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흰쥐 눈물샘에서 Carbonic Anhydrase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Min Ahn),이송은(Song Eun Lee),남광일(Kwang Il Nam),정채용(Chaeyong Jung),이승원(Seung-won Lee),규윤(Kyu Youn Ahn),배춘상(Choon Sang Bae),김백윤(Baik Yoon Kim),박성식(Sung Sik Park)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1

        흰쥐 안구 밖 눈물샘에서 carbonic anhydrase (CA) 동종효소의 발현 여부를 관찰하고자 흰쥐 눈물샘을 대상으로 CA I, II, IV 및 IX 동종효소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 화학 염색을 시행하였고, 이들 조직에서 각각의 CA 동종효 소 단백 발현을 Western blotting 분석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Western blotting 분석 결과 CA II와 IX가 가장 강하게, CA I이 중등도로, CA IV가 가장 약하게 발현되었다. H-E 염색에서 안구 밖 눈물샘은 대롱꽈리샘으로 많은 소엽과 사이막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소엽에는 장액샘꽈리와 사이관 그리고 소집합관들이 관찰되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 CA I 반응은 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으나 사이관세포와 소집합관세포에서는 양성 반응을 보였다. CA II 반응은 샘꽈리세포의 경우 샘꽈리에 따라 다양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양성 부위는 샘꽈리세포의 핵상부 세포질이었다. 사이관과 소집합관에서는 대부분 음성이었으나 일부 사이관과 소집합관은 약한 반응을 보였다. CA IV 반응은 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으나 사이관 세포와 소집합관세포는 강한 양성을 보였다. CA IX 반응은 대부분의 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으나 극히 일부 샘세포에서는 바닥세포막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사이관과 소집합관세포에서는 양성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관찰로 흰쥐 안구 밖 눈물샘에서 샘꽈리세포와 도관세포에 분포하는 CA 동종효소가 다름을 확인하였으며, 눈물샘에서의 전해질 대사는 샘꽈리세포는 주로 CA II에 의해 이루어지고 도관계는 주로 CA I, IV 및 IX에 의해 이루어질 것으로 추측되었다. There are several carbonic anhydrase (CA) isozymes, which differ in their kinetic properties, tissue distribution,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CA isozymes I, II, IV, and IX was investigated in the rat exorbital lacrimal gland using Western blotting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the Western blotting analysis of the rat lacrimal gland, CA II and CA IX were expressed abundantly and CA IV was expressed weakly. Hematoxylin-eosin staining of the exorbital lacrimal gland showed a multilobular tubuloacinar gland composed of acinar and ductal cells. Immunohistochemical reaction revealed no CAI staining in acinar cells and positive staining in intercalated and small duct cells. CA II reactivity was detected in the supranuclear cytoplasm of acinar cells and appeared to vary between acini. The intercalated and collecting duct cells showed weak or no immunoreactivity for CA II. CA IV was detected in the intercalated and collecting duct cells but not at the acinar cells. CA IX was detected in the intercalated and collecting duct cells, and in only a few acinar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CA isoenzymes in the exorbital lacrimal gland of the rat and suggest that CA II is related mainly to the electrolyte metabolism of tears in the acinar cells and that CAs I, IV, and IX are related to the electrolyte metabolism of tears in the duct cells.

      • KCI등재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의 눈물길 폐쇄 위치에 따른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효과

        배경화(Kyoung Hwa Bae),조남천(Nam Chun Cho), (Min Ahn)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4

