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공예기법을 활용한 공예수업 학습지도 방안 연구

        안지혜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미술교육은 자주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외세의 영향에 의해 이루어져 과거의 전통을 자연스럽게 성장시키지 못했다. 미술교육 대부분이 서구 중심의 미술교육 이론과 학습활동에 의해 운영되어 전통미술에 대한 교육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서구 중심의 미술교육으로 인해 전통미술에 대한 학습 자료나 학습 내용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그로 인해 학생들은 한국의 전통 미술에 관한 용어들을 어려워하고 있다. 미술 교과서 속에서 전통 미술과 관련된 도판과 학습 내용은 자주 등장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전통에 관한 민족적 정신과 조형성은 매우 부족하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공예의 개념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한국의 2009개정 미술교육과정에서 전통공예의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의 독창적인 전통공예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전통공예 수업을 전달하기 위한 수업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전통공예교육이 앞으로 미술교육과 함께 성장하도록 이 논문에서 현재 중학교에서 수업하고 있는 2009개정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여 전통공예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전통공예를 다루고 있는 단원과 공예의 종류 현황에 대해 분석, 출판사별 전통공예 표현활동에 대한 도판과 활동 내용을 정리한다. 학생들은 전통미술교육을 통해서 전통미술이 가진 미의식, 정신성, 조형성, 자연관, 민족정신을 배우고 가치관과 정체성을 성립할 수 있다. 전통교육은 학생들에게 필요한 중요한 교육이고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학습 자료, 학습 내용을 연구하여 제공해야 한다. 전통 공예는 조상들의 삶을 그대로 반영하기 때문에 더욱더 좋은 학습 자료가 된다고 본다. 한국적인 고유의 전통공예기법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이 점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데에만 그칠 게 아니라 그 가치를 더욱더 높이고 발전해 나가 한국의 전통문화를 이어가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 전통은 과거에 머무른 것이 아닌 현재 우리의 삶에 녹아 함께 성장해 나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앞으로 미래를 이끌어나갈 학생들이 전통을 통해 가치관과 정체성을 확립하고 더 나아가 나라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배우는 전통공예교육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아직 전통공예에 대한 관심도가 많지 않고 공예 분야에 대해서도 관심도가 아주 낮다. 이 논문을 통해서 전통공예의 높은 가치와 필요성을 알고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 문화의 자부심을 느끼고 전통을 이어나가기를 기대해본다.

      • Graphic Organizer를 활용한 영어 독해 지도 기법 연구 : 영미단편소설 활용을 중심으로

        안지혜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Despite the needs of English reading skills that require learners' active involvement in reading, it is difficult to teach English reading with such techniques due to the restrictions of time, space and money allotted for a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techniques which can encourage students' participation and improve reading skills through active reading approaches. What this study suggests is the techniques using Graphic Organizers when reading English short stories as a text. For teenagers , English short stories are effective texts that help readers immerge into the text relatively easily. It is true especially in that English short stories offer the sense of confidence and achievement to readers since they are short. However, having a good text is not enough to lead students to active participation in reading. This study introduces using Graphic Organizers when reading English short stories as an effective reading technique. Graphic Organizers are the supplementary markers that organizes certain information with good layouts. Reading used to be thought as a passive act of comprehending every word just by looking through a text. Graphic Organizers require readers to continuously go back and forth of the text, which will bring students to contemplate the content with deep participation in reading . There had been studies that experimented to see the effectiveness of using Graphic Organizers comparing to traditional reading teaching. Through checking with the studies, it was possible to prove that using Graphic Organizers is an effective way not only in the congnitive but inthe Affective area. Based on these studies, the techniques this