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이크로웨이브파 하의 Rh(I) 촉매에 의한 탄소-탄소 결합 활성과 오르토-알킬화 반응에 관한 연구

        안정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이크로웨이브파 하에서 Rh(Ⅰ) 촉매를 이용하여 첫 번째로는 ring-strain 없는 일반적인 케톤의 탄소-탄소 결합 활성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올레핀의 새로운 케톤 합성을 시키는 연구를 하였고, 두 번째로는 방향족 케티민의 탄소-수소 결합 활성을 통한 작용기를 가지는 다양한 올레핀의 오르토-알킬화 반응을 연구하였다. 먼저 탄소-탄소 결합 활성 반응에서 사용되어진 복합촉매로는 전이금속 촉매로 Rh(PPh3)3Cl를 사용하였고, 유기촉매로 2-아미노-3-피콜린을 사용하였으며 cyclohexylamine을 첨가하여 transimination을 통한 전이 상태의 극성도를 증가시켜 케톤과 2-아미노-3-피콜린의 축합반응을 가속화 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웨이브파 하에서 탄소-탄소 결합 활성은 전도열에서의 반응과 비교할 때 반응시간을 수 십 배에서 수 백 배 이상 단축시킬 수 있었다. 짧은 반응 시간 동안 높은 수득률을 얻기 위한 탄소-탄소 결합 활성을 위한 최적화 조건을 얻었다. 다음으로 오르토-알킬화 반응에서는 전이금속 촉매로 Rh(PPh3)3Cl를 사용하여 방향족 케티민의 탄소-수소 결합을 활성화 시킨 후, 작용기를 가지는 올레핀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파하에서 가속화 시켰다. 그 결과 마이크로웨이브파는 전도열과 비교할 때 높은 반응성을 나타냈으며, 마이크로웨이브파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반응성이 증가하므로 마이크로웨이브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케티민과 다양한 작용기를 가진 올레핀에서의 오르토-알킬화 반응은 매우 효과적이며 마이크로웨이브파를 이용할 때 더 극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파를 이용한 두 연구 모두 용매 없이 반응하였으므로 친환경적인 유기합성의 기초가 될 것을 기대한다. Microwave irradiation has been used for many organic synthesis because of its benefits such as shorter reaction time and higher reactivity compared with conventional heating method. In this study, microwave irradiation was applied to the transition metal catalyzed C-C bond activation and ortho-alkylation reaction. First, the C-C bond activation is one of current interests in organometallic reaction. Highly efficient C-C bond activation of aliphatic ketone bearing β-hydrogens was achieved with olefins under chelation-assisted catalytic system consisting of Rh(PPh3)3Cl and 2-amino-3-picoline under the microwave irradiation condition. Additional cyclohexylamine catalyst accelerated the reaction rate dramatically, and the rate enhancement was observed by microwave irradiation compared with the thermal heating probably due to the microwave effect. Second, microwave(MW)-assisted ortho-alkylation of aromatic imine with functionalized alkenes was performed under a catalytic amount of Rh(PPh3)3Cl, and corresponding ortho-alkylated ketones were obtained after hydrolysis. This MW-assisted reaction with acrylic acid derivatives were highly efficient compared with the thermal reaction, probably due to the non-thermal MW effect.