        Purpose: The success of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r duct obstruction in dacryocystography. Methods: Patients visited our clinic with the chief complaint of epiphora between January 2009 and September 2016 who re-ceived dacryocystography and were diagnosed with a total nasolacrimal obstruction. Among these patients, 128 eyes from 115 patients who received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were selected and their medical records from > 6-month follow-up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lacrimal passage obstruction in dacryocystography: common canaliculus obstruction as group 1, lacrimal sac obstruction as group 2, lacrimal sac-nasolacri-mal duct junction obstruction as group 3, and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as group 4. Success and failure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symptom improvements after surgery. Results: Among the total of 128 eyes, 19 eyes were categorized as group 1 (22.6%), 28 eyes as group 2 (21.9%), 28 eyes as group 3 (21.9%), and 43 eyes as group 4 (33.6%).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was the most common condition. The success of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was 55.2% in group 1, 71.4% in group 2, 85.7% in group 3, and 86.1% in group 4. The surgical success of the patient group with common canaliculus obstru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urgical success of the lacrimal sac-nasola-crimal duct junction obstruction and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groups (p = 0.03 and p = 0.01, respectively). Conclusions: Determination of the accurate position of obstruction using preoperative dacryocystography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epiphora caused by tear duct obstruction because this predicted the effects of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목적: 눈물주머니조영술은 눈물길 폐쇄 위치와 정도를 한눈에 보기에 편한 검사법으로 이에 따른 눈물길 폐쇄 위치가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성공률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6년 9월까지 눈물흘림을 주소로 본원 안과에 내원하여 눈물주머니조영술을 받고, 눈물길 완전폐쇄를 진단받은 환자 중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받은 115명 128안을 6개월 이상 추적 관찰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눈물길 폐쇄 위치에 따라 환자를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공동눈물소관 폐쇄 1군, 눈물주머니 폐쇄 2군, 눈물주머니-코눈물관 연결부 폐쇄 3군, 코눈물관 폐쇄는 4군으로 하였으며 수술 후 증상 호전 여부에 따라 성공과 실패를 판단하였다. 결과: 전체 128안 중 1군 19안(22.6%), 2군 28안(21.9%), 3군 28안(21.9%), 4군 43안(33.6%)으로 코눈물관 폐쇄를 보인 환자의 비율이 가장 많았다. 폐쇄 부위별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성공률은 1군 55.2%, 2군 71.4%, 3군 85.7%, 4군 86.1%였다. 이 중 공동눈물 소관 폐쇄 환자군의 수술 성공률은 눈물주머니-코눈물관 연결부위 폐쇄 환자군과 코눈물관 폐쇄 환자군의 수술 성공률에 비하여 통 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p =0.03, p =0.01). 결론: 눈물길 폐쇄에 의한 눈물 흘림 환자에서 수술 전 눈물주머니조영술은 눈물길 폐쇄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의 효과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 KCI등재

        특발망막앞막에서 수술 전 정면빛간섭단층촬영 영상과 수술 후 시력 호전과의 관계

        성현(Sung Hyun Ahn),이태은(Tae Eun Lee),유인천(In Cheon You), (Min Ahn),조남천(Nam Chun Cho),정진구(Jin Gu Jeong)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4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n fa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improvements in the postoperative prognoses of idiopathic epiretinal membrane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59 epiretinal membrane patients who had epiretinal membrane peeling between January 2005 and January 2016, and were followed up for > 12 month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reoperative en face images were divided into four sections involving three circular areas (6,000 µm diameter circle, 3,000 μm diameter circle, and 1,000 μm diam-eter circle) and one square (6,000 × 6,000 μm). The surface area where no epiretinal adhesion was present was quantifi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black pixels using image-editing software (Adobe Photoshop CS6, Adobe Systems, San Jose, CA, USA). Then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lue of black pixel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visual acuities, and central retinal thickness were analyzed. Results: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piretinal membrane peeling (p < 0.001), and the central retinal thickn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01). As the number of black pixels in the circles and the square in the en-face images increased, the postoperative BCVA significantly increased (r = 0.645, p < 0.001; r = 0.590, p < 0.001, respectively). Conclusions: As the nonadhesive surfaces of the epiretinal membrane and the retina in preoperative en face images became wider, the increments of the BCVA after surgery were greater. Therefore, en fa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an be used to predict prognosis after epiretinal membrane peeling. 목적: 특발망막앞막 환자에서 수술 전 정면빛간섭단층촬영(En Fa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영상과 술 후 예후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특발망막앞막으로 진단된 후 망막앞막 제거술을 받은 환자 중 12개월 이상 경과 관찰한 환자 59명 59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전 En Face 영상을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ETDRS) subfields에 준하여, 3개의 원(6,000 μm diameter circle, 3,000 μm diameter circle, 1,000 μm diameter circle)과 1개의 사각형 (6,000 × 6,000 μm square), 총 4가지로 나누었고, 그래픽 편집 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6, Adobe Systems, San Jose, CA, USA)를 통해 영상의 black pixel 값을 측정하여, 망막앞막의 유착이 없는 부위를 수치화하였다. 이후 Black pixel 값, 수술 전후 시력 및 수술 전후 중심망막두께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망막앞막 제거술 후 최대교정시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 <0.001), 중심망막두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0.001). 6,000 × 6,000 μm square 및 6,000 μm diameter circle의 En Face 영상 black pixel 값이 증가할수록 수술 전후 최대교정시력 호전 정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r =0.645, p <0.001) ( r =0.590, p <0.001). 결론: 망막앞막 환자의 수술 전 En Face 영상에서 망막앞막과 망막의 유착이 없는 부위의 면적이 클수록 수술 후 최대교정시력의 증가량이 많았다. 따라서 망막앞막의 수술 후 시력 예후 예측 인자로서 정면빛간섭단층촬영 영상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선천 긴속눈썹증

