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Dual Probe를 이용한 24시간 보행성 식도 pH 검사에서 근위부 전극 위치에 따른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진단의 문제점

        안진광,김광하,김정렬,주형준,강대환,송근암,조몽,양웅석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4

        Background : The diagnostic criteria of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LPRD) is def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proximal pH probe: upper esophagus, upper esophageal sphincter (UES) or hypopharynx. Clinically the location of proximal probe is determined by the location of distal probe, which is usually fixed on 5 cm above the lower esophageal sphinct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the diagnosis of LPRD between the results from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roximal probe and not considering it. Methods : This study consisted of 76 patients performed esophageal manometry and 24 hour ambulatory pH monitoring of esophagus using the dual probe. According to location of the proximal prob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 upper esophagus, UES and hypopharynx group. Firstly, we used the diagnostic criteria not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robe concordantly in all 76 patients : criteria of the upper esophagus, UES and hypopharynx respectively. And then, we used the diagnostic criteria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roximal probe. The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 When the diagnostic criteria of upper esophagus was used, 3.9% (3/76) was diagnosed as LPRD. In the case of UES and hypopharynx, 18.4% (14/76) and 38.2% (29/76) was diagnosed as LPRD. When the diagnostic criteria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roximal probe was used, 27.6% (21/76) was diagnosed as LPRD.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result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robe and 3 results not considering it (p<0.01). Conclusion : It is thought to be appropriate to use the diagnostic criteria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roximal probe for the more accurate diagnosis of LPRD.(Korean J Med 62:390-395, 200 목적 : Dual probe을 사용한 24시간 보행성 식도 pH 검사 중 근위부 전극 위치는 하부식도괄약근 상연 5 cm 상방에 원위부 전극을 정한 후에 이차적으로 결정된다. 하지만 개인별 식도 길이 차이 때문에 근위부 위치는 상부식도, 상부식도괄약근, 하인두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현재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LPRD)의 진단에 있어 다양한 진단기준이 있으며, 위치에 따른 어느 하나의 기준에 따라 일률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은 상기와 같은 이유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부위에 따른 진단기준을 각각의 환자에게 달리 적용시키는 것이 일률적 진단기준에 비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과 방법 : 본원에 2001년 5월부터 8월까지 24시간 보행성 식도 pH 검사를 받은 7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에게서 식도내압검사를 토대로 근위부 전극과 상부식도괄약근의 상관관계에 따라 상부식도, 상부식도괄약근, 하인두에 위치한 군으로 나누어 각 부위별로 일률적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LPRD를 진단한 경우와 실제 환자들의 부위에 따른 진단기준을 각각 적용하여 LPRD를 진단한 경우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상부식도 진단기준 (A)을 일률적으로 적용시켰을 때 76예 중 3예 (3.9%)에서 LPRD가 진단되었으며 상부식도괄약근 진단기준 (B)으로는 14예 (18.4%), 하인두 진단기준 (C)으로는 29예 (38.2%), 각각의 부위별 진단기준 (D)으로 개별적으로 적용하였을 때에는 21예 (27.6%)로 D와 A, D와 B, D와 C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value=0.001, 0.035, 0.005).

      • KCI등재후보

        Dual Probe 를 이용한 24 시간 보행성 식도 pH 검사에서 근위부 전극 위치에 따른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진단의 문제점

        안진광(Jin Kwang An),김광하(Gwang Ha Kim),김정렬(Jeong Yeol Kim),주형준(Hyung Jun Chu),강대환(Dae Hwan Kang),송근암(Geun Am Song),조몽(Mong Cho),양웅석(Ung Suk Yang)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4