      • 학교기반 중재반응모형에 의해 진단된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수행 특성

        안정애 대구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rocedures needed to implement the school-based response-to-intervention(RTI) as a means for differentiating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reading disabilities and also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ho were identified to have reading disabilities while implementing the RTI in the school. To meet the study purpose, two questions were raised as follows: (1)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progress speed between th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slow learners during the period of intensive training; (2)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progress speed in the areas of phonological awareness, word recognition, naming speed, and comprehension task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163 first grade children and was carried out for 6 months from September, 2008 to February, 2009. The two-tier response-to-intervention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the following procedure: In the Tier 1, all of the 163 children who entered the primary school received regular classroom instruction in reading for one month by their regular classroom teachers. To assess the children's response to the regular classroom instructions, the CBM reading fluency tests were administered twice and at the end of Tier 1, 12 children who met the criteria for the at-risk children were selected for the next Tier 2 intervention program. These 12 children received intensive reading instructions for 40minute-32 sessions, 4 times a week. To assess their responsiveness to the intervention, the CBM reading fluency tests were administered 8 times periodically during the period of intervention. The achievement level and progress speed of the children we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CBM test, and from the testing result, the 3 children who did not respond to the intervention and concurrently did not satisfy exclusion criteria were finally selected as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o confirm whether these 3 children have reading disabilities, the K-WISC-III were additionally administered. The CBM data such as the mean, percentile,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se 3 children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to those of the children who responded in the Tier 2 in the areas of reading, phonological awareness, word recognition, naming speed, and comprehension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non-responders in these areas. The following two major conclusions were presen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3 non-responders to the Tier 2 intervention: 1.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identified by the school-based response-to-intervention approach showed very low in areas of both achievement level and reading progress speed. Their achievement level belonged to the lower 5% and their reading progress speed profile during the Tier 2 intervention period maintained 0.56 level. 2.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 deficiencies in reading performance in sub-areas such as phonological awareness, word recognition, comprehension, and word naming, as comparing to those children who were slow in learning. Particularly, ability in phonological awareness and performance in the non-words recognition task scores were presented the lowest among other sub-areas assessed.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from the present study: 1. To implement school-based RTI for identifying children with and without reading disabilities in the school, the development of specific intervention program for each tiers is needed. The intervention program includes learning factors to solve reading problems relating with learning difficulty as well as supplying low achievement. 2. The assessment instrument to evaluate the children's responsiveness to the interven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Particularly, the assessment tools to verify the validity and accuracy for the selection criteria and classification are definitely needed and tools for assessing the children's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sub-areas of reading skills are also needed. In these instruments, the grounds for diagnosis and identification should be clearly indicated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school-based RTI as a vehicle for differentiating between with and wiithout reading disabilities. 