study suggests are as follow. First, it is to guess before reading. Through Graphic Organizers such as semantic webs or anticipation guides, students can guess the content of the text just by looking at the title or the cover page. Second, it is to analyze while reading. Unlike silent reading, this requires students to single out various aspects of the content such as characters, structures, or the real intention of the author. There are Graphic Organizers like character webs or character grids that can be utilized in this phase. Third, it is to discuss after reading. Students can compare and contrast the facts or feelings of their own with the response of other students. Graphic Organizers like comparison grid can be used in this phase. 실제 의사소통 능력이 중시되는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어 영어 독해 능력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적 능동성을 요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문법 번역식(Grammar Translaton Method) 독해 수업에서 취급하였던 바와 같이 독해능력을 단순히 읽고 해석할 줄 아는 능력을 넘어서, 적극적으로 맥락을 파악하고 내용을 추리하며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등의 고등정신능력을 포함한다는 심리언어학적 연구자들(Goodman, 1976)의 독해 능력의 개념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 중·고등학교 영어 독해 수업 현장에서는 시간·공간·경제적 제약 외에도 진정성 있는 자료의 부족 등으로 인해 진정한 독해능력을 키워주는 수업을 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적극적인 독해 기술을 활용하여 진정한 독해능력을 길러주는 교수 기법을 한국 영어교육 실정에 맞추어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독해기법은 영미단편소설을 자료로 사용하고 이를 교수·학습하는 데 있어서 Graphic Organizer(도식조직자)를 활용한 기법이다. 영미단편소설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탄탄한 구성을 통해 전달하여 한국의 중·고등학교 학습자가 쉽게 작품에 몰입할 수 있는 교재이다. 특히 보통은 길이가 짧아서 학습자로 하여금 영문 작품을 끝까지 읽을 수 있다는 자신감과 성취감까지 느끼게 해주어 수업시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교재이다. 하지만 좋은 교재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적극적인 독해 활동을 유도하기란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영미단편소설과 함께 제시할 수 있는 것으로 Graphic Organizer을 소개한다. Graphic Organizer는 정보를 공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중요 개념 관계를 이해하도록 돕는 보조 표시 유형의 하나(Rovinson, 1998)이다. 종래에 독해 활동이 주로 눈으로만 읽어나가는 것에 치중해 있었다면 Graphic Organizer를 활용한 활동은 개념적·추상적으로 받아들인 지식을 직접 학습자 스스로 선과 도형을 이용한 도표들 안에 정리하면서 지식을 시각화시키는 적극적인 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보조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영미단편소설과 Graphic Organizer를 활용하여 영어 독해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기에 앞서 이들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영미단편소설을 활용한 독해 수업과 Graphic Organizer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뿐만 아니라 인지적 영역에도 효용성이 있음을 입증했다. 이러한 이론을 토대로 영미단편소설과 Graphic Organizer를 활용한 영어 독해 수업 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 전 활동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예측하기(Guessing)이다. 의미망(Semantic Web)이나 예상 안내(Anticipation Guides) 등의 Graphic Organizer를 사용하여 학습자들은 책장을 넘기지도 않고 책의 표지 삽화나 제목만 보고도 작품의 내용을 예측할 수 있다. 이는 교재에 대한 기대나 추측을 통해 작품에 대한 흥미를 자극하여 학습자의 사전 지식(Schemata)를 활성화 하는 단계이다. 둘째, 독해 중 활동으로 분석하기(Analyzing)이다. 이는 묵독(Silent reading)과는 대조되는 활동으로 적극적으로 내용의 여러 측면(인물관계, 구도, 저자의 의도 등)을 파악하며 읽어가는 단계이다. 이 활동에는 인물망(Character Web)이나 인물 격자(Character Grid)등의 Graphic Organizer가 사용될 수 있다. 셋째, 독해 후 활동으로 토론하기(Discussion) 활동이다. 토론을 하기까지 학습자들의 분석하기 단계에서 정리한 사실을 가지고 자신의 느낌과 비교·대조하는 등의 개인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토론을 통해 자신과 동료 학습자들의 반응을 비교해보고 토론한 내용을 중심으로 전체 학급에서 발표를 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해석과 자신만의 반응을 정리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비교 격자(Comparison Grid) 등의 Graphic Organizer를 사용할 수 있지만 학습자 스스로 구성해보는 것도 제안해보았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을 통해 교사는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독해 활동을 유도하여 그들의 인지능력까지 활성화시키고 진정한 의미에서의 독해 능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문화소외지역 학생을 위한 미술 프로그램 연구 : 하동군 마을교육공동체를 중심으로

