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시 짓기를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양미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looks again at the educational value of lyrics-changing and by analyzing how nursery rhymes composition affects the young children's language and musical ability, it aims at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find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which improve the young children's language and musical ability of children through lyrics-changing activities by nursery rhymes composition. For such study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1. How does lyrics-changing activities through nursery rhymes composition affect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2. How does lyrics-changing activities through nursery rhymes composition affect young children’s music ability? Five years old children from the S child center and the N child center in G city were designa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and 24 were set as a experimental group while 22 were set as a comparison group, totaling 46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s, living areas, or pre-test results regarding young children's language and music ability betwee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hildren of the comparison group, so both groups were considered to be of the same level. Tests were performed 18 times, for a period of 6 weeks, 3 times a week, and the experimental group did lyrics-changing activities through nursery rhymes composition while the comparison group did body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ong. Reserch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ubfields of ‘common sense’, ’comprehension’, ’arithmetic’, ’vocabulary’, ’commonness’, and ’sentences’ of language tests of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made suitable for Koreans by Park Hye Won, Gwak Geum Joo, and Park Gwang Te(1996), to measure language abilities. The music ability of the young children was measured after selecting ‘strong and weak’, ‘rhythm’, ‘high and low’, ‘tone’, ‘harmony’, ‘appreciation’, fields which are subfields of musical testing, made by Korean Guidance(2000). Data was collected after pre-tests and post-tests were executed and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using SPSS 12.0 program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the lyric-changing activities through nursery rhymes composi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language ability scores statistically when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which had body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ong. Also,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subfield scores of ’comprehension’, ’arithmetic’, ’vocabulary’, ’commonness’, and ’sentences’. However, scores in the field of ‘common sens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tatisticall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activities of lyric alteration through nursery rhyme composi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music ability scores statistically when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which had body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ong. Also,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sub fields of ‘rhythm’, ‘high and low’, ‘tone’, and ‘appreci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scores in ‘strong and weak’ and ‘harmony’ fields.