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데이터 전처리 단계의 정제 방법

        양준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시사 트렌드를 분석하거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는 사례는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코로나 19나 아동학대와 같은 사회적 이슈를 분석하기 위해 신문기사나 SNS를 이용하거나, 인공지능이나 블록체인과 같은 분야에서의 기술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분석하고자 하는 단어가 다의미 약어인 경우 데이터 수집 및 정제 단계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아닌 다른 데이터가 수집되어 데이터의 전처리 작업이 많이 소요되기도 하고, 잘못된 데이터로 인해 연구 결과가 잘 못 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전처리 단계에서 토픽 모델링을 이용하여 문서를 효과적으로 정제하는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논문 데이터는 ‘MSA’라는 약어를 검색어로 해서 학술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수집하였다. 연구 방법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논문 데이터의 제목과 초록을 읽고, 원래 찾고자 하는 Microservices Architecture (MSA)와 관련된 논문인지, 아닌지 데이터를 분류하고 라벨링하였다. 1단계로 토픽 모델링을 하여, Microservices Architecture와 관련되지 않은 논문을 제거하였고, 2단계로 토픽 모델링을 하여 Microservices Architecture인 논문을 분류하였다. 이 결과를 인공지능 학습모델 성능지표인 혼동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제언된 연구 방법으로 분류된 논문 데이터와 수작업으로 분류한 데이터의 토픽 모델링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토픽에 속한 주요 키워드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데이터 수집 후 데이터 전처리 단계에서 정제 시 연구자의 수작업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are many cases where topic modeling is used to analyze recent current trends or research trends. Newspaper articles or SNS are used to analyze social issues such as COVID-19 or child abuse, or academic databases are used to analyze technology trends in field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or block chain. However, when the word to be analyzed is a multi-sense abbreviation, many difficulties are encountered in the data collection and purification stage. Data other than the data to be analyzed is collected, which requires a lot of data pre-processing, and incorrect data can lead to incorrect research results. In this study, we present a research method for effectively refining documents using topic modeling in the data preprocessing stage. To verify this, thesis data were collected from an academic database using the abbreviation ‘MSA’ as a search term.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method, the titles and abstracts of the collected thesis data were read, and the data were classified and labeled whether or not the thesis was related to the original Microservices Architecture (MSA). First, by topic modeling, papers not related to Microservices Architecture were removed, and secondly, by topic modeling, papers related to Microservices Architecture were classified. This result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confusion matrix, which is a performance index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We tried to confirm the difference by comparing the topic modeling analysis results of the thesis data classified by the suggested research method and the manually classified dat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in keywords belonging to the topic.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anual work of researchers will be greatly reduced when refining in the data pre-processing stage after data collection.

