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모험의 가능성과 제국의 균열 - 『소년』의 번역 텍스트와 역사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

        안용희 ( Ahn Yong-heui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8 국제어문 Vol.43 No.-

        근대 초기 동아시아에서 모험과 탐험의 서사는 제국주의의 산물이면서도 그에 대응하는 사회적 매개로 인식되면서 그 자체 양가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본고는 로빈슨 크루소의 번역 텍스트를 비롯한 잡지 소년의 기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양가성이 식민주의에 대한 저항의 가능성으로 읽힐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근대 모험 서사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로빈슨 크루소` 원작의 불안정성은 제국주의적 자유주의의 자기 모순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최남선은 번역을 통해 식민주의의 허위성을 강조하는 한편 모방이 지닌 혼종성의 저항적 의미를 살리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저항은 식민화라는 현실적 상황에서 그 의미가 약화되기 마련이다. 더욱이 최남선의 인식이 근대적 학문 체계를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화된 제국에 대한 저항 가능성은 상대적인 열등이라는 한계에 처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지점에서 그는 근대적 교통수단을 통해 획득한 감각의 새로움과 역사 이전으로 확대된 시간축을 결합함으로써 근대성으로 포섭되지 않는 역사적 상상력을 생산해낼 수 있었으며 이는 식민화된 지식체계에 대한 새로운 저항이 생성될 수 있는 가능성의 영역을 제시한 것이다. In the East-Asia of early modern, the narratives of adventure and exploration, the products of imperialism in itself, were accepted as the counter-measures against empires. In the earlier studies, such ambivalence has been considered as the imitation after the empire`s modernization or the expression of nationalism. This study purposed to search for the potentiality of resistance to the colonialism in it as the subject of SoNyeon(少年)`s articles including the translation text of Robinson Crusoe. The instability of the original Robinson Crusoe as the archetype of modern narratives about adventures shows the self-contradiction of the imperialist liberalism. By the translation of it, Choi, Nam-sun emphasized the infirmity of colonialism, and acquired the significance as resistance of hybridity by the mimicry. However, such significance was inclined to weaken easily in process of colonization. Rather, the potentiality of the resistance to modernized empires had the limit of relative inferiority in that Choi`s cognition was based on the modern system of sciences. At this point, he tried to create the historical imagination above the modernity by connecting the newness of sense in the modern means of transportation with the time axis extending to the pre-history. Through it he presented the realm of the potentiality, where the new resistance to the colonized system of sciences was able to appear.

      • KCI등재

        염상섭 초기 소설의 세대의식과 공동체 윤리의 문제

        안용희 ( Ahn Yong-heui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7 No.-

        본고는 공동체 개념을 1920년대 문학을 바라보는 새로운 틀로 제기하고자 한다. 즉, 공동체와 사회라는 종래 서구 사회학의 개념적 틀에서 벗어날 필요를 제기하고 새롭게 근대 사회의 영역들을 구축해나가기 시작한 20년대 초반 조선에서 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를 염상섭 소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로써 3.1운동 전후 총독부의 사회 담론에 대응해 새롭게 형성되어가던 사회를 염상섭이 어떻게 인식하고 형상화하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하나의 세대로 묶여 논의되었던 3.1운동 이후의 청년 세력이 자체 내에 여러 지류를 담고 있었으며, 그 각각의 지류가 개조의 흐름과 맞물려 새로운 사회 구성에 대한 기획을 보여주었음에 주목하였다. 이 과정에서 염상섭 초기 소설에 등장하는 두 가지 여성의 이미지, 즉 목 조르는 여자와 자살하는 여자를 토대로 1920년대 사회에서 여성의 자유연애가 지니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또한, 본고는 자유연애가 가족 구성의 새로운 방법으로 모색되었다가, 사회에 대한 여러 세력 간의 헤게모니 투쟁 안에서 그 의미가 변질되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헤게모니 투쟁 과정에서 자유가 성별정치와 연계되면서 여성은 사회에서 수동적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이 점에서 본고는 20년대 `자유`의 속성에 대해 물을 수 없게 된 이유가 부자유한 식민지 상황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 헤게모니 투쟁 과정에서 사회의 진정한 의미에 대한 질문이 부재한 데에서 비롯되었음을 「미해결」의 여성 이미지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aimed at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young people generation`s differentiation in early 1920s`, on the base of two kinds of woman image, the strangling woman and the suiciding woman in Yeom Sang Seop`s early novels. And, in this process, we tried to reveal the way how Yeom recognized and embodied the meanings of societies newly-developed against the society discourse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round the 1919[Samil] Independence Movement. Especially, it was taken notice that free-love was sought as the new way for the family formation, then was disparaged through the hegemony struggle by diverse groups which tried to make the community into the socialized notion. It means that the ground why properties of `free` in free-love was not investigated is not the colonial situation, but the absence of inquiries about the true community in that struggle. This article emphasized the necessity the argument about the community get out the concept frame by the western sociology, and tried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the community in 1920s` Chosun where the modern social spheres was just formed, through the novels.

