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업설계에 영향을 주는 학습자의 인지과정 연구

        양용칠 安東大學 1987 安東大學 論文集 Vol.9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provide theoretical evidences to design an effective instructional process with findings of cognitive psychology, especially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schema theory, which currently form the mainstream of thinking about education and psychology, and to guid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 integrate cognitive theory of learning with instructional design. Conclusions drawn from examination and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can be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the optimum development of higher cognitive capacity such as comprehension, thinking, and problem-solving process is not appropriate to instructional design based upon behavioral theory of learning, principles about underlying mechanisms of human mental activities being found from research of cognitive psychology should be applied to each state of instructional design to correspond to the higher cognitive processes. Next,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based upon cognitive theory of learning have focused on matching structures of learning tasks and students` existing cognitive structures. In order for them to be matched, it was indicated that students` cognitive structures should be represented as a hierarchical cognitive schema just as structures of learning tasks can be represented as a hierarchical model, and that to do this, methods to measure cognitive structures of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research. Finally, the way of applying findings from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schema theory to each stage of instructional design such as stating instructional objectives, analyzing learning tasks, decid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planning instructional assessment was discussed.

      • KCI등재후보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양용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structional conditions to effectively teach basic thinking skills to learners. The basic thinking skills to be reviewed in the study were observation, inference, analysis, comparison, and evaluation. The instructional conditions were explor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what is to be learned, the learner,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instructional development constraints by each thinking skill. This study has constraints which have not covered overall condi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most of basic thinking skills. However, it seems that the study can suggest ideas and directions for investigations of instructional conditions and strategies for further studies on developing learners' basic thinking skills. Based upon the study,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developmental thinking skills(concept formation, explanation, prediction, and hypothesis formation), and complex thinking strategies(problem solving, decision making,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can be further explored.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conditions explored in this study and on effects of their applications in the classroom can be conducted. 이 연구는 기초적 사고 기능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조건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초적 사고 기능은 김영채(2013)가 분류한 관찰, 추론, 분석, 비교와 평가로 선정되었다. 이들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 조건은 사고의 내용, 학습자, 학습환경, 그리고 수업활동 제한점의 특성을 중심으로 정리되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을 포괄하지 못하고, 더 많은 기초적 사고 기능을 다루지 못한 한계점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이 논문은 사고력의 개발을 위해서 기초적 기능부터 바르게 사고하도록 가르칠 전략과 각 사고 기능의 습득에 필요한 수업 조건의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발달적 사고 기능(개념, 설명, 예측과 가설), 그리고 복합적 사고 전략(문제해결, 의사결정, 비판적 및 창의적 사고)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에 관한 연구가 계속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제시한 기초적 사고 기능을 가르치기 위한 조건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서 그것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도 이뤄질 수 있다.

      • 敎材構造에 따른 學習困難度가 內容回想에 주는 效果

        양용칠 안동대학 학생지도연구소 1986 學生指導硏究 Vol.7 No.1

        This experiment explored the idea that differences in the initial learning difficulty of text structure with topic or without topic affect the retention of discourse level meaning. An additional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differences in the retention of relatively good and relatively poor learners according to the text structure. To explore the idea experimentally, upper class students (40) and lower class students (40) according to the academic grades of the second semester in 1985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titles of used material were "The work of ants" and "Making and flying a kite". The results of experiment were coped with the ANOVA.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experiment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initial learning difficulty according to the text structure, less difficult text structure with topic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recall than did more difficult one without topic. Second, according to the text structure, the difference of recall about main idea between relatively good learners and relatively poor learner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Last, i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t is suggested that meaningfulness of material has more effect on subsequent retention than distinctiveness of material. The discussion suggests that distinctiveness of encoding hypothesis may reexamine into more meaningful material, therefore.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의 능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조건

        양용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5 사고개발 Vol.11 No.3

        Self-regulated learning(SRL) along with intelligence, motivation and previous knowledge has appeared as a major factor of academic achievements. Recently, it is known that whereas the variance of intelligence affect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akes a part about 10% point, the one of SRL does about 18% point. It suggests that SRL could be a new strategy to make the difference narrow amo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its components, and acquisition models of SRL to explore the conditions of instruction for developing SRL ability. The components of SRL have explored with a variety of factors by researchers, but in this study they are presented as included in the categories of cognition/meta-cognition, motivation/affection, and behavior/contexts. The acquisition models of SRL are examined with a circular phase model(forethought→ performance→ self-reflection) and a sequential developmental model (others-regulation→ co-regulation→ self-regulation). The conditions and strategies of instruction for developing and facilitating students’ SRL abilities are presented based upon those SRL’s components and acquisition models. And on the basis of conditions and strategies of instruction presented i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on SRL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re suggested. 자기조절학습은 지능, 동기, 선행지식과 함께 학업성취의 새로운 주요한 변인으로 등장하였다. 최근에 지능은 학업성취에 미치는 변량이 10% 정도인데 비해서 자기조절학습은 약 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Veenman. 2011). 이것은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자간 학업성취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새로운 도전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래서 이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의 조건을 탐구하기 위하여 자기조절학습의 개념 및 구성요소와 습득모형을 탐색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을 구성하는 요인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인지/초인지, 동기/감정과 행동/맥락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로 정리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의 습득모형은 순환적 단계모형(전사고→수행→자기성찰)과 순차적 발달모형(타인조절→공동조절→자기조절)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와 습득모형을 통해서 자기조절학습의 능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주요한 수업의 조건과 전략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의 조건과 전략을 바탕으로 장차 자기조절학습의 교수-학습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 인지 심리학과 수업 : 수업설계에 응용

