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주자가 만든 영화음악에 관한 연구 : 영화 <조커>, <라이언>, <버드맨>을 중심으로

        양은경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연주자가 만든 영화음악에 관한 연구이다. 연주자가 되는 것은 악기를 연주함으로써 음악을 표현하는 것인데, 이것은 한 사람의 주요 전공이다. 연주자의 악기가 작품에 드러나므로 작곡한 곡에 기여하게 되고, 이것은 연주자만이 관객에게 청각적 체험을 줄 수 있는 창작의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음악은 장르를 불문하고 다양한 악기가 연주해 온 청각적 요소는 시각적 이미지를 내재적 요소로 구현하는 역할을 했으며,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청각적 정보와 융합시키기도 했다. 영화음악이 표현하고자 하는 방향을 전달하는 방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영화에서 사용되는 음악의 기악 기법도 현대적으로 다양하게 확장되었다. 영화음악은 전체적인 구성을 서로 밀접하게 연결하거나 내용을 구분할 수 있으며, 작품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적 아름다움을 만들어 내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관객은 영화를 본 후 여운에 따라 영화에 사용된 음악을 무의식적으로 기억하고 노래하곤 하는데 그만큼 영화음악은 관객들에게 상상력과 리듬감을 주어 영상으로 표현하지 못한 부분까지 끌어내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악은 우리의 심리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며, 영화 음악은 영화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감정을 전달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연주자가 만든 영화 음악에 관한 연구는 음악의 역할과 효과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이 연구는 세 가지 영화인 <Joker, 2019>, <Lion, 2016>, <Birdman, 2014>에 관한 음악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이 세 작품의 음악은 각각의 특징과 의도에 따라 악기와 음악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캐릭터의 내면과 영화의 감정적인 요소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자 작곡가는 자신이 연주하는 악기들의 종류가 여러 개 존재한다. 이를테면 첼리스트 힐두르 구드나도티르(Hildur Guonadottir)는 첼로와 그와 유사한 악기인 홀도로폰과 피아니스트 볼커 베르텔만(Volker Bertelmann)은 피아노와 유사한 악기 프리페어드 피아노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연주자가 자신이 연주하는 악기들에 관해 비교 분석하는 부분도 필요하다. 연주자가 영화음악을 작곡하는 인물들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악기의 범위가 첼로와 피아노, 그리고 드럼으로 다소 협소한 것은 사실이다. 필자도 피아노 연주자임과 동시에 영상 음악 작곡가이기 때문에 이 분야에 관해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영화<조커, (Joker 2019)>가 개봉되었을 당시 필자도 이 영화를 보았고, 이후 OST(Original Sound Track)를 들으면서 작곡가에 관한 관심과 음악에 사용된 악기에 집중하게 되었다. 여기에 영화<버드맨, (Birdman, 2014)>는 드럼연주자인 안토니오 산체스(Antonio Sanchez)가 작곡한 드럼 중심의 음악적 특징이 연구의 목적과 부합하여 선택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 영화 속 등장인물의 심리와 장면을 연출하는 데 있어서 연주자의 영화음악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자신들만의 기술로 첼로와 같은 형태인 홀도로폰과 피아노와 유사한 프리페어드 피아노와 그리고 안토니오 산체스만의 드럼 세트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연주자의 연주에서 악기의 기능적 역할은 무엇인지를 여러모로 조사하고, 연구는 이러한 영화들의 음악이 영화에 미치는 영향과 음악의 역할을 분석하여 연주자가 작품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목적으로 한다. 영화음악을 만들고, 주제 전달에 기여하는 모든 사람을 존경하며, 영화음악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film music made by performers. To be a musician is to express music by playing an instrument, which is one's major specialty. As the performer's instrument is revealed in the work, it contributes to the composed music, and this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 of creation that only the performer can give the audience an auditory experience. In music, regardless of genre, auditory elements played by various instruments played a role in realizing visual images as intrinsic elements, and also fused auditory information with images to be expressed visually. As the way of conveying the direction that film music wants to express has diversified, the instrumental techniques of music used in films have also been expanded in various ways in a modern way. Film music can closely connect the overall composition or divide the contents, and can also contribute to creating visual beauty in various ways in the work. After watching a movie, the audience subconsciously remembers and sings the music used in the movie depending on the afterglow. This is because movie music has the power to bring out parts that could not be expressed in video by giving the audience a sense of imagination and rhythm. Therefore, music has a strong influence on our psychology, and film music is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the atmosphere of a movie and conveying emotions. A study on film music made by performers aim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ole and effect of music. This study focused on music for three films, <Joker, 2019>, <Lion, 2016>, and <Birdman, 2014>. are dealt with centrally. The music of these three works has several types of instruments that the composer plays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 inner side of the character and the emotional elements of the film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of instruments and music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s. For example, cellist Hildur Guonadottir used the cello and similar instrument holdorophone, and pianist Volker Bertelmann used the piano-like instrument prepared piano. Therefore,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perform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struments he is playing. It is true that the range of instruments was somewhat narrowed to cello, piano, and drums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people who compose film music. Since I am also a piano player and video music