        안지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수업 이외에 문화예술경험의 기회가 적은 문화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하여 학교와 지역연계를 기반으로 한 미술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와 지역연계 미술의 교육적 기능을 살펴보고 하동군 마을교육공동체에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오늘날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는 문화예술교육은 누구나 평등하게 문화 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환경적 요인 으로 인해 문화예술교육으로부터 소외된 지역이 무수히 많다. 따라서 이곳 의 학생들은 또래에 비해 문화예술을 경험할 기회가 부족해 시간이 지날수 록 문화격차는 점 커지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문화소외지역을 중심으로 한 미술프로그램 개발이 꾸준하게 이루어졌으나 실제 이러한 지 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배경 으로 본 연구는 문화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한 미술교육의 실제적인 역할에 주목하게 되었고, 학교미술교육과정과 지역연계를 통하여 삶 속에서 미술 을 찾고 내재화 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 은 목적을 가진 마을교육공동체에서 문화소외지역에 적합한 미술교육과정 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교육공동체는 민, 관, 학의 협 력 사업으로 물적, 인적 지원을 활성화하여 문화소외지역에서 학생들의 다 양한 문화예술경험에 도움을 준다. 이는 문화예술에 국한되지 않고, 궁극적 으로 학생들이 또래집단과 공동체를 형성하는 장소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게 판단된다. 또한 마을과 학교를 연계하는 과정을 구체화하 는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과 지역중심 공동체 미술의 프로 그램을 적절하게 연계하기 위하여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현황을 분석하 여 긍정적인 교육적 기능을 분석하였으며 2015 개정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성취기준과 학습모형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따라서 이해 및 감상, 표현활 동으로 구성된 통합적인 체험활동을 토대로 미술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 었다. 셋째, 실제 문화소외지역에 해당하는 하동군 마을교육공동체를 대상 으로 참여관찰 연구를 실행한 결과 사교육의 영향력이 전무하여 기초적인 미술문화 지식이 부족했던 학생들이 미술에 대한 인식개선에 도움이 주는 학습경험을 제공하였다. 또한 미술이 실생활과 가까운 교과라는 점을 인지 하고 학교와 나, 주변 환경을 연결 지어 상호작용하는 능동적인태도 함양 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화소외지역의 소외현상은 비단 미술프로그램 뿐 만 아니라 다른 교과목에서도 함께 나타나는 문제로서 모두가 함께 해결 해 나가야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마을교육공동체가 추구하는 목적인 공교육과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해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문화를 적극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어린 시절의 다양한 경험은 삶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하며, 그 기회를 문화소외지역 어린이들에게 제공하 기위해 미술 전문가, 교사와 학부모, 지역단체는 협력해야 한다. 마을이 학교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소외지역에서의 미술 프로그램 발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 김치의 저온저장 시 젖산균의 온도와 pH에 따른 성장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안지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Kimchi circulation market is growing, the needs of cold chain system and settlement of the circulation period for kimchi are increasing. In the advanced experiment, it confirmed the fact that the shelf life of Kimchi varied according to the storage temperature(T). The growth rate of Lactic acid that ferments Kimchi is influenced by pH changes since it specifically secrets acids continuously. Though, the situation has lack of accurate data for it.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settle the correct shelf life of Kimchi and suggest a method that will predict the merchantability. To develop the Predictive model, it utilized Gompertz model as the primary model. For the secondary model, Cardinal model was practiced as the base to develop the dynamic model once and for all. For this purpose, the paper conducted a series of experiment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T) and pH conditions the microorganisms growth have while fermentation process of kimchi proceeds. In the experiment, Leuconostoc citreum presented the highest growth rate (0.041) at 15℃ with pH 7.0 and the lowest growth rate (0.005) was showed at 10℃ with pH 5.0. The simulation based on these experiments results showed the μopt value of 0.11. In case of Weissella koreensis, the experiments showed the highest growth rate(0.042) at 15℃ with pH 6.0 and