3.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Tier 2 intervention, an appropriate place for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in the school and the selection of intervener who has specialty of the RTI should be secured. At the same time, appropriate teaching instruments and materials should be sufficiently provided. And, the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set up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teachers responsible for the RTI program in the school and prepare extra funds for those teachers. And, to promote the teachers' expertise as an intervention teacher, in-service training program should be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city or provincial level. 4. The cooperation between school and the community research institutes lik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s necessary. To make a final decision of identifying Learning Disabilities, the professional assessment services such as IQ test and other evaluation tests to verify an exclusion criteria should be provided by the centers in which qualified personnel are available. 본 연구는 학교기반 중재반응모형이 어떠한 절차로 수행될 수 있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진단된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수행 특성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학습장애 학생은 집중적 읽기중재 기간 동안 어떠한 수행수준과 진전도를 나타내는가? 둘째, 학습장애 학생은 음운인식, 단어인지, 명명속도, 독해과제를 어떠한 수준과 방식으로 수행하는가?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2008년 9월부터 2009년 2월까지 6개월에 걸쳐 2단계 반응중재모형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단계 1에서는 1학년 전체 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1개월간 학급담임이 일반학급 교수를 제공하였다. 일반학급 교수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2회기에 걸쳐 CBM 읽기유창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단계 1의 중재 후 선별 기준에 해당하는 학생 12명을 최종 선별하여 단계 2의 중재를 제공하였다. 단계 2의 집중적 읽기중재는 12명을 대상으로 2개월간 주 4회, 회기당 40분씩 총 32회기 동안 수행되었다. 중재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총 8회의 CBM 읽기유창성 검사를 측정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수행수준과 진전도를 계산한 후 이중불일치 준거를 적용하여 비반응 학생 3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학습장애로 진단하기 위하여 K-WISC-Ⅲ로 지능을 측정하고 제외준거를 적용하여 3명을 최종 학습장애 학생으로 진단하였다. 단계 2의 중재가 끝난 후 이들의 읽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음운인식, 단어인지, 명명속도, 독해영역의 과제수행 능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수행한 각 단계별 과제 점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 및 백분율을 구하여 비교분석하고 특성을 기술하였다. 또 학습장애 학생이 과제수행 중에 나타낸 특성을 관찰한 결과를 서술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를 전개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교기반 중재반응모형에 의한 읽기중재에서 학습장애 학생의 수행수준과 진전도는 또래에 비해 낮은 이중불일치를 나타내었다. 즉 수행수준은 하위 5%에 속하였으며, 읽기 성장의 기울기가 0.56으로 매우 낮은 읽기 진전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습장애 학생은 읽기관련 하위변인에서 낮은 수행능력을 지니고 있었다. 즉 저성취 학생에 비하여 음운인식 능력, 단어인지 능력, 독해력이 낮고 명명속도가 느렸다. 특히 음운인식의 하위과제 중 대치과제의 수행률이 가장 낮았고 단어인지 하위과제에서는 불규칙 비단어인지 과제 수행률이 가장 낮았다. 명명속도에서는 글자과제 수행률이 가장 낮았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기반 중재반응모형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에서 각 단계별 중재 전략 및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즉 학습부진을 보충하면서 학습곤란과 관계된 읽기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습요소로 구성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중재반응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준거타당도와 분류의 정확성을 지닌 선별도구, 반응측정도구는 읽기영역별 요소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정도구에는 진단과 판별의 근거가 될 수 있는 명확한 요소들이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어야 하며, 그것을 근거로 학교진단이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단계 2의 집중적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중재 장소, 중재 교사의 선정 및 중재 전문성을 확보할 대안이 필요하다. 학습장애 진단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장소를 확보한 후 중재와 관련된 교수-학습자료를 충분히 구비해야 한다. 또 중재를 제공하는 교사의 선정방법과 별도의 수업에 대한 수당 지급 등의 예산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며, 중재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수가 지역 교육청 차원에서 이루어진 후 학교에서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학습장애 진단과 판별을 위한 외부기관(특수교육지원센터)과의 협력관계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2단계 비반응자의 학업수행 근거 자료를 바탕으로 최종 학습장애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지능검사, 제외준거 등의 검사는 전문가가 확보된 기관에서 수행되어 학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어야 한다.