        조상일(Sang Il Cho),유인천(In Cheon You),조남천(Nam Chun Cho), (Min Ah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2

        목적: 7세 여자아이에서 발생한 긴속눈썹증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세 여자아이가 영유아 검진시 발견된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나안시력 우안 0.2, 좌안 0.3이었으며, 양안 상, 하안검 속눈썹의 길이와 수의 증가를 보였다. 양안 속눈썹의 길이는 주변부에서 10 mm, 중심부에서 15 mm였다. 경도의 속눈썹의 각막찌름과 경도의 안검하수가 관찰되었으며 추가로 시행한 안저검사 및 시유발전위검사에서 특이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긴속눈썹증의 가족력은 없었으며 긴속눈썹증을 일으킬 만한 특이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혈액검사상 이상 소견은 없었으며 특이 약물 복용력 또한 없었다. 현재 긴속눈썹증 진단하에 경도의 시력저하 및 안검하수로 경과 관찰 중이다. 결론: 긴속눈썹증은 가족력 및 다양한 선천성 질환, 후천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특별한 원인 없이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주지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ongenital trichomegaly. Case summary: A 7-year-old girl visited our clinic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The uncorrected visual acuity was 0.2 in the right eye and 0.3 in the left eye. The length and number of upper and lower eyelashes were increased. The eyelash length was 10 mm on the peripheral edge and 15 mm in the central area. Trichiasis and ptosis were also noted. There were no abnormal findings in the additional fundus examination or visual evoked potential test. There was no family history of trichomegaly, no abnormalities in blood test results, and no medication history. The patient is currently undergoing follow-up treatment for low visual acuity and mild ptosis under the diagnosis of trichomegaly. Conclusions: Trichomegaly is associated with family history, various congenital diseases, and acquired diseases. However, it may occur congenitally, without specific causes.

      • KCI등재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경구 스피로놀락톤의 효과

        정새롬(Sae Rom Chung),정진구(Jin Gu Jeong),이태은(Tae Eun Lee),유인천(In Cheon You), (Min Ahn),,조남천(Nam Chun Cho)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3

        목적: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중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주입술 시행에도 호전이 없는 환자에서 경구 스피로놀락톤 치료의 효과를 알아본다. 대상과 방법: 2017년 9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으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주입술 시행에도 호전이 없는 환자에서 6개월동안 경구 스피로놀락톤 치료를 시행한 17명, 17안을 대상으로 중심황반두께, 망막하액의 높이, 최대교정시력의 변화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7명의 환자가 6개월동안 경구 스피로놀락톤을 복용하였다. 중심황반두께는 치료 전 309.94 ± 105.20 μm에서 3개월째 259.76 ± 81.83 μm, 6개월째 243.11 ± 61.98 μm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Wilcoxon signed-rank test p=0.016, p=0.001). 망막하액의 높이는 치료 전 138.05 ± 95.69 μm에서 3개월째 70.88 ± 83.13 μm, 6개월째 54.00 ± 56.25 μm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Wilcoxon signed-rank test p=0.002, p=0.000). 최대교정시력(logMAR)은 치료 전 0.30 ± 0.38에서 1개월째 0.35 ± 0.43, 3개월째 0.29 ± 0.43, 6개월째 0.26 ± 0.40이었고 6개월째 치료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Wilcoxon signed-rank test p=0.033). 경과 관찰 중 약물 부작용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결론: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환자에서 6개월간 경구 스피로놀락톤 치료는 중심황반두께, 망막하액의 높이 감소, 시력개선에 효과가 있었으며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oral spironolactone for non-resolving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Methods: Seventeen eyes of 17 patients with non-resolving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from September 2017 to December 2018 were treated with oral spironolactone for 6 months, and changes in central macular thickness, subretinal fluid height, and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central macular thickness decreased from 309.94 ± 105.20 μm at baseline to 259.76 ± 81.83 μm at 3 months, and 243.11 ± 61.98 μm at 6 months, which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Wilcoxon signed-rank test, p = 0.016 and p = 0.001, respectively). The subretinal fluid height decreased from 138.05 ± 95.69 μm at baseline to 70.88 ± 83.13 μm at 3 months, and 54.00 ± 56.25 μm at 6 months, which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Wilcoxon signed-rank test, p = 0.002 and p = 0.000, respectively). The BCVA (LogMAR) changed from 0.30 ± 0.38 at baseline to 0.35 ± 0.43 at 1 month, 0.29 ± 0.43 at 3 months, and 0.26 ± 0.40 at 6 months. The results at 6 mon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lcoxon signed-rank test, p = 0.033). There were no side effects in patients treated with oral spironolactone. Conclusions: In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treatment with oral spironolactone significantly reduced the central macular thickness, subretinal fluid height, and the BCVA, without side effects.