the lowest growth rate (0.003) at 5℃ with pH 5.5. The simulation based on these experiments results showed the μopt value of 0.07. Last but not least, in the experiment, Lactobacillus sakei had the highest growth rate (0.048) at 15℃ with pH 5.5 and the lowest growth rate (0.015) at 10℃ with pH 5.0. The simulation based on these experiments results resulted in the μopt value of 0.065. Like these results showed, pH is the parameter that has huge effect on the bacteria growth. It was also identified that higher temperature has larger impact. The tolerance between the results from the primary model and the simulation value was around 10%. For the secondary model, the tolerance between the results and the simulation value was about 20% which evaluated the model quite suitable. The dynamic model’s experiment results for Leu. citireum showed that pH has about 15% of tolerance, but the growth rate has not about 20% of tolerance which two of them were evaluated as suitable models. Therefore this culture needs additional verification. W. koreensis showed that pH has about 15% of tolerance, and the growth rate has about 20% of tolerance which two of them were evaluated as suitable models. And the complex culture of Leu. citireum and W. koreensis showed that pH has about 15% of tolerance, and the growth rate has about 20% of tolerance which two of them were evaluated as suitable model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possible to develop more accurate model through simulation verification with the species not verified yet and the mixed species. 김치 유통시장이 커짐에 따라 김치의 저온유통 시설과 유통기한 설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선행 실험에서 김치는 저장온도(T)에 따라 김치의 유통기한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김치를 발효 시 크는 젖산균은 특이적으로 산을 지속적으로 내뿜기 때문에 pH의 변화에 따라 생장속도가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정확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김치의 정확한 유통기한의 설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하나의 상품성 예측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하였다. Predictive model의 개발을 위해 primary model로 Gompertz model, secondary model은 cardinal model을 기초로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dynamic model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김치의 발효과정에서 생장하는 미생물의 온도(T)와 pH의 관계를 실험하였다. Leuconostoc citreum은 실험에서 15℃ pH 7.0에서 가장 큰 최대성장속도(0.041)를 가지고 10℃ pH 5.0에서 가장 작은 최대성장속도(0.005)를 가졌다. 실험 결과를 가지고 simulation 한 결과 μopt은 0.11이었다. Weissella koreensis는 실험에서 15℃ pH 6.0에서 가장 큰 최대성장속도(0.042)를 가졌으며, 5℃ pH 5.5에서 가장 작은 최대성장속도(0.003)을 가졌다. 실험 결과를 가지고 simulation 한 결과 μopt은 0.07이었다. 마지막으로 Lactobacillus sakei는 실험에서 15℃ pH 5.5에서 가장 큰 최대성장성도(0.048)를 가졌으며, 10℃ pH 5.0에서 가장 작은 최대성장속도 0.015를 가졌다. 실험 결과를 가지고 simulation 한 결과 μopt은 0.065이었다. 실험결과를 통해 pH가 균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parameter임을 알 수 있었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rimary model의 실험 결과와 simulation값의 오차는 10% 내외였으며, secondary model의 경우 실험 결과와 simulation값의 오차는 20% 내외로 model이 잘 맞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온도와 pH가 일정하지 않은 dynamic model의 실험결과 Leu. citireum의 배양의 경우, pH simulation값의 경우 15% 내외로 잘 맞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grow rate simulation값의 오차는 20%내외에서 벗어나 추가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W. koreensis의 배양의 경우 grow rate simulation값의 오차는 20%내외, pH simulation값의 경우 15% 내외로 잘 맞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Leu. citireum와 W. koreensis의 복합 배양에 대한 dynamic model의 실험결과 pH는 15% 내외, grow rate는 20%의 오차를 가져 잘 맞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추후 아직 dynamic model이 검증 안 된 균종과 복합적 균종의 dynamic model의 simulation 검증을 통하여 더 정확한 model의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 J. S. Bach 의 「프랑스 조곡 제 2번, BWV 813」에 관한 연구