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activities of lyric alteration through nursery rhyme composition, had more positive effects in improving the young children's language and musical ability than the comparison group which used body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ong.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young children's language and music ability can be more effectively improved by actively using lyrics-changing activities through nursery rhymes composi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본 연구는 동시 짓기를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음악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여 노랫말 바꾸기의 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근거로 동시 짓기를 활용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음악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방법 모색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동시 짓기를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2. 동시 짓기를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과 N어린이집 만 5세 유아로서 실험집단 24명과 비교집단 22명 총 46명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 간의 연령, 거주지역, 유아의 언어능력과 음악능력에 대한 사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을 동질집단으로 간주하였다. 실험처치는 6주 동안 일주일에 3회씩 총 18회로 실험집단은 동시 짓기를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을, 비교집단은 노래를 통한 신체표현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는 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1996)가 표준화 한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K-WPPSI)중 언어성 검사 의 하위영역인 ‘상식’, ‘이해’, ‘산수’, ‘어휘’, ‘공통성’, ‘문장’ 영역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음악능력은 한국 가이던스(2000)에서 제작한 음악성 검사의 하위영역 ‘강약’, ‘리듬’, ‘고저’, ‘음색’, ‘화음’, ‘감상’ 영역을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SPSS 12.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별 차이를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 짓기를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노래를 통한 신체표현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전체 언어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언어능력의 하위영역인 ‘이해’, ‘산수’, ‘어휘’, ‘공통성’, ‘문장’ 영역의 점수에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식’ 영역의 점수에서는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동시 짓기를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노래를 통한 신체표현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전체 음악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음악능력의 하위영역인 ‘리듬’, ‘고저’, ‘음색’, ‘감상’ 영역의 점수에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약’, ‘화음’ 영역의 점수에서는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동시 짓기를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노래를 통한 신체표현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언어능력과 음악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동시 짓기를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을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유아의 언어능력과 음악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대전시 유치원의 입지와 취원아동의 공간행태 연구

        양미자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대전시 유치원의 입지와 취원아동의 공간행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양미자 우리나라에서도 유아교육의 발달에 따라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유치원의 수가 집중하고 있으나, 유치원에 관한 지리학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연구내용, 사례지역 등 여러 면에서 미약하기 이를데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은 외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유치원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는 유치원의 입지와 취원아동의 공간행태의 두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 유치원의 입지와 취원아동의 공간행태를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주제 가운데 우선, 대전시 유치원의 입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치원 입지의 시계열적 공간확산 과정, 유치원 입지의 사회·경제적 특성, 유치원 결여지역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또한, 대전시 유치원 취원아동의 공간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치원의 내적 특성, 유치원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및 인구학적 특성, 유치원 취원아동의 인구학적 특성, 유치원 취원아동의 공간행태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 유치원의 입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치원 입지와 관련된 각종 자료를 대상으로 다양한 지도화 분석을 하였다. 