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음위치와 음향적 특성과의 관계

        양순임 우리말학회 1991 우리말연구 Vol.1 No.-

        이 글은 조음위치와 음향적 특성과의 관계에 판한 연구이다. 종래의 음성 분류는 먼저 모음과 자음으로 가른 뒤, 각각을 별개의 기준으 로 분류했다. 모음은 혀의 최고점에 의한 모음사각도 상의 가로축을 기준으로 전설모음과 후설모음으로, 그 세로축올 기준으로 폐모음, 반폐모음(반개모음), 개모음으로 분류했고, 자음은 조음위치를 기준으로 양순, 치경, 경구개, 연구 개, 성문음으로, 조음방법을 기준으로 파열음, 마찰음, 비음, 유음 등으로 분 류했다. 그러나 말소리 자체는 불연속적으로 구분되는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이어서 인식적인 면에서 구분되는 자음과 모음이 물리 적인 면에서는 서로 포개어진다. 따라서 이런 음성분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 음절말 자음 중화의 원인

        양순임,Yang Sun-Im 대한음성학회 2001 말소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ause of obsturents neutralization in syllable final position. Most of the previous phonological studies did not reflect phonetic reality sufficiently because of the limited use of the binary feature system. Using binary distinctive features, we can't explain the cause of neutralization. In order to explain the cause of neutralization, I use the multi-valued phonetic feature -[vocal tract aperture]. By [vocal tract aperture] I mean the distance between articulators in the hold stage. In this study, I claim that the cause of neutralization is assimilation to [vocal tract aperture] 0 degree. The neutralized sounds become aplosives, as a consequence of assimilation to [vocal tract aperture].

      • KCI등재

        유기음의 ‘기’와 /ㅎ/에 대한 비교 고찰

        양순임 우리말학회 1998 우리말연구 Vol.8 No.-

        유기음 'ㅍ,ㅌ,ㅊ,ㅋ’에 실현되는 ‘기’(氣, aspiration)ll와 ‘ㅎ’에 대해, 음운 론적으로는 구별되지만, 음성학적으로 같다는 주장이 있었다. 그 근거로, 유 기음은 음성학적으로, ‘파열’과 ‘캉’이 계기적으로 실현된 2개의 소리라는 점 과, [h]는 독립된 음소인 ‘동’과 같다는 점올 들었다(정인섭: 1973, 허웅: 1988). 이런 주장올 뒷받침하는 음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도 했는데, 유기음에 악 센트가 얹히는 모습이 명음과 ‘종’이 연속된 것과 같다는 연구가 그것이다(유재원: 1989). 이 글은 “[h]와 ‘종’이 음성학적으로는 같다, 유기음은 ‘파열’과 [h]의 계기적 실현이다”라는 주장이 타당한지 검중해 보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양순임 한글학회 2011 한글 Vol.- No.293

        Irregular glottalization like ‘냇가’ are called by the phenomena of Saitsori, and write ㅅ in the final of first constituent. In the history of Korean orthography, writing of ㅅ cause some conflicts between phonetic and semantic represent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s an alternative orthography of Sai ㅅ. Whether to insert /ㅅ/ or not is decided by complex conditions, based on morphologic, syntactic, lexical, semantic information. Pre or post posing nouns are almost always inserted /ㅅ/ regardless of writing Sai ㅅ. Furthermore we should not reflet the fluid pronunciation one by one in the writing. So we need for reconsideration on the necessity of Sai ㅅ. Expansion of Sai ㅅ like ‘등굣길, 최댓값’ in the /ㅅ/ pre-posing nouns reduces the symbolic, semantic properties, and increases writing errors. Sino-Korean words are not applicable in a regular morphemic condition. The main factor is the second constituent on the glottalization. Almost always glottalized suffixes like ‘價, 點, 調, 狀, 間’ are changed their real sounds. So I argued that they are not the examples of Saitsori. I proposed totally removing the writing /ㅅ/ in the Sino-Korean words. It is helpful for reducing Sai ㅅ in inherent words and eliminating in Sino-Korean words and loanwords to decrease the gap with North Korea which have difference orthography with ours. 현행 한글 맞춤법의 사이시옷에 관한 규정을 비판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관련된 표준 발음법과의 관계를 살펴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ㅅ/을 덧내는 것은 형태론적, 통사론적 요인뿐 아니라, 어휘적, 의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꼭 사이시옷을 써야 올바른 발음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ㅅ-전치 또는 후치 명사는 표기와 상관없이 /ㅅ/을 덧내어 발음한다. ‘등굣길, 최댓값’처럼 사이시옷 표기를 확대해 나가는 것은 기호성, 표의성의 저하, 표기 오류의 증가와 같은 부작용이 더 크다. 이런 면에서 사이시옷 표기의 필요성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이 필요하다. ‘깃발, 찻간’처럼 항상 경음으로 발음되는 접미사 앞에 있는 /ㅅ/과 ‘햇감자, 해콩’과 같은 접두사의 끝소리 /ㅅ/을 사이시옷과 혼동하게 하는 규정도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다. 한자어 접미사 중 ‘價, 調, 狀, 間’처럼 항상 경음으로 발음되는 경우는 사잇소리 현상과 무관하다. 고유어가 포함된 말은 사이시옷 표기의 확산을 막고, 한자어와 외래어에는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 것이 한글의 기호성과 표의성을 높이고, 표기 오류를 줄이고, 남북 간의 표기 차이를 줄이는 방법이라 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음절 말 폐쇄음에 대한 음향 및 청각 음성학적 연구