      • 함민복 시의 공간 연구

        안정애 한국교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함민복 시에 나타난 공간을 살펴보고, 시에서 자아의 현실인식과정이 변화하는 모습을 여러 공간들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나 속성, 공간의 변화양상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함민복 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작품에 나타난 공간을 화자의 의식세계와 연관시켜 이해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가난하고 폐쇄된 삶의 공간 속 수동적 자아에 대해 보고자 한다. 화자가 살아가는 현실 공간은 방, 지하철, 마두 리, 시멘트 속과 같은 폐쇄적이고, 격리된 공간이다. 가난하고 고단한 생활을 하고 있는 화자에게 소통의 통로까지 차단되어버린 이러한 공간들은 그 속에서 더욱 철저하게 외로워질 수밖에 없으며, 소극적이며 수동적인 자아를 가지게 될 수밖에 없는 시적 화자의 처지를 보여준다. Ⅲ장에서는, 자본주의 공간으로 대표되는 오염된 도시 ‘서울’의 문명적 공간과, 그 위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을 투영하고 있는 미디어 공간에 주목해 살펴보고자 한다. 남산타워, 63빌딩, 한강유람선, 중구 을지로 입구에 있는 증권사 건물의 벽화는 도시 문명적 공간의 거대한 상징물들이다. 시인은 이러한 도시 공간의 모습을 비판적인 시각과 냉소적 태도로 바라본다. 자본주의화 된 도시공간은 자연에게도 폭력을 행사할 뿐만 아니라, 도시 위에 살아가는 사람에게도 몰개성화 같은 가치관의 상실과 방황, 자본을 가진 자들과 자본을 가지지 못한 자들 사이에 차별과 소외를 야기하고 있다. 시적화자는 이러한 도시 공간을 신랄하게 부정하고 비판하는 모습을 통해 자본주의 공간의 폐해를 비판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텔레비전, 라디오, 광고 매체와 같은 소비적인 미디어 매체 공간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화자의 모습이 드러난다. 텔레비전을 친구나 아버지로 느끼는 모습이나 광고에 나오는 여인과 사랑에 빠지는 시적화자의 모습은 현대인들의 소통부재, 소외와 고독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시인은 이처럼 현대인들이 도시 공간에서 느끼는 외로움의 탈출구가 되는 공간을 현실과 미디어 매체 공간의 경계가 불확실해진 미디어 공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통해, 사람이 느끼는 기분이나 감정까지 미디어에 의해 지배당한 현실과, 그로 인해 소통이 부재된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Ⅳ장에서는 자아의 치유와 회복을 모색하는 공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공간은 오염된 자본주의적 도시의 공간에서 느끼는 자아의 상실감과 외로움을 치유하는 공간이다. 이 장에서 시의 배경이 되는 공간은 고향의 공간과 어머니의 공간, 수평의 공간 크게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고향의 공간은 행복하고 즐거운 많은 기억들이 묻혀 있는 공간이며 하루의 생각을 눕히는 고단한 자정에 간절한 그리움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이다. 고향이라는 공간은 화자에게 위로와 안식을 준다. 원천적인 그리움과 사랑을 느끼게 해주는 물, 바다, 달, 부엌과 같은 어머니의 공간이 산업화 된 도시 공간 위에 살아가는 화자에게 어떠한 위로가 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는 수평적 공간을 삶의 터전으로서의 길 위의 공간, 뻘의 공간, 수평적인 삶을 만드는 사물의 공간 세 가지 공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수평의 공간은 작가가 지향하는 세계이자 자아의 회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공간이다. 먼저, 길 위의 공간은 모든 자연의 모습이 살아 있는 공간이다. ‘길’이라는 공간에는 봄꽃이나 감나무, 호박과 거미와 같은 여러 존재들의 길로 가득 차 있는데, 그 존재들은 길 위에서 각자의 노력을 다하며 살아간다. ‘길’은 수많은 존재들의 삶과 죽음이 반복된 공간이다. 이러한 길의 반복성과 영구성을 통해 우리는 길에서 전해지는 생명력을 느낄 수 있다. 다음으로 ‘뻘’의 공간 역시 온갖 생태가 살아 숨 쉬고 있는 자연의 공간인데, 이 공간은 인위적이고 수직적 공간의 딱딱한 힘을 가진 도시 문명과는 전혀 다른 공간이다. ‘뻘’이라는 공간이 가진 수평적인 힘, 모든 것을 포용하는 너그럽고 유연한 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수평적인 삶을 만드는 사물의 공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물의 공간에는 줄자, 수평기, 직각자, 나침반, 시계, 저울 등의 다양한 계량기와 같은 소재가 있다.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이 도구들이 시 안에서 사물로서의 기능, 도구로서의 목적성으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수평을 이루어나가는 주체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의 공간’, ‘자연의 공간’ 안에 포함시켰다. 우리는 이 사물들이 수평을 이루어나가는 과정을 통해 진정한 ‘수평의 힘’을 이루는 것이란 강한 힘을 가진 누군가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다림과 인내를 통한 스스로의 성찰의 과정이 필요함을 배우게 된다.

      • 내러티브 역사 교재의 개발과 적용

        안정애 全南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Recently historians paid a great attention on narrative history with the stream of the new cultural history. History educators also noticed the importance of narrative, because history lesson has been a memorization of historical facts based on expository text of textbooks. This study is to find a potential of narrative history applying it to history classrooms with narrative type of history texts. For this, I have studied historic background, concepts, and functions of narrative history. Moreover I have created narrative history texts applicable to the classroom with lesson plans. Narrative history was ignored and deserted with the emergence of scientific history in 20C. However It was revived again in the late 20C with a new cultural history, 'linguistic turn', postmodernism etc. Narrative is a statement or a text of description, and history narrative is a narration of past events in an order of time with causal relations. It is a good way for historians as well as for readers to have an