또한, 취원아동의 공간행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치원 원장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각종 통계분석이 이루어졌다. 1. 대전시 유치원의 공간확산과정과 입지특성 1) 대전시 유치원의 공간확산 과정 1951년에 동구 삼성1동에 사립 하나유치원이 최초로 입지한 이래, 1950년대 및 1960년대에는 도시 내부에서 사립유치원들만을 중심으로 공간 확산이 이루어졌다. 1970년대에는 신설유치원이 처음으로 도시내부를 벗어나서 도시 주변부 외측에 입지하므로서, 도시내부로부터의 비지적 공간확산이 이루어지고, 1960대까지와는 달리 공립유치원이 도시 내부와 주변부에 최초로 입지하는 새로운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시 외측 주변부로의 비지적 공간확산의 계기는 공립유치원이었다. 1980년대에는 도시내부와 주변부 모두에게 신설유치원의 대량입지가 이루어졌고, 유치원의 공간확산이 도시 전역에서 일어나고 있다. 한편, 1980년대 신설유치원 공간 확산의 양상을 입지주체와 관련해 살펴 보면, 도시 내부와 주변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서, 도시내부는 거의 전적으로 사립유치원이 공간확산을 주도하고 있고, 도시주변부의 경우 대체로 내측을 사립유치원이, 외측은 공립유치원이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유치원 설립주체에 따른 입지의 차이는 유치원의 본질적 성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공립유치원의 공공성과 사립유치원이 경영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1990년대에는 신설유치원의 입지가 1980년대 보다 더욱 대량으로 이루어졌고, 1980년대의 공간확산 양상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2000년 시점에서 대전시 유치원의 공간 입지 패턴을 보면, 사립유치원은 도시내부와 주변부 내측에 집중적으로 입지하고 있고, 공립유치원은 도시내부와 주변부 전역에서 산재하여 입지하고 있다. 특히, 주변부 외측에는 공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입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1950년대이래 2000년까지의 기간 동안의 대전시 유치원의 공간확산과정은 그림 Ⅱ-13과 같은 모델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2) 대전시 유치원의 입지 특성 2000년 현재, 대전시의 공·사립 유치원 입지를 지리적 지역의 측면에서 보면, 도시중앙의 원형 시가화지역에 집중입지하고 있고, 도시외곽부의 동심원형 지역에 분산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대전시 공·사립 유치원의 입지를 구 수준의 행정구역상으로 보면, 전체 216개소 가운데 37.8%(82개소)가 서구에 입지하여 있고, 나머지 동구, 중구, 유성구 및 대덕구에는 14.3~17.1%의 유치원들이 고르게 입지해 있다. 이런한 유치원 입지의 서구 편중 현상은 구별 유치원 아동 현황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동 수준의 행정구역상으로 볼 때, 동구의 대신동, 대동, 소제동, 성남 1동, 삼성 2동, 중구의 부사동, 오류동 등 7개동 지역에 유치원이 전혀 입지하고 있지 않다. 대전시 공립유치원의 입지를 보면, 지리적 지역의 측면에서 전체지역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대전시 공립유치원의 분포를 구 수준의 행정구역 상으로 보면, 서구와 유성구 지역에 각각 29.6%(16개소)와 25.95%(14개소)가 입지해 있고, 나머지 동구, 중구, 대덕구에 14.8%(8개소) 씩 균등하게 입지 배분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은 유치원 아동 현황에서도 그대를 나타나고 있다. 한편, 전체 76개 동 지역중 56%에 해당하는 43개 동 지역에 공립 유치원이 입지하지 않고 있는데, 이를 구별로 보면, 동구의 경우 21개 동 지역 중 15개 동 지역에, 중구의 경우 21개 동 지역 중 8개 동 지역에, 대덕구의 경우 11개 동 지역 중 5개 동 지역에 각각 공립유치원이 입지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유성구에는 6개 동 지역 전체에 공립유치원이 입지하고 있어 다른 구들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대전시 사립유치원의 입지를 지리적 지역의 측면에서 보면, 공립유치원의 경우와 달리, 특정지역 집중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즉, 대전시를 북부, 중부 및 남부로 구분할 때, 사립유치원들이 중부에 집중해 있고, 북부에는 상대적 저밀도로 산재해 있다. 그러나, 남부의 대부분의 지역을 사립유치원이 극소수 입지해 있어, 위의 두 지역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대전시 사립유치원의 이러한 양상은 구 수준의 행정구역상에서도 그대로 드러나서, 서구 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나머지 구 지역들에는 분산입지해 있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3) 대전시 유치원의 입지 결여지역 대전시의 유치원 입지 결여지역은 동별 20~39세 인구비율, 동별 4~6세 인구비율 및 동별 취원아동비율이 모두 평균보다 높으면서 유치원수가 평균보다 작은 동지역과 유치원이 전혀 없는 동지역의 2가지 기준에 의거하여 추출했다. 추출 결과, 첫번째 기준에 해당하는 동지역으로는 중구 태평 1동(32번), 서구 갈마 2동(53번), 대덕구 덕암동(75번)·목상동(76번) 등 4개동이 추출되었고, 두번째 기준에 해당하는 동지역으로는 동구 대신동(8번)·대동(9번), 소제동(11번), 성남 1동(15번), 삼성 2동(19번), 중구 부사동(29번)·오류동(31번) 등 7개동이 추출되었다. 대전시의 경우, 유치원 결여지역은 중심시가지와 주변지역에서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2. 