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대학생의 중소기업 입사 기피를 유발하는 정서ㆍ성격적 요인 탐색

        양명주,김봉환 한국취업진로학회 2015 취업진로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대학생의 중소기업 입사 기피를 유발하는 정서 성격 적 요인을 탐색하고, 연구 참여자들이 상기 요인들을 인식할 때 사용하는 차원 및 군집을 확인하며, 탐 색된 요인들의 개념적 구조 및 요인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수 도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3 4학년 25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한 후, 통합 편집과정을 거쳐 51개 최종진술문을 구성하였다. 최종진술문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법(ALSCAL법)과 위계적 군집분석(Ward 방법)을 실시하 여 총 2개 차원, 8개 군집으로 구성된 개념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한국대학생이 중소기업 입사를 기피하는 정서 성격적 요인 은 ‘직업적 삶 영역(Work life)-개인적 삶 영역(Personal life)’과 ‘개인-사회’ 2개의 차원으로 인식됨을 확 인하였다. 둘째, 한국대학생이 중소기업 입사를 기피하는 정서 성격적 요인의 총8개 군집들은 ‘사회에 대한 비관적 관점’, ‘사회적 평가에 대한 비관적 관점’, ‘중소기업 선택 결과에 대한 비관적 관점 및 불 안(‘중소기업 업무 환경 및 기대보상에 대한 비관적 관점’,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 ‘선택결과에 대한 불 안’)’, ‘진로 자기통제성에 대한 비관적 관점’, ‘사회적 관계 악화에 대한 불안’, ‘부정적 자기개념 및 불안 정한 자아정체감’, ‘갈등적 애착 및 분리’, ‘자신 및 소속집단에 대한 긍정적 정체감 및 미래에 대한 낙 관적 관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군집들에 대한 중요도 평정 결과 연구 참여자인 한국대학생들은 ‘사 회에 대한 비관적 관점’, ‘자신 및 소속집단에 대한 긍정적 정체감 및 미래에 대한 낙관적 관점’, ‘사회 적 평가에 대한 비관적 관점’, ‘사회적 관계 악화에 대한 불안’의 순으로 중소기업 입사 기피 유발에 중 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입사 기피 요인을 개인 심리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기업 규모 간 취업 미스 매치 문제의 해결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중소기업 입사 기피 대학생을 위한 개별적 진로상담 목표 설정 및 개입 전략 수립, 특화된 진로 프로그램의 설계 및 진행, 및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 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and personality factors which Korean university students’ escaping from entering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o identify dimensions and clusters which the study participants use to perceive the factors, and conceptual structure and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by using concept mapp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25 university students and 51 final statements were identified by gathering and editing the data. The participants rated the similarity and importance between the 51 statements for themselve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in order to identify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 factors in this study. As a result, concept map consisted of 2 dimensions and 8 clusters 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2 dimensions, ‘work life-personal life’ and ‘person-society’ are found, when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 the emotional and personality factors of this study. Second, 8 clusters were showed, which are ‘pessimistic views about society’, ‘pessimistic views about the estimation from the society’, ‘pessimistic views and anxiety about the result of choosing to enter th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pessimistic views about work condition and compensation, anxiety about uncertainty, and anxiety about outcome from the choice), ‘pessimistic views about the individual career control’, ‘anxiety about deteriorating the social relations’, ‘low self-esteem and uncrystallized identity’, ‘conflictual attachment and separation’, ‘high self-esteem, good group identity, and optimistic views about the future’. Third, the participants evaluated the importance of the clusters in order of ‘pessimistic views about society’ ‘high self-esteem, good group identity and optimistic views about the future’, ‘pessimistic views about the estimation from the society’, ‘anxiety about deteriorating the social rel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ed the new view point to solve the employment mismatch problem between conglomerate and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by investi-gating the pers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hich Korean university students’ escaping from entering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dditionally,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to a practitioner and researcher who develop a specialized career program and inventory to help Korean university students escaping from entering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 KCI등재

