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산 이상정의 경(敬)사상 고찰

        안유경 ( An Yoo Kyoung ) 한국사상사학회 2018 韓國思想史學 Vol.0 No.59

        본 논문은 대산 이상정(1711~1781)의 경 사상을 고찰한 것이다. 사람의 마음은 본래 천지의 중정한 이치를 받아서 성으로 갖추어져 있으니 그 본체는 바르고 선하다. 그렇지만 기의 영향으로 기품에 구애되고 물욕에 가려져서 악으로 빠지기 쉬운데, 이때에 악으로 빠지지 않도록 마음을 잡아 지켜주는 것이 바로 ‘경’이다. 여기에서 대산은 경 공부를 내외(內外)와 동정(動靜)의 관계로 설명한다. 내외의 관계에서는 안을 근본으로 하면서도 밖으로의 정제엄숙(整齊嚴肅)을 강조한다. 또한 동정의 관계에서는 고요함을 근본으로 삼으면서 일상의 동적인 상황에서 경을 유지할 것을 강조한다. 이때에 동과 정을 지나치게 구분함으로써 혹 발생할 수 있는 공부의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대산은 ‘동 속에 정이 있고 정 속에 동이 있음[動中之靜 靜中之動]’을 강조한다. 이것은 동정이 하나의 이치임을 강조한 표현으로, 고요할 때에도 움직이는 이치가 갖추어져 있으므로 고요하다가도 일이 생기면 바로 일에 대응할 수 있고, 움직일 때에도 고요한 이치가 갖추어져 있으므로 일이 끝나면 다시 고요함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로써 고요할 때에 온갖 이치가 갖추어지게 되고 움직일 때에도 절도에 맞지 않음이 없게 된다. 이것이 바로 불교의 좌선(坐禪)과 구분되는 유가 경 공부의 특징이며, 대산 경 사상의 이론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Kyoung' ideas in Daesan(Lee Sang-jeong, 1711~1781). The mind of the people is upright and pure, and his body is filled with Jungjeong of Li. However the influence of Ki is easy to fall into evil ways. It is 'Kyoung' to keep him from falling into evil. Here the Daesan explains the 'Kyoung' as inside and outside, Dong and Jung of relations. In relation to the inside and outside,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core, emphasizes the outside of 'Jungzaeuemsuk'. Also in relation to the 'Dong' and 'Jung', emphasize of keeping quiet in the dynamism of everyday life with the 'Jung' of th the serenity. In order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studies that can be caused by excessive separation between 'Dong' and 'Jung', Daesan emphasizes Dong of Jung and Jung of Dong. This is an expression of sympathy, which emphasizes the 'Dong and Jung' one thing. Even though there is still a sense of stillness in the stillness, when the stillness happens, it can respond to the task immediately. There is still a sense of stillness, so you can return to tranquility after work. And this makes in every Li when it comes to stillness, action is appropriate even when moving. This is a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of 'Kyoung' study, which is distinguished by Buddhism, and it is a theoretical characteristic of the Daesan 'Kyoung' ideas.