      • KCI등재

        감정과 화폐의 경제학

        안용희(Ahn, Yong-heui)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9

        본고는 식민지 근대소설을 다루는 최근 논의의 토대로서 탈식민주의 등 포스트 담론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담론들은 자본주의와 연계한 민족-국가 체제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출발했지만, 여기에서 비롯된 세계체제론은 민족-국가로 포섭되지 않는 가능성으로서의 공동체(들)을 간과하고 있다. 본고는 공동체를 가치를 교환하고 공유하는 집단으로 규정하면서 자본의 합리성을 중심으로 권력이 재편되는 근대 사회의 성격에 대응해 식민지 조선의 소설이 어떠한 서사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런 점에서 본고는 자본주의 체제와 본격적으로 접속하기 시작한 20년대 조선에서 자본-민족-국가의 고리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문학적 시도로서 나도향 소설에 주목하고 비근대적 가능성으로서 공동체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나도향 소설은 20년대 초반의 주된 주제인 ‘자아’ 탐색과 관련하여 논의되어 왔지만, 그 이면에 위치한 ‘자본’의 문제에 주목할 때 문학사적 의미가 보다 분명해진다. 즉, 예술가에서 노동자로 주요 인물의 형상이 변모하는 과정은 낭만주의에서 사실주의로의 사조의 전환을 보여주기보다, 근대소설에서 내면의 형성이 화폐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가리킨다. 특히, 어떤 계기로 ‘눈물’이라는 초기 작품 속 ‘사건’이 서사 내에서 약화되고 화폐라는 매개를 통해 현실을 바라보게 되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낭만적 감상성으로 평가되어왔던 초기 나도향 소설의 성격을 새롭게 밝힐 수 있다. 이는 시민 사회의 합리성을 기본으로 하는 민족주의 문학이나 계급주의 문학이 주목하지 않은 감정의 문제와, 자본화되기 이전 화폐의 문제를 연결함으로써 자본과 근대의 논리에 포섭되지 않는 공동체 의식을 지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뽕」에서 그려진 공동체의 모습을 분석함으로써 20년대 농촌소설의 의미를 새롭게 논의할 수 있다. In this essay, I tried to view critically the various "post" discoures, on which recent discussions about during the colonial korea have been carried out, and analyze Do-Hyang Rah"s novels as the commnity-oriented literary implementation in 1920s" colonial Korea. For I have thought that the world system"s understanding on the basis of those discorses could overlook the potential of community, which nation-state can"t include in itself, though they have arisen from the critical consciousness against the nation-state connected with capitalism. And Rah"s novels woulhav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self-construction in the early 1920s" literary works, but I think that their significance in literay history could be proven, when they are inquired with the capital of inside factor. Especially, the trandfiguration proces from poor young-artist to laborer indicates that the "interior" formation in modern fictions was connected with the money, through which Rah could recognize the reality more correctly after the "tears", early novels" materials were weakened. So, the insight into tears and money in his novels can find the their qualities from new point. This approach have the significance in the point that feeling, which nationalist and socialist writers didn"t take notice on the grouds of western civil society"s rationalty. and the money, non-capital can reveal the community imagination, non-modern and non-capitalistic logic. The discussion in this essay may be a kind of takeoff, where the colony"s novel, including Chosun"s, can show the narrative potential against the modern soiety"s logic on the basis that commnity shares the value. Further, the centripetal force will strenthen more in the colony as non-modern situation. Finally, it will arrange the view-point, through which we can"t appreciate the colonial Korea as modern world"s margin, post-modern system"s componetn, but as non-modern.

