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쓰기 답안에 나타난 담화 특성 분석

        안태연,박재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에 나타난 담화 능력을 파악하여 문법이나 어휘의 정확성이 아닌 담화적 측면에서 나아가야할 영작문 지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체계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에 기반한 의미․기능 중심 접근법을 통해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쓰기 답안을 분석하여 고등학생들이 사용한 다양한 언어 요소를 글의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살펴보고 학습자 작문에서 발견된 담화적 특징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EAT 3급 문항 유형 중 문단 단위의 글쓰기를 요구하는 ‘편지 쓰기’와 ‘그림 묘사 및 추론하여 글쓰기’의 답안을 점수대별로 각 100개씩 선정한 후 문법과 기능을 연계시킨 체계기능언어학에 기반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내용 제시, 저자의 시각과 태도 제시, 담화의 구성 영역에서 답안에 나타난 작문 특성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용적, 대인적, 텍스트적 의미 전달에 있어 학생들이 다양한 언어 요소를 사용하여 자신의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영어 글쓰기를 통해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고, 글의 유기적 흐름을 위한 학생들의 담화 구성 능력도 향상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NEAT 쓰기 답안 분석 결과가 고등학교 영작문 지도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체계기능언어학에 근거한 의미․기능 중심의 영어 쓰기 지도 방안의 도입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discourse feature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nd to suggest ways of teaching English writing with a focus on discourse competence. To this purpose, student answers to NEAT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writing items were analyzed to discover the linguistic resources used by the students from a discourse analytic perspective. To develop an analytical framework, we drew on notions from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in which linguistic items are treated as inseparable from the meanings and functions they carry. Within this framework, student writings were analyzed in three areas: presentation of content, the writer’s stance and attitude, and the organization of discours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udents have limited ability in utilizing various linguistic resources need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of meaning in their writing.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an approach to teaching English writing that emphasizes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language.

      • KCI등재

        초등 초임교사의 첫 학기: 실천공동체의 관점에서

        안태연,임수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4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learning experience of beginning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Four beginning teachers from four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ee times with each participant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their teaching. Interview data was analyzed using Wenger’s (2000) three modes of belonging as ananalytical framework: engagement, imagination, and alignment.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beginning teachers, as newcomers in their schools, are situated in limited engagement with old-timers. Beginning teachers' imaginative view of an ideal elementary school teacher did not sometimes match with the images constructed by old-timers, such as school administrators or other teachers. Moreover, beginning teachers had few opportunities for alignment because of a lack of feedback from old-timers. As such, the first-semester experiences of beginning teachers appeared to be shaped by school culture rather than by a lack of institutional systems. Implications are discussed to facilitate the social learning of beginning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교육 대학을 졸업하고 초등학교에서 첫 근무를 시작한 초임교사들이 학교라는실천공동체에서 어떻게 참여활동을 하며 사회적 학습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 명의 초임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총 3개월간 세 번의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 자료는 소속감의 세측면인 참여(engagement), 상상(imagination), 연대(alignment)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초임교사들은 동료 교사들과의 의미 협상 과정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 없음이 나타났다. 이는 개인적인성향에 기인한다기보다 초임교사에게 수동성을 기대하는 학교문화와 연관이 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예비 교사 시절 구축했던 이상적인 교사의 이미지가 동료 교사나 학교 행정가가 추구하는 교사의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때, 초임교사들은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초임교사들은 학교라는 공동체에서 요구하는 기대에 부응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지만, 학교의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의미 있는 피드백을 받지 못해 그 협상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이파악되었다. 초임교사의 첫 학기의 경험은 이렇듯 제한적인 참여와 연대의 특성을 보였는데, 이는제도적인 문제에 기인하기보다는 일방적인 의사소통의 교직 문화속에서 구성원간의 피드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폐쇄적인 초등학교의 학교문화 때문으로 보인다. 초임교사의 사회적 학습을원활히 하기 위해서 초임교사가 경험하는 초등학교 문화에 대한 담론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개방형 창의성 영어 학습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적 고찰

        안태연,권서경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23 영어교과교육 Vol.22 No.4

        In a globalized society, the need to develop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s among younger generations is increasingly becoming necessary. However, despite the interest in an integrated approach to EFL teaching and creativity education, there is still little room for learners to actively express their opinions and ideas in most EFL classrooms.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five Korean EFL teachers who developed and implemented open-ended creative tasks for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teachers’ reflections on what changes these tasks brought to their English classes, how students responded, and how their attitudes and perceptions about teaching English changed after the experience. In addition, class videos, incorporating creative tasks, based on the lesson plans were analyzed following a discourse analytic approach. The teachers reported that open-ended creative tasks provided students with more opportunities for self-expression and that they stimulated students’ intellectual curiosity, increased interest and motivation, and facilitated collaborative creativity among the students. In addition, they reported that the experience changed their own attitudes and preconceived ideas about teaching English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provide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Construction of Expert-Novice Identities in Language-Exchange Interactions

        안태연 한국영어교육학회 2011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66 No.4

        This paper explores the dynamic construction of expert and novice identities in language-exchange conversations between Korean students learning English and American students learning Korean. Drawing on recent view on identity as performance (Butler, 1990), this study employs video- and audio-recordings of language-exchange interactions to examine the dialogic interaction between three language-exchange pairs. Adopting a conversation analytic perspective, the study examines whether and how participants of language-exchange interactions orient to their assumed roles as peer-teacher and peer-learner during language-exchange through micro-analysis of the interact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participant roles as linguistic expert and novice are not invoked in language-exchange interactions unless they are treated as relevant in the interaction; rather than foregrounded by the situational arrangements of language-exchange, the expert-novice relationship in language-exchange dialogues is interactionally constituted by the local practices of the participants. Data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construction of expert and novice identities in language-exchange interaction is a jointly constructed achievement and that participant roles as language expert and novice are not given but ‘achieved’ as language-exchange participants ratify or reject the identity their partners display in the course of unfolding interaction.