대전시 유치원 취원아동의 공간행태 특성 분석대상 유치원의 설립주체를 보면, A유치원은 공립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고, B유치원과 C유치원은 사립유치원이다. 사립유치원 가운데 B유치원은 종교재단이 설립한 것이다. 분석대상 유치원의 입지를 보면, A유치원은 유성구 궁동, B유치원은 중구, C유치원은 서구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들 지역은 도심 주변의 전형적인 거주지에 해당되는 곳이다. 특히, A유치원은 충남대학교 인접 남동측에 입지하고 있고, C유치원은 대단위 아파트 단지내에 입지하고 있다. B유치원과 C유치원은 설립주체, 취원아동수 등 이외엔 큰 차이가 나지 않지만, B유치원과 C유치원은 A유치원과는 학급수, 취원아동수, 아동당 월평균 교육비, 월평균 운영비 등에서는 비교적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1) 대전시 유치원 취원아동 학부모 및 취원아동의 특성 대전시 유치원 취원아동 학부모의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을 제1속성을 중심으로 살펴 보면, 학부모의 자녀수(2명), 아버지의 나이(35~39세) 및 주거 점유 형태(자가)는 A유치원, B유치원 및 C유치원 모두에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제1속성의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치원에 따라서 다소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어머니의 나이의 경우 아버지의 나이의 경우와 달리 A유치원은 35~39세, B유치원과 C유치원은 각각 30~34세와 35~39세로 나타나서 유치원간의 차이는 크지 않다. 아버지의 교육정도의 경우, 세 유치원 모두 대학졸로 나타나고 있으나, B유치원은 고등학교졸이 공동 제1속성으로 추가되어있다. 어머니의 교육정도의 경우, A유치원은 대학졸, B유치원과 C유치원은 고등학교졸로 각각 나타나고 있다. 아버지의 직업과 어머니의 직업의 경우, A유치원은 회사원으로, B유치원과 C유치원은 자영업, 회사원, 기타 등으로 각각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가족의 월평균소득의 경우, A유치원이 201~300만원/301~400만원으로, B유치원 및 C유치원은 101~200만원으로 나타나서, 가족 월평균소득은 A유치원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주거건물 형태의 경우, A유치원을 아파트로, B유치원과 C유치원은 각각 단독주택 및 아파트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취원아동 1명당 월평균교육비는 A유치원은 11~15만원으로, B유치원과 C유치원은 각각 11~15만원/16~20만원 및 16~20만원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전시 유치원 취원아동 학부모의 유치원 선정요인을 세 유치원들의 총합점수 순위에 따라 나열하면, ‘교육프로그램이 바람직해서(F 1) → 주위의 평판이 좋아서(F 5) → 교사의 자질이 우수해서(F 2) → 교육비 부담이 적어서(F 4) → 탁아기능이 있어서(F 7) → 개인적 인연이 있어서(F 8) → 종교적 관계가 있어서(F 9)’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순위 배열은 거의 정상적인 것으로, 일반적인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즉, 설립주체와 배경이 다른 세 유치원 별로 볼 때, 요인의 순위 배열이 상당히 달랐지만, 세 유치원들의 요인득점을 종합해서 보면, 요인의 순위배열이 역시 전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B유치원이 포함됐음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관계가 있어서(F 9)’ 요인이 9순위로 나타나고 있음은 대단히 특이한 양상이다. 이외에, ‘개인적 인연이 있어서(F 8)’ 요인이 8순위로 나타나고 있음을 유치원 선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당연한 것이긴 하지만, ‘탁아기능이 있어서(F 7)’ 요인이 7순위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유치원에 탁아기능의 병행을 대체로 요구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대전시 유치원 취원아동의 인구학적 및 교육학적 특성을 제1속성 중심으로 유치원별로 살펴보면, A 및 C유치원이 여자-6세-13~24개월로, B유치원은 남자-7세이상-1~12개월로 각각 나타나고, 유치원 전체는 남자·여자-6세-13~24개월로 나타나고 있다. 2) 대전시 유치원 취원아동의 공간행태 특성 대전시 유치원 취원아동 공간행태 특성의 제1속성을 유치원별로 살펴보면, A유치원은 1㎞미만-도보-10분으로, B 및 C 유치원은 1㎞미만-통원버스-10분으로 각각 나타나고 있다. 유치원 전체는 B 및 C 유치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미만-통원버스-10분으로 나타나고 있다. ‘취원아동의 공간행태’와 ‘취원아동·학부모의 특성’ 및 ‘학부모의 유치원 선정요인’간의 연계특성은 요인 내 요소들간의 교차분석결과 중 1~2순위 연계를 중심으로 파악되었는데, 이 중 1순위를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 B 및 C 유치원 전체 취원아동 공간행태와 취원아동 인구학적 특성 연계에 취원아동 통원거리와 취원아동 연령별 특성의 연계의 경우 1㎞미만-6세가, 취원아동 통원시간과 취원아동 연령별 특성 연계의 경우 10분이하-6세가, 취원아동 통원수단과 취원아동 연령별 특성 연계의 경우 통원버스-6세가 각각 1순위 나타나고 있다. 둘째, A, B 및 C 유치원 전체 취원아동 공간행태와 학부모 인구학적 특성 연계에서 취원아동 통원거리와 학부모 자녀수 연계의 경우 1㎞미만-2명이, 취원아동 통원거리와 아버지 나이 연계의 경우 1㎞ 미만-35~39세가, 취원아동 통원시간과 학부모 자녀수 연계의 경우 10분-2명이, 취원아동 통원시간과 아버지 나이 연계의 경우 10분-35~39세가, 취원아동 통원수단과 학부모 자녀수 연계의 경우 통원버스-2명이, 취원아동 통원수단과 아버지 나이 연계의 경우 통원버스-35~39세가 각각 1순위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A, B 및 C 유치원 전체 취원아동 공간행태와 학부모 사회·경제적 특성연계에서 취원아동 통원거리와 아버지 교육정도 연계의 경우 1㎞ 미만-대학졸이, 취원아동 통원거리와 아버지 직업의 경우 1㎞ 미만-자영업이, 취원아동 통원거리와 가족 월평균소득의 경우 1㎞-101~200만원이, 취원아동 통원거리와 주거점유 형태 연계의 경우 1㎞ 미만-자기집이, 취원아동 통원거리와 취원아동 1명당 월평균교육비 연계의 경우 1㎞ 미만-16~20만원이, 취원아동 통원시간과 아버지 교육정도 