      • KCI등재

        신문연재소설 『무정』의 서술전략

        안용희(Ahn, Yong-hui)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4

        본고에서는 『무정』의 새로운 자리 매김을 위해서 신문연재소설로서의 서술전략에 주목하였다. 문학과 대중문화의 관계를 재설정할 필요성이 대두된 시점에서 『무정』은 그 서술전략상 특성을 통해 새로운 의미의 지평을 획득할 수 있는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무정』에서는 매일 한 회씩 게재하는 신문연재소설의 특성을 고려하여 독자의 욕망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동시에 욕망 충족을 지연시키기 위한 완충장치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장치들은 주제적 차원의 대단원을 강조하는 장편소설의 기승전결식 서사와 달리 다양한 가치를 등가적으로 바라보면서 독자의 관심을 확장하고 연계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무정』에서는 에피소드의 연쇄를 통해 당대 조선사회의 현실과 그것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지만, 후대의 독자들은 여기에서 주제적 차원에서의 민족주의를 읽어 내거나 정결성에 집착하는 왜곡된 근대성의 세계관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독법은 신문연재소설의 대중지향성 대신에 물신성에 기초한 해석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지금의 독자가 민족과 근대를 넘어선 텍스트의 빈틈까지 탐사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 예술의 ‘성애학’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tried to concentrate on the narrative strategies as the newspaper serial novel of Moojeong. It has the devices to repeatedly generate the desire to readers’ horizon of expectation, at the same time, it arranges the emotive buffer for delaying satisfaction. These devices judges the characters’ decisions by rule of equivalence, expands and connects the readers’ interests, while the full-length novels underline the finale of thematic level. Moojeong proposed the Joseon society’s direction of the time through the linked episodes, but the later readers detected the nationalism or the distorted modernity to fetishize the clearness in Moojeong, which head to interpretation based on fetishism instead of the popularity. However, when these days’ readers can explore the gap over the nation and the modernity, the authentic erotics of arts will arrive.

      • KCI등재

        그늘에 피는 꽃, 최서해 문학의 아포리아

        안용희 ( Yong Heui Ah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7 No.-

        1920년대 조선의 문학계에서 최서해 소설이 주목받은 결정적 대목은 그것이 당대 민중이 직면한 궁핍함을 체험을 통해 형상화한 데 있었다. 그의 소설 안에서 가난에 근거한 극단적 분노의 표출은 문학적 열정을 대변하는 동시에 현실에 대한 강렬한 인식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카프의 활동에서 이념이 우선시되면서 문단 내에서 최서해 식의 분노가 맡은 역할은 사실상 막을 내리게 된다. 이 점에서 초기 최서해 소설에서의 분노를 바라보는 당대 문학계의 시선은 가난을 둘러싼 근대국가의 통치술과 유사하다. 근대 국가체제 안에서 가난이 국가의 부를 위해 통제되어야 했던 것처럼 사회주의 문학 안에서도 분노는 이념의 문학적 형상화로서만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다. 창작활동의 중ㆍ후반기에 주로 소시민적 정서를 다루었던 최서해는 여타 문인들로부터 초기의 신념을 잃고 현실과 타협하였다는 평가를 받게 되고 이는 최서해 소설을 파악하는 기본틀이 된다. 최서해 문학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위해서는 그 문학적 본질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부터 다시 질문해야 한다. 최서해 문학의 출발점에는 간도에서의 빈궁 체험과 분노로 인한 폭력이 가로놓여 있는데, 이는 언뜻 세계에 대한 개인적 차원의 저항처럼 비친다. 이를 연애에 대한 낭만주의적 열정과 견줄 수 있다. 하지만, 최서해에게 폭력은 사회가 틀 지어놓은 개인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한 몸부림으로서, 이러한 사실은 초기부터 그가 문학을 대사회적 행위로 인식했음을 보여주는 근거이다. 소시민적 정서를 형상화하는 단계에서도 그는 소시민적 삶과 주변부의 삶을 병치시키면서 그것들의 동질성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최서해는 주변부의 삶이야말로 배제와 포함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사회를 유지하는 ``가난``의 다른 이름이며 소시민적 삶 역시 이와 다르지 않음을 설파한다. 최서해는 대상화된 가난이 공동체적 삶을 가로막는 비주권적 현상임을 인식하는 동시에, 그것이 폭력만으로는 해소될 수 없는 문제임을 깨달았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폭력과 같은 구체적 행동 방식을 찾지는 못했지만 최서해는 가난한 자들 사이의 동질감을 강조함으로써 최종심급으로서의 자본을 넘어 연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나갔던 것이다. Choi, Seo-hae`s novels were definitely focused on in the 1920s` literary circle because they embodied the people`s poverty by Choi`s firsthand experience. In his novel, the expression of extreme anger against the poverty doesn`t represent only his literary passion, but also shows his intense recognition about the reality. However, as KAPF put the ideology above everything, effectively Choi`s role in litery circle came to the end. In this regard, the 1920s` literary attention for the anger in Choi`s novels was like the modern state`s governmental strategy surrounding the poverty. As, in the modern state system, the poverty have been controlled for the national wealth, the anger in the socialism literature was given significance to only as the literary figuration of ideology. So, Choi, who dealt with petit bourgeois`s sentiment mostly in his mid-to-late novels, was evaluated as that he com-promised with reality, losing faith. For the just evaluation about Choi`s literature, we should rethink from what was the point of that. The experience about poverty in Kando(間島) and the violence from the anger, which were situated mainly at the starting point of Choi`s literature, seem to be the individual resistance against the outside. Therefore, they can be compared with the romantistic passion for love. However, Choi considerde the violence as struggle for overcoming individual limit. This is the proof for that he thought the literature as social behavior from the early stage. Embodying the petit bourgeoi`s sentiment, he placed the petit bourgeoi`s lives and the lives of margin in juxtaposition, and paid attention to their homogeneity. By this, Choi stressed the fact that the marginal lives, that is to say the poor, maintained the society repeating exclusion and inclusion and ultimately were equal to the petit bourgeoi`s. Choi realized that the poverty as object was the non-sovereign phenomenon disturbing the community life and it couldn`t be settled only by the violence. Eventually, Choi couldn`t find out the specific behavior like violence, but he sought for the possibility for solidarity above capital as last instance, stressing the homogeneity between the poor.

