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웨이브렛 계수의 비트율-왜곡 예측 기반 임베디드 부호화에 관한 연구

        양창모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하드웨어 성능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한편 고해상도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연산량이 다소 증가하더라도 이미지나 비디오의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JPEG2000 표준에서 이산 웨이브렛 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을 이용하는 임베디드 부호화 기술을 채택한 이후, 임베디드 부호화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임베디드 부호화란 비트단위의 정확한 비트율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호기가 생성한 비트스트림에 임의의 지점에서 잘림이 발생하더라도 복호기가 잘려진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복호를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부호화 기술이다. 따라서 임베디드 부호화는 높은 부호화 성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비디오를 네트워크 가용 대역폭에 적응적인 비트율로 전송하는 응용분야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DWT를 이용하는 기존의 임베디드 부호화 기법에서는 웨이브렛 계수들을 셋이나 블록으로 구성한 후,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크기 임계값과의 비교를 통해 셋이나 블록의 중요도를 부호화한다. 이때, 크기 임계값을 2의 승수의 값으로 선택함으로서 비트평면 부호화가 수행되며, 부호화 비트평면에서 셋이나 블록내 계수들이 모두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셋이나 블록을 적은 비트로 부호화함으로서 압축효과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부호화 기법들은 빠른 부호화가 가능하고 임베디드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반면,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이 비트율-왜곡의 관점에서 최적화되어 있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임베디드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비트율-왜곡 최적화를 수행하는 연구들이 있었으나, 기존의 연구들은 비트율-왜곡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해 엔트로피 부호화의 성능이 감소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여 연산량이 다소 증가하더라도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임베디드 부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연구들이 가지는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하는 부호화 기법에서는 웨이브렛 계수나 블록을 비트율-왜곡비 기댓값에 따라 정렬함으로서 비트율-왜곡 최적화를 수행한다. 또한, 제안하는 부호화 기법에서는 블록의 비트율-왜곡비 기댓값을 이용하여 적응적인 블록분할 부호화를 수행한다. 엔트로피 부호화를 위해서는 웨이브렛 계수들 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상관관계가 사용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부호화 기법이 임베디드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면서도 기존의 부호화 기법들과 비교하여 향상된 부호화 성능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특히, 부호화를 위해 입력되는 이미지와 비디오에 고주파 성분이나 객체의 움직임이 적을수록 제안한 부호화 기법이 기존의 부호화 기법들과 비교하여 높은 부호화 성능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또한, 실험 결과는 제안한 부호화 기법을 네트워크 가용 대역폭에 적응적인 비트율로 미디어를 전송하는 응용분야에 활용함으로서, 서비스 품질과 체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recent years, as hardware performance has been rapidly improved and interest in high-resolution media services has increased, researches for improving the coding performance of images or video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even though the amount of computational complexity has increased somewhat. In particular, after adopting the embedded coding technique using discrete wavelet transform(DWT) in the JPEG2000 standard, various schemes have been stud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mbedded coding. Embedded coding is a coding technique which can provide accurate bitwise rate control, and has features that the decoder can perform decoding using a truncated bit-stream even if truncation occurs at an arbitrary point in the bit-stream generated by the encoder. Therefore, embedded coding not only provides high coding performance but also is effectively used in applications where images or videos are transmitted at an adaptive bit rate to the available bandwidth of the network. Generally, the existing DWT-based embedded coding schemes construct sets or blocks of wavelet coefficients, and encode their significance by comparing the magnitude of wavelet coefficients in blocks or sets with an exponentially decreasing magnitude threshold. In this process, the DWT-based embedded coding schemes perform bit-plane coding by selecting the magnitude threshold to be a multiplier value of two, and compression effect occurs by encoding the sets or blocks with a small number of bits when all coefficients belonging to the sets or blocks have a value of zero in the encoded bit-plane. Although these existing coding schemes are capable of fast encoding and suitable to generate embedded bit-streams, they have the drawback that the encoded bit-stream is not optimized in terms of the rate-distortion aspect. In order to improve the drawback, there have been studies to perform rate-distortion optimization while maintaining embedded features. In these studies, however, they have the drawback that the performance of entropy coding decreases to perform rate-distortion optimization. In this dissertation, a new embedded coding scheme is presented to improve the coding performance even if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s increased somewhat compared with the previous works. In order to overcome drawbacks of the previous works, the proposed coding scheme performs rate-distortion optimization by aligning wavelet coefficients or blocks according to their expected rate-distortion slope. In addition, the proposed coding scheme performs adaptive block-partition coding using the expected rate-distortion slopes of blocks. For the entropy coding, various correlations existing among wavelet coefficients are utilized.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coding scheme not only produces embedded bit-streams, but also provides better coding performances than the existing coding schemes. Especially,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coding scheme provides much better coding performances than the existing coding schemes when input images and videos have fewer high frequency components or less motions of objects. In addi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coding scheme can improve both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quality of experience by applying it to applications that transmit media at an adaptive bit rate to the available bandwidth of the network.

