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칸트의 이성종교 이해: 바람의 대상과 두 가지 이율배반을 중심으로

        양명수(Yang Myung-Su)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2 신학사상 Vol.0 No.158

        칸트에게서 종교는 희망 곧 ‘바람’에서 생긴다. 도덕적 의무와 관련해서 인간이 ‘바랄 수 있는 것’은 두 가지다. 하나는 의무의 완전한 이행이다. 도덕적 자기완성 곧 최상선이다. 또 하나는 최상선과 결합하는 행복 곧 최고선의 문제다. 이 두 가지 바람은 각각, 바랄 수 없는 가운데 바라는 것이고, 바라서는 안 되는 것을 바라는 것이므로, 이율배반이라고 할 수 있다. 도덕적으로 완전한 인간이 되는 것은 인간의 악의 성향 때문에 이 땅에서 바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보다 더 선해야 하는 의무가 있고, 그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도덕적 악에 대한 용서를 받아야 한다. 그래야 도덕적 노력을 지속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되는 것이 대속의 은총이다. 보충해주는 은총이 있어야 도덕적 완성의 의무를 이행할 것을 바랄 수 있다. 또 하나는 최고선의 차원이다. 인간은 도덕적 자기완성을 바라면서 동시에 복이 거기에 더해지기를 바라게 된다. 이것은 세상에서 이루어지기 어려운데, 그래서 도덕적이면서 전능한 신의 존재가 필연적이게 된다. 칸트의 종교는 이처럼 두 가지 이율배반에서 필연적으로 은총에 대한 신뢰가 생기는 데서 비롯된다. 도덕적 이념의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사람은 은총의 힘을 믿게 된다. 그 믿음은 인식인데, 이론적 인식이 아니고 실천적 인식이다. 칸트가 말하는 종교는 도덕에 의한 도덕을 위한 도덕의 종교다. For Kant, religion is related to hope or wish. In connection with moral duty, what human can hope are two things. One is accomplishment of moral mission, which leads to the state of a saint or of a perfectly free being. The other is the hope for happiness. These two kinds of hopes are antinomies, in so far as they are respectively cannot and should not be wanted at first. To be a perfectly free person is not to be expected because of unremovable human inclination for evil. However, we have to push to reach it, because the commandment does not command what is impossible to do. So it is impossible and possible at the same time. This is an antinomy of external help and internal self-accomplishment. Here comes the necessity of non-autonomous grace of pardon or prosecution even in order to make endless efforts for the goal of moral being. Another asking for grace appears on the level of the highest and total good, which adds the good of happiness to the expected moral perfection. In so far as the universal moral law, which obliges us to realize the ideal of moral perfection on our own, is the fact of reason, the existence of God is but to be necessary. Like this, he who does its best to reach the reality of the ideal gets to believe the grace of God. This belief is comprehension, which is not theoretical knowledge but practical conviction. Religion, for Kant, is for the moral and by the moral.

      • KCI등재

        레비나스, 근대의 자율적 주체에 대한 비판

        양명수(Myung Su Yang) 한국기독교학회 2011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7 No.-

        Levinas accuses the modern autonomous subject of its being based on the egoistic solipsism. Husserl inspired Levinas of the exteriority of one`s conscience. However, the husserlian intentionality falls in solipsism by turing one`s conscience into the creator of meaning of the world. Kant conceives an other person by means of the universal concept of human as a reasonable being. When it comes to Heidegger, he reduces a concrete being to the impersonal Being and ignores the ethics. Levinas thinks of the history of western thoughts as that of ontology and identification. It is an ego-centric order with others separated from me. Such separation is for the purpose of one`s enjoyment, taking limited and measured responsibility for others` suffering. The modern autonomous subject exists in himself and for himself. The other persons are conceived from one self by one self. For Levinas, the other person cannot be grasped through the universal concept but leads me to unlimited responsibility for him. One has the sense of unlimited responsibility for others before he knows and intends spontaneously. It is through the passivity of such sensibility that Levinas intends to make ethics as an infinite responsibility for others the first philosophy. It is a way to prevent human thought from the violence of reducing the other to the same.