      • KCI등재

        서브컬처로서의 박태원 소설에 대한 고찰

        안용희 ( Ahn Yong-hui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한국문학연구 Vol.- No.67

        이 글에서는 1930년대 발표된 박태원의 소설 중 구인회, 특히 작가 이상을 소재로 삼은 작품들에서 상호텍스트성을 재검토하고 세계대공황과 관련하여 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카프 중심의 리얼리즘 문학에 대한 대타항으로 인식되어왔던 구인회의 문학을 주류 문화에 대한 서브컬처로서 고찰할 때 그 성격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박태원의 소설이 허구 세계의 창조를 통해 미학적 자율성을 추구한다는 모더니즘 문학의 명제를 공유하면서도 이러한 허구 세계를 통해 또 다른 리얼리티를 구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박태원 소설은 구인회를 중심으로 한 허구 세계를 반복해서 재창조하되 그 세계가 자본이 구성한 리얼리티의 작동 원리를 무화하는 양상에 주목함으로써 실재하지만 은폐되어 있는 삶의 또 다른 경로를 형상화했던 것이다. 이러한 박태원 소설의 세계는 19세기 세계화를 통해 구축된 금본위제에 토대를 두었다가 그것의 토대가 허구로 드러나는 20세기 전반기의 경제적 상황에 일정 부분 대응한다. 유럽의 모더니즘 문학이 세기말의 풍요로부터 비롯되어 미학적 자율성을 강조했다면, 구인회 문학은 당대 자본주의의 풍요가 허구에 기반을 둔 것이며 이 허구 위에 조선의 식민지 경제가 구축되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박태원 소설의 사유는 두 차례의 세계대전 이후 브레턴우즈 체제라는 새로운 자본주의 시스템이 전개되는 동안 현실적인 힘을 발휘하지 못했지만 신자유주의적 패러다임 아래에서도 여전히 존재하는 삶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충분하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reexamine the intertextuality of Park Tae-won's 1930's novels and to make it meaningful in relation to Great Depression. Especially, this article attempted to emphasize that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re clearly revealed when considering the literature of Guinhoe (九人會), which has generally been recognized as the counterforce for KAPF's realism, as a subculture. Park Tae-won's novels shared the proposition of modernist literature pursuing aesthetic autonomy through the creation of the fictional world, while acquiring the character of modernism that builds another reality. Namely, Park Tae-won's novels repeatedly embodies the fictional world centered on Guinhoe, but shows the potential path to real life by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 of the world to defeated by the principle of reality composed by capital and to neutralize it. The world of Park Tae-won's novels is responding to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20th century, in which the imagined reality of the gold standard is fictional. While The modernism of Guinhoe is different from the modernism in Europe which stemmed from economic abundance in the Belle Epoque, in that it recognized that this abundance was based on “fiction” and that Joseon's colonial economy was built on top of this capitalist fiction. The conception for Park Tae-won's novels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still valid life under the Neo-liberalism, although it was not a realistic alternativ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Breton Woods system.