        양순임 한글학회 2005 한글 Vol.- No.269

        This paper reports the observations of the temporal properties of syllable final plosives in /VCCV/ environment and the perceptual role of the temporal properties. The temporal properties of /VCCV/ are similar to tense type than lenis type in the point of following results. 1) The duration of vowels before syllable final stops significantly shorter than before the lenis stops. Instead, that was longer than before the tense stops or they were about the same. 2) The duration of consonants in VCCV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ense stops imbedded in vowel, regardless of the speaker. The perception experiment showed that the duration of silent interval and release noise are perceptual cues to differentiate syllable final plosives. Listeners couldn't differentiate between the double consonants and laryngeal singletons. 음절 말 폐쇄음의 음성학적 특성을 음향적, 청각적 실험을 통해 밝히고자 했다. 음향 실험 자료는 V1CV2 연쇄에서 자음은 [p, t, k], [p*, t*, k*], ‘V1C1C2V2’ 연쇄에서, C1은 음절 말 폐쇄음, C2는 [p*, t*, k*, ʧ*, s*]이다. 모두 모음 [ㅏ]로 된 의미 없는 2 음절어이다. 그 결과 ‘VC·CV’는 ‘V·C V’와 선행 모음과 자음 길이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청각 실험은 1) ‘아빠’류와 ‘압빠’류가 인식적으로 변별이 되는지, 2) 음절 말 폐쇄음의 개방소음과 묵음 구간이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말할이의 인식이나 음향적 결과와는 달리, 청각적으로는 ‘아빠’류와 ‘압빠’류는 서로 변별되지 않았다. 2) 개방소음과 묵음 구간은 종성 인식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의 길이

        양순임 우리말학회 2010 우리말연구 Vol.26 No.-

        ‘길이’를 한국어 발음 교육 내용으로 다루어야 할 필요성과 ‘길 이’로 교육해야 할 내용으로 반모음과 중첩자음의 길이에 대해 논의했다. 반모음과 중첩자음의 길이는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봤을 때 한국어의 특수성이 두드러지는 부분이어서 한국어 발음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 용이다. 한국어에서 모음의 길이는 변별성 상실로 인해 짧은소리로 되는 경향 이 뚜렷함에 비해, 중첩자음과 홑자음의 변별에는 길이가 적극적으로 기 능하고 있었다. ‘익기’와 같은 무성 중첩자음은 음성 단계에서는 홑소리이 면서 긴소리로 발음되어 ‘이끼’류와 변별이 어렵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모 음 간 무성 중첩자음과 경음을 제대로 발음하는 것은 자음의 폐쇄·지속 시간을 길게 하는 것과 V1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유성 중첩자음도 음성 단계에서는 홑소리면서 긴소리로 발음된다. 음성적 층 위에서 ‘안내’와 ‘아내’, ‘얼른’과 ‘어른’의 변별은 소리의 겹과 홑이 아니라, 길이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발음의 자연성 확보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을 위해서도 길이에 대한 연구와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음절 말 자음과 관련된 변동규칙 교육 방안

        양순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4 한국어 교육 Vol.15 No.3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phonological rules, especially related to pronunciation of syllable final consonants. In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the coda consonants are 27, whereas in the phonetic representations, only 7 codas are possible. So we should teach the relation of phonological and phonetic representations through Phonological rules. The main points discussed i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o explain the properties of Phonological rules, I present schemas of Korean syllable structure in each phonological and phonetic representation. 2. To practice Phonological rules, I discussed how to organize the materials, how to present the materials to learners, how to make efficient use the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