      • KCI등재

        퇴계 사상에서 이(理)의 능동성의 의미

        양명수 ( Myung Su Yang ) 퇴계학연구원 2015 退溪學報 Vol.138 No.-

        理의 능동성은 마음을 움직이는 힘을 理의 작용에서 찾는 문제이다. 理發에서 理의 능동성은 칸트가 말한 대로 도덕명령 자체가 의지를 규정하는 동기가 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퇴계의 理는 도덕명령 곧 천명일 뿐 아니라, 인자한 마음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理는 서양 형이상학에서 말한 우주적 능동인의 모습을 띠기도 한다. 동기를 넘어 능동인이 되면, 理는 개인 의지의 규정근거를 넘어서 세상을 섭리하는 힘이 된다. 그 점을 말하는 것이 퇴계의 우주론에서 말하는 理動의 문제이다. 한편 퇴계는 진리인식에서 주객관계를 강조했다. 내가 물리의 극처에 이르고 내 마음이 이른다는 것이 1567년의 글에서 강조한 바이다. 이처럼 주객관계를 강조한 것은 진리인식이 신비주의적 물아일체가 아니라, 도덕적 실천을 위한 分殊理를 파악하는 데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1570년의 글에서 퇴계는 理가 스스로 이른다고 하는 理自到를 말한다. 인식에서 理의 주재와 능동성을 말하는 것이다. 理到는 인간의 노력에 진리가 화답하는 듯한 모양새요, 그래서 인간과 진리의 관계는 주체 대 주체의 관계이다. 대체로 理의 능동성은 理發에서 理動을 거쳐 理到에 이르는 과정에 더 강화되고 분명해진다고 할 수 있다. Activity or effectivity of Li is the problem of motivating force that leads the moral mind. It is most likely that Toegye means the mind-determining power of Li as the heavenly mandate by his controversial term, Issuance of Li. The power can be understood in the light of the pure motif of Kant’s practical reason. However, Li is not only considered to be moral mandate but defined as humane mind in the cosmological level. In this respect, Li plays the role of the efficient cause as the providential power that presides over the world’s naissance and change, just like the unmoved mover or God in the western metaphysics and onto-theology did. That is what Toegye’s Movement of Li indicates. Meanwhile, the activity of Li in the epistemological area is expressed in terms of the Arrival of Li. It seems as though Li reveals itself in the reply to human’s epistemological effort. This extends well beyond subject-object relation between man and the truth. As Toegye shifts from the Issuance to the Movement and the Arrival of Li, he felt and mentioned more clearly the activity of Li, even allegedly breaking the principle of non activity of Li.

      • KCI등재

        폴 리쾨르의 해석학과 여성신학

        양명수(Yang Myung-Su)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0 신학사상 Vol.0 No.149

        리쾌르의 해석학은 기본적으로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해석학의 구도를 취하지만, 의심의 해석학을 또 하나의 축으로 하고 있다. 그가 말하는 해석 행위에는, 존재론적 해석학의 계시와 열어 밝힘과 의존과 귀속이 있으면서 동시에 다양한 의심의 방법을 통해 억압하는 구조를 없애는 비판 행위가 일어나는 것이다. 해석학은 이데올로기 비판을 직접 하지는 않지만, 밖에서 일어난 이데올로기 비판이 해석의 과정 중에 중요한 단계로 수용될 수 있고 수용되어야 함을 리콰르는 밝혔다. 신학이나 신앙은 성서라고 하는 은유의 세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신앙은 성서 앞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자기 이해다. 그러므로 리뢰르의 은유 이론에 따르면, 기독교의 신앙은 언제나 텍스트가 제안하는 새로운 세상 앞에서 자기의 편견을 버리고 외부에서 밝혀진 구조 악에 대한 비판을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신앙은 이데올로기 비판을 수용한다는 말이다. 이런 점 때문에, 리콰르의 해석학은 해방신학이나 여성신학 같은 이데올로기 비판을 중시하는 신학에 중요한 영감을 준다. 여성신학의 경우, 가부장제 비판만을 위해서는 리콰르의 해석학이 필요 없지만, 신앙의 영성을 중시하면서 비판적 신학을 마련하고자 할 때는 그의 해석학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쉬나이더스는 통합의 해석학을 위해, 그리고 맥페이그는 새로운 모델을 통한 여성 해방의 신학을 마련하기 위해 리콰르의 해석학을 이론적 기반으로 사용했다. 그리고 앤더슨은 로고스 중심의 철학보다는 신화의 은유 세계에서 여성의 새로운 역할을 찾기 위해 리콰르 이론의 도움을 받았다. 이것은 몇 가지 예에 불과하지만, 성서를 버리지 않고 여성신학을 할 때 유용할 것이다. 신앙 경험으로부터 해방의 힘을 끌어내고자 하는 신학에 리뢰르의 해석학은 설득력 있는 이론을 제공할 것이다. P. Ricoeur’ s hermeneutics is fundamentally based on the Heidegger’s ontological hermeneutics but takes the hermeneutics of suspicion as the other pole. According to Ricoeur, interpretation is made up with both the ontological revelation and ideological criticism which helps free from oppressing social structure. His theory of metaphor tells that faith is always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criticism of the social structural evil before the proposed world of text as metaphorical work. Genuine faith is open to ideological criticism . This is why Ricoeur’ S hermeneutics can aide in theology that focuses on ideological criticism such as liberation theology and feminist theology. In case of feminist theology that respects, even though critical on the one hand, biblical spirituality on the other hand, Ricoeur’s hermeneutics can play a big role . Schneiders used Ricoeur’s theory for the so called integral interpretation and MacFague for searching for a new model to build a new feminist theology. Pamela Anderson makes use of Ricoeur’s narrative theory to find a just role of woman in the myths in stead of man centered logos philosophy. Ricoeur’s philosophy provides a persuasive argument for theology which tries to take liberating force along with experience of faith.