        양용칠 안동대학 학생지도연구소 1988 學生指導硏究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way of applying findinges of cognitive psychology to the design of instruction. The outcomes of in formation processing models, learning schemata, and metacognitive process in cognitive psychology were analyzed according to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To begin with, it is indicated that outcomes of attention o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existing knowledge state and methods of information presentations in an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Data-driven processing, which directs learners attention according to methods of information presentations, and conceptually driven processing, which directs their attention according to the nature of cognitive structures, are discussed. Next, the limits of processing capacity and items in short-term memory, and the nature of long-term memory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design of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and activities. That is, owing to the limits of capacity and duration in short-term memory,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rehearsal and elaboration of new information to be transferred from short-term storage to long-term storage should be specifically arranged. Such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memory as images, declarative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schemata and cap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The methods of retrieving relevant knowledge from long-term memory through presentations of appropriate cues are so important. Third, the methods of representing schemata from learners' cognitive structures, content structures of subject-matters, and curriculum structure for instruction are regarded as facilitating the research for an efficient design of instruction Finally, it is also indicated that outcomes about metacognitive process have to a large extent influence on the design of instruction. In order to reflect metacognitive process to the design, an interaction between knowledge about learners ability of cognitive processing, knowledge about learners' tasks, and knowledge about learners cognitive strategies should be considered very cautiously.

      • 교재구조의 구문단서가 내용재생에 주는 효과

        양용칠 안동대학 학생지도연구소 1984 學生指導硏究 Vol.5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includes syntactic cues with the control group which excludes them in the text organization on comprehension and retention of the prose learning material,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ability factor and motive factor on comprehension and retention of the prose learning material i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ninety third-year male and female Andong National College students who is receiving the cours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subject during teacher training course. The stimulus material which was written by Jung Hoon Choi's guidance of neurotic students in original material was reconstructed by the experimenter. To measure the amount of comprehension and retention as to what the important ideas and contents of the prose learning material is, the immediate recall test which consists of three true-false items, three multiple-choice items and four short-answer items in the order listed above was administered, The results was tested by CR testing method. The conclusions derived form the results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the text material which includes the syntactic cues influenced more comprehension and retention than one which excludes them. The difference between ability factor and motive one on comprehension and retention of the prose material in college students was not shown. It was suggested that if the technical texts using in college also include more syntactic cues, they will be facilitated far more comprehesion and retention to learners.

      • 안동지역 교육의 세계화 추진전략

        양용칠 安東大學校 安東地域社會開發硏究所 1998 安東開發硏究 Vol.9 No.1

        이 논문은 안동지역의 교육수준을 세계화하기 위한 전략을 탐색하는 데 있었다. 안동지역은 오래 전부터 한국을 대표하는 교육과 문화의 전통이 발현되어 최근까지 유지·계승되어 왔으나, 산업화의 영향으로 이 지역의 인구가 감소하는 탓에 교육인구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어서 전통적인 교육과 문화의 도시로서 기능을 잃어가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안동지역의 교육적 전통을 부흥시키고 안동의 교육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높이기 위한 전략이 제안되었다. 안동은 농촌을 배경으로 형성된 도시지만 교육과 문화가 찬연하게 빛나는 전통을 계승한 교육도시로서 특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지역교육의 세계화를 추진해야 할 것으로 논의되었다. 이곳에서 발전된 성리학을 바탕으로 하는 선비정신, 서원을 비롯한 많은 교육기관으로 형성된 교학사상, 그리고 지역 주민들의 높은 교육열은 안동을 세계적인 수준의 교육도시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강한 잠재력으로 지적되었다. 교육의 질적 수준을 세계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시설과 환경을 최고의 수준으로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현재 안동지역의 교육기관 중에서 현실적 여건과 발전 가능성이 가장 높은 학교와 연구기관을 집중적으로 지원하여 최고의 시설을 갖추도록 한다. 그리고 안동교육의 특성을 세계화하기 위해서 전통적인 선비정신과 서당식 개별화 교육을 각급 학교의 교육과정에 반영하여야 한다. 특히, 안동을 세계적인 교육과 문화의 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이 지역에 새로운 교육기관과 교육에 관련된 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려는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