      • 디스플레이 화질 평가 및 개선: 투명 및 Tiled 디스플레이, FSC-LCD

        양창모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디스플레이는 과거 CRT 및 PDP부터, 현재 LCD 및 OLED 디스플레이까지 발전을 거듭하였다. 그리고, 지금은 세계 각국의 디스플레이 제조 업체들이 투명 디스플레이, FSC-LCD 및 ti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양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화질은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따라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 시, 화질을 기준으로 개발 목표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스펙 및 시청환경별 화질을 예측하는 화질 평가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 시 디스플레이 특성으로 인한 화질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뒤편 배경과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on-screen 정보를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뒤편 배경이 잘 인지될수록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on-screen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화질 저하 문제는 하드웨어 개량 또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 적용 등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 하드웨어 개량에는 많은 비용이 필요 할 수 있다. 반면에, 영상 처리 알고리즘 적용을 이용한 화질 개선은 상대적으로 비용 소모가 적다. 따라서, 영상 처리 알고리즘 적용을 이용한 화질 개선 연구가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디스플레이 스펙 및 시청환경별 투명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예측하는 화질 평가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FSC-LCD 및 tiled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고려한 화질 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 투명 디스플레이 뒤편 배경의 시인성과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on-screen 영상의 화질을 평가하는 정량화 모델을 제안하였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뒤편의 배경과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on-screen 영상을 동시에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배경의 시인성과 on-screen 영상의 화질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나태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뒤편 배경의 시인성과 on-screen 영상의 화질을 평가하는 정량화 모델을 각각 제안하였다. 먼저, 배경 시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요소들과 배경 시인성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요소들과 배경 시인성 사이의 관계를 regression으로 모델링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도출된 배경 시인성 정량화 모델을 PSL(Perceived See-through Level) 정량화 모델이라고 정의한다. 제안하는 PSL 정량화 모델의 성능은 시각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on-screen 영상의 화질 정량화 모델도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도출 및 검증하였다. 두 번째로,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on-screen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뒤편의 배경과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on-screen 영상을 동시에 제공하기 때문에, on-screen 영상의 contrast 및 colorfulness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on-screen 영상을 변경시키는 parameter들을 선정하고, 해당 parameter들을 사용하여 on-screen 영상을 변경함으로써 위에서 언급된 화질 저하 문제들을 개선한다. 먼저, on-screen 영상, 배경 및 시청 조도 등 다양한 시청환경에서 화질 개선을 위한 최적의 parameter를 시각실험으로 도출한다. 다음으로, 시청환경별 최적의 parameter를 예측하는 모델을 regression으로 도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parameter 기반의 on-screen 화질 개선 방법을 POT(Parameter based On-screen Tuning)방법이라고 정의한다. 제안하는 POT방법의 on-screen 화질 개선 성능은 시각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세 번째로, FSC(Field Sequential Color)-LCD 디스플레이의 결점을 저감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FSC-LCD 디스플레이는 기존 LCD와 달리 color filer가 없으며, 시분할 방식으로 color를 재현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저전력, 고휘도의 장점이 있지만, 움직이는 object의 경계에서 color가 분리되어 보이는 CBU(Color Break-Up)라는 결점을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FSC-LCD의 주요 화질 저하 요인인 CBU의 발생원인을 분석하고, 240Hz FSC-LCD에서 CBU 저감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은 CBU 정량화 모델 및 시각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네 번째로, tiled 디스플레이 경계면에서의 색 일치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Tiled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를 tile 형태로 배치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를 tile 형태로 배치할 경우, 서브 디스플레이 간 경계면에서의 색 일치화가 중요하다. 서브 디스플레이 간 경계면에서 색차가 인지될 경우, 대화면 단일 디스플레이로 인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 간 경계면에서의 색 일치화를 위한 새로운 CMF(Color Matching Function) 및 카메라 기반의 multi point 디스플레이 특성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제안하는 색 일치화 방법을 NCC(New CMF and Camera based Color Calibration) 방법이라고 정의한다. 