        진로․취업상담 관련 종사자의윤리위반에 대한 대학생 인식 탐구

        양명주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cognition dimensions, clusters, conceptual structure, relative importance, and experience frequency about career counseling related workers’ ethics violation by concept mapping. After ideas were collected from 88 metropolitan university students, 63 final statements were elicited by synthesis․editing process. The similarity, relative importance, and experience frequency between the statements were assessed, the concept map was elicit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ith the assessment results. As a result, first, university students’ cognition about career counseling related workers’ ethics violation is perceived by 2 dimensions ‘worker’s competency-personality’ and ‘organization-a worker’. Second, 5 clusters ‘worker’s competency and fidelity lack’, ‘beneficence failure in counseling and lecture’,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ignorance’, ‘beneficence failure in career counseling administration’, ‘clients’ dignity respect failure’ were elicited. Third, the concept map have characters which 5 clusters are evenly distributed to 4 regions of the map with a big round shape entirely and clusters are small and densed with sentences. Fourth, students selected a ‘workers’ competency and fidelity lack’ cluster as a most important factor and ‘beneficence failure in career counseling administration’ as a most frequently experienced clust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dentifica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 clients’ cognition about career counseling related workers’ ethics violation, and expansion of subject range applying the career counseling ethics from only career counselors to career counseling related workers who all can influence to university student clients’ beneficence. The result will be used for rebuilding of career counseling ethics which clients’ stance are reflected in, and ethical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and scale preparation enhancing beneficence level for cli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연구를 통해 진로․취업상담 관련 종사자의 윤리위반에 대한 대학생 인식의 차원, 군집, 개념구조와 각 요인들 간 중요도와 경험일치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먼저, 수도권 4년제 대학생 88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통해 아이디어를 수집한 다음 종합․편집 과정을 거쳐 63개 최종진술문을 제작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유사도, 중요도, 경험일치도 평정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활용하여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개념도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진로․취업상담 관련 종사자의 윤리위반에 대한 대학생 인식의 차원은 ‘담당자 역량-인성 요인’과 ‘기관 시스템-담당자 개인 책임 요인’의 2차원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대학 진로․취업상담 관련 종사자의 윤리위반 군집은 ‘담당자의 역량 및 충실성 부족’, ‘상담 및 강의 내용의 복지제공 실패’, ‘개인정보보호 경시’, ‘진로․취업지원 행정의 복지제공 실패’, ‘내담자 존엄성 존중 실패’의 5개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개념도는 5개 군집이 사분면상에 원형으로 고르게 분포하며 크기가 작고 진술문간 밀집된 특성을 나타내었다. 넷째, 대학생들은 ‘담당자의 역량 및 충실성 부족’을 가장 중요한 윤리위반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진로․취업지원 행정의 복지 제공 실패’의 경험일치도가 가장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진로․취업상담 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확인하였다는 점과 상담 윤리 적용의 범위를 상담자 외에도 내담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진로․취업상담 관련 종사자로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내담자의 인식이 반영된 새로운 진로․취업상담 윤리의 정립과 관련 종사자 대상 윤리교육 프로그램 및 척도 제작 등에 활용되어 내담자에 대한 복지제공 수준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한민국 공군 ROKAF-W 코칭대화모델 개발 연구