      • KCI등재

        눈물주머니염 환자에서의 원인균 및 항생제감수성 결과

        이창훈(Chang Hoon Lee),이태은(Tae Eun Lee),유인천(In Cheon You),조남천(Nam Chun Cho), (Min Ahn)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9

        Purpose: This article analyzes the microorganisms and antibiotics susceptibility in dacryocystitis. Methods: In this study,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cute and chronic dacryocystitis with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were selected and underwent endoscopic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Cultures were obtained from the lacrimal sac during operation from January 2008 to January 2016, and were used to analyze the microorganisms and antibiotics susceptibility. Results: The 67 patients, 9 were diagnosed with acute dacryocystitis and 58 were diagnosed with chronic dacryocystitis. Among them, 64 cases showed bacterial growth (95.5%).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bacteria wa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epidermidis) (33.8%), followed by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25.4%) and Enterobacter aerogenes (18.3%). S. epidermidis had the most powerful resistance to ciprofloxacin compared to the other bacteria (58.3%, p = 0.02). Except for S. epidermidis and S. aureus, the other bacteria responded to ciprofloxacin and gentamycin. Conclusions: As a causative microorganism of dacryocystitis, S. epidermidis is becoming more prominent, and it is thought that S. epidermidis may be resistant to quinolones (i.e., broad-spectrum antibiotics). This resistance might be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present S. epidermidis when viewed as a causal pathogen in dacryocystitis.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9):1017-1022

      • KCI등재

        양안 외직근후전술 후 재발한 간헐외사시에서 양안 내직근절제술의 효과

        정새롬(Sae Rom Chung),이태은(Tae Eun Lee),유인천(In Cheon You),조남천(Nam Chun Cho), (Min Ahn)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6