연계의 경우 10분이하-대학졸이, 취원아동통원시간과 아버지 직업연계의 경우 10분이하-회사원/10분이하-자영업이, 취원아동 통원시간과 가족월평균소득 연계의 경우 10분이하-201~300만원이, 취원아동 통원시간과 주거점유형태 연계의 경우 10분이하-자기집이, 취원아동 통원시간과 취원아동 1명당 월평균 교육비 연계의 경우 10분이하-16~20만원이, 취원아동 통원수단과 아버지 교육정도의 경우 통원버스-대학졸이, 취원아동 통원수단과 아버지 직업 연계의 경우 통원버스-자영업이, 취원아동 통원수단과 가족 월평균소득 연계의 경우 통원버스-101~200만원이, 취원아동 통원수단과 주거점유형태 연계의 경우 통원버스-자기집이, 그리고 취원아동 통원수단과 취원아동 1명당 월평균교육비 연계의 경우 통원버스-16~20만원이 각각 1순위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A, B 및 C 유치원 전체 취원아동의 공간행태와 유치원 선정요인 연계에 있어서, 취원아동 통원거리와 유치원 선정요인 연계의 경우 ‘1㎞미만-교육프로그램이 바람직해서(F 2)'가, 취원아동 통원시간과 유치원 선정요인 연계의 경우 ’10분이하-교육프로그램이 바람직해서(F 1)'가 그리고 취원아동 통원수단과 유치원 선정요인 연계는 ‘통원버스-교육프로그램이 바람직해서(F 1)'이 각각 1순위로 나타나고 있다. 대전에 유치원 취원아동의 통원권을 분석한 결과, A유치원은 공립인 관계로 통원권이 단일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격분포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B유치원과 C유치원은 사립인 관계로 통원권이 A유치원보다 광역화되어 있고 일부 취원아동은 원격화 되어있다. 그러나, 원격화는 사립유치원들 간에는 차이가 커서 종교사립 B유치원이 32%, 일반사립 C유치원이 7%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B유치원의 경우 원격 분포의 일부 (43%, 7명중 3명)는 종교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이고, B유치원 근린분포의 경우도 다른 두 유치원들에 비하여, 종교적 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B유치원에서의 종교요인은 거의 하순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교적 요인이 유치원 선정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어, 종교적 요인이 통원권 형성에도 절대적 영향을 끼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The Study on the Location of Kindergarten and the Spatial Behavior of Kindergarten Childre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Yang, Mi-Ja Geography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Choi, Won-Ho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location of kindergarten and the spatial behavior of kindergarten childre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case of the location of kindergarten, the spatial diffusion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kindergarten and the absent region of kindergarten are analyzed. In case of the spatial behavior of kindergarten children,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the socio-economic and characteristics of par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nd spatial behavior of children in three selected kindergartens are analyzed. In the process of analysis, the mapping, the interview and the statistical technique are used. The research results of kindergarten locatio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ly, the first kindergarten was built by the private foundation in the peri-CBD area in 1951. Since 1950's the private kindergartens have been diffused mainly in the interal city, and the public kindergartens have been difffused in both internal and outer city. Secondly, in the year of 2000 some of kindergartens are located in internal built-up area and the others are scatteringly located in outer concentric area. Thirdly, the absence of kindergarten is appeared in both central and peripheral area. The research results of the spatial behavior of kindergarten childre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ly, the number of children(two children), the year of father(35~39 year) and the form of living(self-ownership) in the first attribute of population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re same in the three kindergartens. Secondly, the main kindergarten selective facters of parents are the desirable educational program(factor 1), the assessment(factor 2), the low educational cost(factor 8) and the others. Thirdly, the sphere of public kindergarten is narrower than that of private kindergarten. Also, the sphere of private kindergarten is devided into several parts.