      • KCI등재

        자본의 광학(光學)과 루저 혁명가 이상(李箱)

        안용희(Ahn, Yong-hui)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5 No.-

        이 글에서는 여전히 그 의미가 명확하게 해명되지 않은 동경행 등 이상의 후기활동을 작가론의 시각에서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는 1930년대 대표적 모더니스트로 문학사적 위치가 확고히 정립된 이상의 인간적 면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부터 비롯되었다. 문학은 시대와 사상의 반영물이기에 앞서, 인간적 고뇌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1920년대 전반기 조선의 문화적 장 안에서 다다이즘의 위치를 고찰하는 데서부터 논의를 시작하였다. 조직적 운동으로 전개되지는 못했지만, 다다이즘은 3.1운동 이후 식민지 자본주의가 자리잡아가는 과정에서 조선 사회에 하나의 담론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다른 한편으로는 3.1운동 전후와는 다른 세대적 감각으로 작동하기도 하였다. 세대적 감각의 토대가 되었던 다다이즘이 이상 문학에 끼친 영향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일차적 목표이다. 또한, 이 글에서는 금홍과의 결별, 경제적 파산, 성천행에 이어 동경으로의 도항을 선택한, 1935년 이후 이상의 행보와 다다이즘의 담론적 가능성이 어떻게 연관되는지도 해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이 글에서는 근대적 광학의 사유와 식민지 자본주의, 그리고 이들을 넘어서고자 하는 문학적 상상력이 어떠한 길항관계를 이루는지 따져보았다. 이와 함께, 이 글에서는 이상이 자발적 루저의 길을 선택함으로써 근대초극론에 앞서 혁명가적 사유를 보여주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shed new light on Yi-sang’s later career, such as crossing to Tokyo, whose meaning has not yet been clearly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n the study of writer. It originated from critical mind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Yi-sang’s human aspect. Literature reflects the times, but is also a product of human anguish. To this end, I began the discuss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Dadaism in the early 1920s. Although Dadaism did not develop into an organized movement, it presented the discourse as a possibility to Joseon society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nd, it also worked with the generation’s sensitivity that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vious generation. In this poin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at clearly what the effects of Dadaism have had on literature. Also,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plain how this is related to Yi-sang’s step after 1935, such as the break with KeumHong, the economic collapse and the trip to Sungcheon. Through this article, I want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reasons of modern optics, colonial capitalism, and literary imagination. In addition,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reveal that taking the path of voluntary loser, Yi Sang showed the willing for the revolution in advance of the overcoming-modernity theory.

