The research undertaken in this paper is mainly about Dumopo Wekwan(豆毛浦倭館). The scale and the outlook of Dumopo Wekwan have not been known so far due to the lack of relative documents and of pictures. Therefore, the author has first collected records then analysed them. In doing so, I could find the fact that there were stone walls on the back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Dumopo Wekwan, but the front was guarded by wooden wall. Around the walls, there were Korean soldiers who restricted the entry of both Koreans and Japanese. As time went by,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s changed from simple to complicated with some attached buildings. It was the time that the diplomatic relations and th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rapidly improved. The numbers of Japanese staying in Wekwan also dramatically increased. This situation was immediately reflected on the numbers of the buildings. As the trade went up, there were more demands on improving the facilities of the port. Accordingly, the Koreans tried to repair and improve the facilities, and build new ones. However, Dumopo Wekwan was not able to accomodate the demands. The Korean as well as Japanese delegates went into a negotiation for the next thirty years to move the Wekwan. At last, Choryang Wekwan was built in 1678.

      • KCI등재

        對馬島 易地通信과 譯官, 그 ‘의례적’ 관계와 ‘은밀한’ 교류의 간극

        양흥숙(Yang,Heung-sook),김동철,조강희,김경미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0 No.-

        이 글은 24년의 우여곡절을 딛고 성사된 1811년 易地通信과 관련하여, 이 일이 추진되던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까지의 시기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통신사 파견 과정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고 다수의 역관 희생자를 낸 1805년 사건과 관련이 많다. 현재 대마도의 對馬歷史民俗資料館에는 역지통신과 관련하여 朝日兩國의 역관이 쓴 한글서간이 남아 있다. 역관이 남긴 서간은 개인이 쓴 서간이므로 개인 일상에 관련된 내용도 다수이지만, 역관 직위와 관련되는 업무 내용도 많다. 업무 내용은 통신사 파견과 관련된 차왜, 역지통신의 추진 과정과 방안, 양국의 정치적 상황 등 정보를 서로 교환하는 내용이 많다. 역지통신 추진이 비밀리에 진행되었으므로 관찬기록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내용 또는 관찬기록보다 세밀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역관의 한글서간은 사료적 가치가크다. 조선인 역관은 왜관과 그 외곽의 任所를 무대로 일본인 역관과 교류하면서 역지통신을 추진하는 가능성을 열었고, 더욱이 조선 조정 일각에서의 비밀스런 지시를 받아 일을 추진하였다. 박준한을 비롯한 역관은 訓導를 릴레이식으로 이어서 임명받으면서 역지통신의 관한 일을 비밀리에 추진할 수 있었으나,결국 1805년 이 일이 발각되자 역지통신 추진의 모든 책임을 진 채 죽임을 당하였다. 이 일을 지시한 조정 대신은 배제된 채 일을 추진한 역관, 동래부의 소통사, 상인 등이 희생되었다.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역관에게 덧씌워진 죄상은 역관의 자기 기술(서간 내용)과는 차이도 있어, 역지통신 과정에서의 공식적인 국가사와 비공식적인 개인사의 간극을 찾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영도의 공간적 특성과 경관의 조성