      • KCI등재

        율곡 이이와 남당 한원진 인심도심설의 대비적 고찰

        안유경(An, Yoo-kyoung) 한국고전번역원 2017 民族文化 Vol.49 No.-

        본 논문은 栗谷 李珥(1536~1584)와 南塘 韓元震(1682~1751)의 인심도심설을 대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그 이론적 차이를 분명히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율곡과 남당은 모두 ‘기발이승일도’에 근거하여 인심도심설을 해석하지만, 둘의 인심도심설에는 약간의 이론적 차이가 있다. 좀 더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이들이 근거한 ‘기발이승일도’는 주자가 『중용장구』 서문에서 인심과 도심의 차이를 해석한 ‘혹원혹생’의 구조와 맞지 않다는 것이다. 주자의 ‘혹원혹생’에 대해, 퇴계는 성명(리)에 근원하는 도심과 형기(기)에 근원하는 인심이라는 소종래의 차이로 해석하지만, 율곡은 ‘기발이승일도’에 따라 근원을 하나로 두면서 道義를 위하여 발한 도심과 食色을 위하여 발한 인심으로 양분시켜 해석한다. 그리고 이렇게 양분시켜 해석하는 이론적 근거로써 주리․주기의 관점을 끌어들인다. 물론 이러한 해석은 그의 源一과 流二의 두 측면을 조화시킨 결과이다. 그렇지만 남당은 율곡처럼 인심/주기, 도심/주리로 양분시켜 해석할 경우 도심과 달리 인심은 악으로 규정될 위험에 빠지게 된다고 비판한다. 이에 남당은 인심이란 절대로 악으로 규정되어서는 안된다고 전제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도심/純善無惡, 인심/有善, 인심/有惡이라는 삼층의 구조로 인심도심설을 해석한다. 이것이 바로 율곡과 구분되는 남당 인심도심설의 특징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theoretical differences by way of preparedness Yulgok Leeyi(1536-1584) and Namdang Hanwŏnjin(1682-1751) of Inshimdoshim. In conclusion, Yulgok and Namdang both interpreted based on Kibarisŭngilto, but there were some theore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ople. More specifically, their Kibarisŭngilto was illogical compared to Zhuza’s Hogwŏnhoksaeng that interpreted difference between Insim and Dosim in Chungyongjanggu 『中庸章句』 preface. About Zhuza’s Hogwŏnhoksaeng, T’oegye interpreted difference between Dosim which was based on Sŏngmyŏng(li) and Insim which was based on Hyŏnggi(gi), while Yulgok interpreted Dosim which was based on morality and loyalty(道義) and Insim which was based on appetite and prurience(食色) divided in two ways based on Kibarisŭngilto, and finally, as a theoretical basis, he attracted Juli and Juki perspective. Of course, this interpretation resulted in the combination of two aspects of Wonil and Ryui both sides. However Namdang was divided into Insim/Jugi and Dosim/Juli, in this case, he criticized that Insim was defined as evil unlike Dosim. Namdang claimed that Insim cannot completely be defined as evil, in this light, he interpreted Inshimdoshim which was made up of three structures of Dosim(Sunsŏnmuak 純善無惡), Insim(Yusŏn 有善) and Insim(Yuak 有惡). This is characteristic of Namdang’s Inshimdoshim, which distinguishes Yulgok.

      • KCI등재

        19세기 심설논쟁의 발단양상에 관한 연구 -한주 이진상과 만구 이종기의 서신 내용을 중심으로-

        안유경 ( An Yoo-kyo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본 논문은 한주(이진상, 1818~1886)과 만구(이종기, 1837~1902)의 서신내용을 중심으로 19세기 심설논쟁의 발단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본문에서는 정재(유치명)의 학문을 계승한 만구와 한주의 이론적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심설논쟁의 발단을 제공한 한주와 정재의 논변에서 한주와 만구로 그 범위를 확장시켜 전개하고자 한다. 한주와 만구의 이론적 차이를 밝힘으로써 역으로 한주와 정재가 전개한 심설논쟁의 내용들이 좀 더 분명해질 수 있을 것이다. 『한주집』에는 만구에게 보낸 9통의 서신이 실려 있으며, 『만구집』에도 한주에게 보낸 3통의 서신이 실려 있다. 이들 서신에는 두 사람의 학문상에 일정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이들의 서신내용을 중심으로 그 이론적 차이를 밝힘으로써 결국 이들의 이론적 차이가 심설논쟁의 하나의 발단양상으로 이어짐을 확인한다. 특히 이기에 대한 해석은 그대로 심에 대한 해석으로 이어진다. 심에 대한 해석은 주자의 ‘기의 정상’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한주가 ‘기의 정상’을 리로 볼 것을 강조한 반면, 만구는 ‘기의 정상’을 이기의 합으로 볼 것을 강조한다. ‘기의 정상’이란 주자의 심에 대한 해석이므로 결국 ‘기의 정상’에 대한 해석은 심에 대한 해석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주가 심을 리로 보려고 한 반면 만구는 심을 이기의 합으로 보려고 하였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19세기 심설논쟁의 발단을 장식한 한주와 정재의 연장선상에서 전개된 한주와 만구의 심설논쟁이다. 이들의 논변을 통해 퇴계학파에서 전개된 심설논쟁의 발단양상에 관한 세부적 내용을 재차 확인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beginning pattern of simseul argument in the 19th century, based on the letter written by Hanju(1818~1886) and Mangu(1837~ 1902). In the text, I analyzed the theoretical differences between Mangu and Hanju that inherited from the study of Jungjae, is to expand the scope of the dispute between the Hanju and Mangu which to provide the beginning pattern of simseul argument. By revealing the theoretical difference between Hanju and Mangu,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content of the simseul argument between the Hanju and Jungjae's developed could be clearer. In the Hanjujip, there are nine letters to Mangu, there are also three letters to the Mangujip. These letters show a certain difference in the learning of the two people. So the text focuses on the content of these letters and reveals their theoretical differences, eventually it is confirmed that their theoretical differences lead to the beginning pattern of simseul argument. In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LiKi leads to interpretation of Sim. Sim interpretation center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Zhuxi's 'Ki of Jungsang' meaning, while Hanju emphasizes to see as Lee, Mangu emphasizes that as the sum of Liki. 'Ki of Jungsang' is an interpretation of Zhuxi' Sim, and in the end, interpretation of 'Ki of Jungsang' means interpretation of Sim. Thus, while Hanju tried to see of Li, Mangu wanted to see at the sum of LiKi. This is simseul argument between Hanju and Man-gu, which was unfolded in the extension of the 19th century's simseul argument of erection. Through their argument, they are going to use it as an opportunity to review details of how the debate started in the Toegye school.