      • KCI등재

        초·중학교 전환기 교수학습 차이 분석 : 영어 수업을 중심으로

        안태연(Ahn Tae youn),김태은(Kim Tae eun),노원경(Roh Wo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는 시기에 많은 학생들이 증가한 학습량, 강화된 평가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호소한다. 학교급 전환기에 놓인 학생들은 중학교 진학 후에 전반적인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 수준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인다. 학교급 전환은 새로운 환경과 교수학습 방식에 대한 적응을 요구하기 때문에 사춘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또 하나의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중학생들이 초·중학교 교수학습 방법에 큰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초·중학교 교실 수업 상황에서 드러나는 차이는 전환기 학생들이 중학교 수업에 순조롭게 적응하는데 방해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어 교실수업 담화 분석을 통해 초·중학교 수업 방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초·중학교 전환기에 놓여있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진단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 지역 내에 위치한 초·중학교를 선정하여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영어 수업 총 16차시(초등 8차시, 중등 8차시)를 촬영한 후, 전사과정을 거쳐 교수학습 방법, 학습 동기 부여, 교사 발문 특성, 교사 질문에 대한 학생 반응 기대 시간, 학습 내용 이해 확인, 교사 도움 형태, 교사-학생 상호작용, 학생 활동의 측면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업 방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초·중학교 영어과 교수학습 차이 분석을 바탕으로 학교급 간 교수학습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successful transition into middle school,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students face during the elementary-to-middle school transition period by looking closely into the classroom practices of English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elementary and two middle schools over a course of five months. A qualitative analysis of classroom observation data revealed a large gap in the teaching practices generally us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particula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the ways teachers stimulate the students’ motivation, confirm their understanding, provide individual assistance, interact with the students, and use questioning techniqu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recommends ways to provide students appropriate support for their successful transition to middle school.

      • KCI등재

        창의ㆍ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안태연(Ahn Tae youn),권서경(Kwon Suh k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최근 공교육을 통한 창의ㆍ인성 교육이 강조되고 있지만 학교 현장에서 영어교과와 연계한 창의ㆍ인성 교육이 어떤 형태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영어교육모델 창의경영학교에서 운영된 창의ㆍ인성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창의ㆍ인성 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을 탐색하여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창의ㆍ인성 영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어교육모델학교는 교육부의 지원을 받아 단위학교 중심의 학교 영어교육의 변화를 추진하는 창의경영학교 사업의 일부로 창의ㆍ인성 계발을 위한 영어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모델학교에서 운영한 74개의 창의ㆍ인성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여 총 7가지(영어관련 행사 및 대회, 영어 동아리 활동, 영어 재능나눔 활동, 타교과 연계 영어 프로그램, 창의ㆍ인성 영어 독서 프로그램, 국제 교류 프로그램, 방학 중 영어캠프)로 유형화하고, 초ㆍ중ㆍ고등학교 학교급별로 나타난 각 프로그램 유형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창의ㆍ인성 교육 이론에서 제시한 창의성과 인성 교육 요소가 어떻게 프로그램에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영어교과와 접목한 창의ㆍ인성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일반학교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I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of Korea,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pedagogical components of school education; the incorpor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struc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room teaching is recommend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have been integrated into English language classrooms based on the analysi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at schools appointed as English Education Model School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Out of 128 English Education Model Schools, the researchers selected 74 sample case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alyzed and categorized them into seven different types based on their objectives, content, and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show that while the total number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implemented in each school-level were similar, certain types of program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one school-level than the other. By qualitatively analyzing each program, this study attempts to extract commonalities among the programs practiced in schools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further examines the ways creativity and personality elements have been integrated into English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support English teachers interested in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struction through English language teach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칭 그래픽 방식을 이용한 광학계의 색수차 보정 설계

        태연,병인,조선형,김정윤,박성찬 한국광학회 2018 한국광학회지 Vol.29 No.1

        In this study, we present a symmetry graphical method to design an achromatic optical system composed of many lenses on an achromatic glass map. To take into account the lens spacing and the number of lenses, we use the relative ratio of paraxial ray height at each lens and the concept of an equivalent single lens. Converting an arbitrary optical system into various doublet systems, the most effective doublet is then selected to correct the color aberration, through material selection and the redistribution of the optical power. By designing a fisheye lens using this approach, an achromatic optical system is effectively obtained over the visible waveband.

      • KCI등재

        메타버스 환경에서 영어 말하기 활동에 대한 중학생 인식 및 상호작용 양상

        이상민,안태연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22 중등영어교육 Vol.15 No.3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use of metaverse for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speaking activities. As an online learning space, we chose Gather.town, one of the most popular metaverse platforms used in Korea, to investigate student perceptions of their learning experience and examine how they interacted with the teachers and peers on metaverse by analyzing the screen recording of the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N=36)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and actively initiated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during the English speaking sessions. Several factors may have contributed to their active engagement during the sessions. First, the affordances of metaverse enabled the learners to have control over his/her own avatar and gave them the freedom to choose who to talk to and when to approach them. Second, providing them with less controlled activities seemed to have positively affected their levels of interest and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speaking. Third, designing speaking tasks that make them move around different locations on the metaverse made learning more dynamic and engaging.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