        양흥숙(Yang, Heung-So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7 No.-

        영도는 부산광역시 내에서 육지와 200여 미터 떨어진 가까운 유인도이고 하나의 자치구를 이루고 있다. 근대 이후 공업화가 진행되면서 인구 밀집지역이 되었고 관련 연구성과도 나왔지만, 근대 이전 특히 조선시대의 영도에 대해서는 별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국영 목장, 봉산으로 사용되는 곳이었기 때문에 사람들과의 관계가 없는 곳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람들과는 무관하게 존재한 것처럼 보였던 ‘섬’ 영도는 실제로는 (육지) 사람의 생활 공간으로 존재하였다. 부산항의 가장 바깥 경계에 위치하면서 부산의 길목이 되기도 하고, 부산항을 해양으로부터 지켜주는 공간이 되기도 하였다. 이런 인식은 古地圖에 나타나기도 하고 여러 고문헌 속에 기록되면서, 사람들과 무관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기억에 자리할 수 있었다. 국영 목장, 봉산으로 존재한 영도는 차단된, 금지된 공간이 아니라, 이를 운영하기 위한 사람들이 있어야 하는 공간이었고, 사람들이 있으면서 사당(제사 공간)이 생기는 등 상징적인 공간이 될 수 있었다. 또한 육지와 가까웠기 때문에 영도와 마주보는 육지 공간, 즉 일본인 마을인 왜관과 가장 가까웠다. 특히 조선에 온 일본인들은 모두 대마도인들로 대마도와 섬이라는 같은 지형을 가진 영도에 대해 친숙하게 여기고 있었다. 왜관을 그리는 그림에도 영도가 등장하고 그들의 사당도 있는 공간이었다. 영도는 섬이라고 하여 육지와 동떨어진 곳이 아니라, 끊임없이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였다. 나아가 사람들에게는 경험이 이루어지고 기억이 되는 공간으로 의미를 쌓아가고 있었다. Yeongdo is an inhabited island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Located 200m off the shore, it is made up of a borough. Since the modern times, it became a densely populated area with the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However, little has been studied about the island before the modern era, and especiall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is because the island had been used as a state-operated farm and a prohibited forest, and thereby was regarded unrelated to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investigates how Yeongdo, which appeared to have existed unrelated to Busan people, actually existed building its significance in relation to the lives of people. Located at the farthest boundary of Busan port, Yeongdo has been a strategic point of Busan, an important space that protected the Busan port from the field of ocean. This recognition is indicated in old maps and many other ancient documents, suggesting that, rather being unrelated to the people, the island came to hold a place in their memory. Yeongdo, which had existed as a state-operated farm and a prohibited forest, was actually neither a blocked nor prohibited place, but was a place that required people to operate and manage the farm and forest. With the habitation of people, shrines for ancestrial rites appeared in Yeongdo. Thus, the island became a symbolic space. In addition, since Yeongdo was close to the land, it was the closest place to Waegwan, the Japanese residence located on the shore facing the island. Most of the Japanese people who came to Joseon were from Tsushima, and thus felt familiar with the Yeongdo, which had topographical features of an island like Tsushima. In their drawings of Waegwan, the included Yeongdo, as a space with their shrine. Yeongdo, despite its topographic features as an island, was not disconnected from the land but rather existed in constant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Furthermore, it had been building its significance as a place, where people had experiences, a space to remember.

      • KCI등재

        조선의 對日關係와 동래 사람들

        양흥숙(Yang, Heung-sook)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9 No.-

        조선시대 국경은 여진족을 접하는 두만강 일대, 중국과의 경계인 압록강 일대, 일본과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는 동래부 등을 지칭하였다. 국경 지역 중에 동래부의 가장 큰 특징은 일본인 거주지가 관할 구역 내에 존재한다는 점이다. 왜관이라고 불리는 일본인 거주지가 1407년 조성되기 시작한 이래 1876년 근대 개항까지 존속되었다. 더욱이 왜관은 조선 남해안의 세 포구에 각각 있다가 1544년 사량진왜변을 계기로 부산포 한 곳에만 있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부산 단일 왜관 형성을 임진왜란 이후의 시기에서 강조하고 있다. 그것은 16세기에 잦은 왜변으로 부산포왜관이 제 기능을 하지 못했으리라는 가정이었다. 그러나 왜관의 역할은 계속되고, 왜관주변의 조선인 역시 일본인과의 교류를 지속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교류의 양태는 임진왜란 직후, 양국 國交가 공식적으로 재개되기 전에 開市가 승인되는 계기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더욱이 제포왜관을 열어달라는 일본 측의 지속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조선에서는 부산포에만 왜관을 둠으로써 동래 사람들은 일본인과의 교류를 이어나갈 수 있었다. 특히 그 물자를 교환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市場을 통해 동래 사람들과 왜관의 일본인들은 일상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The borders of Joseon Dynasty consisted of the whole area of Dumangang neighboring the Jurchen people in Manchuria, the whole area of Amnokgang which borders on China, and Dongnaebu which was located across the sea and Japan. Among these areas of border lines, Dongnaebu was special in that the residence for the people of the neighboring country, Japan, in this case, was located within the jurisdiction. Japanese residence, called Waegwan, was first established in 1407 and continued to function until Joseon’s opening of ports to the modern world in 1876. Of course, there were times when Waegwan was shut down due to Japanese invasions and riots. Waegwan existed in three southern ports, but the Japanese riots in Saryangjin caused two of them to shut down leaving one in Busanpo. Accordingly, Japanese people who lived in the other two ports moved to Busanpo Waegwan and the Joseon people who engaged in trading crowded around Busanpo as well. Existing studies have emphasized the formation of Busan’s single Waegwan to the era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 This posi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usanpo Waegwan could not have functioned properly because of frequent Japanese riots during the 16th century. However, The role of Waegwan continued to be important, which enabled Joseon people near Waegwan continue to advance exchanges with the Japanese people. this pattern of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seems to have provided the opportunity to approve an open market prior to the official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o two countries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 Besides, despite Japan’s persistent request for opening Jaepo Waegwan, the Joseon officials only allowed one Waegwan in Busanpo, which allowed the people of Dongnae to continue their exchanges with the Japanese people. In particular, the people of Dongnae and the Japanese residing in Waegwan were able to maintain daily relationship through a market where commodities were exchanged and information shared.