      • 병사의 죽음관 인식 분석 및 목회적 제안 : Fry CADD 검사를 중심으로

        양준기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약된 환경 가운데서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병사들의 신앙과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종교적 죽음관 및 병사의 죽음관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조사 연구를 통하여 신앙 활동에 따라서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전·후방 부대의 병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Fry가 제시한 CADD Checkli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후방 부대의 병사 1,500명이고, 병사의 일반적 특징과 죽음관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최종 자료는 설문지의 응답 성실도를 고려하여 982명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 가설을 검증한 연구 대상은 기독교인 병사 560명이다. 본 연구의 주제인 “병사의 죽음관 인식 및 목회적 대안”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첫째, 예배출석의 빈도에 따라서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성경읽기의 빈도에 따라서 ,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기도생활의 빈도에 따라서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신앙생활의 기간에 따라서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가정의 종교적인 환경에 따라서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 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여섯째, 세례 받은 경험의 여부에 따라서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 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사한 982부의 설문지는 부호화(coding) 작업을 거쳐 SPSS 10.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 방법은 일원분산분석과 Scheffe 검정이었다. 본 연구의 가설들을 검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배출석의 빈도에 따라서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예배출석의 빈도수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예배출석이 많은 병사들이 두려움의 정도가 낮았다. 둘째, 성경읽기의 빈도에 따라서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성경읽기의 빈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경을 자주 읽은 병사들이 두려움의 정도가 낮았다. 셋째, 기도생활의 빈도에 따라서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기도생활의 빈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주 기도하는 병사들이 두려움의 정도가 낮았다. 넷째, 신앙생활의 기간에 따라서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신앙생활의 기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신앙생활을 오래한 병사들이 두려움의 정도가 낮았다. 다섯째, 가정의 종교적인 환경에 따라서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 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가정의 종교적인 환경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가정 전체가 신앙생활을 하는 병사들이 두려움의 정도가 낮았다. 여섯째, 세례 받은 경험의 여부에 따라서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의 정도 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세례 받은 경험의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세례를 받은 병사들이 두려움의 정도가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신앙 활동이 병사들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시켜 준다는 것을 인식시켜 주었다. 따라서 죽음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병영생활에서 종교 활동을 보장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적극 권장함으로써 두려움 없이 군 생활을 잘 해 나가도록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lation between soldier's religion and their perception of death and magnitude of their fear of it as they are ordered to perform dangerous missions in limited circumstances. For this research aim, literature research was executed in parallel with survey research. Firstly, literature was perused to comprehend soldiers' view of death and to interpret it from religious viewpoint. Subsequently, a survey was condu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to soldiers who were in service at the front and rear area to determine if soldiers' perception of death and extent of their fear for it are dependent upon their religious conviction. Fry's CADD Checklist was used as the questionnaires. The sample of this project were 1,500 soldiers served in the front and rear area, and among those numbers 982 soldiers were studied as the final sample to analyse the relation between soldie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f death. The following items were set down as hypotheses to check out "pastoral alternative on the soldiers' view of death" as captioned for this study: 1.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ldiers' perception of death and magnitude of their fear for it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ir attendance to religious services; 2.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ldiers' perception of death and extent of their fear for it depending on the regularity of their reading the Bible; 3.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ldiers' perception of death and size of their anxiety about it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ir praying to the God; 4.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ldiers' perception of death and dimension of their dread of it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ir religious career; 5.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ldiers' perception of death and sphere of their feeling horrid for it depending on the religious background of their family; and 6.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ldiers' perception of death and range of their fearsome attitude toward it depending upon whether they have been christened or not.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assumptions, the collected replies of the questionnaires 982 were codified and put to statistical processing with SPSS 10.0 for Windows and the statistics method for analysing data were one-way ANOVA and Scheffe method. The findings from the verified assumptions of the questionnaire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ldiers' perception of death and extent of their fear for it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ir attendance to religious services. That is, the more frequent their attendance, the less their fear of death;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between soldiers' perception of death and magnitude of their fear for it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ir reading the Bible. That is, the fear of death was less felt by those who read the Bible regularl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ldiers' perception of death and dimension of their fear for it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ir prays to the God. That is, those who frequently prayed to the God had less fear of death; Fourth, those soldiers who have long religious careers turned out to feel less fearful of death; Fifth, the religious environment of family was revealed to exercise influence upon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death on the part of soldiers. In other word, the soldiers grown under wholly religious family background had significantly less fear of death; and lastly, it was shown that those soldiers who had been previously christened were inclined to have significantly less fear of death. The outcomes of this study clearly attested to the assumptions that religious activities can be effective for soldiers to reduce the fear of death. It is thus vitally imperative to guarantee and, moreover, to positively recommend military servicemen who are usually exposed to the threat of death to practice religious activities even within the military compound, since this seems to be the best way for soldiers to complete military service in a more fearless and satisfactory manner.