        양명주 한국경영교육학회 2023 경영교육연구 Vol.38 No.6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공군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코칭대화모델 ROKAF-W모델을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문헌분석, 현역 공군 및 군무원 대상 기존 요구분석 결과 활용, 현역 공군 및 내부 코칭전문가 대상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ROKAF-W모델의 잠정적 구성요인을 도출한 후 두 차례 FGI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후 ROKAF-W모델 구조화를 위한 문헌분석을 통해 상기 도출된 구성요소를 포괄하면서도 공군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기반이론을 선정하였고, 내부전문가 대상 3차 FGI, 외부전문가 대상 4차 FGI, 외부전문가 대상 내용타당도 평정을 실시하여 본 연구의 모델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최종 선정된 구성요인은 관계형성, 현실인식, 목표설정, 실행계획, 지속성장강화 5개였고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기반이론으로 긍정심리학 강점코칭이론과 목표중심코칭이론을 선정한 후 ‘관계형성-현실인식-목표설정-실행계획-지속성장강화’ 5단계의 ROKAF-W모델 구조를 확정하였고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의 ROKAF-W모델은 공군인의 삶의 의미와 가치 통찰을 통해 개인의 내적동기와 목표의 한계를 넘어 조직의 목표와 의미로의 확대를 조력함으로써 동기수준을 제고하고, 강점활용을 통한 긍정적 자아상 형성과 자기확신에 기여함으로써 공군인 전문성 향상과 리더십 정립에 기여할 것이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ROKAF-W model, a coaching model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Methodology]Literature analysis, needs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ere executed to derive components of the ROKAF-W model and FGIs had done to prove validity twice. Afterwards, a ground theory was selected that encompasses the selected model components by literature analysis to structure the ROKAF-W model and meets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Air Force. The 3rd FGI with internal experts, the 4th FGI with external experts, and the contents validity index assessment with external coaching expert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model. [Findings]The final selected components were five and their validity was confirmed. After selecting strengths coaching theory and goal-focused coaching theory as the foundational theories, the five-steps ‘Rapport - Observe Reality - Know-what - Action planing - Forward’ ROKAF-W model structure was confirmed and validated. [Implications]The ROKAF-W model will improves the motivation level by raising internalization level of organization’s goals to personal meaning and value. It will also contribute to professionalism of airmen and establishing right leadership through the improving a positive self-image and self-confidence by utilizing their own strengths.

      • KCI등재

        대학 진로․취업상담자가 지각하는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개념도 연구

        양명주,김가희,김봉환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pecific factors and conceptual structure of ethical dilemma perceived by university career counselors and to identify dimensions and clusters when recognizing the factors, and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by using concept mapping method. Thus, after collecting the idea through questionnaires targeting 20 ‘employment supporting counselors’ in four-years university nationwide, the total 60 final statements were elicited through the overall editing process. The participants rated the similarity and importance between the 60 statements for themselve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in order to identify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 factors in this study. As a result, a concept map consisted of 2 dimensions and 10 clusters 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2 dimensions, ‘organizations’-counselors’ responsibility factors’ and ‘physical-relational working context factors’ were found, when the university career counselors perceived the ethical dilemma factors of this study. Second, the 10 clusters and 15 sub-clusters were showed, and contents of the 15 sub-clusters in order of importance were ‘overburdened multiple job’, ‘uncertain employment contract with the organization’, ‘lack of counseling records security’, ‘lack of counselors competences’, ‘restriction of the autonomy’,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unclear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counselors', ‘avoiding cooperation with other professionals’, ‘inadequate counseling facilities’, ‘lack of personal counseling information protection’, ‘inadequate counseling setting’, ‘failure in justice of offering counseling service’, ‘discrepancy in organization value’, ‘failure of informed consent for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failure in following psychological tests ethic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creased ethical sensitivity of career counselor, organization and related workers in a university through investigating the ethical dilemma factors which university career counselors perceived in their doing the work. Additio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a preparation of a code of ethics, training program for the code of ethics, and ethics audit scale which is specific for career counseling in a university. 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대학 진로․취업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윤리적 딜레마의 구체적 요인들 및 이들의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고, 상기 요인들의 인식 시 사용하는 차원 및 군집을 확인하며, 요인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에서 진로·취업상담을 담당하고 있는 취업지원관 2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아이디어를 수집한 후, 종합·편집 과정을 거쳐 총 60개의 최종진술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최종진술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참여자들이 유사성과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으며, 평정 결과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2개 차원, 10개 군집으로 이루어진 개념도를 얻을 수 있었다. 그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진로·취업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윤리적 딜레마의 요인은 ‘기관-상담자 책임 요인’ 및 ‘물리적-관계적 근무 맥락 요인’의 2개 차원을 통해 인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학 진로·취업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윤리적 딜레마 요인의 15개 하위 군집 내용을 중요도 평정 결과가 높은 순으로 제시하면 ‘과중한 복합직무 수행’, ‘고용기관과의 근로계약 불명확’, ‘상담기록 보안 미흡’, ‘상담자의 역량 부족’, ‘내담자의 선택 자율권 침해’, ‘지적재산권 존중 부족’, ‘상담자 역할 및 책임의 불명확’, ‘동료 전문가와의 협업 기피’, ‘적절하지 않은 상담환경’, ‘개인상담 정보 보호 미흡’, ‘부적합한 상담세팅’, ‘상담서비스 제공의 공정성 위배’, ‘기관가치와의 불일치’, ‘내담자 동의없는 개인정보 활용’, ‘심리검사 관련 윤리 미흡’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 현장에서 진로·취업 업무 수행 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대학기관과 실무자들의 윤리적 민감성 제고에 이바지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대학 진로․취업담당자들을 위한 윤리강령 마련, 윤리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윤리 평가 척도 제작의 초석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성인 여성들의 신체활동 수준이 우울,불안과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양명주,송종국,정현철,박태영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3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1 No.6