empathy & pleasure in writing and reading history. Narrative has been doubted by structurists eager to preserve the status of scientific history, while extreme linguistic-philosophers regarded it as a discourse of fiction in literature and history. On the other hand, narrative in history education is related to " domain-specific cognition theory". According to this theory, narrative is the representative way of understanding history, which includes essential history concepts of cause-effect relation. Narrative can be utilized in a way of constructing and expressing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cognition. In addition, history teachers can use narrative as a means of composing contents of history lesson. So I developed narrative history texts and applied them to history classrooms to find out students' reaction. The result came like this; textbook failed to lead students to active participation on content, while narrative helped them to think historic circumstances and background of events. One of students who read narrative text supposed as if he were a person in the past. He imagined the life and feeling of the people of the past. They reacted with a long sentence writing after reading narrative. The concrete and metaphorical description of narrative leads students to promot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bout historic events. Textbook readers try to judge historic events in a conventional and simple way, while narrative readers reflect them in at-that-time situations and review the results with a good sense of history. The attitude of textbook readers remains in a level of like-dislike emotion rather than in a level of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historical facts under their circumstances. Narrative helped students to highlight continuity of human behavior and events, and helped students think about backgrounds, results and meaning of historic events, and make students to change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with insights into the past. 근래 신문화사의 흐름과 더불어 내러티브가 주목을 받고 있다. 역사교육학계 안팎에서도 우리는 내러티브에 대한 요청을 빈번히 발견하는데, 이는 지금껏 사실 위주의 역사 연구와 교육을 통해 재미없는 암기 교과로 전락해 간 역사 교육 현장의 호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내러티브가 역사 서술의 특징적 양식이라는 관점에서, 역사 교육의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러티브 교재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의 개념과 기능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역사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내러티브 교재를 개발하여 학교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서구를 중심으로 한 역사학의 역사에서 내러티브는 전통적 역사 서술 형식을 가리키지만, 20세기 후반 다시 부활한 내러티브는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역사 서술 방식이다. 내러티브는 분리되어 있던 사건들(occurrences)을 이해할 수 있는 질서, 특히 시간의 전후관계 속에 배열하여 기서결을 갖춘 하나의 ‘이야기’로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내러티브는 역사가가 자신의 연구 결과를 표현하는 좋은 방법으로 간주되는 한편, 독자들에게는 의미와 즐거움을 주는 서술 양식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오늘날 그것은 역사 서술의 특정한 장르라기보다는 역사가가 과거를 이해하고 서술하려 할 때 사용하는 일종의 도구로서 받아들여진다. 즉, 모든 역사에는 역사가의 내러티브 개발이라는 과정이 개입된다고 보는 것이다. 내러티브는 역사 학습에서 ‘영역 고유의 인지 이론(domain-specific cognition theory)’과 관련된다. 역사 학습에서 내러티브는 역사 교재를 조직하거나 내용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또 학생들이 역사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설명적 텍스트인 교과서와 달리 내러티브 방식으로 역사 교재를 서술하고 그것을 수업에 적용해 보았으며, 그 결과를 교과서로 수업한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실험 결과 내러티브 교재는 학생들로 하여금 과거 사실에 대한 역사화와 감정이입을 도움으로써, 교과서를 읽은 학생들의 경우보다 더 긴 역사 이야기를 서술할 수 있게 했다. 내러티브 교재를 읽은 학생들은 역사적 맥락에서 과거의 인물과 대화하거나 과거인의 생활과 감정을 추체험하며, 자신의 역사 인식을 표현하는 데 설명적 글쓰기보다는 창의적 글쓰기 방식을 선택하는 경향이 많았다. 이 경우 학생들이 쓴 글의 양은 크게 늘어났으며, 그러한 글쓰기 방식을 통해 학생들의 역사 인식은 매우 생생하게 표현되었다. 반면, 하위권 학생들의 경우에 과제를 스스로 하지 못하고 교재를 베끼는 현상은 교과서를 읽은 학급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교과서와 내러티브 교재의 또 다른 차이는 과거 사실을 대하는 학생들의 태도와 관련된다. 교과서를 읽은 학생들은 역사적 사건과 사실 그 자체만을 염두에 둔 채 감정적이고 단순한 차원에서 판단을 시도한 반면, 내러티브 교재를 읽은 학생들은 그것을 당시 상황에 비추어 보고 그로 인해 초래된 결과를 검토함으로써 자신의 판단을 설득력 있는 이유로 뒷받침했다. 또 내러티브 교재를 읽은 학생들의 글에는 교과서를 읽은 학생들의 경우에서 볼 수 없었던 과거 사회의 대립, 갈등에 대한 인식이나 자신의 상소문이 필연적으로 가지게 될 당파성 등 역사적 맥락에 대한 고려가 조심스럽게 표현되었다. 과거 사실에 대한 이 같은 태도는 학생들의 의식에도 영향을 주었다. 교과서를 읽은 학생들의 의식은 대체로 과거 사실의 역사적 맥락을 살피기보다는 현재 자신과의 즉각적인 상관성에 따른 ‘좋고 싫음’의 차원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내러티브 교재는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 사건의 배경과 결과, 의미 등을 생각하게 하고 현재의 자기 자신을 돌아보게 함으로써 의식의 변화를 이끌었다.

