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녹문<SUP>鹿門</SUP> 임성주<SUP>任聖周</SUP>의 성리학적 특징 고찰―기론자<SUB>氣論者</SUB>인가 이기론자<SUB>理氣論者</SUB>인가

        안유경(安琉鏡)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1

        본 논문은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1711~1788)의 성리학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녹문에 대한 기존 학계의 다양한 평가에 대해 논자 나름의 견해를 더하고자 한다. 녹문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크게 두 부류로 구분할 수 있으니, 하나는 기를 중심으로 해석하는 경향이고(氣一元論‧唯氣論‧氣學 등), 다른 하나는 기존 성리학에서처럼 리와 기의 범주 속에서 해석하는 경향이다(主氣論‧理氣一元論 등). 참고로, 전자의 경향을 기론자氣論者라고 부르고, 후자의 경향을 이기론자理氣論者라고 부르기로 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논자는 녹문을 기론자氣論者로 평가하는 것에 반대한다. 녹문은 존재근거(리)와 존재(기)의 관계로 이 세계를 설명하고 있으며, 다만 이 과정에서 무위無爲한 리를 대신하여 능能(또는 機)이라는 실제적 공능을 제시한다. 리가 무위한 추상적 관념적 개념이 아니라 실제적 공능을 갖는 실한 존재임을 ‘능’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설명한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the Neo-confucianism features of nokmun(1711~1788). Through this, various assessments of the existing academic community on nokmun have been made, I want to add my own view. The existing assessment of nokmun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One is the tendency to interpret around the ki (氣一元論, 唯氣論, 氣學 etc.), the other is the tendency to interpret in the categories of li and ki (主氣論, 理氣一元論 etc.) as in the past Neo-confucianism. For your information, the tendency of the former is called the ki theorist, and the latter is called the liki theorist. To begin with, the analyst is opposed to evaluating nokmun as ki theorist. nokmun describes the world as the basis of existence(li) between the existence(ki). In this process, however, present the practical action of neung(能) which is on behalf of a useless li. Li explained not as a useless abstract concept, but as a new concept called neung(能) or ki(機) that he is a real existence with practical action.

      • KCI등재

        갈암과 우담의 율곡 인심도심설 비판과 퇴계 인심도심설의 재해석

        안유경(安琉鏡)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29

        본 논문은 갈암(이현일)과 우담(정시한) 두 사람의 인심도심설의 특징을 대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같은 퇴계학파의 일원인 이들 학설상의 이론적 차이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를 통해 퇴계 이후 퇴계학파 성리설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되어 나갔는지 그 전개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들은 모두 율곡을 비판하고 퇴계의 호발설을 인정하지만, 둘 사이에도 학설상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갈암은 퇴계 호발설의 타당성을 설명하기 위해 분별설의 논리를 더 강조하고, 분별설의 논리에서 인심과 도심을 근원으로까지 구분해보려고 한다. 때문에 인심과 도심은 원래 ‘일원一源이 아니다’고 하더라도 그 표현이 지나치지 않다고 말한다. 반면 우담은 천지의 조화가 하나이듯이 인심과 도심도 일원一源이라는 사실을 전제하고, 그 위에 나아가서 주리 주기의 논리에 따라 인심과 도심을 구분한다. 때문에 인심과 도심을 상대시켜 말하는 것을 가지고 인심과 도심의 ‘근원이 하나가 아니다’고 말해서는 안된다고 설명한다. 다시 말하면 갈암이 분별설의 논리로써 퇴계의 인심과 도심을 상대시켜 보는 구도를 강화시켜 나갔다면, 우담은 율곡의 일원적 관점 속에서 퇴계의 호발설을 재해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갈암과 우담의 인심도심설에 대한 이론적 특징은 17세기 퇴계학파 성리설의 다양한 발전양상의 한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paper is preparation for review of Galam(Lee, hyunil) and Woodam(Jeong, sihwan) of the two men insimdosimsul characteristics, same Toigye school members these people to theories make sure there are theoretical differences, through these differences consider Toigye this after Toigye school sunglisul of systematic development aspect to a variety of. In conclusion, These are two parent criticize Yulgok and admit Toigye hobalsul, but even between them can check that there was a difference on academic. Galam to explain the feasibility of Toigye hobalsul, more emphasis on the bunbulsul logic, as bunbulsul logic sees division will be developed insim and dosim. because insim and dosim originally ‘not one source’ the expression but not too much. on the other side, Woodam movie as one the harmony between heaven and earth, insim and dosim formerly the fact that the source of one, and they decided to go on it, as juli and juki of logic divide insim and dosim. because insim and dosim speak by relative ‘source is not one’ you must never talk. In other words, Galam as bunbulsul logic Toigye enhance insim and dosim, Woodam could be seen as deadlock in the centralized point of view of Yulgok. Galam and Woodam insimdosimsul trait theory understand in a variety of one side of the developments of in the 17th century Toigye school sunglisul.