        안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회의 연주곡목 중 J. S 바하(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프랑스 조곡(Freanch Suite) 제 2번 c 단조, BWV 813」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바흐는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 중의 한 사람으로서 오페라를 제외한 당대 거의 모든 음악 장르에서 방대한 양의 작품을 남겼을 뿐 아니라, 그가 태어난 독일 외에는 실질적으로 다른 나라의 문화나 음악양식을 접할 기회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유럽의 각 민족 양식을 종합하여 국제적이면서도 독창적인 음악양식을 일구어냈다. 바하는 그의 전 생애에 걸쳐 다양한 형식의 수많은 건반 악기를 작곡하였다. 그는 그의 작품에서 바로크 시대에 활발하게 쓰여진 푸가(Fuga)기법을 최고의 경지에 까지 올려놓았을 뿐 아니라 많은 기악 음악 장르의 형식을 완성하기도 하였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장르가 바로 조곡(Suite)인데, 그는 영국 조곡(English Suite), 프랑스 조곡( French Suite), 그리고 파르티타(Partita)를 통해 프로베르거에 의해 확립된 조곡의 형식을 완성하였다. 본 논문은 프랑스 조곡 중 제 2번 c 단조를 분석 연구하였다. 그러나 작품의 분석에 앞서 조곡의 기원과 역사적 발달 과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실제의 무곡이 조곡이라는 양식화된 음악 양식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특성들이 남아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조곡은 일반적으로 알레망드(Allemande), 쿠랑트(Courante), 사라방드(Sarabande), 지그(Gigue)의 순서로 구성된다. 이는 17세기 프로베르거(J. J. Froberger)에 의해 정립된 순서이다. 바하(J. S. Bach)시대에 와서는 사라방드와 지그 사이에 미뉴엣(Minuet), 가보트(Gavotte), 부레(Bourée), 루르(Loure), 에어(Air), 앙글레즈(Anglaise)등 여러 가지의 선택 무곡(Optional Dance)을 삽입할 수 있는데 이것들은 당시 각 나라 혹은 각 지방들의 민속적인 선율과 리듬을 바탕으로 작곡되어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무곡의 조합인 조곡은 같은 조성으로 통일감 있게 작곡되어진다. 프랑스 조곡 제 2번은 알레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가보트, 에어, 미뉴엣, 지그로 구성된다. 이 곡은 영국 조곡이나 파르티타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고 규모가 작으나, 각각의 무곡이 갖는 보편적인 특성을 잘 보여줄 뿐 아니라 대위법적 진행, 트리오 소나타 형식, 다성적(Polyphony)인 구조와 화성적(Homophony)인 구조가 혼합된 양식 등, 바로크 시대 음악에서 널리 쓰여졌던 음악 어법들도 확인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J. S Bach's (1650~1750) "French Suite" No. 2 C minor, BWV 813, one of pieces which the researcher performed for a master degree. As one of the composers representing the Baroque music, Bach composed a great number of pieces in almost all genres of music except opera, and despite he had little contacts with foreign culture or music forms but German ones, he established an international and original music form integrating various national music forms in Europe. Bach composed numerous works of diverse forms for keyboard instruments. In his works, he not only enhanced the Fuga technique used much during Baroque ear to its best possible status but also perfected many instrumental music genres. A model genre among these is 'Suite'. He completed a form of 'Suite' established by Froberger with English Suite, French Suite and Partita.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No. 2 c minor of his French Suite. Before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reviewed origin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Suite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left over while the actual dance music changed into the formal music called 'Suites'. In general, a 'Suite' consists of Allemande, Courante, Sarabande and Gigue in their order. Such an order was established by J. J. Froberger during the 17th century. In Bach' era, various optional dance music could be inserted between Sarabande and Gigue: Minuet, Gavotte, Boure`e, Loure, Air, Anglaise and the like. His works were based on the folklore melodies and rhythms from various nations or regions. The Suite assembled from such diverse dance music pieces would be composed to sound unified with the same tonality. The French Suite No. 2 consists of Allemande, Courante, Sarabande, Gavotte, Air, Minuet and Gigue. This piece has a simple structure, being smaller in its scale, compared with English Suites or Partita, but it show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music pieces and furthermore, feature such music grammars during Baroque ear as counterpoint progression, trio sonata form, polyphonic and homophonic structures mixed.