      • KCI등재

        『울산부 호적대장』을 통해 본 조선후기 降倭의 존재와 정착

        양흥숙(Yang, Heung-Sook)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4 No.-

        임진왜란 중에 많게는 1만 명의 일본군이 降倭의 길을 택하였다. 참전병으로서 가족 없이 조선에 왔기 때문에, 귀화를 선택하는 순간 그들은 일본 사회에서 오랜 기간 형성해 온 관계들이 단절된 사람들이었다. 조선 생활에 필요한 사회적 관계를 처음부터 만들어 나가야 하는 사람들이었고 일본으로는 돌아가기 어려운 사람들이었다. 항왜는 외모적으로 조선인과 비슷하지만, 언어, 문화가 다른 외국인이고 더욱이 조선을 침략해온 침략군이었기 때문에 조선 사회에 스며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항왜 중에는 降倭將등으로 불리면서 항왜를 관할하고, 조선 사회에서 유명세를 떨친 일본인들이 있었다. 반면 조선군에 재편입되어 전장을 떠돌거나, 변방으로 강제 이주되거나, 조선 내부의 정치적 사건에 휘말려 희생당하는 이들도 있었다. 또한 전쟁이 끝난 후 ‘조선인으로 살아가기’를 빠르게 시도하면서 조선의 평민과 다름없는 항왜도 다수 존재하였다. ‘조선인으로 살아가기’ 과정은 일면 조선에서 ‘항왜를 조선인으로 만들기’의 과정이기도 하였다. 이 글은 항왜가 조선인이 되는 정착과정을 『울산부 호적대장』을 통해 살펴보았다. 『울산부 호적대장』은 임진왜란 직후인 1609년의 것부터 남아 있다. 『울산부 호적대장』 속의 항왜는, 대구 金忠善[사야가, 沙也可]처럼 文集을 남기거나, 대구시 우록리와 같이 세거지를 형성하고 마을에서 가장 높은 지위를 유지 하는, 조정 논의에서 이름이 호명되는 그런 유명인이 아닌 凡人들이었다. 호적대장에 등재된 내용을 통해 항왜들이 겪는 ‘조선인으로 생활하기’의 과정-조선의 성(姓) 가지기, 가족 구성, 가계의 계승-과 조선인과 동일하게 호적대장의 항목을 채워나가는 ‘조선인으로 만들어지기’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Japanese defectors who resided in Ulsan area after the end of Imjin War(1952~1958) based on the Census Register of Ulsan-bu. Since the Japanese defectors came to Joseon as soldiers unaccompanied by their family members, their existing relationships formed in Japan were completely severed when they decided to be naturalized as Joseon people. They could not return to Japan and had to build new social relationships in Joseon. Blending into the Joseon society was a challenge for these people, because their language and culture were different Joseon people even though they had similar physical appearances. Moreover, they were strange foreigners and were especially members of the Japanese army that invaded Joseon. Importantly, aspects of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se Japanese defectors in Joseon sociey can be found in the Census Register. The Census Register of Ulsan-bu includes contain records about the Japanese defector Kim Chung-seon, who left behind an anthology of literary works, the formation of kinship villages such as Urok-ri in Daegu City, and also about the non-famous ordinary Japanese people who were not called during government discussions. Therefore, through the items recorded in the Census Register,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Japanese defectors becoming Joseon people-the adoption of Joseon family names, family composition, and family succession- and investigates the presence and changes of Japanese defector households.