        본연구는 성인 여성들의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우울,불안 및심박변이도를 분석하고 우울,불안과 심박변이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연구 대상자는 18~28세성인 여성 58명이었으며,신체활동 수준에 따라 낮은 집단(20명), 중간 집단(20명), 격렬한 집단(18명)으로 구분하였다.우울과 불안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휴대용 심전도계를 이용하여 안정 시 심박변이도를 측정였으며,신체 활동량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5일간 일상생활을 측정하였다.연구결과 신체활동 수준은 격렬한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태불안 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나(p<.05), 우울,특성불안,심박변이도에서는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집단 간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상태불안은 신체 활동량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나(p<.05), 우울,특성불안,심박변이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성인 여성들의 격렬한 신체 활동량은 상태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체활동 유형과 정신건강 요인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on depression, anxiety,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in adult women. A total of 58 subjects aged 18~28 years old were participa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including low physical activity (LG, N=20), middle physical activity (MG, N=20),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 (VG, N=18). Depression was observed by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and anxiety was assessed by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HRV was measured by a portable electrocardiograph, and physical activity was assessed using an accelerometer for 5 days of daily life.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I-X1 between the groups. VG had significantly lower STAI-X1 (p<.05) compared to other groups.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BDI-II, STAI-X2. HRV, BDI-II and STAI-X2 between the groups. STAI-X1 was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significantly (p<.05), no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xiety, and HRV. This study suggest that VG had a positive effect on STAI-X1 and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was related to STAI-X1. For the future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types of physical activity should be determined.

      • KCI등재

        재직근로자의 전직지원서비스 요구에 대한개념도 연구

        양명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20 평생학습사회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연구를 통해 재직근로자의 전직지원서비스 관련 요구 인식의 차원, 군집, 개념구조와 요인 간 중요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경력 3년 이상 재직근로자 3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아이디어를 수집하였고, 종합․편집을 통해 최종진술문 86개를 제작하였다. 확정된 최종진술문을 대상으로 유사도와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고, 결괏값을활용하여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제작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첫째, 재직근로자의 전직지원서비스 관련 요구 인식의 차원은 서비스 콘텐츠-행정, 개인 내적-외적 자원 증진의 2차원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재직근로자가 인식하는 전직지원서비스 요구의 군집은 중요도순으로 직접적 일자리제공, 재무관리, 체험위주 프로그램 개설, 재직 중 서비스 제공, 자기이해, 비용 지원, 창업교육, 개인맞춤형 서비스 설계, 직무능력 향상, 건강관리, 심리안정, 재취업 구직스킬 함양, 정부지원 프로그램이해, 가족관계 개선, 경력목표 설정 및 계획수립, 직업적응력 향상, 변화관리, 외부환경 이해, 여가관리의 하위군집 19개, 군집 7개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개념도는 7개 군집이 서비스 콘텐츠와 개인 내적 자원 증진분면으로 치우쳐 분포하고, 군집 간 면적과 진술문 밀도의 차이가 큰 것이특징이다. 본 연구는 전직지원서비스에 대한 재직근로자의 요구 탐색을 통해 기존에 미비했던 수요자 중심 서비스의 중요성을 환기하였다는 점과현재까지 명시되지 않았던 새로운 전직지원서비스 요소를 도출한 점에서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중요도 평정을 통해 서비스 요소별 우선순위를제시한 점, 서비스 운영 행정이 콘텐츠와 동일 수준으로 중요함을 부각한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전직지원서비스 설계와 운영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전직지원전문가 대상 교육에 활용되어 서비스 효과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대졸 신입사원에게 필요한 직업인성에 대한 재직근로자의 인식 탐구