      • 니키 드 생 팔(Niki de Saint Phalle) 작품의 조형적 특성 및 대중성에 관한 硏究

        양미자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field of expression has been extended towards making abstract objects that are emphasized the relation with space getting out of the expression method which had been emphasized the formative beauty balanced with volume, mass, and weight. A variety of materials and techniques in sculpture has been suggested since modern art developed after the twentieth century. Niki de Sant phalle, who didn't take any regular art education , is a famous sculptress with somewhat fat but vigorous female sculpture, She expressed her own world of art in the way which was not bounded with any formulary rules such as sculptures and pictures, or materials and expression technique. She also expressed her identity as a woman by introducing the plane of a picture into the cube of new sight and a sculpture in the environment filed. Niki's works of art featuring woman's style in the formative technique, which could be confirmed in the process of patching cutting, and attaching work. In addition those features such as decorated colors and patterns,. organic forms, and fairy features make ordinary people feel familiar with them. Those features that Niki's works of art has in various aspects derives from the fact that she was a realist. She painted about a new reality she had hoped to catch nouveau realism through her own works of art and also tried to raise women's social problems. Most of all, she tried to realize the interaction with the masses. The early works of her art is in the place of nouveau realism in the aspect of a techniques and a period and in the place of feminism in the aspect of mind. In the early works of her art she showed some wit that arouses spectacles' catharsis by letting them courageously to shoot a gun to escape from everything to oppress themselves. Her beauty made the masses have interest in her works of art. but she's not satisfied with it. But she showed what artists could do for the society by extending women's rights. In the picture of 'Shooting Painting' exposing the provocative feeling towards men, and of 'Nana and Hon' expressing woman's covert pubic region exaggeratingly, she showed her brave will as an artist offering the opportunity to help the spectacles awake from the prejudice for women. As you know through 'The Tarot Park' and 'The sculpture of 'Pongpid fountain', she also did a lively work showing the balance of life and art, which could be a perfect work of art only with spectacles's participation. Niki do Sant Phalle, who made those work of arts, is an artist that reveals free creativity unbounded in form, various express techniques and materials exposing super realistic tendency of a modern art and enormous size of work of art. Under the basis of the spirit of freedom, she tried to make a work of art which the masses enjoy without any feeling of resistance and the masses can meet easily. It is proved that she was an a great artist who offered the works of art for the masses in order to make the interactional relations between the masses and art not to satisfy those people who wanted to enjoy only high grade works of art on the display board in the art museum.