      • KCI등재

        조선후기 항왜(降倭)의 존재 양상과 정착-대구시 우록리 김충선의 후손 사례를 중심으로-

        양흥숙 ( Heung Sook Yang ) 대구사학회 2016 대구사학 Vol.122 No.-

        임진왜란이 발발한 직후부터 항왜가 발생하였는데, 기록에 따라서는 항왜가 1만명에 이를 정도였다. 항왜는 母國인 일본을 등지고, 조선에 歸化한 사람들이지만, 정치 소용돌이에 휘말리면서 희생되는 이들도 많았다. 그런데 임진왜란 이후에 이들이 어떻게 조선에 정착해서 살아갔는지가 현재까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대구시 우록리는 항왜 사야가(김충선)의 후손이 모여 사는 집성촌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남아 있는 「大邱府 戶籍臺帳」에는 17세기 후반 이후의 항왜 후손의 家系 모습이 잘 남아 있다. 김충선의 후손들은 우록리에서 상위 계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김충선의 손자인 김진영이 남긴 문집에는 항왜 후손이 조선 사회에서 외롭고, 정착하기 쉽지 않는 삶을 사는 것에 대한 우려가 남아 있다. 항왜들은 항왜 가문간 혼인을 통해 조선 사회에서의 안착을 도모하였고, 洞約을 만들어 거주하는 마을(우록리) 내의 협력과 연대를 강화해 나갔다. Japanese defector appeared righ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ccording to some records, the number of Japanese defector in Joseon had reached ten thousand. Hangwae refers to Japanese people who defected Japan and became naturalized in Joseon, but a lot of them got caught up in political maelstrom and were sacrificed. In addition, nothing much has been revealed until now about how they settled down and lived in Joseon since the Imjin War(1592~1598). Today, Deagu-shi Urok-ri is known as a village where the descendents of Japanese defector Sayaka(Kim Chung-seon) live together. According to the remaining ``Daegu Village Family Register``, status of family(household, lineage) descended from Japanese defectors since the late 17th century is described in detail. The descendents of Kim Chung-seon were among the upper class people in Urok-ri. In the anthology written by Kim Jin-young, Kim Chung-seon``s grandson, expressed his concern about the loneliness and challenges descendents of Japanese defectors experience while settling down in Josoen society. Japanese defectors promoted stable settlement in Joseon society through marriage between Japanese defector families. Also, they formed Dongyak and reinforced cooperation and solidarity within the village they were liv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yangyang1513@pusan.ac.kr)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義州 지역의 교류와 義州民의 異國 경험