      •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선정 과정 연구

        양준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Established dissertations related to the textbooks progressed in two aspects of the study that figuring out the contrariety when summarizes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or select the authorized textbook in the field. When the former gives priority to whether the revised textbooks faithfully reflect the objectives of education that authorised institution demanded or not, the latter wanted to figure out the problems for textbook selection progress what teachers have by convening small scale of people and carrying out surveys. However, there was not enough study to figure out the reason why meaningful difference occurred between the score of textbook that ideal for the teachers who selected the textbooks and the score of actual scorecard in the process of changing of existing textbook to newly selected one against a school. When considering the progress of selecting the textbook for unit school against authorized textbook is the textbook evaluation, I analyzed if the items of standard chart suggested by the Education office is proper for the teachers in the class, it is progressed by analyzing submitted standard chart about what make teachers select or ignore textbook and questioning the subjective opinions about textbook hidden beneath. I could get conclusions about the requirements of the teachers when they are selecting the textbook. First, although the composition of content have the form of authorization, but it suggests similar to the government designated way. It means, the textbook what teachers actually checked is far from diversification, although people pursued the improvement of quality by adopting an official certification. Almost of the textbooks look similar because of textbook writers wanted to reflect curriculum with a pass authorization, and only highlight the differences of utilization method like the cover of a textbook and electronic pen. The textbook which might draw their students' interest and easy to teach them selected when there is not much different between each textbook. Second, textbook selection is nominated through the official course of the selection committee, but the course could be secret. Selected the textbook according to unspoken agreement and give the score on each items lower as much as an approximate value with the selected textbooks and make them win, there is any professional decision of the teacher who is the party of the evaluation. In addition to, I could easily see teachers share the view of the teacher who worked long and admired from other teachers as an expert rather than suggest their opinion, and sometimes teachers keep moving to other grades or move to a different school, so I understood the relationship why teachers couldn't stress the character of textbooks what they want. I think whether if teachers participate in selecting what they like, but more important thing is needed to have in-depth study about affective aspect and relative aspect which exist in the hidden beneath of the process of textbook selection through a lot more samples. Third, teachers need to secure enough time in the process of textbook selection. There is only one week to select a textbook from many other authorized textbooks, so there is possibility that external design could affect for the selection rather than the perception what the teachers had in their mi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shing company and teachers, and internal contents. The evaluation for the textbook is completed based on enough time to discuss what is good or not, so schools must assure the time for the evaluating at least a month before by selecting, forming a consultative group. Fourth, must increase the autonomy of unit school with the easier form of selecting standard. If there are 100 teachers, then the numbers of the ideas are same, and if the schools are 100, then the view of education must the same. There's no need to any school or Education Office make selecting the same standard. If a school could deduct the view of education of a teacher who is the main agent of evaluation as one, prepare the selecting standard for it is the best way. Education Office should suggest the minimum outline of selecting standard and each school should prepare the selecting standard in the light of the learners and environmental factor with the standard for Education Office. Finally, teachers who select and use the authorized textbooks are experts for the textbooks. So, the main agent who tests the textbooks need to make an effort on making the ground that could give variety to high quality textbooks without teachers stuck in the certain idea with the same standards. They need to set the unit that is suitable, materialize the education course, and should assure the autonomy to make many different learning activities. 기존의 교과서 관련 논문들은 교과서 검정제도를 개괄하거나 검정 교과서를 현장에서 선택할 때 나타나는 모순점을 파악하는 연구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전자의 경우 검정제도의 역사, 국정과 검정의 차이, 개정된 교과서가 검정 기관이 요구하는 교육목표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에 중점을 두었다면 후자는 소규모 인원을 표집하여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과서 선정 과정의 문제점을 설문 등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렇지만 한 학교를 대상으로 기존 교과서와 새로 선정된 교과서 사이의 교체 과정에서 선정의 주체인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과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교과서와 실제 부여하는 평가표의 점수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등을 파악하는 연구는 부족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검정 교과서 대상으로 단위 학교에서 사용할 교과서를 선정하는 과정을 교과서 평가라고 볼 때, 교육청에서 제시한 평가 기준표의 항목이 과연 현장 교사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한지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들이 어떤 기준에 의해 교과서를 선정하고 외면하는지에 대해 제출한 평가표를 분석하는 작업과 이면에 자리한 교과서에 대한 주관적 의견을 설문하는 방식을 통해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생각하는 교과서 선정 과정 시 필요한 요건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과서의 내용 구성은 검정의 형태를 지니고 있지만 국정과 유사한 방향으로 나타나는 것이 현실이다. 검정제를 도입하여 다양화를 통한 교과서 질 향상을 추구했지만 실제로 교사들이 확인한 교과서는 다양화와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검정 통과를 목적으로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려고 노력하다보니 대부분의 교과서는 유사한 느낌을 주게 되었고 단지 표지나 전자펜과 같은 활용 방법의 차이만을 부각시키고 있었다. 교육과정 내용의 큰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운 현실에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가르치는 편리함이 조금이라도 더 존재하는 교과서가 선정되고 있다. 둘째. 교과서 선정은 선정위원회의 공식 경로를 통해 선정되지만 선정 과정은 비공식적인 경로인 경우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암묵적인 합의에 따라 선정될 교과서를 정하고 각 항목에 부여한 점수를 선정교과서와 근사치로 낮게 부여하여 경쟁에서 이긴 교과서로 만드는 경향이 있었고 평가의 당사자인 교사의 전문적인 판단이 반영되지 않고 있었다. 또한 학교에서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기 보다는 다른 교사들의 존경을 받거나 권위자라 인정받고 있는 연차가 높은 교사의 의견을 따르는 모습을 쉽게 파악할 수 있었고, 지금 맡고 있는 학년을 지속적으로 맡기 보다는 계속해서 학년을 이동하거나 학교를 옮기게 되는 경우가 존재하여 자신만이 원하는 교과서의 특성을 강조하기 어려운 관계성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들이 참여하느냐도 중요하지만 교사들의 표면적 교과서 선정 과정 이면에 존재하는 정의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에 대한 보다 많은 표본을 통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교과서 선정 과정에서 교사들이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여러 종류의 검정 교과서가 내려오고 그 중 한 권의 교과서를 선정하는 기간이 1주일 정도의 시간밖에 되지 않아 기존에 가지고 있는 교과서에 대한 인식이나 출판사와의 관계, 내적 구성보다는 외적 디자인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 교과서에 대한 평가는 좋은 교과서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를 할 충분한 시간을 바탕으로 완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최소 선정 1개월 전의 평가 시간 확보와 협의체 구성을 위한 시간 등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보다 간결한 형태의 선정 기준을 통해 개별 학교의 자율성을 높여야 한다. 교사가 백이라면 생각도 백이고, 학교가 백이면 학교의 교육관 역시 백일 수 밖에 없다. 모든 학교가 모든 교육청이 선정 기준을 일률적으로 같게 만들 이유는 존재하지 않는다. 각 학교에서 평가의 주체가 되는 교사의 교육관을 협의에 의해 하나로 도출할 수 있다면 그에 맞는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교육청은 최소한의 평가 기준의 틀만을 제시하고 각 학교에서는 교육청에서 제시한 선정 기준을 참고하여 학습자. 환경 요인 등을 고려하여 선정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검정 교과서를 학교에서 선정하고 사용하는 교사들은 저마다 교과의 전문가들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교과서를 검정하는 주체들은 천편일률적인 기준을 가지고 교사들을 일정한 사고의 틀 안에서 따라오게 할 필요 없이 질 높은 교과서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토양을 만드는 데에 힘을 쏟아야 한다.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그리고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단원을 설정하고 학습활동을 보다 다양하게 만들 수 있도록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