composer at the same time, I think it is worth researching in this field. When the movie <Joker 2019> was released, I also watched this movie, and after listening to the OST (Original Sound Track), I became interested in the composer and the instruments used in the music. In addition, the film <Birdman, (2014)> was selected because the drum-oriented musical characteristics composed by drummer Antonio Sanchez matched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fore, in this thesis, what role does the performer's film music play in directing the psychology and scenes of the characters in the movie, and with their own technology, holdrophone, which is in the same form as the cello, and prepared piano similar to the piano, In addition, by using Antonio Sanchez's unique drum set composition, the functional role of the instrument in the performer's performance is investigated in many ways, and the study analyzes the role of music and the influence of the music of these films on the film to understand how the performer is involved in the work. It aims to contribute I respect everyone who makes film music and contributes to conveying the theme, and I hope that it will be helpful for film music research.

      • 학급단위 또래관계형성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양은경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a clas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can form a positive peer relationship to female middle school freshmen and see if it can improve the social efficacy. In order to re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Does the class-based peer relationship forming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efficac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has been stated as the study issue. Also, in order to verify the study issue, ‘In terms of the whole social efficacy and the lower factors of sympathy, self-expression, forming relationship, the difference of the pre-post test of the controlled group won’t be significant but the pre-post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significant’ has been stated as the hypothesis. In order to verify such hypothesis, 2 classes from the middle school(S female middle school of S city, Gangwon) which the researcher works at was taken in random as the participants and designated a whole clas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as a controlled group. In terms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 used 45 minutes of the school class(career path) from March 12th to May 1st and implemented the program 8 times, once a week and left the controlled group alone with no treatment. In terms of the social efficacy measurement tool in this study, the sympathy, self expression and relationship forming section of the social efficacy test tool which was modified/supplemented by Shim sang wook(2002) using the social self efficacy test developed by Wheeler and Ladd(1982) was used and considering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peers during a relationship building process with strangers presented by Lee jae kyu(2009), 9 sections of relationship building were newly added and became a total of 54 sections. Using the PASW statistics/Windows 19.0 program, the gathered data was processed and in order to cla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with the pre-test scores, the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was implemented and in order to check the changes within the group after the experiment, the pre-post 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was comparatively analyzed implementing the responding sample t-verifi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social efficacy as a who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test score(t=-5.17, p=.000)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test score of the controlled group was also significant(t=-2.26, p=.031) and the hypothesis wasn’t supported.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test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bigger than the pre-post test score of the controlled group. In terms of the lower factor of social efficacy for sympath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test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t=3.29, p=.003) was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test score of the controlled group(t=2.84, p=.008) was significant and the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but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test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bigger than the pre-post test score of the controlled group. Also, for self-expres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test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t=-5.32, p=.000) was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test score of the controlled group(t=-1.95, p=.061) was not significant and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In terms of forming relationship,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test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t=-4.13, p=.000) was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 of the pre-post test score of the controlled group(t=-1.17,p=.250) was not significant and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lass-based Peer Relationship Building Program can improve the social efficac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but as the history and maturity factor was not controlled precisel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Class-based Peer Relationship Building Program, we would need to continuously work on the research along with a precision control. 