      •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통합적 문학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지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통합적 문학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개인정서 조절능력과 대인관계 형성 능력, 유치원 적응 능력의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치원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긍정적인 사회 적응을 돕고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통합적 문학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통합적 문학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개인정서 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통합적 문학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대인관계 형성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1-3)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통합적 문학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치원 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통합적 문학 활동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S시에 위치한 D유치원의 다문화가정 만3,4,5세 유아 28명으로 각각 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집단 유아의 연령과 모의 국적은 동질적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측정도구는 McGinnis와 Goldstein(1990)의 ‘Skill Situations Measure'를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1993)가 예비검사를 거쳐 수정․번안 후 박나래(2008)가 수정한 것을 다문화가정 유아가 쉽게 이해하고 반응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처치 기간은 2011년 6월 13일부터 9월 7일까지 13주 동안으로 주 2회, 30~40분씩 실험집단에게만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통합적 문학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하는 과정은 모두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다문화가정 유아의 행동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도구로써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문화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변화의 사례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문서수집, 참여 관찰 및 비디오 촬영, 교사 면담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정 유아의 인구통계학적 배경 분석에는 평균과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를 적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와 녹화된 동영상을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변화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통합적 문학 활동은 다문화 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 영역인 개인정서 조절능력과 대인관계 형성능력, 유치원 적응능력 모두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토의, 역할놀이, 신체표현, 음률활동, 이야기 나누기, 게임 등의 통합적 문학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는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다양한 문학적 놀이 활동을 통해 자신의 사고와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가졌을 뿐 아니라 동화의 맥락을 이해하고 타인과 자신의 상황에 알맞은 행동을 경험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통합적 문학 활동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 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의 훈련 및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강화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국내유아 뿐 아니라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달에 적절하고 그들의 특수성과 상황에 맞는 교육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과 다문화 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해 정부와 유아교육기관에서 필요한 지원과 노력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를 다문화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알리기 위한 교사 교육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현장의 교사들이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함에 있어 ‘다문화가정 유아는 유아교육기관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거나 공격적 행동 등의 부적응 행동을 보일 것이다’ 와 같은 막연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탈피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문화가정 유아 역시 교육활동을 통해 변화될 수 있음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다문화 교육환경이나 통합교육활동을 구성하는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지필마인드맵과 디지털마인드맵을 활용한 생물수업의 효과

        안지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학 수업에서 마인드맵을 활용한 수업과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구체적으로 미치는 효과와 마인드맵과 디지털 마인드맵의 생물 수업이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에 필요한 사례연구는 ‘마인드맵을 활용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의 효과’,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뇌 기능 분화에 따른 마인드맵을 활용한 수업효과’, ‘마인드맵을 활용한 중학교 생물수업이 학생들의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에너지와 수송기술>단원에서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수업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의 논문을 연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서 마인드맵과 디지털 마인드맵이 생물수업에 미치는 효과와 차이점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마인드맵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둘째,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해대 분석한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마인드맵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셋째,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수업이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결과적으로 마인드맵을 활용한 생물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고,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수업은 과학탐구에 필요한 창의성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창의성 신장에 있어서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수업이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에 비해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rete effect on students between using the written mind-map and using the digital mind-map,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n biology class. The case studies were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following studies, "Effect of Using Mind-maps for the Laterality of Brain Function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Influence of Middle School Biology Class Using Mind-maps on the Creativity of Students", and "Influence of Class Using Digital Mind-maps in <Energy & Transportation Technology> Chapter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 on the Creativity of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n the students' pursuit of scien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t signifies that using the mind-map in class is effective in elevating students' capacity of science qu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n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of students,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s shows that using the mind-map in cla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of students. Third, using the digital mind-map in cla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levating students' creativity over a teacher-centered class. In conclusion, it was revealed that using the mine map in biology class is effective in elevating students' pursuit of science, and using the digital mind-map in cla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ity that is necessary for the pursuit of science. It can also be said that using the mind-map in class is a mor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han a teacher-centered class in terms of creativity elevation.