제안하는 NCC 방법의 성능은 기존의 색 일치화 방법과 비교 평가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투명 디스플레이, FSC-LCD 및 tiled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질 개선 방법은 하드웨어 자체의 성능을 개선하지 않고, 적은 비용이 소요되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으로 화질 개선 및 최적화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된 투명 디스플레이 화질 평가 방법은 화질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개발 목표를 결정하거나, 화질 개선 방법의 평가 등에 사용될 수 있다. Displays have been evolved from CRT and PDP to LCD and OLED displays. Nowadays display manufacturers are focusing on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displays such as transparent displays, FSC-LCD, and tiled displays, etc. Image quality is very important factor which determines the performance of displays. Therefore, when developing a next-generation display, the design target should be determined in advance based on the image qu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quantitative model that evaluates the image quality according to the display specifications and viewing environment. Next generation display with new functionality may result in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In this case, image quality can be enhanced by hardware improvements and image processing algorithms. Hardware improvements often require a lot of cost. However, image quality enhancement by image processing algorithms requires relatively low co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enhancement of image quality by applying image processing algorithms. This paper proposed image quality evaluation and enhancement methods for transparent OLED display, FSC-LCD, and tiled display. First, image quality evaluation model is proposed for transparent OLED displays. Transparent displays allow observers to see the objects behind the displays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displays. Therefore, visibility of background objects behind the display and image quality of on-screen contents are very important to customers. In this paper, evaluation models for visibility of background and image quality of on-screen contents are proposed, respectively. Important features affecting the visibility of background objects are selected and formulated. And, relationship between each selected feature and visibility of background is analyzed. Finally, visibility of background scenery is defined as a function of the selected features by the regression with the results from human visual experiments.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is verified by comparing with results from human visual experiments with testing samples that are not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model for on-screen image was also derived by similar procedures. Second, the method to enhance the on-screen images on the transparent OLED displays is proposed. Transparent displays can show an image or information on screen and allow real objects to be viewed through the screen. Because of this feature, the contrast and colorfulness of the on-screen image is degraded. In this paper, the method that change the on-screen image to enhance the image quality is proposed. First, the parameters to change on-screen image are selected. Next, the optimal parameters to enhance the on-screen image are determined by human visual experiments in various combinations of on-screen images, background, and viewing illuminance. And, parameter decision model that determines the optimal parameters according to the viewing environments is derived by regression. The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 was evaluated by human visual experiments. Third, artifacts reduction algorithm is proposed for 240Hz FSC-LCD displays. Field sequential color (FSC) LCDs form color images by sequentially displaying sub-frame images. Because color filter attenuating light transmission is not required, FSC-LCDs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considerably. However, sequential displaying of sub-frame images results in undesirable color artifacts called color breakup (CBU). This paper focuses on contents dependent reduction of CBU on 240Hz frame rate FSC-LCD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by the quantitative measures and newly defined indices as well as human visual experiments. Finally, color matching method in the boundary of sub-displays that makes up the tiled display is proposed. Tiled display systems are developed for digital signage application. Tiled display consists of multiple sub-displays that are tiled together. When multiple sub-displays are arranged in a tiled form, abrupt change in luminance and color in the boundary of sub-displays is perceived. In this paper, new color matching function (CMF) and camera based multipoint display characterization method are proposed for color matching at the boundary of two adjacent sub-display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lor matching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lor matching method. In this paper, image quality evaluation and enhancement methods are proposed for transparent display, FSC-LCD, and tiled display. The proposed enhancement methods can be utilized to optimize the image quality with a low cost without hardware upgrades. Also, the proposed evaluation model for transparent display can be utilized to set up a design target for the transparent displays.