        양흥숙(Yang, Heung-So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3

        조선후기 의주는 國境, 關門 등으로 상징되었다. 국경에 위치하므로 군사적 요충지가 되지만, 청과의 군사적 긴장이 감소되면서 의주는 외교와 무역 기능을 강화할 수 있었다. 의주는 조선과 明?淸 사이의 경계, 여진과 인접해 있는 境界地였다. 또한 국경으로 상징되는 압록강은 민의 이동하는 데 장애물이 되지 못하였으며, 더욱이 압록강 건너편부터 요동의 連山關(또는 鳳凰城) 사이에는 國境線이라고 상징할 만한 통제물이 없었다. 그러므로 의주부터 連山關(또는 鳳凰城)까지는 ‘國境中立地帶’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런 공간적 특성은 조선후기 내내 이어졌다. 민의 이동이 빈번하자, 빈 압록강변의 출입통제를 위해 청에서 군 초소를 세우려고 하였으나 조선에서는 이를 반대하였다. 초소가 생기면 마을이 생기고, 민의 왕래가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는 우려때문이었다. 압록강변을 군인의 감시가 없는 空閑地로 남겨두려고 한 것은, 오히려 민이 경계를 넘는 越境이 단절되지 않는 한 가지 원인으로 제공되었다. 한편 크고 작은 분쟁, 후금 건국,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이 발발하였을 때에는 상호간에 이주민이 대거 발생하였다. 조선전기에도 여진인 마을로 이주하는 조선인, 조선인 마을로 이주한 여진인이 많았던 것과 유사한 양상이었다. 청을 피해 들어오는 漢人(明人)이 이주하고, 이주민의 마을이 생겨나기도 하고, 이들과 결혼하는 의주 사람도 생겼다. 명확하게 보였던 나라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상황이 의주를 비롯한 변방에서 생겨났다. 의주는 조선과 明淸을 오가는 使行路에 또한 위치하였다. 燕京을 오고가는 연행사, 조선에 들어오는 勅行이 의주에 체류하면서 의주민은 청의 소식, 정보, 문화를 접할 수 있었다. 또한 사행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직접 淸에 가서 異國을 경험할 수도 있었다. 무엇보다 柵門後市에서의 거래를 지속하면서, 의주상인과 淸 상인은 신뢰를 쌓을 수도 있었다. 의주는 國境이라는 통제성, 邊方의 주변성, 민의 이동과 여행을 통해 이문화의 수용과 변용이 진행되는 지역이었다. 의주민은 異國 경험과 교류를 반복함으로써 자신의 공간을 확장하고, 異國人과 관계를 심화시킬 수 있었다. The Uiju in Pyeongan-do province during late Chosun period was the gate of the state; however, the city also has active exchange with foreign parties. War and exchange crossed with each other in a city located on a border because the city becomes a battleground during a war but it also becomes a place of goods exchange during peaceful time. In other words, war and exchange co-existed in a city on a border. War and exchange crossed with each other in a city located on a border because the city becomes a battleground during a war but it also becomes a place of goods exchange during peaceful time. In other words, war and exchange co-existed in a city on a border. Uiju also had geographical environment in addition to above border city environment, which enabled border-crossing. China and Chosun both clarified the border and strictly regulated border-crossing of people; however, the awareness on the border held by local people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awareness of politicians. As more people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elegations to China, people who had the experience on foreign countries increase. In addition, as the exchange and trading on private level became active, the border became on objective to be crossed. The people of Uiju lived in a space, where the control of the state was quite strong; however, the location of Uiju was a remote frontier from the capital. The Uiju people living in the frontier of the state weakened the controlling power of the state and demonstrated the dynamics of border-crossing; while accommodating and learning new culture. Therefore, Uiju was a city, in which the people became familiar with exchange experience because their border-crossing experience was repeated every year.

