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완주지역의 악취물질 및 VOCs 의 배출 특성 연구

        양고수,노진숙,박미영,김득수 한국냄새환경학회 2007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6 No.4

        본 연구는 완주 산업단지 및 인근 지역에 대한 산단 VOCs 및 악취 물질에 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산단 VOCs가 주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 되었다. 완주 산단 내 주요 배출 업종별 실측을 통한 악취(배출원 3지점) 및 VOCs(배출원 5지점) 배출 특성을 파악하고, 산단 내 및 산단 외부 풍하지역에서의 일반 대기 VOCs 측정(계절별 3일간 상시 측정)을 시행함으로서 산단 내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VOCs가 주변 인근지역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예측하였다. 악취성분 중 황화합물은 GC-PFPD를, 알데히드류는 HPLC, 아민류는 GC-FI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VOCs는 GC-MS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요 연구 결과로서 완주산단 지역의 주요 VOCs 물질은 톨루엔, 벤젠, 자일렌, 스티렌, 에틸벤젠, 1,2,4-트리메틸벤젠, 1,3,5-트리메틸벤젠 등으로 조사되었고, 주요 악취 물질은 아세트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로 조사되었다. In this study VOCs and odors in ambient air of the Wanju industrial site and a regional area were measured to build up a data base and predict the effect of them on the ambient air quality of the near regional area.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measuring odors and VOCs from the main emission sources sorted by the categories of industries. Three emission points were selected  for odors and five points were for VOCs. VOCs in ambient airs of the industrial site and outside regional area toward the wind direction were also measured continuously during three days per a season for a year and the effect of the VOCs emitted from the industrial sites on the ambient air of the near regional area were evaluated. GC-PFPD, HPLC, and GC-FID were used for measuring sulfur compounds, aldehyde, and trimethylamine among odorous compounds and GC-MSD was used for VOCs. A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toluene, benzene, xylene, styrene, ethylbenzene, 1,3,5-trimethylbenzene and 1,2,4-trimethylbenzene were detected as main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is area. Hydrogen sulfide, trimethylamine and acetaldehyde were main detected species the odorous compounds.

      • 전북지역 산업단지(전주, 완주)의 VOCs 및 악취물질 대기환경 모니터링

        양고수,박비오,박미영,박성순 한국냄새환경학회 2004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3 No.2

        전북산단으로부터 방출되어 대기환경을 오염시키는 중요 냄새 및 VOCs(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을 측정하였다. 공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주산단의 경우는 8개의 샘플링지점을 선정하였고 완주산단의 경우는 4개지점을 각각 선정하였다. 대기중의 공기샘플은 1년에 개절별로 1회씩 캐니스터 및 테프론백 과 DNPH(dinitrophenylhydrazine) 카트리지에 포집되었으며, 이 중 캐니스터에 포집된 샘플은 VOCs의 분석에 이용되었고 테프론백과 카트리지에 포집된 샘플은 냄새성분의 분석을 위해 각각 사용되었다. GC/MS 및 표준공정시험법에서 요구되는 분석기기기 및 방법 등이 시료의 분석에 적용되었으며, 검출된 각각의 성분에 대하여 표준가스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 하였다. 중요 결과로 디클로로메탄,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아세톤, 벤젠, 테트라클로로에틸 등의 성분이 전북산단으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 중에서 주요한 성분으로 검출되었으며 악취의 성분의 경우는 황화수소, 디메틸설파이드, 트리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성분이 검출되었다. Main odors and VOCs emitted from the regional area of the Jeonbuk Industrial Sites with contaminating the atmosphere were measured. Sampling sites were chosen 8 points after considering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for the Jeonju Industrial Site and 4 points for the Wanju Site. Air samples were collected each one time during a season for a year in a canister unit, Teflon bags and also on DNPH cartridge. The canister air samples were used to analyzed VOCs and the Teflon bag and the DNPH samples were used to analyze odorous compounds. GC/MS and standard analytical instrumentation methods for the samples were applied and standard gases were used to make calibration curves for the identified compounds. Dichloromethane, toluene, ethyl benzene, xylene, acetone, benzene, tetrachloroethylene were detected as main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 the Jeonbuk Industrial Sites . For the odorous compounds, hydrogen sulfie, dimethylsulfide, trimethylamine, acetaldehyde were main detected species.