      • KCI등재

        갈암 이현일과 극재 신익황 사단칠정론의 대비적 고찰

        안유경 ( Yoo Kyoung An ) 퇴계학연구원 2015 退溪學報 Vol.138 No.-

        본 논문은 葛庵 李玄逸(1627~1704)과 克齋 申益愰(1672~1722)의 서신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들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해석상의 차이를 밝힌 것이다. 물론 논문에서는 이현일과 신익황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해석상의 차이를 전개한 것이지만, 결국 이 글을 통해 퇴계와 율곡의 사단칠정론의 이론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신익황은 율곡의 관점에서 사단칠정론을 전개하였으며 이현일은 퇴계의 관점에서 사단칠정론을 전개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익황은 율곡 이론의 타당성의 논거로서 혼륜설을 제시하였으며, 이현일 역시퇴계 이론의 타당성의 논거로써 분별설을 강조하였다. 결국 이현일은 분별설의 관점에서 사단과 칠정은 별개의 정이므로 상대시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신익황은 혼륜설의 관점에서 ‘칠정의 중절한 것은 사단이요 사단은 칠정의 선일변’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볼 때, 같은 퇴계학파 내에서도 퇴계설을 그대로 묵수한 것이 아니라 율곡의 이론을 수용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퇴계의 이론을 재해석하려고 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Galam Lee, hyun-il(1627~1704) and Geukjae Sin, ik-hwang(1672~1722) about the content of letters from theory make the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m sadanchiljunglon. Of course, paper, Lee, hyun-il and Sin, ik-hwang of sadanchiljunglon to deploy the difference of interpretation, but finally, can check by Toegye and Yulgok``s sadanchiljunglon of theoretical difference. Because Sin, ik-hwang was providing sadanchiljunglon of Yulgok``s perspective, and Lee, hyun-il Toegye was providing sadanchiljunglon of Toegye``s points. And as the ground of their validity of the Yulgok theory Sin, ik-hwang honlyunseol, Lee, hyun-il also stressed Toegye``s bunbyeolseol. In the result, Lee, hyun-il was the point of view of bunbyeolseol sadan and chiljung separate and division in which he should look at relative will be developed. On the other side, Sin, ik-hwang was the point of view of honllyunseol ‘chiljung That matches is sadan, sadan is chiljung good part`` to be viewed as that claim. When you look through, that people like Toegye school not to be accept, but in the Yulgok``s theory in accommodating various points of view, can know trying to know the theory of Toegye to reinterpretation.