      • KCI등재

        『천주실의』의 천주(天主)와 성리학의 리(理)의 차이

        양명수(Yang, Myung-Su)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1 No.-

        아퀴나스나 주희는 존재의 이유가 존재보다 앞선다고 하는 중세의 사유방식을 대변하고 있다. 그래서 우주의 근원으로 여겨지는 천주나리는 모두 목적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모두 도덕적 자기완성을 인간의 중요한 목적으로 삼았다. 그런데 그 목적을 실현하는 힘이 어디서 오느냐에 따라서 천주와 리가 달라진다. 능동인은 그 문제에 대한 답이라고 봐야 한다. 그리스도교 신학의 창조론과 도덕에서의 은총론을 결정짓는 것은 능동인이다. 마테오 리치의 천주는 이념으로 통치할 뿐 아니라 개별 현상에 직접 개입함으로 통치한다. 그처럼 능동인이 사물 밖의 초월자에게 주었기 때문에, 천주는 기본적으로 초월자다. 초월자이지만, 형상인으로 또는 능력으로 내재한다. 반면에 성리학에서 리는 보편적 표준으로 초월적이지만, 각구일극(各具一極)으로 내재해 있으며, 능동인은 리의 몫이 아니라 기의 몫이다. 그래서 리는 이념으로 또는 천명으로 통치할 뿐이며,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는 존재론적 실체가 아니다. 천주는 목적이지만 목표가 될 수 없다면, 성리학의 리는 성인관(聖人觀)에 기초해서 목적이자 목표가 된다. Matteo Ricci"s T"ien-chu Shih-I (天主實義) is well known for its historical value regarding the encounter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Its tremendous effect on Korean society in the epoch of Cho Seon Dynasty has prompted many Korean scholars to question the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essence of Matteo Ricci"s apology to Christianity. This study is in line with those previous works on the possible comparison of the Western God and the Confucian principle known as the Great Ultimate: (太極) or Li: (理). What is especially of interest to this study is that the position of the efficient cause in its relation with the final cause may explain definitely the difference of the Christian God and Neo-Confucian Li. Following Aquinas, Matteo Ricci regards the Christian God as both the final cause and the efficient cause of myriad things of this world, while Li cannot be the efficient cause at all. Li is possibly the final cause as the ultimate standard, but the efficient cause must be attributed to Ki: (氣, the material force) in the Neo-Confucian philosophical system. This seemingly cosmological difference between God and Li leads us to examine the moral foundation of both metaphysics. The fact that the Christian God works as both the final cause and the efficient cause means that God is the ultimate goal of moral self-accomplishment of human beings and, at the same time, He moves us toward the goal. It is God who causes and leads the achievement of moral goodness. On the contrary, the famous debate on the issue of whether Li is active or not among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reflects the fact that moral initiative in the Neo-Confucian system cannot be found anywhere else than in the human mind. Li rules only as a moral ideal, while the Christian God rules as an ideal and by direct involvement in moral accomplishment. This difference of transcendence of Li and God is linked to the immanent character of both, and, ultimately, to the different anthropology regarding moral capability of human beings in Christian and Neo-Confucian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리쾨르가 본 칸트: 악의 문제를 중심으로