      • 사료 제조업의 악취 발생 특성 연구

        양고수,박미영,고영삼,박비오 한국냄새환경학회 2005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4 No.3

        In this paper,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or odors that come from the progress of work in feed manufacturer which is considered as the place of origin was conducted and predictions about effects on the a residential area around the manufacturers show. For finding the plans for reducing odors with considering producing factors of odors, 12 set odors in an outlet, a border line and a residential area around A feed manufacturer were analyzed and effects on surrounding areas were studied depending on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generation measure of odors and weather. Ammonia, hydrogen sulfide, dimethylsulfide, trimethylamine, acetaldehyde, styrene, propionaldehyde and valerealdehyde were detected from the outlet in "A" feed manufacturer. Except for the odors, acetonitrile, 2-methylpentane, 3-methyl pentane, n-hexane, methyl cyclopentane were detected as main harmful pollutants. Amomnia, trimethylamine, acetaldehyde, styrene, propionaldehyde, valerealdehyde were detected around the border line and Ammonia and acetaldehyde were detected much more in the residential area than the border line. 본 연구는 악취 발생 사업장 중 악취 방지법에서의 악취 관리시설인 동시에 악취 발생원으로 인식되어 있는 사료 제조 업체를 선정하여 그 공정 중에 발생하는 악취 물질의 실태조사 및 발생되는 악취물질로 인한 주변 주거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자 한다. 또한, 사료제조시설의 악취 발생 요인을 고려한 악취 저감 방안을 제시하고자 A사료 제조업을 대상으로 배출구, 부지경계선, 주변주거지역을 대상으로 지정악취 물질 12개 항목을 분석함으로서 사료 제조업의 악취 발생 특성, 악취 발생 정도, 기상특성에 따라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연구하였다. 본 연구결과 A 사료제조업의 배출구에서 검출된 주요 항목으로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황화이메틸, 트리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스타이렌, 프로피온알데히드, 발레르알데히드 등이 검출되었다. 검출 대상 물질(악취물질)외에 배출구에서 검출된 주요 유해물질로는 Acetonitrile, 2-Methyl pentane, 3-Methyl pentane, n-Hexane, Methyl cyclopentane 등이 검출되었다. 부지경계선에서 검출된 주요 항목으로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발레르알데히드 등이며, 주거지역에서 검출된 주요 항목으로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로 부지경계선에서 검출된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보다 고농도로 검출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Microwave Plasma를 이용한 악취(TMA, Acetaldehyde) 처리 특성 연구

        양고수,박홍균,노진숙,조은영 한국냄새환경학회 2007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6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main odor substances, such as Trimethylamine and Acetaldehyde, by using 600 W and 200 W microwave plasmas. Ar and air were used as plasma gases and a cylindrical SiC/Zeolite filter having several ∅ 2~3 mm size holes was used as a trigger to obtain a stable plasma even with a relatively low microwave power. The 600 W Ar plasma was used to destroy relatively high concentrated TMA and acetaldehyde from 500 ppm to 2200 ppm and their DREs (Destroy and Removal Ratios) were measured. The 200 W air plasma was also used to measure DREs for TMA and acetaldehyde lowly concentrated in 4.5 odor strength.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r plasma produced 70% to 90% efficiency in removing odors substances. The 200 W Air plasma, which was operated at the relatively lower energy level, produced 90% or even above higher efficiency for the odorous materials. It was expected that the air plasma was effectively used to control odorous materials emitted from relatively a small size plant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주요 악취물질인 TMA (Trimethylamine), Acetaldehyde에 대하여 600 W급 마이크로파에 의하여 발생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그 처리 특성을 연구하였다. 플라즈마 가스로는 아르곤 및 공기를 사용하였고 비교적 낮은 에너지의 마이크로파에 의해서도 안정된 플라즈마를 얻기 위하여 여러 개의 2~3 mm 크기의 홀을 가진 원통형 SiC/Zeolite필터를 트리거로 사용하였다. 아르곤 플라즈마로 투입되는 악취성분의 농도는 고농도인 2,200 ppm에서 500 ppm로 변화시키고 주입되는 유량 등의 변화에 따라서 플라즈마에 의한 처리 효율을 조사하였으며, Air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악취강도 4.5에 해당하는 농도의 TMA, acetaldehyde에 대한 처리 효율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악취물질 제거는 Ar Plasma에서 70~90%의 효율을 보였다. 비교적 낮은 Power인 200 W급 Air Plasma에서 99% 이상의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서 소규모 공정 중에 발생하는 악취물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함에 있어 높은 활용도가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