본 연구에서는 여자중학교 신입생들에게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사회적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학급단위 또래관계형성 프로그램은 여중생의 사회적 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다. 또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회적 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소인 공감, 자기표현, 관계형성에서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는 반면,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차이는 유의할 것이다.’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을 연구자가 근무하는 중학교(강원, S시의 S여자 중학교)의 2개 학급을 임의 선정하여, 한반 학생 전체를 실험집단에 할당하였고, 다른 한반 전체를 통제집단에 할당하였다. 프로그램은 3월 12일부터 5월 1일까지 학교수업시간(진로)의 45분을 이용하여 매 주 1회씩 8회에 걸쳐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지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효능감 측정도구는 Wheeler와 Ladd(1982)가 개발한 사회적자기효능감 검사를 심상욱(2002)이 최종적으로 수정?보완하여 만든 사회적 효능감 검사 도구에서 공감, 자기표현, 관계형성 문항을 사용하였고, 이재규(2009)가 제시한 낯선 이와의 관계형성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또래관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관계형성 9문항을 새로이 추가하여 총 54문항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Window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검사 점수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실험처치 후 집단 내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 효능감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t=-5.17, p=.000)는 유의하였고,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t=-2.26, p=.031) 역시 유의하여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으나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보다 컸다. 사회적 효능감의 하위요소인 공감에 있어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t=-3.29, p=.003)는 유의하였고,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t=2.84, p=.008)도 유의하여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으나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보다 컸다. 자기표현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t=-5.32, p=.000)가 유의하였으며,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t=-1.95, p=.061)는 유의하지 않아서 가설은 지지되었다. 관계형성에 있어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 차이(t=-4.13, p=.000)가 유의하였고,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t=-1.17, p=.250)는 유의하지 않아서 가설은 지지되었다. 연구결과는 학급단위 또래관계형성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사회적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역사 혹은 성숙요인이 정확하게 통제되지 않아 학급단위 또래관계형성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더 세밀한 통제를 하면서 반복 연구를 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 수학 학습유형과 문제 해결 전략 :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양은경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의 목적은 학생의 인지적 &#8729; 정의적 &#8729; 생리적 요인인 수학 학습유형에 따른 수학 문제 해결 전략 선택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교사가 학생들의 특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문제 해결 전략을 지도하고 나아가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수학 학습유형과 문제 해결 전략 선택의 다양성은 상관관계가 있는가? (전략 선택의 양적 문제) 2. 수학 학습유형에 따라 문제 해결 전략 선택의 적절성 여부에는 차이가 있는가? (전략 선택의 질적 문제) 3. 수학 학습유형에 따라 문제 해결 정답 전략에 관한 설명의 적절성 여부에는 차이가 있는가? 4. 수학 학습유형에 따라 각 전략별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수학 학습유형 질문지’를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 학습유형을 조사한 뒤, ‘문제 해결 전략 검사지’와 ‘전략별 선호도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학 학습유형과 문제 해결 전략 선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통해 얻어진 모든 자료는 연구자가 고안한 채점표와 통계 프로그램 SPSSWIN 11.0을 이용하여 처리&#8729;분석되었다. 이상,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학습유형과 전략 선택 다양성과의 관계는 하위유형이 학습주도유형, 학습이해유형, 학습조절유형일 때에만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다시 말하면, 자율형이나 이해형 또는 꾸준형의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전략을 선택하고 문제를 해결하였다. 따라서 타인의 권유나 강요보다 스스로 수학 학습을 주도하거나, 학습정보를 이해한 상태에서 받아들이거나, 수학공부를 꾸준히 해 나가는 경우가 그렇지 않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전략을 선택하여 수학 문제를 해결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수학 학습유형에 따른 문제 해결 전략 선택과 설명의 적절성 여부에서는 자율형 또는 점검형의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적합한 전략을 선택하고 동시에 선택한 전략을 설명할 수 있었다. 결국, 학생들이 수학 문제를 푸는 데 있어서 적절한 전략을 선택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전략을 제대로 설명하여 풀어갈 줄 아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습 주체가 학습자 자신이 될 수 있도록 하고, 항상 자신의 학습을 반성할 줄 아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전반적으로 수학 학습유형에 따라 전략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는 다양했으나, 학생의 과반수가 학습유형에 관계없이 ‘공식이나 원리 이용하기’ 전략을 자주 선택하고 비점검형인 학생이 점검형보다 ‘식 세우기’ 전략을 선호하는 것은 주목할 만했다. 이것은 아직까지 많은 학생들이 수학 문제를 풀 때, 외운 공식에 단순히 대입하는 것에 익숙하고, 비점검형에 속하는 학생들은 한번 식을 세우면 거의 기계적으로 답이 나오는 ‘식 세우기’ 전략의 편리성을 선호하고 있음을 각각 의미한다.