        목적 : Dual probe을 사용한 24시간 보행성 식도 pH 검사 중 근위부 전극 위치는 하부식도괄약근 상연 5 cm 상방에 원위부 전극을 정한 후에 이차적으로 결정된다. 하지만 개인별 식도 길이 차이 때문에 근위부 위치는 상부식도, 상부식도괄약근, 하인두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현재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LPRD)의 진단에 있어 다양한 진단기준이 있으며, 위치에 따른 어느 하나의 기준에 따라 일률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은 상기와 같은 이유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부위에 따른 진단기준을 각각의 환자에게 달리 적용시키는 것이 일률적 진단기준에 비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본원에 2001년 5월부터 8월까지 24시간 보행성 식도 pH 검사를 받은 7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에게서 식도내압검사를 토대로 근위부 전극과 상부식도괄약근의 상관관계에 따라 상부식도, 상부식도괄약근, 하인두에 위치한 군으로 나누어 각 부위별로 일률적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LPRD를 진단한 경우와 실제 환자들의 부위에 따른 진단기준을 각각 적용하여 LPRD를 진단한 경우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상부식도 진단기준 (A)을 일률적으로 적용시켰을 때 76예 중 3예 (3.9%)에서 LPRD가 진단되었으며 상부식도괄약근 진단기준 (B)으로는 14예 (18.4%), 하인두 진단기준 (C)으로는 29예 (38.2%), 각각의 부위별 진단기준 (D)으로 개별적으로 적용하였을 때에는 21예 (27.6%)로 D와 A, D와 B, D와 C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value=0.001, 0.035, 0.005). 결론 : Dual probe를 사용한 24시간 보행성 식도 pH 검사에서 LPRD의 진단을 위해서는 식도내압검사를 시행할 때 상부식도괄약근의 위치도 같이 파악하여 각각의 환자들에서 근위부 전극과 상부식도괄약근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그 환자에 맞는 LPRD 진단기준을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Background : The diagnostic criteria of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LPRD) is def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proximal pH probe: upper esophagus, upper esophageal sphincter (UES) or hypopharynx. Clinically the location of proximal probe is determined by the location of distal probe, which is usually fixed on 5 cm above the lower esophageal sphinct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the diagnosis of LPRD between the results from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roximal probe and not considering it. Methods : This study consisted of 76 patients performed esophageal manometry and 24 hour ambulatory pH monitoring of esophagus using the dual probe. According to location of the proximal prob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 upper esophagus, UES and hypopharynx group. Firstly, we used the diagnostic criteria not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robe concordantly in all 76 patients : criteria of the upper esophagus, UES and hypopharynx respectively. And then, we used the diagnostic criteria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roximal probe. The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 When the diagnostic criteria of upper esophagus was used, 3.9% (3/76) was diagnosed as LPRD. In the case of UES and hypopharynx, 18.4% (14/76) and 38.2% (29/76) was diagnosed as LPRD. When the diagnostic criteria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roximal probe was used, 27.6% (21/76) was diagnosed as LPRD.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result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robe and 3 results not considering it (p<0.01). Conclusion : It is thought to be appropriate to use the diagnostic criteria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roximal probe for the more accurate diagnosis of LPRD.(Korean J Med 62:390-395, 2002)

      • SCOPUSKCI등재
      • 식도의 자발성 점막하 박리: 증례 보고 및 국내 문헌 고찰

        권대식,문재현,안진광,김보석,배용목,김광하,허정,강대환,송근암,조몽,양웅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3 Clinical Endoscopy Vol.26 No.3

        Spontaneous submucosal dissection of the esophagus is a rare esophageal disorder which reveals characteristic features on radiologic and endoscopic examinations. It usually presents with acute epigastric pain, typically accompanied by dysphagia and odynophagia. We experienced a case of a 56-year-old man complaining of chest discomfort and right upper quadrant abdominal discomfort. The findings of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and barium esophagogram were compatible with submucosal dissection of the esophagus. Chest CT scan showed multiple ulcers that formed a longitudinal tunnel canal. The patient was managed conservatively with nothing by mouth and intravenous hydration. Forty days after the first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the patient's symptoms disappeared completely and the massive dissection of the esophagus was much improved except for slight depression on the upper esophagus.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3;26:141-145) 자발성 점막하 식도 박리는 갑작스런 심한 흉통 또는 상복부 불쾌감을 호소하는 아주 드문 질환이다. 점막 열창을 통해 점막하층과 근육층 사이가 길게 박리됨으로써 점막하 출혈을 야기할 수 있고, 식도 조영술상 특징적인 “double-barrelled” 소견을 나타내며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로 비교적 쉽게 진단을 내릴 수 있다. 다행히 대부분의 경우 보존적인 치료로써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으나, 드물게는 외과적 수술 요법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저자들은 보존적 치료로 완치된 자발성 점막하 식도 박리 1예를 국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SCOPUSKCI등재

        간경변증 환자에서 혈청 Growth Hormone, Insulin-like Growth Factor-1 과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의 임상적 의의

        강대환,김도훈,안진광,문재현,양웅석,이준홍,송근암,조몽 대한간학회 2000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6 No.1