      • KCI등재

        17세기 퇴계학파 존재‧갈암‧항재 삼형제의 인물성동이론 고찰

        안유경(安琉鏡)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3

        본 논문은 17세기 퇴계학파의 일원인 존재存齋(李徽逸, 1619~1672)와 갈암葛庵(李玄逸, 1627~1704)과 항재恒齋(李嵩逸, 1631~1698) 삼형제의 인물 성동이론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퇴계학파 인물성동이론의 발단은 17세기 중반 이후에 존재‧갈암‧항재 삼형제 사이의 논변에서 시작된다. 존재와 갈암은 이론異論을 제시하여 동론同論을 주장하는 동생 항재와 토론을 벌임으로써 인물성동이론을 중요한 쟁점으로 등장시킨다. 이들의 논변은 주로 ‘사람과 사물의 성이 같은지 다른지’ 또는 ‘사람과 사물이 오상의 덕을 가지고 있는지’의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 물론 이것은 18세기 초부터 활발하게 일어난 기호학파의 인물성동이론이 미발심체未發心體의 순선純善 유선악有善惡이라는 심의 문제로 심화되어 학파의 분기를 초래할 만큼 첨예한 논쟁으로 전개된 것과는 구분된다. 이들 삼형제의 인물성동이론은 퇴계학파 인물성동이론의 발단을 장식한 것으로써 그 범위나 규모는 비록 작았으나, 그 쟁점의 논리적 전개는 분명히 드러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the theory of Inmulseongdongi of the three brothers, Jonjae(Lee Hwi-il, 1619~1672) and Galam(Lee Hyun-il, 1627~1704) and Hangjae(Yi Sung-il, 1631~1698), who are members of Toegye school in the 17<SUP>th</SUP> century. The beging of Toegye’s Inmulseongdongiron begins with the argument between the three brothers, Jonjae and Galam and Hangjae, after the mid-17<SUP>th</SUP> century. Jonjae and Galam presented ‘different theory’ and held discussions with his younger brother Hangjae, who argued for ‘same theory’, making the theory of Inmulseongdongi an important issue. Their arguments are mainly focused on the question of whether people and things of nature have the same or different or whether people and things have the five constant virtues. Of course, this is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the Kiho’s school of Inmulseongdongi theory, which has been active since the early 18<SUP>th</SUP> century,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fact that it was deepening into a matter of mibal good and evil and developed into a sharp argument that led to a school branch. Therefore, although the scope and scale of these three brothers’ Inmulseongdongi theory were small, the logical development of the issue was clearly revealed.