      • 건반악기 음악의 장식음

        양은경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장식음에 대한 연구로 장식음의 일반적인 정의와 각 시대별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음악의 실제 연주시 리듬이나 화성과 같은 음악의 주요 요소가 훌륭한 연주를 위하여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에 대해서는 재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연주가는 부차적인 요소로 간주되기 쉬운 장식음 역시 음악을 완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 중의 하나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의 과정을 돕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식음이란 무엇이고, 역사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왔으며, 어떤 효과적인 방식으로 실제 연주에 있어서 이러한 장식음들을 연주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시대의 작품을 다루는 연주가들은 그 작품에 나타나 있는 장식음의 올바른 연주를 위하여 장식음의 성격과 용도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역사적인 기술을 토대로 자신의 음악적인 판단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한다 This thesis, the study on ornament, has a general definition and chronological characteristic of it. It is essential that the central components such as rhythm and harmony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outstanding performance. But performer must recognize that ornament regarded of supplementary component is essential to complete music. I have stated here what is ornament, comes it to develop historically, and shows effective ways to perform it? In conclusion, using ornament correctly, those who perform the works of the various period should apply his own musical decision based on the accurate knowledge about characteristic and use of ornament to performance.

      • Removal Characteristics of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by Biofiltration using Ceramic Media : 세라믹 담체를 이용한 Biofiltration에서 Hydrogen Sulfide와 Methyl Mercaptan의 제거특성

        양은경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are strong, unpleasant smelling, toxic, and flammable ga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through a biofiltration packed with zeolite-contained porous ceramic media which has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sufficient void fraction. The activated sludge taken was acclimatized. In this study, removal of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were studied in terms of the removal efficiency and elimination capacity at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empty bed residence time (EBRT) for optimization of estimated operational parameter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media was also analyzed for microbial count and the amount of microbes attached. At 302 s of EBRT,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was 99 and 95% for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respectively. The removal efficiency maintained over 95 and 90% for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when the inle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500 ppm. At 60 s of EBRT,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was 99 and 97% for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respectively, and remained 98 and 94% at 38 s of EBRT. At 30 s of EBRT,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was 98 and 87% for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respectively. The removal efficiency remained over 94 and 77% for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when the inle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500 ppm. During every step increased in the loading rates, the removal efficiency temporarily decreased, with the column requiring a few days to adapt to the new concentration and reached a new steady state condition. All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were 98 and 93% for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respectively. Maximum elimination capacity showing 90% removal was 89.48 and 60.87 g/㎥·h for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In the study, the zeolite-contained porous ceramic media was suitable for the attachment and growth of microorganisms. Biofiltration revealed a potential stability to withstand a variety of loading rates, and the microbes acclimated in the short term. Hydrogen sulfide와 Methyl mercaptan은 대표적인 악취물질로써 매우 강한 취기, 독성, 위험성을 갖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공극률과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다공성 세라믹 담체를 충전한 Biofiltration을 이용하여 Hydrogen sulfide와 Methyl mercaptan의 제거특성을 살펴보았다. 미생물원으로 활성슬러지를 사용하여 순치시켰다. 본 연구는 최적의 운전조건 확립을 위해 다양한 유입농도와 empty bed residence time (EBRT)에 따른 제거효율 및 제거용량 등의 제거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미생물 특성을 분석하였다. EBRT을 302 s로 하였을 때 전체 농도범위에서 Hydrogen sulfide와 Methyl mercaptan은 각각 99, 95%의 평균 제거효율을 나타냈으며, 유입농도를 500 ppm으로 증가시켰을 때에도 제거효율은 95,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EBRT을 60 s로 하였을 때는 Hydrogen sulfide와 Methyl mercaptan은 각각 평균 제거효율이 99, 97% 을 나타냈으며, EBRT가 38인 경우에는 98, 94% 를 나타내었다. EBRT을 30 s로 낮춘 경우 평균 제거효율은 Hydrogen sulfide와 Methyl mercaptan이 각각 97, 87% 을 보였으며, 농도를 500 ppm까지 증가시켰을 때 Hydrogen sulfide은 90% 이상의 제거효율을 보인 반면 Methyl mercaptan은 77%까지 제거효율이 감소하였다. 