        목적: 간헐외사시로 양안 외직근후전술을 받은 후 재발한 환자에서 양안 내직근절제술의 효과를 알아본다. 대상과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5년 8월까지 간헐외사시로 외직근후전술을 받은 후 20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s, PD) 이상 외사시가 재발한 환자 중 양안 내직근절제술을 시행한 25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내직근절제는 원거리 사시각을 기준으로 4.0-6.5 mm까지 0.5 mm 단위로 시행하였고 수술 후 경과관찰은 1일, 1주일, 3개월, 6개월, 1년에 사시각을 측정하여 내직근절제량에 따른 사시각 교정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재수술 전 사시각은 27.20 ± 5.02 PD의 외편위였고, 재수술 시 시행한 양안 내직근절제술의 양은 평균 5.10 ± 0.79 mm였다. 재수술 후 원거리 사시각은 수술 직후 10.68 ± 5.50 PD 내편위각을 보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과교정된 내편위각이 줄어들고 수술 1년 후에는 1.16 ± 7.54 PD의 내편위각을 보였다. 수술 직후에는 84%에서 과교정 소견을 보였으나 1년이 지난 후에는 24%로 줄어들었고 수술 성공률은 68%였다. mm당 교정량은 재수술 후 1일, 1주일, 3개월, 6개월, 1년에서 각각 7.53 ± 1.22, 7.75 ± 2.16, 6.27 ± 1.74, 5.50 ± 1.54, 5.56 ± 1.58 PD/mm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정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술 1년째 mm당 교정량은 내직근 절제량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p=0.939). 결론: 양안 외직근후전술 후 20 PD 이상 재발한 외사시에서 양안 내직근절제술 시 처음에는 과교정되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술 후 1년에는 1.16 ± 7.54 PD 내편위각으로 정위에 가까운 소견을 보인다. 20 PD 이상의 외사시에서 양안 내직근절제술은 유용한 수술방법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ilateral medial rectus muscle resection on the treatment of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analysis was conducted for 25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for recurrent exotropia over 20 prism diopters (PD) between January 2009 and August 2015. The medial rectus was resected from 4.0 to 6.5 mm by 0.5 mm according to the deviation angle. The postoperative angle of deviation was checked at 1 day, 1 week,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postoperatively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corrected deviation per resected muscle. Results: The average preoperative deviation angle was 27.20 ± 5.02 PD exodeviation and the mean resection was 5.10 ± 0.79 mm of the medial rectus. The postoperative angle deviation was 10.68 ± 5.50 PD esodeviation at 1 day. The incidence of esodeviation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At 1 year, the postoperative angle deviation was 1.16 ± 7.54 PD esodeviation. The overcorrection rate was 84% at 1 day postoperatively but decreased to 24% at 1 year with a success rate of 68%. The corrected deviation angle per millimeter was 7.53 ± 1.22, 7.75 ± 2.16, 6.27 ± 1.74, 5.50 ± 1.54, and 5.56 ± 1.58 PD/mm at 1 day, 1 week,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after surgery, respectively. The dose effect per millimeter decreased over time. The corrected deviated angle per millimeter remain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amount of medial rectus muscle resection at 1 year postoperatively(p=0.939). Conclusions: B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for recurrent exotropia over 20 PD tended to overcorrect at first; however, after 1 year, the mean angle of deviation was 1.16 ± 7.54 PD esodeviation. B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is an effective surgical method f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exotropia over 20 PD.

      • KCI등재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의 진단적 기준을 만족하는 전형적인 증례 1예

        정새롬(Sae Rom Chung),이태은(Tae Eun Lee),유인천(In Cheon You),조남천(Nam Chun Cho),박호성(Ho Sung Park), (Min Ahn)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7

        목적: 2015년 발표된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 진단기준을 완벽하게 만족하는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요약: 51세 여자 환자가 2년 전부터 시작된 양안 윗눈꺼풀 부종 및 발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양측 윗눈꺼풀 결절이 촉지되었으며, 안구운동장애, 안구돌출은 없었다. 안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양측 눈물샘 비대 소견을 보였고, 좌측 앞쪽 안와절개술 및 절개생검을 시행한 결과 면역화학염색에서 IgG4/IgG 양성 형질세포 비율이 약 50%, 현미경 고배율 관찰 시 IgG4 양성 형질세포가 약 150개 관찰되며, 혈청단백전기영동검사에서는 IgG4가 6,930 mg/dL로 증가되었고 다른 기관의 침범이 없어 면역글로불린G4관련 안질환으로 확진하였다. 경구 면역억제제와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였고 호전 양상을 보여 경과관찰 중이다. 결론: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은 최근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안과적 질환의 하나로,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 진단기준을 완벽하게 만족하는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852-856>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a case of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which met the 2015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diagnostic criteria is reported and literature review performed. Case summary: A 51-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both upper eyelid swelling, redness, and a palpable mass. Eye movements were normal and exophthalmos was not observed. Facial computed tomography showed both lacrimal gland hypertrophy. The patient underwent left anterior orbitotomy with incisional biopsy. Immunostained biopsy showed the ratio of IgG4+ to IgG+ cells was 50% and the mean number of IgG4-positive plasma cells was approximately 150 per high-power field. Hematological examination showed elevated serum IgG4 concentrations of 6,930 mg/dL, however, other organs were not involved. The patient satisfied the diagnostic criteria for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The patient was given an oral steroid and immunosuppressant and the symptoms improved. Conclusions: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is currently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report a case of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which met the 2015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diagnostic criteria.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852-85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