      • 좋은 대학수업의 특성 분석 연구 : 인문 사회 계열 우수 수업 사례 관찰 결과를 중심으로

        안지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학 수업의 수월성을 강화하는 방안으로서, ‘좋은 대학수업’으로 평가받은 인문ㆍ사회 계열의 우수 수업 사례들로부터 좋은 수업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섯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좋은 대학수업에서 나타난 학습내용의 구성과 제시 방법 측면의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좋은 대학수업에서 나타난 학습방법 측면의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좋은 대학수업에서 나타난 학습동기 유발 및 학습 지원 측면의 특성을 분석한다. 넷째, 좋은 대학수업에서 나타난 수업 관리 측면의 특성을 분석한다. 다섯째, 좋은 대학수업에서 나타난 학생 평가 및 수업 평가 측면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2009년 1학기~2011년 1학기까지 약 2년에 걸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고, 총 3가지 유형의 자료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첫째, 서울 소재 4년제 연구중심대학 1곳과 교육중심대학 1곳을 선정하여 인문ㆍ사회 계열 중에서 우수 수업상을 수상하였거나, 교수학습센터에서 우수 수업으로 추천한 교수자의 수업 6개를 대상으로 수업 참여관찰과 담당 교수자 및 해당 수강생들 11명과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참여관찰 횟수는 총 28회, 수업 시간으로는 약 70시간에 해당한다. 학생 면담의 수가 제한된 것을 보충하기 위하여, 한 수업의 수강생 50명에게는 서술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우수 수업상을 수상한 교수자들이 직접 다른 교수자들에게 우수 수업 사례를 공유하는 워크숍을 참여관찰 하였다. 2개 대학의 워크숍에서 3회에 걸쳐 총 5명의 교수자의 사례 발표 및 참가한 동료 교수와의 질의응답을 참여관찰 하였다. 이를 통해, 우수 수업상 수상자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강의 노하우가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또한 해당 교수의 수가 제한된 것을 보충하기 위하여, 한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서 제작한 6명의 우수 수업상 수상자의 강의노하우 인터뷰 영상 자료도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셋째, 본 연구자가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한 프로젝트에서 다른 연구보조원들이 참여관찰을 실시한 13개의 수업 자료도 분석 대상에 포함하여 재분석하였는데, 약 39시간 분량에 해당한다. 자료들을 주제별로 코딩하여 파일을 만든 뒤에 내용을 분석하고 주요 사례를 추출하였으며, 자료의 통합과 분석을 위해서는 분류체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술형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답변 유형별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 중 학습기회시간을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실제로 얼마나 주어졌는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좋은 대학수업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내용의 구성과 제시 방법’ 측면에서는 풍부한 학습내용을 제공하고, 구조화 된 학습내용을 제시하며, 명확한 설명이 주어지고, 학습내용과 연계된 유머가 사용되며, 심화학습을 유도하는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방법’ 측면에서는 잘 연계된 다양한 학습활동을 사용하고, 학습자의 참여가 포함되는 활발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수업 시간 내에서의 상호작용과 수업 외 시간의 상호작용으로 구분되었는데, 수업 시간 내에서는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과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이 나타났고, 수업 외 시간에서는 온라인 수업 게시판을 활용하고, 학생 개별 상담을 