      • KCI등재

        성호와 청대 사단칠정론의 대비적 고찰

        안유경(An, Yoo-Kyoung) 한국고전번역원 2016 民族文化 Vol.47 No.-

        본 논문은 같은 퇴계학파의 일원이요 생몰연대도 거의 일치하는 성호와 청대의 사단칠정론을 대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두 사람의 이론적 차이를 분명히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두 사람은 모두 사단과 칠정을 별개의 정으로 분명히 구분해보려고 한다. 이것은 율곡이 ‘정은 하나인데 리만을 가리켜 말한 것은 사단이요 이기를 겸하여 전체를 말한 것은 칠정이다’라고 보는 것과 구분된다. 그러나 성호는 사단과 칠정을 모두 理發로 해석한 반면, 청대는 사단과 칠정을 각각 理發과 氣發로 해석한다. 이들의 해석이 서로 달라지는 이유는 그들의 성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에 근거한다. 정이 발하여 나온 근원으로서의 성에 대해, 성호는 하나의 성[一性]으로 이해한 반면, 청대는 성을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으로 구분하여 이해한다. 때문에 성호는 하나의 성이 발하여 정이 되므로 사단과 칠정이 모두 理發인 반면, 청대는 사단은 본연지성이 발한 것이므로 理發이 되고 칠정은 기질지성이 발한 것이므로 氣發이 된다. 이렇게 볼 때 성호는 퇴계의 사단칠정론을 재해석한 측면이 있고 청대는 퇴계의 이론을 계승하여 강화시킨 측면이 있다. This article makes clear the theoretical differences between Sadan chiljeong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of SeongHo and ChoungDai. Each philosopher attempts to separate the Sadan from the Chiljeong, which stands in contrast with their oppositional thinker Yulgok. SeongHo interprets both Sadan and Chiljeong as Libal (manifestations of Li). ChoungDai interprets them as Libal and Kibal (manifestations of Ki), respectively. Analysis of these differing views shows that each understood Seong (human nature) differently. SeongHo understood it as being the same as Seong, but ChoungDai understand it as Bonyunnijiseong (original human nature) and Kijiljiseong (human nature embedded in individuals). In ChoungDai’s view, Sadan is Libal and Chiljeong is Kibal, but for SeongHo Sadan and Chiljeong are both Libal; we can conclude from this that SeongHo reinterpreted Toigye’s Sadan Chiljeong theory and ChoungDai reinforced Toigye’s.

      • KCI등재

        일반논문 : 17세기 후반 퇴계학파 성리설의 분화양상에 관한 연구 -우담과 갈암의 율곡 성리설 비판을 중심으로-

        안유경 ( Yoo Kyoung An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4

        갈암(이현일(李玄逸), 1627~1704)과 우담(정시한(丁時翰), 1625~1707)은 각각 「율곡이씨논사단칠정서변(栗谷李氏論四端七情書辨)」(1688, 62세)과 「사칠변증(四七辨證)」(1696, 72세)을 지어 일찍이‘사단칠정을 이기로 해석한’ 퇴계의 해석에 대한 율곡의 異見을 비판함으로써, 즉 퇴계설을 변호하고 율곡설을 배척함으로써 퇴계학파 형성에 주도적 역할을 한 대표적인 퇴계학파의 일원이다. 이에 본문에서는 율곡이 우계(성혼)에게 보낸 서신 <답성호원서(答成浩源書)>에 대해 갈암과 우담이 제기한 비판적 견해를 중심으로 두 사람의 성리설을 비교 분석하여 그 이론적 차이점을 확인하고, 동시에 두 사람 사이에 전개된 왕복서신을 중심으로 퇴계학파의 일원인 이들의 성리설이 갖는 이론적 다양성을 퇴계학파 성리설의 분화양상으로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갈암이 퇴계의 이원적 체계를 강화한 것과는 달리, 같은 퇴계학파의 일원인 우담은 율곡의 일원적 입장을 수용하여 퇴계와 율곡의 성리설이 갖는 이론상의 결함을 보완하는 종합적 성격을 띠고 있다. 이러한 퇴계와 율곡의 이론을 종합하려는 특징은 퇴계학설을 그 시대에 제기되는 이론으로 재해석하였다고 할 수 있다. Galam(Lee, Hyun-il, 1627-1704) and Woodam (Jung, Si-han, 1625-1707) had critical opinions on Yulgok`s different perspective on Toegye`s interpretation of perceiving Sa-dan-chill-jung(四端七情) as I-gi(理氣), addressing opinions on their early works of Yulgokleesilonsadanchilljungseobyun(「栗谷李氏論四端七情 書辨」1688, 62 years of age) and Sachillbyunjeung(「四七辨證」1696, 72 years of age)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y were the leading members of Toegye School, who supported Toegye`s philosophy and rejected Yulgok`s theory. Thus,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oretical differences on neo-Confucianism by Galam and Woodam. These comparisons were derived from the critical views of Gal-am and Woodam on Dapsunghowonseo(答成浩源書) which was a letter written by Yulgok to Woo-gae(Sung-hon). At the same time, their theoretical diversity was explained in the divergent aspect of Toegye`s neo-Confucianism based on the correspondences between Yulgok and Woo-gae. Consequently, unlike Gal-am who supported the dualistic system of Toegye, Woodam, who was in the same school with Galam, adopted the unitary system of Yulgok instead. In other words, Woodam took the synthetic position of complementing the theoretical drawbacks of neo-Confucianism on both Toegye and Yulgok. It can be said that this feature of combining both theories attempted to reinterpret them by the theory which was called to account in that specific period.

