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유형 탐색

        양명희 ( Myong Hee Yang ),정윤선 ( Yun Seon Che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3

        초등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그들의 발달과 학업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한다. 부모, 또래, 교사는 사회적 지지를 형성하는 주요한 차원으로, 이들은 서로 높은 상호관련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사회적 지지를‘어떠한 방식으로 지각하고 있는가?’에 관심을 두고, 부모, 또래, 교사 지지를 지각하는 방식에 어떠한 유형들이 존재하는지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와 수도권 지역의 초등학생 921명으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학업관련 특성, 정서관련 특성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사회적 지지의 세 차원을 토대로 ‘통합지지형’,‘가족지지형’, ‘평균형’, ‘또래·교사지지형 ’, ‘지지결핍형’의 5가지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다섯 유형은 인지전략, 학업적 효능감, 수업적응과 같은 학업관련 특성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가족, 또래, 교사의 지지가 모두 높은‘통합 지지형’이 가장 우수한 학습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정서관련 특성에서도 유형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또래나 교사의 지지보다는 가족지지가 높은 유형일수록 스트레스 지각 수준과 부적정서가 낮았다. 성별에 따른 비율을 보면, 남학생은 ‘가족지지형’과 ‘또래·교사지지형’이 많았던 반면, 여학생은 ‘통합지지형’과 ‘평균형’의 비율이 높았다. 초등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에 대한 유형은 상담이나 학습컨설팅, 부모 교육 등의 장면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cial support profi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to investigate their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the profiles. The participants were 921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ive in Seoul and nearby area. The scales of social support, academic variables(ex. cognitive strategy, class adaptation, academic efficacy) and emotional variables(ex.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stress)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atent Class Analysis reveals there are 5 different profiles such as ``high-support group``, ``family-support group``, ``average group``, ``peer/teacher-support group``, ``low-support group``. Secondly, the analysis of psychological variables of these 5 groups shows that the ``high-support group`` is more positive than any other groups in terms of academic variables such as cognitive strategies, adaptation in class, and academic efficacy. On the other hand, ``low-support group`` is the lowest on cognitive strategies, class adaptation, and academic efficacy. Thirdly, students who have high family support have experienced less negative emotions and stress. Family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ed the children`s emot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family support to reduce children`s stress and negative emotions. These results in this study reveal that having social support from parents, peer, and teacher would be important to their learn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정서와 학습관련 심리적 특성의 관계

        양명희 ( Myong Hee Y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정서의 수준을 살펴보고, 이들이 지각하는 정서가 학업과 관련한 다양한 인지적, 비인지적 특성들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서울과 도권의 9개 초등학교 921명의 아동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등학생들은 부정적 정서보다는 긍정적 정서를 더 지각하며, 남녀, 학년에 따른 정서지각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초등학생들은 학교생활적응이나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인지전략을 다양하게 활용할수록, 자아효능감과 성적이 높을수록 긍정적 정서가 증가하고 부정적 정서는 감소하였다. 학업관련 인지적, 비인지적 특성과의 관계를 보면 긍정적 정서가 부정적 정서보다 더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자아효능감, 인지전략은 부정적 정서보다 긍정적 정서를 더 많이 설명하며 부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유일한 변수는 자아효능감이었다. 정서지각 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긍정적 정서를 더 지각하면서 부정적 정서를 덜 지각하는 집단의 학습관련 심리적 특성들이 가장 우수하였고, 긍정적 정서를 덜 지각하면서 부정적 정서를 더 지각하는 집단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논의들이 제시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at elementary school children perceiv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cademic-related characteristics. 921 students from 5~6 grade in Seoul and Gyeongi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howed positive emotions more than negative ones, and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School adjustment, family support, use of cognitive strategy,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ly related with negative emoti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and cognitive strategy contributed much to the positive emotions. The only predictor for negative emotions was the self-efficacy. The students group with higher positive emotions and the lower level of negative ones, showed most desirable results on learning-relat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group with lower positive emotions and higher negative ones was the lowest. Further discuss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 우리나라 초3 아동들의 기초학력과 정의적 특성 탐색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양명희 ( Myong Hee Yang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교육문제연구소) 2006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2 No.1

        본 연구는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결과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기초학력과 정의적 특성을 탐색해 보고 이들이 초등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읽기 영역에서 초3 학생들은 99%가 한글해득을 하고 있으며 생활 상황의 읽기 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추론이나 비판적 읽기 능력은 상대적으로 약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쓰기 영역을 보면 음성을 문자로 표현할 수 있는 기초적인 쓰기 능력과 쓰기 과정에 대한 인식은 갖추고 있었으나 쓸 내용 준비나 이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것은 어려워하였다. 기초 수학의 영역에서는 수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고 사칙 연산에 따른 계산에는 능숙한 반면 길이의 어림이나 수학적 개념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능력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정답률이 낮았다. 초3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으로는 학교생활적응도, 교과에 대한 태도, 배경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학교생활적응도와 교과에 대한 태도 등에 있어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여러 인지적, 심리적 특성에 있어서의 분석 결과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구성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sic academic skills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3rd grade student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est of Basic Academic Skill administrated in October, 2002. As for the reading ability, the 99% of students were literate in Korean language, Hangul but had relatively low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critical reasoning. In the area of writing, they had the basic writing skills but had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ideas in written forms adequately. In the area of mathematics, they had a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of numbers, and also had the ability for basic calculations, but applications of mathematical concepts were relatively low. As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ed that they are positive on the attitude toward school and learning.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some implications on curriculum, teaching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의 안정성 검토

        양명희(Myong Hee Yang),정윤선(Yun Seon Che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1

        성취목표지향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음에도 그것의 안정성과 변화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취목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느 정도 안정적 인지를 살펴보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데이터를 활용하였는데, 중학교 2학년이었던 2차년도 성취목표와 그들이 고등학교 1학년인 4차년도에 수집되었던 성취목표를 바탕으로 2년간에 걸친 측정의 안정성, 평균의 안정성, 순위의 안정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성취목표지향성은 측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숙달접근, 수행접근, 수행회피의 잠재평균의 차이가 작지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위의 안정성을 살펴본 결과 숙달접근의 대응일치도가 64.8%로 가장 높았으며 숙달회피가 49.2%로 가장 낮았는데 평균 55% 이상의 학생들이 2년 전에 보여주었던 자신의 성취목표지향성의 순위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이 주는 이론적, 실제적 시사점들을 논의하고 있다. Achievement goal theory is a prominent approach to motivation. Despite the extensive research on achievement goals, yet achievement goal theorists have differed notably in their conceptualizations of goals and consequently the research has been heregenious. More studies are needed that use longitudinal design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and change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major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term stability of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KELS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of 6,224 students in KELS was analyzed using LCFA, Latent Mean Analysi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The stability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as examined in three ways. First structural stability was examined. A model for structural stability was tested. There was evidence for the invariance of the overall factorial structure, factor loadings, internal consistence, item intercepts and construct variance across the measurement points; Time1 and Time2. Secondly, mean-level stability was examined. The latent factor mean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yet small increases in mastery- approach,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over time. Thirdly, Normative stability was examined using correspondence analysis. The correspondence of achievement goals between Time 1 and Time 2 was highest in mastery-approach (64.8%) and lowest mastery-avoidance (49.2%). Overall, findings from this study support the stability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t also supports that the concep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s an enduring dispositions that reflects students` generalized beliefs and tendencies to select certain goals and to favor certain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