      • KCI등재

        퇴계(退溪)와 칸트의 도덕성에 관한 고찰

        안유경 ( An¸ Yoo-kyoung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본 논문은 퇴계(이황, 1501~1570)와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도덕성을 고찰한 것이다. 퇴계의 도덕성을 구성하는 내용으로는 理, 氣, 性, 心, 情, 意 등이 있으며, 칸트의 도덕성을 구성하는 내용으로는 선의지, 이성, 의지, 의무, 도덕법칙 등이 있다. 이들 개념은 모두 각기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인간의 도덕성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로 작용한다. 퇴계와 칸트의 도덕성을 구성하는 사유구조는 누구나 선한 도덕성을 가지고 있음을 성(리) 또는 선의지로 설명하면서, 동시에 기 또는 경향성이 지배하는 감성계로써 현실 속에 만연한 인간의 부조리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칸트가 개념 사용과 원칙에서 다양한 비유와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는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사유방식을 전개하는 반면, 퇴계는 도덕적 당위를 강조하는 당위적이고 수양적인 사유방식을 정립한다. 결국 이들이 도덕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개념과 방법상에 다소 차이가 있을지라도 그 본질을 관통하는 사유구조는 다르지 않으며, 그 목적 역시 인간의 선한 도덕성을 이끌어내는데 있다. 이로써 퇴계와 칸트의 도덕성에 대한 사유구조와 그 목적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orality of Toegye(Yi Hwang, 1501~1570) and Kant(1724~1804). The contents that constitute the morality of Toegye include Li, Ki, Sung, Sim, Jung, and Eui, and the contents that constitute Kant's morality include good will, reason, will, duty, and moral law. All of these concepts do not exist separately, but act as a basis for organically combining human morality. It can be seen that the thought structure that constitutes Toegye and Kant's morality reflects the absurd situation of human beings rampant in reality as an emotional system dominated by chi or tendency, explaining that anyone has good morality by sex or good will. It is explaining that the thought structure that constitutes Toegye and Kant's morality has good morality, either by sung or by good will. At the same time, we can see that it reflects the evil situation of human beings rampant in reality as Ki or emotional system dominated by tendency. In this process, Kant develops an objective and analytical way of thinking, such as presenting various figurines and concrete examples in the use of concepts and principles, while Toegye establishes a justifiable and cultivated way of thinking that emphasizes moral justification. This means that, in the course of explaining morality, although there may be some differences in concepts and method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hought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essence, the purpose is also to elicit good morality from human beings. Here you can see the similarity between the thought structure of Toegye and Kant's morality and its purpose.

      • KCI등재

        이항로의 주리론적 성리학 특징 고찰

        안유경 영남퇴계학연구원 2022 퇴계학논집 Vol.- No.31

        In this paper, examine how his Juri theoretical thinking developed in neo-confucianism,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insimdosim and sadanchiljung among Hwaseo's Ligi and simsung theory, and confirm that these Juri theoretical thinking leads to the theoretical basis of his saving the country practice. Above all, Hwaseo emphasizes Li's uniqueness that does not mix with Gi. Li's an independent positionition as the leader and presiding over the Gi is secured only when speaks only Li without mixing it with Gi, which leads to thinking such as Lisun-Gihu, Lijon-Gibi, Liju-Giyeug, and Risun-Giak, and at the same time, it also develops in simsung theories such as his insimdosim and sadanchiljung. In the end, Hwaseo's Juri theoretical thinking provided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for realiz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onfucian scholars during an urgent period when the political situation demanded the implementation of the salvation. 본 논문에서는 화서의 주리론적 사고가 이기론과 심성론, 특히 인심도심설과 사단칠정론을 중심으로 그의 성리설 전반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나갔는지를 살펴보고, 아울러 이러한 주리론적 사고는 그대로 그의 위정척사운동과 같은 救國실천의 이론적 근거로 이어짐을 확인한다. 무엇보다 화서는 기와 섞이지 않는 리의 독자성을 강조한다. 기와 섞지 않고 오로지 리만을 말할 때에 비로소 기를 통솔․주재하는 리의 독자적 지위가 확보된다. 이것은 그대로 理先氣後․理尊氣卑․理主氣役․理善氣惡 등의 사고로 이어지며, 동시에 인심도심설과 사단칠정론과 같은 그의 심성론에서도 그대로 전개된다. 결국 화서의 주리론적 사고는 당시 정국이 救國의 실천을 요구하는 긴박한 시기에 위정척사운동을 전개하여 유학자들의 적극적 현실참여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 KCI등재