      • 유아특수교육 실습의 실태 조사

        양미자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특성, 실습과 관련된 대학교육 과정, 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 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특성은 어떠한가? 2.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3. 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4. 유아특수교육 실습의 전반적 만족도 및 개선 방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4년제 대학 중 유아특수교육학과가 있는 공주 대학교, 대구대학교와 우석대학교 학생 중 실습을 마친 4학년생 53명과 해당 학교 교수님을 통해 알게 된 유아특수교육과 졸업생 32명을 합한 총 85명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사한 질문지는 컴퓨터를 이용한 통계 SAS프로그램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육실습생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가 더 많았으며 실습지도교사의 전공 면에서 48%(34명)가 특수교육을 전공하여 유아특수교육 실습생 지도에 부적절함이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 과목 강의(예, 교육과정, 교육과목)' 에서 더욱 지도되어야 할 부분으로는 '실제 현장 지도기법(행동지도)' 이다. 셋째, 실습한 유아특수교육 기관의 교육환경으로는 만족하는 편이며,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교육실습기관 선정 시 정보가 필요하다. 넷째, 실습한 교생들은 교육실습 시 장애특성의 이해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꼈으며, 교육현장에서 실습생에게 바라는 능력으로는 장애유아 생활지도 능력과 수업계획안 작성 및 수업능력이고 교육실습 기간(1개월)은 일반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입학직후부터 전학년에 거쳐 규칙적인 실습 및 실습지도를 받아 다양한 현장 경험 및 장애특성을 이해하는 자신감 있는 예비교사의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유아특수교육과의 교육실습생 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유아특수교육과의 교육실습 실태를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유아특수교육과의 교육실습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연구하고 또한 교육실습과 관련한 교육과정 편성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quality of cooperating professonor, practicum relating curriculum, and student satisfaction on practicum sit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instructor? 2. What is student satisfaction with college curricula related to teaching practice? 3. How much are students satisfied with institute where they practiced? 4. What are the feasible, efficient reform measures for more successful practice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5 people who included 53 seniors at Kongju University, Taegu University and Wuseok University, which has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among four-year course universities nationwide, and 32 graduates from the same universities. The seniors completed teaching practice, and the graduates were introduced to me by professors at those universities. The responses from the subjects were encoded, and the frequency analysis was made with SA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among the teachers who were the field instructor of the subjects, more teachers had have no experiences to guide student teachers, despite the importance of field instructor role. And only 48%(34 teachers) were a special education major. So they appeared not to be properly able to guide teaching practice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subjects were in want of more education in 'field guidance technique(behavior guidance),' among the courses related to teaching practice(curriculum and subjects). Third, they tended to be contented with the educational setting of the special preschool education institutes where they practiced. But more information was needed for the selection of institute for teaching practice. Fourth, the student teachers had difficulties due to poor understanding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They were wanted from the practice institutes to be capable of doing guidance for disabled preschoolers, making out a teaching plan and giving successful instruction. The present one-month teaching practice term was generally said not to be enough.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pre-teachers to have diverse field experiences by being exposed to regular practices during every school year,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have more confidence. As the number of student teachers who practice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re on the increase, more researches are needed on the actual state of teaching practice on a continual basis to find out its problems, look for reform measures, and prepare better teaching practice curriculum.

      • 흰쥐를 대상으로 한 한약처방의 장기복용이 철분 및 칼슘의 생체이용률에 미치는 영향