        양명주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ployed workers’ cognition about occupational personality factors required for newly graduated university workers, to identify dimensions, clusters and conceptual structure which the study participants use to perceive the factors, also relative importance and experience frequency of the factor each by using concept mapp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22 employed workers who have had experience in employment process and mentoring for newly graduated university workers, and 86 final statements were identified by gathering and editing the data. The participants rated the similarity, relative importance and experience frequency between the 86 statements for themselves, multidimensional scaling(ALSCAL)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in order to identify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 factors, and to form the concept map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2 dimensions, ‘job performance ability-basic occupational ability’ and ‘attitude to colleagues-attitude to task’ are found, when employed workers perceive the occupational personality factors of this study. Second, total 11 clusters and 15 sub-clusters of occupational personality required for newly graduated university workers and perceived by employed workers were showed, which are ‘sense of responsibility(sincerity, compliance with the law, self-improvement ability)’,‘enthusiasm(initiative, spontaneity, organization understanding ability)',‘communication ability', ‘self-regul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consideration’, ‘self-awareness ability’, ‘contextual ability to think', ‘honesty’, ‘reliability’, ‘cooperative working ability’. Third, the concept map have characters which 11 clusters are evenly distributed to 4 regions of the map with a big round shape entirely and clusters are small and densed with sentences. Fourth, the employed workers selected the ‘compliance with the law’ sub-cluster as a most important factor as well as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cluster. Fifth, ‘communication ability' selected as the occupational personality factor shows the biggest gap between relative importance and experience frequency, which means the gap between expected and reality level.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revealed that 'compliance with the law' shows the smallest gap between expected level and reality on occupational persona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ed the clear definition and construct of occupational personality which has been used with a vague meaning in a employment and job adjustment viewpoint, by investigating the employed workers’ cognition about occupational personality ,who have had experience in employment process and mentoring for newly graduated university workers. The result of the study could provide a guideline for occupational personality education to a expert and a related field worker to help university students move to labor market successfully. Additionally, this study would be used to make a occupational personality inventory for university students and intervention during career counseling with it would be more efficient than before, which make possible individu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 to contribute beneficience to a client.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연구를 통해 대졸 신입사원에게 필요한 직업인성에 대한 재직근로자 인식의 차원, 군집, 개념구조와 각 요인들 간 중요도와 경험일치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먼저, 대졸 신입사원 채용과 멘토링 경험이 있는 재직근로자 2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아이디어를 수집한 다음 종합·편집 과정을 거쳐 86개 최종진술문을 제작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유사도, 중요도, 경험일치도 평정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활용하여 다차원척도법(ALSCAL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개념도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졸 신입사원에게 필요한 직업인성에 대한 재직근로자의 인식의 차원은 ‘직무수행능력-기초직업능력’과 ‘동료에 대한 태도-업무에 대한 태도’의 2차원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재직근로자가 인식하는 대졸 신입사원에게 필요한 직업인성의 군집은 ‘책임감(성실성, 법규준수성, 자기계발능력)’, ‘열정(적극성, 자발성, 조직이해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조절력’, ‘대인관계력’, ‘배려’, ‘자기이해능력’, ‘맥락적 사고력’, ‘정직성’, ‘신뢰성’, ‘협업능력’의 11개, 하위군집은 15개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개념도는 11개 군집이 사분면 외곽 부분 상에 원형으로 골고루 분포하며 진술문이 밀집되어 작은 군집을 이루고 있는 특성을 보였다. 