실시하는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기 유발 및 학습 지원’의 측면에서는 학업 성과 증명의 기회 및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학습한 내용의 활용가능성을 강조하고, 지적 자극, 열정 등을 갖도록 지원하며, 학습자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고, 과제 수행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지며, 학습 전략을 제시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넷째, ‘수업 관리’ 측면에서는 단위 수업에 대한 관리와 한 학기 수업 전체에 대한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수업에 대한 관리는 학습기회시간을 극대화하였고, 출석관리를 철저히 하였으며,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학기 수업 전체에 대한 관리는 한 학기의 계획이 철저히 이루어지고, 미리 계획된 강의계획서대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학기 첫 수업시간을 가장 중요하게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 평가 및 수업 평가’의 측면에서는 학생 평가를 다양한 방식으로 하고, 수업에 대한 성찰과 평가도 다양하게 하였다. 수업에 대한 성찰은 학생의 학습 결과물을 통해서, 그리고 비공식적인 중간 강의평가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좋은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근본적인 요인은 교수자의 열정과 지식이라 할 수 있다. 좋은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근본적인 요인은 교수자의 열정과 지식이라 할 수 있다. 교수자의 열정은 수업에 대한 열정과 학생에 대한 열정으로 나누어지며, 교수자의 지식은 수업 내용에 대한 지식과 수업 방법에 대한 방법적 지식이 포함된다. 이러한 교수자의 열정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수업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하고, 끊임없는 성찰을 통해서 수업의 질적 개선과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할 때, 비로소 학생들의 입장에서 “남는 것이 많은” 수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에이미 비치(Amy Beach)의 가곡 분석 연구 <Three Browning Songs, Op. 44>를 중심으로

        안지혜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에이미 비치(Amy Marcy Cheney Beach, 1867-1944)는 미국 음악사에 이름을 남긴 실력 있는 음악가이며, 여성 음악가들 중 가장 큰 성공을 얻은 사람이다. 그녀는 작곡 활동을 하며 여러 장르의 작품 중 특히 가곡 작품을 많이 작곡했기 때문에 성악가들에게 잘 알려진 작곡가이다. 본 논문은 에이미 비치의 대표적인 가곡 작품 중 하나인 <세 개의 브라우닝 노래(Three Browning Songs, Op. 44)>에 관한 연구이다. 이 작품을 연구 분석하며 작곡가의 생애와 작품의 특징, 배경 및 작곡 기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곡에 가사로 사용 된 시를 쓴 시인 로버트 브라우닝(Robert Browning, 1812-1889)의 생애와 작품 등을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주제인 <Three Browning Songs, Op. 44>는 에이미 비치의 작곡 활동 시기 중 중기에 작곡함 작품인데, 여기에는 유럽 후기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은 그녀의 작곡 기법이 잘 드러난다. 잦은 변박과 템포의 변화를 주었고, 반음계적 선율 진행과 불안한 조성을 사용하는 등의 다양한 기법을 통해 가곡에서 가사로 사용된 시를 더욱 극적으로 표현해내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본 논문은 <Three Browning Songs, Op. 44>의 음악과 가사를 분석하며, 에이미 비치가 그녀만의 작곡 기법을 사용하여 로버트 브라우닝의 작품 속 화자의 심경을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음악적으로 표현하려는지 연구하며, 이러한 목적을 두고 연구한 결과로 성악가가 이 곡들을 효과적으로 연주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