        양미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널리 이용되는 한약처방이 무기질 중 특히 한국인에 있어서 결핍이 우려되는 칼슘과 철분의 생체이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빈혈이 유도된 흰쥐를 한약처방이 함유된 실험식이로 4일, 12일, 25일 사육시킨 후 칼슘 및 철분의 생체이용률을 Hemoglobin repletion bioassay와 Chemical balance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식이로 25일간 사육한 후 혈청 철분농도, 헤모글로빈농도, UIBC, TIBC, transferrin 포화도 및 Relative biological value 측정한 결과, SD(20.1±2.1umol/L)군과 JY(17.8±2.8umol/L)군의 혈청 철분농도가 대조군(15.5±2.2umol/L)에 비해 더 높았으며, 특히 SD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철분 repletion을 시작한지 25일이 경과한 후 UIBC수치는 SD(26.6±3.0umol/L)군 및 KB군(24.2±3.0umol/L)에서 대조군(35.6±2.0umol/L)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p<0.05). TIBC수치 역시 SD군에서 47.4±2.1umol/L로 대조군(49.9±1.6umol/L)에 비해 더 낮았다. 혈청 transferrin 포화도가 SD군에서 철분 repletion 12일째에 19.6±1.3%, 그리고 25일째에 50.8±4.3%로 나타나 상응한 시기 대조군의 16.9±0.9%, 31.4±4.0%보다 더 높았고, 25일째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가 관찰 되었다(p<0.05). Hemoglobin repletion bioassay를 이용하여 철분 섭취량에 따른 hemoglobin 농도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4일 및 12일간 철분 repletion을 실시한 후 측정된 혈중 헤모글로빈 값으로 일차함수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SM, SD, KB, JY, YH군에서 얻어진 일차함수 그래프의 기울기가 각기 1.116, 1.3199, 1.3678, 0.747, 1.1036, 0.5247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Relative biological value(RBV)를 평가하기 위해 대조군의 기울기에 대한 한약처방첨가 식이군의 기울기 비율을 계산한 결과, 각기 SM(118%), SD(123%), KB(66.9%), JY(98.9%) 및 YH(47%)로 SD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흰쥐를 한약처방이 함유된 실험식이로 사육시키면서 25일 경과한 뒤 철분 및 칼슘의 생체이용률을 평가하기 위하여 24시간 소변 및 대변내 철분 및 칼슘 배설량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철분 및 칼슘의 소화율, 체내 보유율을 산출하였다. Ferrous sulfate(20mg Fe/kg diet)와 한약이 함유된 식이로 4일, 12일, 25일간 사 육한 후 철분의 겉보기 흡수율과 보유율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철분 repletion기간이 길어지면서 철분 흡수율과 보유율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철분 고갈상태가 완화되면서 철분 흡수율과 보유율이 점차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하며 25일째에 모든 한약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철분 흡수율과 보유율이 낮게 나왔는데 이는 한약군에서 철분 고갈 상태가 대조군에 비해 더 잘 완화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려한다. 특히 SD, KB, YH처방의 경우 철분 고갈상태가 완화되면서 4일째에 비해 25일째 철분 흡수율과 보유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p<0.05), 이는 이들 한약처방이 철분 repletion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칼슘의 겉보기 흡수율과 보유율을 측정한 결과, 한약섭취가 25일째 KB군을 제한 외 칼슘 흡수율과 보유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반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거나 혹은 유의적인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다. 한약처방이 기타 항산화 미량원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약처방이 함유된 실험식이로 4일, 12일, 25일 사육시킨 후 혈청 및 24시간 소변 및 대변내 Cu, Zn, Mn, Se의 농도 및 배설량을 측정한 결과, 한약처방섭취 12일 후 혈청 Se 농도가 실험식이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모두 높게 나타났고 특히 SD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청 Zn농도는 YH군에서 대조군과 다른 실험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혈청 Cu 농도는 한약처방섭취 25일 후 SD군과 KB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The effect of long term consumption of commonly use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on calcium and iron bioavailability was evaluated using in vivo experimental system. Effect of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on bioavailabilities of Ca and Fe in anemic rats which were depleted of iron by feeding iron-deficient diet was evaluated using hemoglobin-repletion bioassay and chemical balance study after they were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for 4, 12 and 25days. Serum iron, hemoglobin concentration, UIBC, TIBC, transferrin saturation and relative biological value of rats fed experimental diets for 25 days were determined. The result indicated: Serum iro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D(20.1±2.1umol/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15.5± 2.2umol/L)(p<0.05), UIB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D(26.6±3.0umol/L) and KB(24.2±3.0umol/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35.6±2.0umol/L), TIBC was decreased in SD(47.4±2.1umol/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49.9±1.6umol/L) group, Serum transferrin saturation was increased in SD(19.6±1.3% for iron repletion 12 days, 50.8±4.3% for iron repletion 25 days, respectively)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16.9±0.9% for iron repletion 12 days, 31.4±4.0% for iron repletion 25 days, respectively) group. Regression analyses of hemoglobin repletion data against the length of diets feeding period showed that the slope obtained from rats fed diets contained SM, SD, KB, JY and YH was 118%, 123%, 66.9%, 98.9% and 47%, respectively. For the determines iron and calcium apparent absorption and retention, the rats were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for 4, 12 and 25 days. Dietary iron intake, fecal and urinary iron excretion were determined for the last 3 days. Result of the chemical balance study showed that the iron absorption and retention are decreased for iron repletion 25 days compared to iron repletion 4 days. The calcium absorption and retention did not exert negative effects in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except KB group. The antioxidant mineral concentrations in the serum and the excretions in the urine and feces for 24 hours were determined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for 4, 12 and 25 day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did not exert negative effects on Cu, Zn, Mn, Se concentrations in the serum and excretions in the urine and fe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