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sefulness of combined percutaneous-endoscopic rendezvous techniques after failed therapeutic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phy in the era of endoscopic ultrasound guided rendezvous

        양민재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rendezvous approach is a salvage technique after failure of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phy (ERC). In certain circumstances, percutaneous-endoscopic rendezvous (PE-RV) is preferred, and endoscopic ultrasound-guided rendezvous (EUS-RV) is difficult to perform. We aimed to evaluate PE-RV outcomes, describe the PE-RV techniques, and identify potential indications for PE-RV over EUS-RV.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a prospectively designed ERC database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16 at a tertiary referral center including cases where PE-RV was used as a salvage procedure after ERC failure. During the study period, PE-RV was performed in 42 cases after failed therapeutic ERC; 15 had a surgically altered enteric anatomy. The technical success rate of PE-RV was 92.9% (39/42), with a therapeutic success rate of 88.1% (37/42). Potential indications for PE-RV over EUS-RV were identified in 23 cases, and either PE-RV or EUS-RV could have effectively been used in 19 cases. Endoscopic bile duct access was successfully achieved with PE-RV in 39 cases with accessible biliary orifice using one of PE-RV cannulation techniques (classic, n=11; parallel, n=19; and adjunctive maneuvers, n=9). PE-RV uses a unique technology and has clinical indications that distinguish it from EUS-RV. Therefore, PE-RV can still be considered a useful salvage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biliary obstruction after ERC failure.

      • 진동에너지 수확을 위한 MPPT 제어기능을 갖는 CMOS 인터페이스 회로

        양민재 인천대학교 대학원,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자연에 존재하는 에너지를 수확하여 사용가능한 전기에너지로 변환해주는 기술인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은 무한대에 가까운 자연 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화석에너지에 대한 의존성을 낮출 수 있으며 공해나 폐기물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 보존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직접 에너지를 수확하여 자가발전 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수확한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가 필요하며 지형이나 기후 조건에 따라 수확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이 실시간으로 변하기 때문에 수확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확 및 저장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기법을 적용한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최대 가용전력을 출력하는 조건에서 회로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에너지 변환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진동에너지를 이용한 두 가지의 에너지 하베스팅 인터페이스 회로를 설계하였다. 첫 번째는 진동에너지를 수확하여 AC-DC 변환기를 이용하여 정류한 후 이를 DC-DC 부스트 변환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전압으로 승압시켜서 안정된 연속적인 직류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두 번째는 진동에너지를 수확하여 정류한 후 정류된 신호를 MPPT 제어를 통해 진동 소자의 최대 전력을 DC-DC 부스트 변환기에 전달하여 승압시키고 전력관리회로를 통해 듀티(Duty)를 갖는 형태의 신호를 출력해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이다. 제안된 진동에너지 하베스팅 인터페이스 회로는 CMOS 0.35㎛공정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최대 전력 변환 효율(end-to-end)은 각각 84%, 83.4%이고 칩의 면적은 PAD를 제외하고 815㎛×620㎛, 915㎛×895㎛ 이다. 제안된 회로는 IoT, Wearable device, USN 그리고 Bio sensor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하며, 특히 자가 발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배터리 교체가 어려운 지형 또는 환경의 센서 노드 구현에 가장 적합하다.