        대산 이상정의 미발론 연구

        안유경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2

        This paper is based on the mibal theory of Daesan(1711-1781). Daesan's mibal theory is in favor of the interpretations of Zuzhi.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make it the Jungyonghokmun to use as a standard. There are some changes in the Zuzhi of interpretation, Daesan interpret on a basis Jungyonghokmun of content. In other words, mibal time have a perceptual activity, corresponding to Gongui, and can be see and heard in the time of mibal. So why should you stay awake and not be too blind at the time of Mibal? This is because the mind is work through mibal and ibal. From here, Daesan raises the theories of ‘jungjoongjidong’ and ‘dongjoongjijung'. Even in the time of silent mibal, the principle of moving is already in place, even when you're getting a ibal, you already have a quiet principle. It is said that you need to stay awake at all times to deal with ibal. Therefore, the perception should always be kept awake even during the time of mibal, and the study of ‘Kyeong’ by sangsungsung is also stressed. This is a characteristic of the theory of confucianism, which distinguishes it from Buddhist practice of breaking off relations with things by seeking only silence, the meaning of mibal theory can also be found here. 본 논문은 大山 李象靖(1711~1781)의 미발론을 고찰한 것이다. 대산의 미발론은 주자의 해석을 계승하는 입장이다. 특히 대산은 주자의 『중용혹문』의 내용을 정설로 삼을 것을 강조한다. 미발론에 대한 주자의 해석에 일부 변화가 있지만, 대산은 주자 『중용혹문』의 내용에 근거하여 자신의 미발론을 해석한다. 즉 미발의 때에도 지각작용이 있으며, 미발은 곤괘에 해당하며, 미발의 때에도 보고 들음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미발의 때에는 지각이 어둡지 않고 깨어있어야 하는가? 왜냐하면 마음이란 未發(정)과 已發(동)을 관통하여 유행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대산은 ‘靜中之動’과 ‘動中之靜’의 이론을 제기한다. 고요한 미발의 때에도 이미 움직이는 이치가 갖추어져 있고, 움직이는 이발의 때에도 이미 고요한 이치가 갖추어져 있다. 미발의 때에 지각이 항상 깨어있어야 이발의 일에 언제든지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미발의 때에도 지각은 언제나 깨어있어야 하며, 또한 미발 때의 지각이 항상 깨어있도록 하는 常惺惺의 ‘경’공부가 강조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고요함만을 구하여 사물과의 관계를 끊어버리는 불교의 坐禪과 구분되는 유가 수양론의 특징이며, 미발론의 의미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율곡 성리설에 대한 갈암과 우담 비판이론의 대비적 고찰

        안유경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2 儒敎文化硏究 Vol.- No.20

        갈암(葛庵 李玄逸, 1627~1704)과 우담(愚潭 丁時翰, 1625~1707)은 각각 「율곡이씨논사단칠정서변(栗谷李氏論四端七情書辨)」(1688, 62세)과 「사칠변증(四七辨證)」(1696, 72세)을 지어 일찍이 ‘사단칠정을 이기로 해석한’ 퇴계의 해석에 대한 율곡의 이견(異見)을 비판함으로써, 즉 퇴계설을 변호하고 율곡설을 배척함으로써 퇴계학파 형성에 주도적 역할을 한 대표적인 퇴계학파의 일원이다. 이에 본문에서는 율곡이 우계(牛溪 成渾, 1535~1598)에게 보낸 서신(答成浩源書)에 대해 갈암과 우담이 제기한 비판적 견해를 중심으로, 이들 두 사람의 성리설을 상호 비교․분석하여 그 같은 점과 다른 점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하면, 갈암이 율곡을 비판하기 위해 뽑아놓은 글 19조목과 우담이 율곡을 비판하기 위해 뽑아놓은 글 41조목 중에서 서로 겹치는 내용을 중심으로 주제별로 발의 문제, 사단칠정의 문제, 인심도심의 문제를 차례대로 비교 분석한다. 즉 주제별로 갈암과 우담의 율곡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분석하고, 동시에 이들 두 사람의 논변상의 동이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퇴계의 이원적 체제를 철저히 견지하는 측면(갈암)과 율곡의 일원적 입장을 포용하는(우담) 두 측면을 확인할 수 있다. 우담의 경우, 퇴계의 호발설을 적극 지지하면서 율곡의 일원적 입장을 포용하는 현상이 동시에 나타난다. 따라서 퇴계학파 내의 이처럼 다양한 성리설에 대한 해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퇴계 이후 퇴계학파 내에서 ‘퇴계학이 어떻게 전개되어 나갔는지’의 그 전개양상을 가늠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 KCI등재