      • 創造性의 本質과 開發을 위한 學習條件

        양용칠 안동대학 학생지도연구소 1982 學生指導硏究 Vol.3 No.1

        이상으로 창조성의 본질을 구명해 보기위해서 창조성의 개념, 원천 및 발달을 고찰해 보았으며, 이의 개발을 위한 학습조건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밝혀보았다. 창조성은 인간의 정신활동에서 가장 고귀한 고등정신작용으로서 아직 그의 본질이 분명하게 밝혀지지 못하고 있지만 선행연구의 결과는 대체로 새로운 어떤 것을 만들어 내는 심리적 과정 또는 능력이라고 간주되고 있다. 창조성의 연구방향으로는 창조적인 인물지향법(person-oriented approach)과 창조적인 산물지향법(object-oriented approach)이 주장되고 있으며, 이를 추구하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조적인 산물에 대한 연구로서, 이를 규정하는 조건에는 독창성, 적합성, 우아성, 초월성 및 실현성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는 창조적 과정을 연구하는 방향으로서 내성적 자서전적인 접근법과 요인분석적 접근법이 있는데, 이를 통하여 알려진 일반적인 창조적 과정은 준비기, 집념기, 철수기, 부화기, 검증기의 단계를 거친다고 하며 단시간이 될수도 있고 장시간이 될수도 있다고 한다. 셋째로는 창조적인 인간을 연구함으로서 창조성의 특위를 규명하려는 방향으로 가장 일찍부터 연구되어 온 것이다. 창조적인 사람의 심리적 특성은 단일한 특성으로 규정지을수 없는 아주 다양한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지배적인 인지적 기능이 있을 것이라는 측면이 인정되고 있다. 창조성에 대한 심리적 특성의 연구는 창조성의 신장 및 개발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창조적인 상황에 대한 연구로서 이는 창조성의 사회학 (sociology of creativity)적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는데, 창조성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창조성은 각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창조적인 능력의 발달이 축적된다고 하는 주장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어떤 개인에게 어떤 상황이나 조건이 주어질 때 어떤 창조적인 능력이 발휘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창조성이 단일한 원천에서 나오는 단일한 과정으로 간주하지 않고 다양한 원천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주장되는데 그 가운데 새로운 주장이 반응원천, 상호작용원천, 개체원천으로 보는 입장이다. 그러므로 창조성은 신비로운 정신능력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개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발달되고 나타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창조성의 개념, 원천 및 발달을 통해 나타난 사실을 기초로 하여 창조성 개발을 위한 학습조건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이 자유스럽게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민주적이고 개방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둘째, 학습자들의 호기심과 탐구력을 조장할 수 있는 풍부하고 다양한 학습환경을 구성해 주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들의 지적 및 심리적인 발달수준과 일치하는 수업전략을 모색한다. 넷째, 학습자들의 기존지식(훈련 및 정보)에 기초를 둔 새로운 학습활동을 전개한다. 다섯째, 학습자들의 학습성과에 대하여 즉각적이고 충분한 보상과 feedback을 준다. 여섯째, 교사 또는 동료학습자들과 상호협의 할 기회를 자주 갖게 하고 때로는 어떤 분야의 전문가와 토의할 기회도 갖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 자신이 창조적인 수업방법을 모색하고 의욕적인 수업을 전개하도록 해야 한다. 점차 복잡하여지고 다양해지는 미래사회에 어떤 결정적인 어려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자신 있고 현명하게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조화롭고 융통성 있는 인간능력의 개발은 창조적 사고력의 배양을 통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창조적인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요청에서도 창조성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그러므로써 창조적인 인간을 육성할 방향과 방향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ture, the source, the developing of creativity, and to research into its developing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In spite of the enormous amount of psychological research on creativity in recent years, there is little conceptual agreement as to what creativity is. It is perhaps most often conceived to be the ability to bring something new into existence. Yet others think of creativity not as an ability, but rather as the psychological process or processes by which novel and valuable products are cre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writer has made a research into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the viewpoint of the creative product, creative process, creative person and creative situation, and also has made a research into its sources through reaction sources, interaction sources and transaction sources. Open environment, active use of creative skills, result of previous knowledge, disciplined use of technique and association with specialist are researched in order to study the learning conditions for the developing of creativity. It is necessary for us to research further into developing creative ability to cope with difficult problems which we will face in a new situ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조건