넷째, 재직근로자들은 ‘법규준수성’을 가장 중요하면서도 대졸 신입사원들에게 경험 빈도가 가장 높은 직업인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재직근로자의 기대수준과 현실 경험 빈도의 차이가 가장 많은 직업인성은 ‘의사소통능력’ 으로 인식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법규준수성’의 차이가 가장 적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재직근로자를 대상으로 대졸 신입사원에게 필요한 직업인성의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채용 및 직업적응 관점에서 그동안 모호하게 사용되던 직업인성의 의미와 그 구인을 명확히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노동시장 이행을 조력하는 전문가 및 대학관계자에게 직업인성 교육을 위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이용한 대졸자 직업인성 척도 제작은 진로‧취업상담 시 내담자별 개별진단 개별 처치를 가능하게 하여 내담자에 대한 복지제공 수준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 직업인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양명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occupational personality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OPSU). For that the investigated occupational personality factors and final statements from the previous concept mapping has been used as the initial constructs and items for OPSU. After the preliminary items were determined through verifying the contents validity by 6 experts, the 1st EFA to 316 capital four-years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and the factors and items was extracted. Additionally, the 2nd EFA to new 458 students was conducted, the final OPSU consisted of 47 items and 8 factors was developed which is self-awareness, self-confidence, consideration, communication ability, community spirit, activeness, credibility, contextual thinking. As a result of item analysis, OPSU showed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the items within a proper range. And each factor showed acceptable Cronbach’s α from .636 to .913. Next, CFI, SRMR, RMSEA, and TLI values showed pretty close fit as a result of CFA conducted on 458 studen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mponent structure. As for a concurrent validity of OPSU, there were meaningful relevance between 8 factors and career adaptability, career future index, and ego-resilience scale each other. Through the above results, OPSU has proven to be reliable and valid. Therefore OPSU will provide background data for a government education policy establishment, a university education system innovation, a company employment system improvement, and upgrade the fitted strategy quality output grounded from individual occupational personality assessment for career professional and a student. Finally OPSU will contribute to activate the study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personality and other related vari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직업인성척도(OPSU)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탐색적 연구 결과 제시된 대학생 직업인성 요인과 진술문을 기대구인과 예비문항으로 활용하였다. 먼저, 전문가 6인의 예비문항 내용타당도 검증 후, 수도권 4년제 대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1차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하여 OPSU의 요인과 문항을 선별하였다. 수도권 대학생 458명을 새롭게 표집하여 2차 EFA 실시 결과 최종적으로 8요인 47문항의 OPSU를 확정하였다. 구체적 하위요인은 ‘자기이해’, ‘자신감’, ‘배려’, ‘의사소통능력’, ‘공동체 의식’, ‘적극성’, ‘신뢰성’, ‘맥락적 사고’로 명명하였다. 개발된 OPSU의 문항분석 결과 양호한 평균, 표준편차, 문항 총점간 상관, 요인간 상관이 확인되었고, 요인별 최종 내적합치도는 .636~ .913이었다.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458명 대학생 대상으로 CFA를 실시한 결과 비교적 양호한 CFI, SRMR, RMSEA, TLI 수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진로적응성, 진로미래, 자아탄력성 척도와의 상관을 확인한 결과 OPSU의 각 8요인은 상기 척도들과 높은 수준의 유의미한 상관을 가짐이 나타났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타당화한 OPSU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OPSU는 정부의 교육정책 수립, 대학의 교육 체계 혁신, 기업의 채용 방식 발전을 위한 기반 데이터로 활용될 것이며, 진로・취업전문가와 대학생 개인의 개별 진단과 맞춤형 직업인성 향상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직업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과의 관계성 연구 활성화를 이끌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