      • KCI등재

        이기영 소설의 모성과 사회주의라는 가능성

        안용희(Ahn, Yong-hui)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0

        이기영 소설의 초기부터 반복해서 등장하는 인물 형상으로는 어머니를 꼽을 수 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대표작으로 거론되는 고리키의 『어머니』에서 혁명적 동지로 의식화되는 어머니의 형상을 고려할 때, 이기영 소설의 어머니는 사회주의나 리얼리즘의 기준으로 평가할 때 함량 미달일 수밖에 없다. 오히려 이기영 소설의 어머니 형상은 본능으로서의 모성을 강조하고 육체의 감각을 통해 자연의 발현을 모색한다. 이러한 이기영 소설의 어머니 형상은 초기 사회주의 잡지인『대중시보』를 통해 드러난 미국 사회주의의 사유와 일맥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1920년대 초 새로운 운동 세력은 워싱턴 회의의 좌절감 이후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가운데 사회주의를 지향하게 되었고 그 가운데에는 다양한 가능성들이 잠재해 있었다. 미국 사회주의 역시 그러한 가능성들 중 하나로서 이러한 사유는 이기영이 어머니 형상을 통해 보여준 것과 공유하는 지점을 가진다. 이는 이기영이나 초기 사회주의자들이 미국으로부터 사회주의를 곧바로 수입했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코민테른이라는 특정한 사회주의 지향성만이 현실화 되었던 식민지 시기의 사회주의적 상상력이 보다 폭넓은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In Lee Ki-Young’s novels, mother character appears repeatedly from early times. Compared with ‘mother’ in Maxim Gorki’s Mat, who was conscientized into revolution comrade, it cannot help falling in the estimation by socialism, realism and socialistic realism. Unlike mother character according with social realism, Lee Ki-Young characterized mother through instinctive motherhood and sought the nature by physical sense. Mother character in Lee’s novels has common with American socialism’s thought in Daejungsibo, an early socialistic magazine. Searching for new orientation from frustration after Washington Conference, New movement powers in 1920s’ Joseon followed socialisms, which include American socialism. It means that the socialistic imagin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had wide spectrum besides the Comintern’s socialism.

      • KCI등재

        X세대의 상상력과 ‘리얼리티’의 갱신

        안용희 ( Ahn Yong-hui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61

        한국에서의 신세대론은 발전의 명분을 앞세워 반복적으로 제기되어왔다. 그 중에서도 X세대로 통칭되는, 1990년대 초반의 신세대에 대한 논의는 마르크스주의의 패퇴라는 시대적 흐름에 대응해 자본주의 소비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 점에서 X세대는 하나의 연령집단이기보다 당시의 혼란스러운 사회상을 대변하는 명칭이었다. 다른 한편, X세대는 자유에 대한 문화적 상상력을 통해 기존의 진보적 정치담론과는 이질적인 방식의 리얼리티를 지향했던 사유의 주체를 의미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다수 지식인들이 제도적 민주화 아래 국가의 안정을 강조하면서 자유주의가 대두되었고 실질적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는 유보되었다. 또한, X세대에 대한 비판은 급진적 상상력에 보수적으로 대응하는 근거가 되었고, 신세대론 역시 자본주의의 일상화를 비판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자본과 근대에 기초한 기존의 리얼리티 구축을 극복하려는 변화의 흐름은 무시된 채 소비문화의 주체로서만 신세대의 성격이 부각되었던 것이다. 이런 흐름에서 마르크스주의의 극복에서부터 출발한 포스트모더니즘 역시 자본주의를 체념적으로 수용하는 시각으로 축소되었고, X세대의 문화를 통해 기획되었던 전복의 상상력은 신자유주의의 도래로 쉽사리 폐기되었다. 문화적 주체로서의 X세대와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90년대 초반 이루어진 급진적 상상력은 세대 담론은 여전하지만 자본주의적 사유를 넘어서지 못하는 현재 시점에서 다시 검토가 필요하다. 그것은 87년 체제의 의미를 되살리는 동시에, 자본을 넘어선 가치의 체계를 구축하는 첫 걸음이기도 한 것이다. The new generation discourse has been repeatedly raised since modern times on the pretext of development and progress. Among other things, the new generation discourse in the early 1990s centered around critical views on the consumption culture of capitalism, coinciding with the situation of the retreat of Marxism, which was the main foundation of progressive forces. X-generation is the name that represents this situation. The name, which served as the centerpiece of the radical development of various imaginations of freedom, reflects the trend of those days when they wanted to build a reality that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ogressive discourse without a generational entity. However, the debate on practical democracy has been reduced, while many intellectuals who strategically adopted liberalism emphasized stability in the national community. This provided the basis for society to respond conservatively to the new imagination of reality, and the new generation discourse was also adopted as a way to criticize the institutionalized capitalism. The change surrounding X-Generation has highlighted the new generation's character as a consumer culture, while ignoring the trend of renewing reality based on capital and modernity. This coincided with the trend of understanding postmodernism, which started with the renewal of Marxism, as a voice that either affirm or accept capitalism with resignation, and the imagination of the capitalist subversion that had been planned through it was easily discarded with the advent of neo-liberalism. Such an aspect responding to X-Generation and postmodernism in the early '90s may need to be noted as the origin of the generation discourse still being raised in the present Korean society but not beyond economic imag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