        양용칠,허소현 대한사고개발학회 2017 사고개발 Vol.13 No.4

        학습자의 창의력은 구호나 논쟁만으로 결코 개발되지 않는다. 이제는 교육현장의 교수자가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을 제대로 실천하도록 구체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창의력 개발을 위해서 교수자가 실천하는 데요구되는 수업의 조건을 탐구하는 데 있다. 구체적 연구내용은 김영채(2007a)가 제시한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세 가지 방안을 교실수업에서 실제로 이룰 수있는 조건의 규명이다. 첫째는 학습자의 창의적 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교수자가 수업을 창의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할 조건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와 행위의 유발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교수자가 수업에서 사고 도구를 활용할 조건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셋째는 학습자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행위를 수용하고 인정하는 분위기 형성을 위한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하면서 교수자가 학습자의 창의력 개발을 돕는 수업기술을 연마할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과, 학습자의 창의력 개발을 위한 교수자의 수업 창의 력을 높일 수 있는 창의수업경진대회가 다양한 차원에서 수시로 개최되기를 제안 하였다. The development of learners' creativity is no more than any issues or slogans for an educational policy. It is an emerging task to be actually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setting. It is also the right time for a creative idea of how to be implemented in instruction to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present instructional conditions to be implemented for developing learners' creativity. The specific research contents were the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conditions in the classroom setting to come true Kim Yung Che's three instructional strategies(2007a) for developing creativity.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his first instructional strategy for developing creativity were for classroom teachers to design and implement creatively the instructional plan-itself in order to have an effect on learners' creative attitude formation.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his second instructional strategy for developing creativity were to let classroom teachers use thinking instruments to help learners with improving their creative thinking and action. And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his third instructional strategy for developing creativity were to make classroom atmosphere for learners' creative thinking and action to be accepted and encouraged in the classroom every time. In-service programs for improving instructional techniques to easily employ those instructional conditions every period in the classroom should be developed, and then creative instruction-competitive exhibitions might be held for improving teachers' competency in a variety of level in the nation wide.

      •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 사범대학 학과구성의 특징 비교

        양용칠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3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al organizations between the college of education (COE) in Korea and in the USA. The COEs were selected from the two countries. The universities 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long with the University of Missouri, University of Texas, University of Georgia, and Florida State University in the USA. Characteristics of various departments such as the number of departments,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were set as comparison criteria between the two countrie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homepage and brochures of the individual universities, along with correspondence through emails.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ile the department names of various COEs in the USA are investigated, most COEs in Korea have standardized names. Secondly, while COEs in the USA provide a variety of departments and majors for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instructional settings, COEs in Korea conduct only th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s. Thirdly, while COEs in the USA are composed of pedagogy-based departments and their related major programs, those of Korea are composed of subject areas in the secondary schools. Fourthly, while the departments of COEs in the USA are established according to student development and their educational goals, those COEs in Korea are consistent with the subject areas of secondary education. Finally, while COEs in the USA have separate educational programs for middle and high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ose in Korea do not have those separated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example of hypothetical departmental organizations for the future Korean college of education is presented.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사범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학과구성의 특징을 비교하는데 있었다. 비교 대상은 한국과 미국의 사범대학 중에서 대표할만한 수준의 4개 대학을 임의로 각각 선정되었다. 두 나라 사범대학의 비교 준거는 학과 종류 및 특성, 개설 학과 수, 재학생과 전임교수의 수로 설정되었다. 비교한 자료는 주로 각 대학의 홈페이지에 있는 자료, 대학홍보물, 그리고 이메일로 직접 요청해서 수집한 내용이었다. 여기서 나온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사범대학은 중등학교에서 편성된 교과목을 담당할 교원을 양성하고, 미국의 사범대학은 유초중고등학교 교과목을 포함해서 각종 교육기관이나 교육활동에 필요한 교원을 양성하고 있다. 둘째, 한국의 사범대학 학과는 중등학교 교과목을 중심으로 개설되고, 미국의 사범대학 학과는 교육학을 바탕으로 개설되어 있다. 셋째, 한국의 사범대학은 교과목의 지식을 중심으로 학과를 편성하고 있는데, 미국의 사범대학은 학생의 발달수준과 그에 따른 교육적 연계성을 고려하여 학과를 편성하고 있다. 넷째, 한국의 사범대학은 중고등학교의 교원을 분리하지 않는 학과 구성이지만, 미국의 사범대학은 그것을 분리하는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 다섯째, 한국의 사범대학은 미국에 비해서 학과 단위의 학생과 교수의 수는 비슷한데, 학과의 수는 현저하게 많기 때문에 학과 운영의 영세함이 나타난다. 양국의 사범대학 비교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가상적인 사범대학 학과구성의 예시가 제시되었다. 이 비교 연구는 장차 한국 사범대학 학과 개편에 고려해 볼만한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