      • '이야기 들려주기를 통한 언어 사용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 5학년 1학기 국어과를 중심으로

        안정애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대부분의 학교 교육은 아직도 교육 여건 등의 미비로 개인차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고, 획일적인 교육 내용과 교사 중심의 일제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에 대한 존중을 기초로 한 학습자 중심의 언어 학습이나 국어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교육 환경이 조성되어져야 한다. 그리하여 국어과 교육 목표인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수 방법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국어과 교육의 중요한 목표중의 하나인 언어 사용 기능 신장을 위하여 이 ‘이야기 들려주기 학습 전략’을 연구하여 교수?학습 활동에 적용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교수·학습 활동의 결과 학생들의 언어 사용 능력에 많은 향상이 있었음을 검증하여 보았다. 이제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들려주기에 의한 언어 학습법은 실생활에 쓰여지는 의미언어나 교과서에 나오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그 소재를 얻어 학습자 중심으로 운영해 나가는 학습법이다. 따라서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교육과정에 적합한 말하기나 쓰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야기 거리를 선정해야 한다. 둘째, ‘이야기 들려주기 전략 학습’ 은 크게 ‘이야기 들려주기 전 활동’ ‘이야기 들려주기 중 활동’ ‘이야기 들려주기 후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야기 들려주기 전 활동’은 학습자 배경 지식의 활성화, 다양한 기회 제공 조건 갖추기, 이야기 들려주어 예측하기 등이다. ‘이야기 들려주기 중 활동’은 인물 특성에 맞는 음성 언어 표현하기, 매체 활용하여 표현하기, 표정과 몸짓, 동작을 활용한 표현하기 등이 있다. ‘이야기 들려주기 후 활동’에는 내용을 전체로 파악한 후 쟝르 바꾸어 나타내기, 느낀점을 글이나 그림으로 나타내기가 있다. 셋째, 이야기 들려주기 학습의 효과는 그 자체로도 학습자에게 흥미로워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나아가 국어 교과에 관한 흥미를 증가시켰다. 후속활동으로 아동 스스로가 이야기를 창작할 수 있고 이야기를 개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이야기 들려주기를 이용한 수업에서 아동들은 교과서 구성 방식에 따라 수업을 진행할 때보다 능동적, 자발적으로 자료를 찾아 활동하여 참여도가 더욱 높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언어표현의 기법을 익히기 위해 생각하고 고민하는 자세로 자기 스스로가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거나 작가가 되는 경험을 가질 수 있었다. 아동들이 언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아동이 주체가 되어서 글을 쓰는 노력이나 자기 주도적인 말하기를 함에 있어 교사의 역할도 아주 중요하다. 그리고 이 ‘이야기 들려주기 학습’을 통해 모든 아동들에게 글쓰기 활동과 말하기 경험을 골고루 부여할 수 있는 점이다. 이 연구는 실험 기간이 짧고 적용 차시가 적어 일반화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으나 이러한 일면을 개선하고 보완할 수 있는 후속연구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oday, most education is short of consideration against individual difference because of imperfection of educational condition still and carried out uniform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er-centered class. Therefore, learning condition has to be made for accomplishing leaner-centered linguistic learning which is based on respect of learner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n various teaching methods are needed keenly to improve linguistic using capacity which is the purpose of Korean education. So, In this study, to enhance linguistic using capacity I studied learning strategy through a storytelling which is important purpose of Korean education and adopted it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And I verified the advancement of children's linguistic using capacity through the result of this learning method. There are summaries of study to the following. First, linguistic learning method through a storytelling is leaner-centered learning method which uses meaningful language in real life and gains materials based on texts in textbooks. So, we have to choose stories for the induction of children's interest and achieving speaking, writing education which is adopted in curriculum. Second, strategy learning through a storytelling is consist of three section such as 'before telling activity', 'middle telling activity', 'after telling activity'. In here, ‘Before telling activity' contains following activity. To promote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To get condition for various chance. To predict heard stories. And 'Middle telling activity' contain following activity. To express a voice language fitted to feature of character. To express something in using media. To express something in using expression and gesture. Finally, 'After telling activity' contain following activity. To convey contents with changed genre after understanding whole contents. To convey opinion by writing and picture. Third, the effect of storytelling learning is to make voluntary learning atmosphere because of interest itself and increase interest about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and give good chance to make own stories and remake them. In this learning method, children found data actively and spontaneously. I felt that children's participation is higher than the usual class which is proceed by fixed formation of textbooks. Above all thing, having attitude to practice the way of linguistic expression, children could have experience to be a hero or heroine in stories and a writer. For children's expressing language, a teacher is important in self-leading speaking as well as it is important to try writing themselves. And I could give all children chance to write and speak through the storytelling learning. Although this study is not complete to generalization because of short experiment terms and few application, succe1eding study reforming faults and continuing study are needed.