        Background/Aims : Although an Insulin-like growth factor-1(IGF-1) and an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IGFBP-3) have been reported to be valuable indices of nutritional state in cirrhotic patients, there is still a dispute. The controversy may be caused by the fact that most studies included heterogeneous groups of patients such as alcoholic and posthepatitic cirrh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wo fold: to evaluate whether the Growth hormone(GH), IGF-1, and the IGFBP-3 are significant or not as valuable indices of hepatic function as well as the nutritional state in hepatitis B or C associated cirrhotic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consisted of 36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ssociated with hepatitis B or C. Patients with alcoholic cirrhosis were excluded. The serum GH, IGF-1, and IGFBP-3 were measured while patients were fasting. The variables of liver function and nutritional state included Child-Pugh score, serum bilirubin, albumin, prothrombin time, triceps skinfold thickness(TSF), and midarm muscle circumference (MAMC).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liver function or nutritional state and the serum GH, IGF-1, or IGFBP-3 was evaluated. Results : The IGF-1 correlated very well with IGFBP-3 (P$lt;0.001). Both the IGF-1 and IGFBP-3 correlated inversely with Child-Pugh score (P$lt;0.01, P$lt;0.001 respectively). IGFBP-3 correlated very well with the serum bilirubin level as well as the albumin level (P$lt;0.001). Neither the IGF-1 nor IGFBP-3 showed any correlation with TSF or MAMC. Conclusions : Both IGF-1 and IGFBP-3 were clinically significant as indices of hepatic function in the patients with hepatitic B or C associated cirrhosis but neither of them were significant as indices of nutritional state.(Korean J Hepatol 2000;6:52-58)

      • 악성 위출구 협착에 대한 내시경적 금속 인공관 유치의 유용성

        김보석,문재현,권대식,안진광,허정,김광하,강대환,송근암,조몽,양웅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3 Clinical Endoscopy Vol.26 No.3

        Background/Aim: Gastric outlet obstruction due to malignancy causes various symptoms and malnutrition and so decreases the quality of life and shortens the surviv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feasibility, effectiveness, safety, and outcome of a self-expandable metal stent as a palliative methods.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August, 2002, 29 consecutive patients (36 cases of stent insertion) with inoperable gastric outlet obstruction were treated palliatively with through-the scope stents (Nitis Taewoong, Korea, 29 uncovered, 7 covered). All patients had malignancy. We reviewed the success rate, complications and clinical outcome. Results: There were 21 case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5 with pancreatic head cancer and 2 with cholangiocarcinoma. The other one had primary duodenal carcinoma. Technical success was achieved in thirty four cases (94.4%). After successful placement, 26 patients could eat soft or solid foods with careful education about foods impaction. During the follow-up (mean: 2.6 months, range: 1∼9 months), there were no procedure related early complication. Seven stent occlusion occurred due to tumor in-growth (6 case) and over-growth (1 case). Conclusions: Endoscopic self-expandable metal stent placement in patients with inoperable gastric outlet obstruction is a highly successful, safe and effective palliative method.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3;26:119-124) 목적: 악성 종양에 의한 위출구 협착은 다양한 소화기 증상과 영양 실조를 야기하며, 따라서 삶의 질을 떨어드리고 생명을 단축시킨다. 수술이 불가능한 위 배출구 협착의 경우에, 인공관의 유치가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는 고식적인 목적으로, 자가 팽창형 금속 인공관의 적합성과 안정성, 시술 결과 및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소화기 내과에 입원한 29명의 수술이 불가능한 위출구 협착 환자들을 대상으로 총 36예의 경내시경적 인공관(NitisⓇ, Taewoong, Korea, 막미부착형 29예, 막부착형 7예)을 유치하였다. 모든 환자는 악성 종양이 위 유문부나 십이지장을 침범하고 있었으며, 이는 상부 위장관 촬영, 컴퓨터 단층 촬영, 내시경으로 확인하였다. 경내시경적 인공관 유치 후에는 내시경이나 gastrograffin을 이용한 상부 위장관 촬영을 즉시 시행하여 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저자 등은 시술 성공률과 합병증,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총 29명의 환자 중 진행성 위암 21명, 췌장 두부암 5명, 십이지장 제2부를 압박하는 담도암 2명, 그리고 원발성 십이지장 암이 1명이었다. 이들 29명 중 2명에서 실패하였는데, 1명은 협착부위의 심한 예각 형성에 기인하였고, 다른 1명은 원위부의 심한 협착에 의한 것이었다. 성공적인 유치 후에는 27명 중 26명의 환자에서 음식물 고착 가능성에 대한 교육 후 유동식이나 고형식이 가능하였다. 다른 1명은 협착 부위가 상당히 좁아 인공관이 완벽히 팽창되지 않아 유동식을 지속하였다. 추적 관찰기간(평균 2.6개월, 1~9개월) 중 시술과 관련된 조기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7명의 환자에서 종양의 in-growth (6명)와 over-growth (1명)가 발생하여 이들 환자 모두에서는 2차적인 막부착형 인공관을 성공적으로 유치하였다. 총 36예 중 34예에서 시술이 성공하여 기술적 성공률은 94.4%이었다. 결론: 내시경적 자가 팽창형 금속 인공관의 유치는 수술이 불가능한 위출구 협착 환자에서 성공률이 높으면서도,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술로서 고식적 목적으로 쉽게 이용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