        21세기 생태환경 문제에서 인간에 대한 해석과 그 역할- 퇴계 이황과 머레이 북친을 중심으로 -

        안유경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2 퇴계학논총 Vol.40 No.-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pretation of humans and the role of Toegye Lee Hwang and Murray Bookchin as part of practical alternatives to today's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that humans are the main culprit of environmental problems. As a result, when human responsibility is exercis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humanity or reason, finally can love others and benefit everything, harmonize the entire planet, and create a rational society. This is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Toegye and Bookchin demand from humans. In the end, Toegye and Bookchin both recognize human excellence by distinguishing humans from other natural objects, and on the premise of such trust in humans, it is possible to harmonize with everything in nature when restoring the right human image. 본 논문은 생태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주범이 인간이지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역시 인간에게 있다는 시각에서, 오늘날 생태환경 문제에 대한 실천적 대안의 일환으로서 퇴계 이황(1501~1570)과 머레이 북친(1921~2006)의 인간에 대한 해석과 그 역할을 고찰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仁의 실현 또는 이성의 실현을 통해 인간의 책임감이 발휘될 때에 비로소 남을 사랑하고 만물을 이롭게 하여 지구 전체가 조화를 이루며 나아가 합리적 사회를 창조해나갈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퇴계와 북친이 인간에게 요구하는 역할이요 책임감이다. 결국 퇴계와 북친은 모두 인간과 여타 자연물을 구분함으로써 인간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이러한 인간에 대한 신뢰를 전제로 올바른 인간상을 회복할 때에 생태환경 문제를 비롯한 자연만물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이진상과 곽종석의 미발 때의 기질지성 유무 해석 고찰

        안유경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 한국학 Vol.47 No.1

        This paper considers whether there is Gijiljiseong in Mibal developed between Hanju (Lee Jin-sang, 1818–1886) and Myeonwoo (Kwak Jong-seok, 1846–1919). While Hanju argued by comparing Mibal/Bonyeonjiseong and Ibal/Gijiljiseong (there is no Gijiljiseong in Mibal), Myeonwoo argued for Mibal and Ibal as one Gijiljiseong (there is Gijiljiseong even in Mibal). This raises the problem of good and evil. If Hanju is then interpreted as meaning that a person is pure and evil because he has no Gijiljiseong in Mibal, and only Bonyeonjiseong, Myeonwoo, on the contrary, holds that good and evil coexist because a person has Gijiljiseong in Mibal. This is the practical consequence of their theoretical difference as to “whether or not there is a Gijiljiseong in Mibal.” 이 논문은 한주 이진상(1818~1886)과 면우 곽종석(1846~1919) 사이에 전개된 미발 때의 기질지성 유무(劔摾)를 고찰한 것이다. 이진상이 미발 때의 본연지성과 이발 때의 기질지성으로 상대시켜 해석한다면(미발의 때에는 기질지성이 없다), 곽종석은 미발과 이발을 통틀어 기질지성하나로 해석한다(미발의 때에도 기질지성이 있다). 이것은 그대로 선악의 문제로 이어지니, 이진상이 미발의 때에는 기질지성이 없고 본연지성뿐이므로 순선무악(筙ㄌ摾䞓)하다고 해석한다면, 곽종석은 미발의 때에도 기질지성이 있으므로 기질의 청탁수박(庎懊窔뉧)에 따라 선악이 존재한다고 해석한다. 이것이 바로 ‘미발 때의 기질지성 유무’에 대한 이들의 이론적 차이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