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시각장애인들의 길찾기 행위에 대한 연구

        양승호(Yang, Sung-Ho),송지원(Song, Ji-W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8 No.1

        사회적 소외계층이던 장애인들을 위한 다양한 환경 구축을 위한 노력들이 최근들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현실적 방안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는 기기를 디자인하기 위한 사용자 조사의 일환으로 시각장애인들의 실내 길찾기에 대한 행위를 분석하였다. 시각적 제약으로 인하여 이들이 처하고 있는 보행의 불편함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이동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행 정보의 수집과 판단의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익숙한 실내 공간을 이동할 때와 익숙하지 못한 실내 공간을 이동할 때의 이들의 행위를 관찰하고 인터뷰하였다. 조사된 데이터로부터 시각장애인들이 보행을 할 때에 필요로 하는 주변 정보와 보행 중 판단의 과정이 분석되었으며, 이동보조기기 디자인을 위한 발견점이 도출되었다.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은 지팡이에 의한 정보 수집에 의존하며, 현재위치의 파악과 진행방향의 설정이 중요한 정보요소로 파악되었다. 시각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의 공간개념과 달리 공간에 대하여 선형적인 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보행 중 사소한 장애물이 이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음도 발견되었다. In spite of recent technological and sociological improvements, still visually impaired people are facing many difficulties in their everyday life. This paper studied visually impaired people’s indoor way-finding behavior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understanding for guiding system design. To understand visually impaired people’s walking which they are confronting many difficulties, we observed and interviewed visually impaired people’s behaviors while they walk to familiar and unfamiliar courses. From the user study, we analyzed their way-finding process and the locational information they need. We found awareness of current location and directional information are essentials of visually impaired people’s way-finding in which they are depending on a cane. They have lineal perception on indoor space contrary to unimpaired people’s spacial concept. Indoor obstacles such as couch and stairs threatening their safety are also important issues for guiding system design.

      • KCI등재

        논문 : 목발 디자인에 따른 근육 활성도 및 사용자 인식 비교 연구

        양승호(주저자) ( Sung Ho Y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5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성 12명이 참여하여 3종의 겨드랑이 목발(Mobilegs, KM crutch, Pro In-motion)을 사용한 보행에서 광배근과 비복 근에서의 근전도 반응과 보행에서의 편안함과 사용 편이성을 중심으로 한사용자 인식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광배근에서는 목발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비복근에서는 Mobilegs와 Pro In-motion이 KM crutch에 비해 현저히 낮은 활성도를 보였다. 이것은 Mobilegs와 Pro In-motion은 각각 겨드랑이 받침대 하단과 목발 하단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비복근에 요구되는 힘이 적은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 평가에서 Mobilegs는 보행 시 편안함과 사용 편이성에 대해 모두 다른 목발들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목발 보 행 시 많은 힘이 집중되어 다양한 문제를 유발시키는 겨드랑이 받침대와 손잡이의 디자인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연구의 결과는 스프링이 장착된 목발을 이용한 보행에서 비복근에서 적은 힘이 요구되어 보다 쉬운 보행을 가능케 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목발의 디자인 특성은 근육에 요구되는 힘을 줄이고, 여기에 겨드랑이 받침대와 목발 손잡이의 합리적인 구조와 형태가 보태질 경우 사용자들은 그 목발을 사용한 보행에서 전체적으로 매우 편안하게 인식함을 알 수 있다. In this study, three axillary crutches(Mobilegs, KM crutch, Pro In-motion) were tested with 12 healthy male subjects by measuring the EMG activity of the latissimus dorsi and gastrocnemius and the user-perceived levels focusing on the comfort and ease of use. The result showed that the EMG activity of the gastrocnemius was significantly reduced during ambulation using Mobilegs and Pro In-motion compared with the ambulation using KM crutch, a conventional crutch.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EMG activity of the latissimus dorsi. Subjects perceived the Mobilegs to be more comfortable and easy to use than the other crutches. Theses result may delivered mostly from the characteristics of spring-loaded axillary pad and ergonomic crutch handle. The results indicate that ambulation using the spring-loaded crutch is much easy with asking less exertion at gastrocnemiu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crutch design, such as embedded spring, makes muscles to consume less energy. When the reasonable structure and form of the axillary pad and crutch handle are applied herein, the ambulation using the crutches are perceived to comfort.

      • KCI등재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실내 보행용 보조기기 디자인을 위한 촉각 인터페이스 개발

        양승호(Yang Sung Ho),송지원(Song Ji Won),반영환(Pan Young Hwa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1