유입부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동안 제거효율은 일시적으로 감소하였지만 며칠 후 새로운 농도에 적응하고 짧게 안정된 상태에 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기간 동안 전체 제거효율은 Hydrogen sulfide와 Methyl mercaptan이 각각 98 와 93%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의 90% 이상의 제거효율을 갖는 최대 제거용량은 Hydrogen sulfide의 경우 83.12 g/㎥·h, Methyl mercaptan의 경우 62.0 g/㎥·h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의하면 제올라이트를 함유한 다공성 세라믹 담체는 미생물이 성장 부착하는데 적합한 담체이며, Hydrogen sulfide와 Methyl mercaptan은 다양한 부하에 높은 안정성을 보였으며 짧은 기간에 미생물이 순응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양은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가설은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전통적인 학습과 비교해 볼 때,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으로 본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정하였다. 주제중심 통합학습을 위해 6학년 2학기 교육과정에서 5개의 주제를 선정하고, 다양한 교과의 지식과 경험으로 주제망을 구성하였다. 사전 창의성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 5개의 주제중심 통합학습을 2주에 걸쳐 실시하였고 그 후에 사후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성 검사 도구는 Torrance의 창의성 검사에 바탕을 두고 개발된 아동 창의성 검사(CTC : Creative Test for Children) 고학년용 사전 검사지와 사후 검사지를 이용하였다(김춘일, 조용태, 2004). 이 검사지는 여러 개의 하위검사들이 모여서 하나의 종합 검사지를 이루고 있고, 검사 내용은 크게 4개의 하위요소(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를 2개의 표현양식(언어창의성, 도형창의성)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있다. 창의성 검사에 관한 자료처리는 SPS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창의성의 4가지 하위 요소별 분석도 반복적인 혼합변량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기존의 전통적인 학습에 비하여 초등학생의 창의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의성의 하위 요소 중에서 융통성과 독창성 신장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중심 통합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보다 융통성 있게 문제에 접근하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다양하고 독창적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창의성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가는 요즘 국가 수준에서 만들어진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키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학습자의 지적 성취도 및 정의적 특성의 향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뿐 아니라, 창의성까지 신장시킨다면 학교 현장에서 1석 3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에 기대를 가져보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간에 걸친 후속 연구로 주제중심 통합학습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기존의 저학년 중심만의 통합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중·고학년 교육과정에서의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연구가 이어졌으면 한다. 셋째, 실제 학교 현장에서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와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안 및 자료 보급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Modern society has been changed very fast and today knowledge has become useless soon, so school needs not to provide only knowledge but to improve creativity for taking a new look at things. Thus, school should teach creativit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opic-centered integration learning on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tudy question was topic-integration learning based on integrated curriculum would be more effective for development of creativity, compared with traditional instruction.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formulated based on the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opic-centered integrated learning was applied would produc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from the control group which performed just traditional learning To verify above hypothesis, two classes of the 6th grade students from Y elementary school in Pusan were selected as one experiment group and one control group. The pre-test, CTC(Creative Test for Children) was performed. Then the experiment group of 29 members was taught by topic-centered integration learning based on integrated curriculum for two weeks (30 hours). And control group of 29 members was taught by traditional learning organized by teacher's lecture. The post-test, CTC was performed for assessing students' development of creativity. Verification of increase in development of creativity was done trough Mixe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in flexibly, originality which are the elements of creativity. So, the hypothesis was verified positive, which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 Using topic-centered integrat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we expect that student's creativity will be developed. Through topic-centered integrated learning, students approached subjects more flexibility and displayed originality to select solutions. Future research efforts need to focus on topic-centered integration learning that could cover every area in every subject matter, and how the current separated curriculum could successfully be replaced with multiple integrated one should discreetly be studied on a long-term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