      •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정보탐색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안정애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study sampl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was the modified Structural Influence Model. Method: Cross-sectional surveys were conduc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in South Korea during November to December of 2015. One hundred ninety Philippines marriage migrant women completed the surveys. Measures includ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Results: Philippines marriage migrant women's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possess of smart device and trust in health information sources were influential factors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All of these variables together explained 12% of the variance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Philippines marriage migrant women.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although the Philippines marriage migrant women showed a high level of smart-phone possession and Internet activity,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had only partial influence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an accessible, reliable and easily understandable Internet based health information source to facilitat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migrant women.

      • 초임계유체추출 초임계유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를 이용한 환경대기에서 벤조(a)피렌 분석

        안정애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aw performed to establish green analysis chemistry of benzo(a)pyrene in ambient air by us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SFE-SFC/FLD). The analysis method developed for the detection of benzo(a)pyrene by SFE-SFC/FLD is an automated analysis method in which extraction, separation and detection process are connected. The SFE separation and SFE extraction conditions were optimized by pre-test for independent variables, full factorial design of DoE method, and response surface method. According to the ICH Q2(R1), specificity, linearity and range, limit of detection and quantitation, accuracy and precision were verified under the established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test, the calibration curve of benzo(a)pyrene was linear under the concentration range of 0.50 to 10.0 ng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s greater than 0.999. The limit of detection and quantitation of benzo(a)pyrene were 0.106 ng and 0.353 ng, respectively. The SFE extraction method was used as a new extraction method for benzo(a)pyrene and the efficiency of extraction was more than 97.0%. Compared to general solvent extraction, target component extraction method is highly sensitive because the target component can be extracted sensitively and injected directly into column without dilution. Therefore, the method was developed by improving the weaknesses of the existing method,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useful analysis method for the analysis of trace amount of benzo(a)pyrene existed in various fields like environmental samples, foods, drugs, etc. 본 연구는 초임계 유체 추출-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 (SFE-SFC/FLD)를 이용하여 대기 중의 벤조(a)피렌에 대한 친환경 분석법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벤조(a)피렌 분석을 위해 개발된 초임계 유체 추출-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를 이용한 분석 법은 추출,분리,검출이 연결된 자동화된 분석법으로,독립 변수에 대한 예비시험과 실험계획법(DoE) 의 완전요인배치법,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SFC 분리 조건과 SFE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ICH Q2(R1)에 따라 특이성,직선성 및 범위,검출한계,정량한계,정확성 및 정밀성을 검증하였고,0.50〜10.0 ng 농도 범위에서 검량선의 상관계수 0.999 이상,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106 ng, 0.353 ng으로 나타났다. 벤조(a)피렌 추출을 위해 SFE 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추출효율은 97.0 % 이상이었다. 목적 성분의 추출 방법은 흡착제에서 직접 목적 성분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희석 없이 칼럼에 직접 도입하므로 일반적인 용매 추출법과 비교해 고감도 분석법이다. 초임계 유체 추출-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 (SFE-SFC/FLD)는 기존 분석법의 단점과 적용한계를 개선하여 환경시료뿐만 아니라 식품,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량으로 존재하는 벤조(a)피렌의 분석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어린이의 HTP 검사 반응에 대한 해석과 특징연구