      • KCI등재

        마테오 리치의 우주론과 심성론 고찰 - 『천주실의』를 중심으로 -

        안유경 ( An Yoo-kyoung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2 퇴계학논총 Vol.39 No.-

        본 논문은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1552~1610)의 『천주실의』(1603)를 중심으로 그의 우주론과 심성론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천주실의』에 나타난 리치의 철학적 이론구조가 전통 성리학적 이론구조와 어떻게 다른지 그 이론적 차이를 확인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들의 이론적 차이는 크게 두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첫째, 리치는 성리학의 리를 속성의 의미로 제한하고, 그 자리에 천주를 대신한다. 오직 천주만이 만물의 근원으로서 의지를 가지고 만물을 생성하는 창조주이며 만물을 주재하는 주재자이다. 리는 사물에 내재하는 속성이지 독립적인 실체가 아니므로 결코 만물의 근원이 될 수 없다. 이 과정에서 리치는 자연계와 인간계를 분명히 구분한다. 둘째, 선의 실현은 후천적인 노력과 실천 이후에 이루어진다. 성리학에서처럼 도덕적 근거로서 선(본성)이 천부적으로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속의 구체적 실천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후천적 행위의 결과이다. 이로써 인ㆍ의ㆍ예ㆍ지 역시 타고나는 본성의 의미가 아니라, 이치를 추론한 후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한다. 이렇게 볼 때, 비록 리치가 유학적 세계관과 타협적인 補儒論을 표명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결국 천주교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스콜라 철학의 영향에 근거하여 당시에 유행하던 성리학을 자신의 기준으로 평가하고 재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세계와 인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18세기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This paper examines his cosmology and his mindfulness which focuses on Matteo Ricci(1552~1610)'s cheonjusileui. Through this identifies the theoretical differences in how Ricci's philosophical theoretical structure differs from that of traditional Neo-confucianism theoretical structures. To begin with, their theoretical differences can be largely defined in two ways. First, Ricci limits of Neo-confucianism's Li to the meaning of attributes, and replaces the heavenly lord. Only heavenly lord is the creator of all things with will and the host of all things. Li is an inherent property of things, not an independent entity, and can never be the source of all things. In this process, Ricci clearly distinguishes between the natural and human worlds. Second, the realization of good will comes after acquired efforts and practices. As in Neo-confucianism, good(nature) is not given as a moral basis, but is the result of actions taken through concrete practice in reality. Thus, it is understood that Inuiyeji(love, righteousness, manners, wisdom) are not the meaning of nature, but rather the phenomenon that occurs after reasoning. Although Ricci is well known for his compromising views of the Neo-confucianism world, he eventually evaluating and reinterpreting the popular Neo-confucianism of the time based on his firm belief in Catholicism and the influence of scholar philosophy. This new interpretation of the world and humans greatly influenced the intellectuals of Joseon in the 18th century.

      • KCI등재

        맹자와 주자 심성이론의 대비적 고찰

        안유경(An Yoo Kyoung)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2

        본 논문은 맹자와 주자의 심성이론을 대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두 사람 심성이론의 이론적 차이를 밝힌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맹자는 심성이론의 주요 개념인 심ㆍ성ㆍ정을 하나의 개념으로 보고 분별하지 않았으나, 주자는 심ㆍ성ㆍ정의 개념을 분명히 구분하였다. 때문에 맹자와 주자는 모두 서로 같은 용어를 가지고 자신들의 심성이론을 전개하였지만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됨으로써 실제적인 내용에서도 많은 차이를 드러냈다. 결국 이러한 차이는 맹자 이후에, 맹자의 이론을 계승하면서도 주자와 육구연의 학문적 분화가 일어나는 발단이 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In this paper is comparison study of Mengzi and Zhuzi xinsung theory, will be announced two people xinsung theory of theoretical difference. That is conclusion, Mengzi did not distinguish between xin(심)ㆍsung(성)ㆍjung (정) of xinsung theory, but Zhuzi apparently distinguished xinㆍsungㆍjung of concept. Because of Mengzi and Zhuzi evolved all the same to each other as a term of their xinsung theory, come as a different meaning even practical information reveal much difference. Eventually, since Mengzi this difference inherits the theory of Mengzi but also happen cause academic differences of Zhuzi and Luguyuan.