      • KCI등재

        역사자원을 활용한 마을 기억의 재현 양상

        양흥숙(Heung Sook Y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3

        본 연구는 대구시 우록리를 대상으로 하여 마을에 전승되는 기억과 문화, 그리고 재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록리는 17세기 전반부터 조성된 賜姓金海金氏의 세거지로서, 임진왜란 때 귀화한 일본인 金忠善의 후손들이 모여살고 있다. 400년의 역사 속에서 김충선의 기록, 구전이 이어지고 있고, 서원, 기념관, 기념비 등이 세워져 있어 마을의 경관이 재구성되고 있다. 이로써 직접 경험하지 못한 역사를 우록리 주민들은 체험할 수 있고 마을의 기억으로 공유·재현하고 있다. 무엇보다 귀화한 일본인 후손 마을이란 특징 때문에, 다른 마을과는 차별적인 마을문화로 주목받았다. 특히 지방자치제 이후에는 마을의 역사자원이 지역의 사회적·경제적·문화적 자원으로 인정되면서 시·군과 문중이 연계하여,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만들어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김충선은 한일 우호의 인물로 상징되면서 마을에 일본인의 방문이 증가하고, 일본에 그의 기념비가 세워짐으로써 마을의 기억은 더욱 확장되어 재현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mories and culture passed down in a village and how they are represented by studying the case of Urok-ri in Daegu. Urok-ri was the village of Gimhae Kims honored with the royal surname and formed since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descendants of Kim Chung-seon, who was naturaliz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ave been living in Urok-ri. Over the course of 400 years, the records and oral tradition of Kim Chung-seon have been passed down, and because of the auditorium, memorial hall, and monument built in memory of him the landscape of the village is being restructured. Therefore, the Urok-ri villagers are experiencing the history they had not experienced first-hand and are sharing and representation it through the memory of the village. Most of all, Urok-ri came into the spotlight as a culture village different from other villages because of its distinctiveness as the village of the future generations of a naturalized Japanese. In particular, since the launch of the autonomous local government system, historical resources are being developed into new cultural contents by the cooperative efforts between the city and county offices and the family. In addition, the number of Japanese people visiting the village is increasing with Kim Chung-seon being revered as a symbolic figure of friendship between Japan and Korea, and the village memory is being extended and represented all the more through the erection of his monument in Japan.

      • KCI등재

        ‘범죄’를 통해 본 조선후기 왜관 주변 지역민의 일상과 일탈

        양흥숙(Yang, Heung-So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40 No.-

        조선후기의 동래(부산)는 그 지역 내부에 왜관이 있었다. 왜관은 외교와 무역이 진행되는 공간이면서, 일본인이 살던 마을이었다. 그곳을 출입할 수 있는 시간과 사람이 제한되어 있는 공간이었다. 또한 그 마을은 사방이 담으로 둘러싸여 있고, 조선인 군인이 지키고 있었으므로, 사실상 통제되는 공간, 통제되어야 하는 공간이었다. 동래(부산)는 일본과의 전쟁이 발발하면 최전선이 되는 지역이므로, 일본인 마을인 왜관에 대한 통제도 이와 무 관하지 않았다. 이러한 통제와 교류의 내용을 기록해 놓은 것이 각종 약조(約條), 규칙들이다. 통제 아래에서 진행되는 교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고, 이러한 제한된 교류가 지역민에게는 일상이 되었다. 왜관 주변에 거주하는 지역민이 왜관의 일본인과의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때때로 일탈을 감행해야 했다. 일탈은 새롭게 변화된 일상을 찾는 지역민의 시도이었지만, 국가의 시선에는 ‘범죄’ 였다. 일탈의 경험과 인식이 지역에서 반복되고 묵인, 공유되면서 일탈은 더 이상 일탈이 아닌 것이 되었다. 일탈이 일상화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지역민의 역동성에 기인하였다. 반복의 지속성과 시간성으로 일상에서 생겨난 관계는 습관화되고 공유되면서 로컬리티로 내재되었다. Waegwan was located inside an area called Dongnae(Bus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was a space of diplomacy and trade with Japan as well as a village where Japanese people lived. Therefore, time and people were restricted to entering the area. In addition, the village was surrounded by walls, being protected by Joseon soldiers, which indicates that it was a space being controlled and to be controlled as a matter of fact. In case of a war with Japan, Dongnae(Busan) would become the forefront, which apparently had something to do with such regulations on Waegwan, a village for Japanese people. What recorded such regulations and exchanges were a variety of pledges(約 條), so-called rules. Exchanges under control must have been limited, and such a limited exchange became part of the local people's everyday lives. For the local people residing around Waegwan to expand their exchange with Japanese people, they had to risk deviation sometimes. Deviation was an attempt of the local people looking for a newly changing everyday life, but from a national point of view, it was just 'crime'. As the local people'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deviation were repeated, overlooked and shared with one another more and more, such a deviation was not what deviation should be any longer. What made such a deviation routinized seemed to be attributed to the local people's dynamism. The local people's daily routine-based relations became habituated and shared with one another through repeated continuity and temporality, leading to being inherent as locality at last.

