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체험 활동에서 나타나는 영아들의 예술적 경험의 의미

        안의숙(An, Ui-Suk),백지혜(Baek, Jee-He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영아들이 자연체험활동에서 어떠한 예술적 경험을 하는지 탐색하고 그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만 세 명 남 명 여 명 으로 년 월 일부터월 일까지 자연 체험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영아들의 자연체험활동 녹화자료 연구자 일지와 메모 영아들의 활동작품이며 이를 질적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자연체험활동을 경험한 영아들은 첫째 자연에 다가가서 오감각을 활용하고 사전경험과 연관 지으며 자연을 탐색하였으며 둘째 예술적 요소를 활용하여 표현하고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기쁘게 감상하며 자연에 감정이입하며 자연에 반응하였다 셋째 자연 속에서 자연을 변형하며 놀이를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예술적 속성을 지닌 자연의 가치와 영아들의 예술적 경험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infants experienced the artistic experience in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and analyzed meaning of them.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otal of eight two-year old kindergarten infants (two males and six females) of Y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They performed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from March 24 to June 23, 2017. Materials collected were recordings of their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daily journal, memos, and their work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m.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nfants who experienced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were as follows. First, they gradually approached and explored the nature using their five senses while connecting their previous experiences, Second, they expressed using artistic elements, joyfully impressed, and responded to the nature emptying on it. Third, Infants expanded games while modifying the nature in the nature.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the value that the nature had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infants’ artistic experience.

      • KCI등재

        유아들이 경험하는 자투리 시간의 의미

        백지혜,우현경,안의숙,김정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children’s spare time. The research took place from April 3rd to June 30th, 2017 on 26 children at the age of 5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formal interview on children’s narratives of spare time happenings from beginning to end of the school day, and proceeded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order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Dalnim class. It was found that (a) children were using the spare time to show off themselves, to share their personal concerns, to express their physical changes with friends, and take some rest, (b) children built peer relationship by playing and expressing interests in each other through the spare time, (c) children talked about kindergarten, complaints against adults, disputes with peers, and rules in kindergarten, and (d) they showed interest in social cultures by talking about adults’ informal languages and cultures or sharing and enjoying common cultures. These findings suggested implication of understanding intrinsic nature of young children through stories of happenings taking place during the spare tim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경험하는 자투리 시간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시에 소재한 K유치원 만 5세 유아 26명으로 2017년 4월 3일부터 6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유치원 등원시간에서부터 귀가시간에 이르기까지 자투리 시간에 일어나는 유아의 이야기를 참여관찰과 비형식적인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달님반 유아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교사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자투리시간에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자랑하거나 과시하기도 하고 고민을 또래와 공유하고 신체적 변화를 표현하기도 하고 휴식의 시간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들은 자투리 시간을 통해 놀이를 즐기고 서로에게 호감을 표현하며 또래관계를 형성해 나갔다. 셋째, 유아들은 유치원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성인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기도 하고 또래와의 갈등상황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며 유치원에서 지켜야 할 규칙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넷째, 성인들이 사용하는 비속어나 문화를 표현하거나 대중문화를 공유하고 즐기는 모습을 나타내며 사회문화에 관심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자투리 시간에 일어나는 이야기를 통해 유아들의 본질적인 특성을 이해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얼굴영상을 이용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감정인식 비교

        이대종,박장환,전명근,안의숙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5 No.3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motion recognition using facial images to effectively design human interface. Facial database consists of six basic human emotions including happiness, sadness, anger, surprise, fear and dislike which have been known as common emotions regardless of nation and culture. Emotion recognition for the facial images is performed after applying the discrete wavelet. Here, the feature vectors are extracted from the PCA and LDA.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human emotions such as happiness, sadness, and anger has better performance than surprise, fear and dislike. Expecially, Japanese shows lower performance for the dislike emotion. Generally, the recognition rates for Korean have higher values than Japanese cases. 본 논문에서는 얼굴영상을 이용하여 한국인과 일본인의 감정인식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얼굴의 감정인식을 위하여 심리학자인 Ekman과 Friesen의 연구에 의해 문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공통으로 인식하는 6개의 기본 감정인 기쁨, 슬픔, 화남, 놀람, 공포, 혐오를 바탕으로 실험하였다. 감정인식에서 입력영상은 이산 웨이블렛을 기반으로 한 다해상도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수를 압축한 후, 각각의 영상에서 주성분분석기법 및 선형판별분석기법에 의해 얼굴의 감정특징을 추출하였다. 실험결과 한국인과 일본인 모두 “기쁨”, “슬픔”, “화남” 감정은 비교적 인식률이 높은 반면에 “놀람”, “공포”, “혐오” 감정은 인식률이 저조하게 나타냈다. 특히, 일본인의 경우 “혐오” 감정이 가장 저조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전반적으로 한국인에 비해 일본인의 감정인식결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얼굴영상을 이용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감정 인식 비교

        이대종(Dae-Jong Lee),안의숙(Ui-Sook Ahn),박장환(Jang-Hwan Park),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5 No.2

        본 논문에서는 얼굴영상을 이용하여 한국인과 일본인의 감정인식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얼굴의 감정인식을 위하여 심리학자인 Ekman과 Friesen의 연구에 의해 문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공통으로 인식하는 6개의 기본 감정인 기쁨, 슬픔, 화남, 놀람, 공포, 혐오를 바탕으로 실험하였다. 감정인식에서 입력영상은 이산 웨이블렛을 기반으로 한 다해상도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수를 압축한 후, 각각의 영상에서 주성분분석기법 및 선형판별분석기법에 의해 얼굴의 감정특징을 추출하였다. 실험결과 한국인과 일본인 모두 “기쁨”, “슬픔”, “화남” 감정은 비교적 인식률이 높은 반면에 “놀람”, “공포”, “혐오” 감정은 인식률이 저조하게 나타냈다. 특히, 일본인의 경우 “혐오” 감정이 가장 저조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전반적으로 한국인에 비해 일본인의 감정인식결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motion recognition using facial images to effectively design human interface. Facial database consists of six basic human emotions including happiness, sadness, anger, surprise, fear and dislike which have been known as common emotions regardless of nation and culture. Emotion recognition for the facial images is performed after applying the discrete wavelet. Here, the feature vectors are extracted from the PCA and LDA.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human emotions such as happiness, sadness, and anger has better performance than surprise, fear and dislike. Expecially, Japanese shows lower performance for the dislike emotion. Generally, the recognition rates for Korean have higher values than Japanese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