      • KCI등재

        퇴계(退溪)와 칸트의 도덕성에 관한 고찰

        안유경 ( An¸ Yoo-kyoung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본 논문은 퇴계(이황, 1501~1570)와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도덕성을 고찰한 것이다. 퇴계의 도덕성을 구성하는 내용으로는 理, 氣, 性, 心, 情, 意 등이 있으며, 칸트의 도덕성을 구성하는 내용으로는 선의지, 이성, 의지, 의무, 도덕법칙 등이 있다. 이들 개념은 모두 각기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인간의 도덕성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로 작용한다. 퇴계와 칸트의 도덕성을 구성하는 사유구조는 누구나 선한 도덕성을 가지고 있음을 성(리) 또는 선의지로 설명하면서, 동시에 기 또는 경향성이 지배하는 감성계로써 현실 속에 만연한 인간의 부조리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칸트가 개념 사용과 원칙에서 다양한 비유와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는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사유방식을 전개하는 반면, 퇴계는 도덕적 당위를 강조하는 당위적이고 수양적인 사유방식을 정립한다. 결국 이들이 도덕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개념과 방법상에 다소 차이가 있을지라도 그 본질을 관통하는 사유구조는 다르지 않으며, 그 목적 역시 인간의 선한 도덕성을 이끌어내는데 있다. 이로써 퇴계와 칸트의 도덕성에 대한 사유구조와 그 목적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orality of Toegye(Yi Hwang, 1501~1570) and Kant(1724~1804). The contents that constitute the morality of Toegye include Li, Ki, Sung, Sim, Jung, and Eui, and the contents that constitute Kant's morality include good will, reason, will, duty, and moral law. All of these concepts do not exist separately, but act as a basis for organically combining human morality. It can be seen that the thought structure that constitutes Toegye and Kant's morality reflects the absurd situation of human beings rampant in reality as an emotional system dominated by chi or tendency, explaining that anyone has good morality by sex or good will. It is explaining that the thought structure that constitutes Toegye and Kant's morality has good morality, either by sung or by good will. At the same time, we can see that it reflects the evil situation of human beings rampant in reality as Ki or emotional system dominated by tendency. In this process, Kant develops an objective and analytical way of thinking, such as presenting various figurines and concrete examples in the use of concepts and principles, while Toegye establishes a justifiable and cultivated way of thinking that emphasizes moral justification. This means that, in the course of explaining morality, although there may be some differences in concepts and method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hought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essence, the purpose is also to elicit good morality from human beings. Here you can see the similarity between the thought structure of Toegye and Kant's morality and its purpose.

      • KCI등재후보

        철학 : 퇴계와 고봉 사단칠정론의 대비적 고찰

        안유경 ( Yoo Kyoung An ) 온지학회 2016 溫知論叢 Vol.0 No.47

        본 논문은 퇴계와 고봉 사단칠정론에 대한 해석을 대비적으로 고찰 함으로써 이들 사단칠정론에 대한 이론적 차이를 분명히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퇴계의 경우 기존의 대부분의 논문에서는 퇴계가 사단을 理發로 해석하게 된 배경에 많은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다시 말하면 사단의 순선함을 어떻게 논증할 것인가? 그것이 갖는 윤리적 도덕적 의미는 무엇인가? 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필자도 그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문에서는 사단의 理發뿐만 아니라 칠정을 왜 氣發로 해석하려고 했는지에 보다 많은 비중을 두었다. 퇴계는 사단을 理發로 보는 것과 마찬가지로 칠정을 끝까지 氣發로 해석하려고 하였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그와 상대적으로 고봉은 끝까지 칠정을 氣發로 보아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론에서 두 사람이 끝까지 양보할 수 없었던 이론적 차이가 바로 여기에 소재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make clear differences in theory Toigye and Kobong sadanchijunglon interpretation of contrast study. In the case of Toigye, the vast majority of the existing article analysis focuses on the background is Sadan interpret Libal. In other words, how will argue is Sadan of truth good? What it is the ethical or moral sense? been deployed to the center of the issue. This writer also is not to deny it. Only in this report not only Sadan as Libal, Chiljung why tried to be interpretation as Kibal, lot of assigning weights. Toigye like looking at Libal, Chiljung tried to be construed as Kibal to the end. What is the reason. He and relatively, Kobong claim not look to the end as Kibal. What is the reason. in the Toigye and Kobong sadanchijunglon the theoretical differences which can not concede until the end, I guess it has some right 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