        사회적 소외계층이던 장애인들을 위한 다양한 환경 구축 노력들이 최근 들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현실적 방안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는 기기 디자인을 위해 그들의 실내 이동에 관련된 다양한 행위와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길찾기 보조기기를 위한 새로운 인터페이스 컨셉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인터페이스는 2회에 걸친 시각장애인 참여 디자인 워크숍을 거쳐 발전되었으며, 개발된 인터페이스의 실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 향후 수행될 보조기기 디자인개발을 위한 추가연구에 필요한 요구사항 수집을 위하여 최종 발전된 인터페이스 컨셉으로 사용자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인 "햅틱사이트"는 시각장애인이 한손에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 그들이 보행하는 전체 공간 환경을 기기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전방 5m의 공간으로 나누어 보행 관련 정보를 매우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건물의 서버에 저장된 맵 데이터를 수신한 햅틱사이트는 기기가 위치한 전방 5m의 공간 정보만을 작은 돌기의 상하 운동을 이용해 간략화 시킨 패스, 벽체 및 기타 시설물들의 정보를 촉각을 통해 제공한다. 이 햅틱사이트를 통해서 시각장애인들은 자기 주변의 환경을 정안인들이 시각을 통하여 인지하여 자기 위치를 인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촉각을 통하여 인지할 수 있다. 향후 궁극적인 연구과제는 본 연구의 발견점을 기초로 시각장애인들의 독특한 공간개념과 보행 특성이 반영되어 그들의 실내보행에 실제적으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기기의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In spite of recent technological and sociological improvements, still visually impaired people are facing many difficulties, especially way-finding and walking, in their everyday lives. This paper described an interface design reflecting visually impaired people's indoor way-finding behavior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understanding for guiding system design. The interface idea stems from a thorough investigation in which we studied visually impaired people's indoor walking behavior, decision making process, their unique concept of space, and information needs. The developed concept of interfa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has been developed further with the two times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 and a usability test was conducted with the final concept in order to verify the usefulness and gather users' needs for the further study. The Haptic Sight, an innovative interface as a result of the study, is a size of carrying in one hand, and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of the paths and facilities by the sense of tactile. The Haptic Sight receiving map data from the server of a building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with their walking and way-finding in forms of tactility by the up-and-down motion of a set of bump. People with visually handicapped can see the surroundings by the sense of tactile with the Haptic Sight like as ordinary men do with their ey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uild the foundation of further development for indoor walking aids of visually impaired people, and the design of an assistive device providing immediate spatial information to visually impaired people in order to assist independent walking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work.

      • KCI등재

        하지 장애인의 보행보조를 위한 목발 디자인 연구

        양승호 ( Yang Sung Ho ),오광명 ( Oh Kwang My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하지장애인의 보행보조를 위한 목발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그것을 적용한 사례에 관한 장기 프로젝트의 후반부에 해당한다. 다학제적 융합연구를 통하여 목발보행에 관한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목발을 이용한 보행 특성에 부합하고 산업 측면에서 활용성이 높은 양산형 목발의 디자인 개발과 프로토타입 제작에 있다.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혁신적인 목발인 토고(TOGO)는 (1)목발 팁과 겨드랑이 받침대의 형태 및 구조개선을 통해 목발이 지면과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충격의 전달 최소화, (2)보행 중 사용자의 신체에 합리적으로 대응하는 인체공학적 구조, (3)알루미늄 압출 성형에 의한 프레임 제작과 구조 개선으로 목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휴대성·이동성을 위한 쉽고 빠른 목발의 길이 조절, (4)보행 중 안전상 위험요소 최소화 및 (5)사용자가 자존감을 지킬 수 있게 충분히 매력적인 형태 등이 특징이다. 연구 성과로 도출된 새로운 목발은 특허 출원이 완료되었으며, 현재 대량생산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 검토에 이어 양산을 위한 기업 탐색과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long-term project on the development of a set of design guidelines for a crutch as mobility aids for the handicapped in the lower extremity and the suggestion a practical solution for a crutch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of a crutch and a set of prototypes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rutch-gait and has a realistic possibility for mass production-based industry. TOGO, a axillary crutch a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a number of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from ordinary crutches. These are (1)Minimize the shock associated with planting of the crutch tips by improving the form and structure of crutch tip and axillary pad, (2)Ergonomically designed crutch in accordance with users’ body movement while walking on crutches, (3)Easy length control to maximize mobility and maneuverability by changing the cross section of the crutch revolutionary, (4)Minimize possibilities of safety hazards, and (5)Attractive shape of the crutch to keep user self-esteem. The revolutionary crutch derived from this study results has been patented, and the company is seeking to mass-produce and find ways to commercialize it after reviewing the potential problems that may arise in the mass production environment.

      • KCI등재

        도시 내 소득의 공간적 양극화가 도시민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양승호(Yang, Seung-Ho),김승남(Kim, Seung-Nam),안건혁(Ahn, Kun-Hyuck),권영상(Kwon, Young-Sa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3

        이 연구는 도시에서 소득의 공간적 양극화로 인한 사회적 배제 문제가 도시민들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소득의 공간적 양극화는 도시차원과 근린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도시민의 사회적 자본은 신뢰, 관계, 규범과 관계되는 의식수준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시 규모에서 소득의 공간적 양극화는 사람에 대한 신뢰,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근린 규모에서 소득의 혼합도는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 규범의식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도시 전체 차원에서 소득의 공간적 양극화가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근린단위에서의 사회적 혼합 정책의 당위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한국 도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사회적 혼합정책은 현재의 미시적인 공동주택 단지 단위의 정책뿐만 아니라, 거시적 차원에서의 공간적 양극화에도 대응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caused by spatial polarization of income in the city on social capital of citizens. In this study, spatial polarization of income is measured and classified into two levels of geographical scales (city- and neighborhood-wide level), and citizens’ consciousness of trust, relationship and norms are set as three types of social capital. The results show that city-wide level spatial polarization of incom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nsciousness of trust and relationship, while neighborhood-wide level income mix positively affects on consciousness of relationship and norms. From these results, we can identify risks that can be caused by spatial polarization in city scale, and also find the necessity of social mix policy in neighborhood scale. Therefore, the social mix policy in Korea should focus on the spatial polarization in more macro-scale, as well as apartment complexes like current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