      • 입직기 교육행정직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요구조사 분석

        양민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scope of school administration has been broadened and complicating. School administration officers who provide an administrative service for the daily operations of schools are placed at the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stitutions under the offices,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its extension agencies and local schools. As the officer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re being expanded, newly employed officers fac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various jobs requiring specialized knowledge.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demands for job training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new school administration officers by analyzing training programs of the Tamna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run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unit task perceived by new officers, demands for training programs are analyzed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Inquiries are established for the analysis. Inquiry 1: What are the training programs at the Tamna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like and what are pros and cons of the programs? Inquiry 2: How do new school administration officers perceive the importance of each unit task? Inquiry 3: What are demands of new school administration officers for the training programs? Unit tasks are determined and the units are grouped as a section according to preceding researches and task manuals. The number of classes including offline and online lectures organized by the Tamna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are counted on a yearly basis per the unit task from 2014 through 2017.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survey is us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each unit task and each section perceived by the surveyees(school administration officers with less than 5 years' experience) and weighted value and priority are determin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lasses has increased year on year and the range of choice has been expanded. However, the miscellaneous task under the general administration section accounts for the most. This means that classes need to be reorganized to reinforce the professionalism section in order to reflect surveyees' demands. Second, the surveyees perceive the school accounting section the most important. They give expenditure/contract job the first priority, budgeting/balancing accounts the second priority and revenue management the third priority in the school accounting section. In other sections, unit tasks related to the school accounting are considered relatively important. Third, the future training programs should more contain classes about budgeting/balancing accounts, revenue management, wage management and tax accounting to reflect demands of the new officers. For the general administration section, short-term online training courses are recommended per subdivided duties under a unit task. For the school accounting section, one-day practical offline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per unit task or subdivided dutie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find specific ways to reflect new school administration officers' demands. Specialized lecturers can be pooled in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training demands per subdivided duties should be analyzed to design short-term programs. Lastly, programs should be customized to suit training demands of the officers on the entrant, growth, advancement and maturity phases. If individual officers' effort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are added to authorities' job streamlining efforts, both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s will be healthier. 교육의 현장에서 교육행정의 범위가 더욱 광범위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는 오늘날, 본연의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봉사적 활동을 담당하는 교육행정직은 시도교육청과 직속기관, 교육지원청과 소속기관, 단위학교의 교육행정실에 배치된다. 단위학교의 자율적 권한과 책무성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환경에서, 경력이 낮은 입직기 교육행정직은 교육행정실에서 복잡해지고 전문화되는 다양한 업무의 담당자 및 책임자로 근무하며 업무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어떻게 입직기 교육행정직의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을 것인가를 ‘교육훈련’이라는 측면에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전문교육훈련기관인 탐라교육원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입직기 교육행정직이 인식하는 단위업무의 중요도를 바탕으로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탐라교육원 교육훈련의 현황 및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두 번째. 입직기 교육행정직이 인식하는 영역별 단위업무의 중요도는 어떠한가? 세 번째. 입직기 교육행정직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질문에 대해 먼저 선행연구 및 학교행정업무매뉴얼을 바탕으로 단위업무와 업무의 영역을 분석하였고, 교육훈련 현황은 탐라교육원에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교육행정직을 대상으로 운영한 집합연수 및 원격연수에 대해 단위업무별로 교육시수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제주도내 경력 5년 미만의 입직기 교육행정직을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업무의 영역별, 단위업무별 중요도를 알아보았고 전체적으로 종합적인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 탐라교육원의 교육시수가 매년 증가하여 교육훈련 선택의 폭이 넓어진 장점과, 단점으로는 일반행정 영역 중 기타업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이었다. 따라서 교육행정직의 전문적 영역에 대해 교육수요를 반영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입직기 교육행정직이 인식하는 영역별 중요도는 학교회계 영역이 가장 높았고 단위업무의 중요도는 학교회계 세출·계약 업무, 학교회계예·결산, 학교회계 세입 업무 순이었다. 다른 영역에서도 회계연관성이 높은 단위업무를 중요하게 인식했다. 이것은 회계관련 공무원이라는 책임감의 표현일 것이다. 세 번째, 향후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학교회계예·결산, 세입업무, 급여관리 및 세무업무에 대해 입직기 교육행정직의 전문성의 요구를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일반적인 행정업무는 세부업무별로 단시간 원격연수를 개발하여 활용하고, 가장 중요도가 높았던 학교회계 영역의 경우 단위업무별 또는 세부업무별로 1일 이내 집합연수 과정을 개설하여 실습위주 방법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입직기 교육행정직의 교육훈련의 요구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운영할 것인가에 대해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관계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전문적인 강사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단시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단위업무를 세분화한 세부업무별 교육수요를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성장기와 발전기, 심화기 교육행정직의 교육수요를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나아가 업무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교육행정직 개인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이 더해진다면, 조직의 발전과 개인의 성장을 함께 이루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