        양명수(Yang Myung Su)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5

        칸트는 인간의 악의 성향을 강조했다. 그는 종교를 윤리의 시각으로 보려고 하는 근대주의자였지만, 윤리적 자기 완성을 위해서는 인간의 의지가 약하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으로는 순수 선을 추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순수하기에는 너무나 약한 인간의 현실을 철학의 주제로 삼았다. 그 두 가지 축 때문에 칸트의 윤리는 종교 문제를 다루게 된다. 악의 성향을 순간순간 이길 수는 있지만, 악의 성향 자체를 뿌리 뽑을 수는 없다. 악의 성향을 이기는 것이, 선을 행하는 문제이고, 악의 성향을 근절하는 것은 선한 사람이 되는 문제다. 선의 완성은, 선한 사람이 되어 저절로 선을 행하는 데 있다. 그와 같은 도덕의 완성을 칸트는 도덕적 의무의 차원에 둔다. 그러나 악의 성향을 근절할 수 없다는 시각에서 보면, 그 의무는 이행할 수 없는 의무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에게 의무로 주어졌지만, 악의 성향으로 보건대 이행할 수 없는 의무다. 그러한 불가능의 가능성 차원이 칸트에게서 희망의 차원이다. 종교는 도덕적 자기완성의 희망과 보상의 희망에서 생긴 믿음이다. 리쾨르는 칸트의 한계의 철학을 중시한다. 종교를 희망과 연결시켜 생각하는 것을 리쾨르는 수용한다. 그러나 인간의 한계 곧 죄의 문제를 칸트보다 더 심각하게 의식한다. 그래서 은총을 강조한다. 리쾨르의 종교철학은 칸트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종합이라고 할 수 있다. Kant stressed on the human inclination to evil. Although a modernist who turns a religion into ethics, he realizes that human will is too weak to accomplish ethical perfection. He seeks pure good and at the same time brings into a philosophical theme the human nature that seems to be too feeble to be pure. It is these two poles that lead Kant’s moral philosophy to philosophy of religion. One cannot completely uproot his or her inclination to evil, although he or she can overcome it at times. Uprooting is the question of being a moral being, while occasionally overcoming is the question of doing moral deeds. Moral perfection consists in being a good being and doing naturally good deeds. Such moral perfection is regarded as moral duty by Kant. However, from the aspect of uprooting the human inclination to evil in vain. the moral duty cannot be accomplished. It is given as a duty because we can, but it is out of our ability because of the radical evil rooted in our nature. Kant’s horizon of hope designates such an impossible possibility. According to Kant, religion is the practical faith coming out of the hope of moral perfection and ultimate compensation. Ricoeur receives the philosophy of limits from Kant. He accepts Kant’s position relating religion to the dimension of hope. Ricoeur’s difference can be found basically in the fact that he is more deeply conscious of human radical evil than Kant. It results in his considering the imagination of external grace as key to a ethical religion.

      • KCI등재
      • KCI등재

        인간, 죽음을 향한 존재: 하이데거의 죽음 이해

        양명수(Yang Myung Su)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5

        무가 되는 죽음은 삶의 한계이기보다는 오히려 삶의 의미를 충만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하이데거는 죽음의 실존론적 의미를 중시한다. 죽음의 의미는 존재 가능에 있다. 무연관적인 자기 곧 무아가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이다. 내가 사라진 존재의 가능성이 죽음으로부터 열어 밝혀져 있다. 내가 사라진 나의 존재는 말하자면 무아(無我)이고, 거기서 참나(眞我)의 가능성이 열린다. 인문주의는 공동체 속의 자아를 염두에 두고 참사람이 되기를 요구하지만, 하이데거는 참사람이 아닌 참나를 지향한다. 인간화가 아닌 개인화를 주장한다. 나는 이미 무아의 가능성으로 나를 이해하고 있고, 결단을 통해 가능성을 가능성으로 만든다. 그러나 완전하게 무아가 되어 참나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때때로 우리가 무아를 경험할 수는 있지만 완전하게 무아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무아의 현실성은 언제나 가능성으로서 확실하게 증언되지만, 오직 가능성일 뿐 실현은 불가능하다. 내가 있으면서 내가 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불가능한 가능성이다. Death which leads life to nothing is not just the end of life but reveals the meaning of life. Heidegger’s point is the existential meaning of life, for which the biological death serves as momentum. The meaning of death consists in the possibility of Being. Unrelated self or non-self is what Heidegger calls as Being. Being without I, identified with authentic self, is revealed though and from death. It does not concern moral humanization or true man but amoral individuation or the true self that matters in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I already comprehend my self as the possibility of non-self and makes the possibility possible through resolution. However, the totality of non-self is impossible. We can instantaneously experience the non-self but becoming totally non-self is impossible. Reality of non-self is always attested as possibility with certainty but its total realization is impossible. This is because I must turn into non-self, while remaining my self. In this respect, the non-self is impossible possibi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