        안정애 建國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은 언어 혹은 문자를 알기 이전부터 미술이 가진 시각적 요소를 통해 간단한 의사소통과 감정의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내면적인 의식의 세계와 무의식의 세계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어 왔다. 이와 같은 면에 기초하여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그림 표현을 통해 욕구나 갈등을 이해하고 진단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이 미술이라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투사적 방법인 HTP[H(House:집)-T(Tree:나무)-P(Person:사람)]검사 반응을 통해 어린이들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 진단하고자 아래와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1> HTP검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심리학적 발달측면의 문헌적 연구 중심으로 어린이 그림의 의미 및 특징, 그림의 발달적 단계를 도판과 함께 살펴보았다. 2> 기초적인 단계로 투사법 중 HTP검사의 기본 개념을 문헌적 고찰을 통해 역사, 관점, 특성 등 이론적 배경을 밝혔다. 3> 투사법 중 HTP검사의 문헌적 고찰과 임상연구가의 사례해석을 토대로 14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HTP검사 반응을 실시 진단하고 어린이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특징들을 분류하며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상적으로 학습을 받는 어린이도 심리적 갈등과 우울, 분노, 억압, 강박 및 불안정성이 상당한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의 연구 자료로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심리진단을 이해해야 됨을 문화적, 환경적, 정서적 차이로 타당성이 결여 된다. 셋째, 자유롭게 표현하므로 어린이 내면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넷째, 14명의 사례대상을 통해 특징을 분류한 결과 미취학어린이는 그림의 발달적 단계인 미분화 현상으로 내용적 분석을 전체적으로 해석한다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으로 남았다. 본 연구는 현실적으로 미흡한 조건 속에서 진행되었으나, 이를 통하여 연구자는 어린이들의 심리적 갈등과 어려움이 심각하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어린이 마음의 세계를 진단하여 건강한 자아로 성장시키고 갈등 및 적응문제를 해결 해 나가도록 도와주는 한국의 표준화 심리검사자료가 시급히 연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Before knowing the language or letters, and due to its innate visual effects which made simple conversa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possible to each other, Art has been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both the internal conscious and unconscious worlds of children. Owing to these characteristics, art can be defined as the effective and diagnostic method to understand the children's desire and conflicts through their own free drawings. On this thesis, I used the HTP(House, Tree, Person) Examination Response, that is one of projective methods. By using this procedure, I examined the following items in order to know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1) For helping understand the HTP Examination by focusing on philological research towards psychological development phases, my study pursued the children drawings' meaning and traits not to mention the developmental steps of children by means of diagnosis. 2) As a basic step, I examined the elemental concepts of the HTP Exam that is one of projective methods on the basis of philological studies such as history, view point, characteristics and theoretical background. 3) On the basis of both philological research of the HTP Exam and a case interpretation of clinical training, I chose 14 children to observe the HTP response. After this observation, I diagnosed the results by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various responses shown on each child. The following is the findings of my study. First, psychological conflicts, depression, anger, suppression, pressure and emotional nervousness are shown even to the normally educated children. Second, due to the gap of different culture, circumstance and emotional difference between nations, I think that the psychological diagnosis towards our children by using foreign research materials is not relevant to us because of its own impertinence. Fourth, I can find some irrelevant problems when interpreting children drawings' on the basis of their developmental procedures through characteristics that were shown from both structural and content analysis. In conclusion, although my study circumstance was not satisfactory conditions, I can draw a following conclusion like this : the state of internal conflicts and psychological burden of children can be said as being serious. Therefore, what is needed and what we have to do at this time is to make a Korean Standard Psychological Examination format as soon as possible in oder to properly diagnose children's innate worlds of minds and to help grow each ego soundly to resolve their conflicts and adaptable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