      • FSC-LCD에서 발생하는 컬러 브레이크업 정량화

        양창모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LCD Display의 낮은 투과율을 개선하고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Field-Sequential-Color (FSC) LCD Display 가 개발되었다. FSC-LCD Display는 color filter 없이 각기 다른 backlight color를 가진 sub-frame을 순차적으로 표시하여 영상을 재현한다. 기존의 LCD에 비해 color filter가 없어서 높은 투과율을 얻을 수 있는 반면에, 구동 방식으로 인해 color breakup(CBU) 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기존 CBU 정량화는 일반적으로 RGB, Luv, Lab 색 공간 상에서 색 차를 계산 하여 수행되었다. 기존 색 차를 이용하는 방법들은 CBU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아서 정량화 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CBU의 종류별 특성을 고려한 정량화 방법을 제안한다. 정량화 방법의 개발은 인간의 시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시각 실험 결과를 이용한다. 시각 실험결과와 정량화 요소를 회귀분석 하여 정량화 식을 개발한다. 개발된 정량화 식의 적용 대상은 patch에서 일반영상으로 확대하여 실시한다. 일반영상에서 정량화식의 성능은 시각 실험결과와의 상관도 분석을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제안하는 정량화 방법의 계산 값이 사람이 인지하는 CBU 정도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하는 정량화 방법은 CBU 저감 방법의 성능 평가 및 CBU 저감 방법 개발에 활용 될 수 있다.

      • 수평하중에 따른 보강군말뚝의 보강효과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양창모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수평하중을 받는 기존군말뚝 기초에 보강 말뚝들로 보강된 보강군말뚝 기초의 보강효과를 분석하고자한다. 기존 진행된 실내모형말뚝실험과 실내모형말뚝실험의 모델을 3차원 수치해석한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여 전체적으로 비슷한 거동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말뚝의 전형적인 거동형상을 보였다. 보강말뚝의 크기, 배열, 간격에 따른 보강군말뚝의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극한수평지지력 및 최대모멘트를 비교하였으며 말뚝요소별 발생되는 모멘트분담률을 산정하여 보강효과를 보다 명확히 확인하였다. 3차원 수치해석으로 분석한 결과 기존군말뚝의 군말뚝효율은 0.65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에 따른 보강군말뚝의 극한지지력은 기존군말뚝에 비하여 34%~125.79% 증가하였고 최대모멘트는 17.43%~42.96% 감소하였다. 보강군말뚝에서 기존군말뚝의 모멘트분담률은 20mm 보강말뚝으로 보강 시 34.48%~117%가 나오며 60mm 보강말뚝으로 보강 시 49.47%~125.79%가 나왔다. 보강말뚝의 직경이 커질수록 모멘트분담률은 감소되는 반비례관계를 확인했다. 또한 말뚝중심간 간격이 커질수록 모멘트분담률이 감소함을 확인했다. 모멘트분담률이 작은 상태일수록 극한지지력 변화율은 증가하였으며 최대모멘트 변화율은 감소되는 보강관계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inforcing effects of piles added to the existing pile foundation, which receives horizontal loads and is reinforced by additional piles, in sandy soil through 3D numerical analysi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3D numerical analysis of the model of indoor pile experiments previously conducted and indoor model pile experiments, overall similar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showing the typical behavior pattern of the piles. 3D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reinforced pile foundations based on the size, arrangement, and spacing of reinforced piles to compare the ultimat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and maximum moment. The moment distribution ratio occurring in pile elements was calculated to clearly verify the reinforcing effects. According to the 3D numerical analysis results, the efficiency of the existing pile foundation was 0.62. The ultimate lateral bearing capacity of the reinforced pile foundation, depending on the parameters, showed an increase of 12% to 81% compared to the existing pile foundation, and the maximum moment exhibited a decrease of 33% to 70%. In the case of the reinforced pile foundation, the moment distribution ratio of the existing pile foundation was 48% to 73% when reinforced with a 20mm diameter pile and 24% to 48% when reinforced with a 40mm diameter pile. It was observed that the moment distribution ratio decreases proportionally as the diameter of the reinforced pile increases. Additionally, an increase in the spacing between pile centers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moment distribution ratio. Furthermore, as the moment distribution ratio decreases, the rate of change in ultimate bearing capacity increases,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maximum moment decreases, confirming a reinforcing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