      • KCI등재

        『초량화집(草梁話集)』의 이본(異本)과 재생산 - 『조선초량화집(朝鮮草梁話集)』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흥숙 ( Yang Heung-sook ),정성일 ( Chung Sung-il ),김동철 ( Kim Dong-chul ) 부경역사연구소 2021 지역과 역사 Vol.- No.48

        이 글에서는 초량왜관에서 근무한 조선어 역관 小田幾五郞이 쓴 『草梁話集』의 異本들을 고찰하였다. 『초량화집』은 초량왜관 안팎의 조선인, 부산사람들, 부산의 마을 등이 묘사되어 있어, 조일교류사는 물론 18세기 후반의 부산 현황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록이다. 『초량화집』은 여러 개의 필사본이 남아 있는데,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초량화집』은 일본 東京都立中央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도립본」이라고 하였다. 특히, 이 글에서는 부산박물관에 『조선초량화집』이란 표제로 소장되어 있는 『초량화집』을 소개하였고, 이를 「부박본」이라고 하였다. 「부박본」은 1927년에 1월 小田省吾가 교정한 필사본으로, 알려져 있는 『초량화집』 중 필사 시기가 가장 늦은 것으로 생각된다. 「도립본」과 「부박본」의 가장 큰 차이는 도입부이다. 『초량화집』은 서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도립본」은 바로 본문이 시작되는데, 첫 목차는 「一 御送使船着之節古來者萬戶牧ノ嶋外迄爲出迎由」이다. 대마도 사절이 왜관이 도착하였을 때 조선측에서 영접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부박본」은 첫 목차가 시작되기 전에 ‘초량 지명 유래와 왜관 이전’, ‘초량왜관의 크기’ 등 초량왜관의 개요가 서술되어 있다. 그리고 「부박본」은 전체 목차와 내용 구성면에서 「도립본」과 많이 다르며, 「도립본」보다 많은 내용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초량화집』은 계속 필사되면서 수정 또는 증보가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부박본」은 1933년부터 편찬된 『釜山府史原稿』에 인용된 『초량화집』과 내용면에서 매우 유사한 것을 발견하였다. 당시 부산의 역사를 편찬하기 위해 많은 사료들이 수집되고, 참고문헌으로 인용되었다. 이런 과정에서 『초량화집』이 다시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몇 개의 異本들을 비교하면서 『초량화집』의 변화와 그 의미들을 고찰하였다. This study considered different versions of Choryanghwajib written by a Korean language interpreter Oda Ikugoro, who worked at Choryang Waegwan. Choryanghwajib includes descriptions of Joseon people in and out of Choryang Waegwan, the people and villages of Busan.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record revealing the situations of Busan as well as Joseon-Japan relations in the late 18th century. Choryanghwajib remains in several versions of manuscript, and the most famous one is Choryanghwajib housed in Tokyo Metropolitan Central Library. This manuscript is referred to as the Tokyo Metropolitan version. This study newly introduced Choryanghwajib manuscript that is housed in Busan Museum and entitled Joseon Choryanghwajib, which is referred to as the Busan Museum version. The Busan Museum version is a manuscript that was revised by Oda Shogo in 1927 and is judged to be the latest produced manuscript among the remaining versions of Choryanghwajib.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Tokyo Metropolitan version and the Busan Museum version is the introduction. Choryanghwajib is characterized by having no introduction. Thus, the Tokyo Metropolitan version immediately begins with the body with the first content covering matters of reception in Joseon when a ship with an envoy from Tsushima Island arrives. On the other hand, the Busan Museum version begins with a summary of Choryang Waegwan containing contents such as the ‘Origin of Choryang, the name of the place, and the relocation of waegwan,’ and the ‘Size of Choryang Waegwan’ before the main contents start. The Busan Museum version is quite different from the Tokyo Metropolitan version in terms of overall list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and is characterized by more contents than the Tokyo Metropolitan version. This confirms that Choryanghwajib was modified and expanded as it was repeatedly transcribed.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Busan Museum version, in particular,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Choryanghwajib cited in Busanbusawongo(Manuscripts for the History of Busan-bu) published in 1933. At the time, a lot of historical records were collected in order to compile the history of Busan. it appears that Choryanghwajib was transcribed again in that process.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nges and significance of Choryanghwajib comparing its different ver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