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시대 민족주의로서 화쟁 민족주의에 대한 탐구

        안승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n Hwa-Jaeng nationalism as a unification nationalism for preparing the unification er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First, existing studies on nationalism have been don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of superpower nations. However, Korean nationalism should have focused on the speciality in Korean peninsula rather than the universality in the world. Second, because it is a second ideology, the nationalism has many problems which were justifying ideology a policy of aggression or suppression. Third, South and North Korea as divided nations have utilized the nationalism to strengthen the own nation. Hwa-Jaeng nationalism aim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divided-nation's nationalism such as. Fourth, the principles of Hwa-Jaeng nationalism for unification are like as these : neither and nor two shows the new possibilities overcoming the existing nationalism, the method of freedom of affirmation and negation could be a principle for creating a new unification order, subjects conciliating while quarrelling is a man of Hwa-Jaeng. 이 연구는 통일시대 민족주의로서 화쟁 민족주의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민족주의 연구는 강대국의 시각, 서구 중심적 시각에 따른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한반도 민족주의는 서구의 보편성보다는 한반도의 특수성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통일 민족주의는 이러한 한반도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한 민족주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민족주의는 가변성을 지닌 2차 이데올로기로서 대외적 침략주의나 대내적 억압의 수단으로 활용되어온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일성 패러다임을 화쟁사상의 차이와 연기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 이를 민족주의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셋째, 남한과 북한은 민족≠국민인 국민국가이자 결손국가로서 민족주의의 국가주의화 즉 분단국가주의를 추구해왔다. 화쟁 민족주의는 이와 같은 분단 민족주의를 극복하는 통일 민족주의이다. 통일 민족주의로서 화쟁 민족주의는 민족=국가로 만들어 나가는, 차단된 민족적 리비도를 부활시키고 분단인을 통일인으로 만들어 나가는 민족주의화의 과정이 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넷째, 화쟁사상의 실천원리는 구체적인 통일 민족주의의 실천원리로 적용 가능하다. 우선 불일불이의 원리는 기존의 민족주의의 패러다임을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민족주의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다음으로 개합입파의 원리는 극한 이념대립을 무애의 사유방식, 거침없는 사유방식을 통해 뛰어넘을 수 있는, 새로운 통일질서 창조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원리이다. 다툼 속에 화합하는 주체는 통일 민족 구성원인 화쟁인의 실천원리이다.

      • KCI등재

        통일교육 패러다임 전환론의 문제점 분석 및 대안모색을 위한 연구

        안승대 한국통일교육학회 2023 통일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통일교육의 패러다임 전환론들을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은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안보에서 평화 통일로의 패러다임 전환론은 패러다임 전환의 불완전성과 안보의 여전한 중심적 위치의 문제, 안보교육에서 통일교육으로 전환했을 시 ‘통일’개념의 불명확한 위상과 개념정립의 문제 등을 지닌다. 부문별 통일교육으로의 패러다임 전환론은 통일교육의 유지와 대체론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부문별 교육과 통일교육의 체계적 관련성을 제시하고 있지 못한 문제가 있다. 포스트 담론 등장에 따른 통일교육 패러다임 전환론은 대안가능성의 적절성의 문제, 한국 근대국가, 통일문제에의 적용 적절성의 문제, 기존 신 패러다임의 통일교육과 내용적으로 큰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지 못한 문제 등을 지닌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통일교육 패러다임의 올바른 전환을 이루기 위해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탈냉전 남북화해 시대를 맞이하여 통일교육은 안보에서 통일로 완전한 패러다임 전환을 이룰 필요가 있으며, 이는 온전히 ‘통일’ 그 자체를 위한 교육 즉 분단의식을 통일지향적 의식으로 전환하는 교육, 분단에서 통일로 인식전환을 추구하는 교육을 말한다. 둘째, 민주화 체제의 등장에 따라 민주시민교육, 평화교육 등 다양한 부문별 통일교육으로의 패러다임 전환론이 올바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통일이념 실현을 위한 부문별 교육론, 통일이념 실현을 위한 하위 교육으로의 자리매김을 통해 통일교육의 체계적 연관성 속에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포스트 담론의 등장에 따른 탈분단 교육으로의 패러다임 전환론은 탈근대론, 탈민족주의론의 민족주의에 대한 일면적 이해의 문제, 한국적 수용의 부적합성 등으로 인해 통일교육 속에 포함, 융합되는 속에서 추구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paradigm shift theories of unification education. Each of these paradigm shifts had the following problems. The paradigm shift from security to peaceful unification has issues such as incompleteness of paradigm shift, the still central position of security, and the unclear status and conceptual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unification” when transitioning from security educa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The paradigm shift to unification education by various theories of education has a problem either the maintenance or replace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does not present the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by various theories of education. Following the emergence of post-modernity, the theory of paradigm shift in unification education has problems such as appropriateness of alternatives, appropriateness of application to the Korean modernity, and problems that do not show great difference in content from the existing new paradigm of unification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correct shift in the paradigm of unification education while overcoming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things as follows. First, in the era of post-Cold War inter-Korean reconciliation,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achieve a complete paradigm shift from security to unification, which refers to education for “unification” itself, which converts division consciousness to unification-oriented consciousness, and education that seeks to shift awareness from division to unification. Second, in order to properly realize the paradigm shift to unification education in various theories of education, such a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lude it in the systematic conn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education theory by and sub-education for unification ideology. Third, the paradigm shift to post-division education following the emergence of post-modernity needs to be pursued in the context of inclusion and convergence in 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 교육정책의 근대성 분석

        안승대 한국교육개발원 2004 한국교육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nity of Korean education policy. Weber and Habermas insist that rationality consists of instrumental and value rationality. Instrumental and value rationality are asp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modernity. Modernity ha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Positive modernity is constituted of technic and liberation. Negative modernity is constituted of capital and divided structral characteristics. Technic and liberal modernity are transformed into capital and divided structral characteristics by capitalism and divided structrure. Analyzing the modernity of Korean education policy as this model of modernit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education policy reflected the model of modernity has a contradiction which is positive and negative. Second, Korean education policy has to go foward in the direction of technic and liberation. Third, Korean education policy has to overcome negative modernity that is constituted of capital and divided structral characteristics. Fourth, The modernity of Korean education policy needs to unify dialectiaclly preーmodernity, modernity and postーmodernity. Fifth, The modernity of Korean education policy needs to prepare the times of unification and globalization. 이 연구는 근대성에 따라 한국교육정책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교육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연구목적이 있다. 교육정책은 국가정책을 반영하는 주요 정책으로서 한국의 근대성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근대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베버와 하버마스의 합리성 이론을 재구성하여 분석틀로 제시한다. 베버와 하버마스는 합리성을 가치합리성과 도구적 합리성의 양면성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부정적 근대성(도구적합리성)과 긍정적 근대성(가치합리성)의 양면성으로 우선 근대성을 파악하고 긍정적 근대성은 해방의 근대성과 기술의 근대성으로, 부정적 근대성은 이러한 해방의 근대성과 기술의 근대성이 변용된 분단구조적 특성과 자본주의적 특성으로 근대성의 모형을 제시한다. 이러한 근대성의 모형에 따라 분석하면, 한국 교육정책의 근대성은 기술의 근대성의 지속적인 추구와 이에 따른 자본주의적 특성의 강화, 분단구조적 특성의 생성강화약화와 해방의 근대성의 새로운 등장과 강화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한국 교육정책의 근대성은 기술의 근대성의 지속적인 추구와 이에 따른 자본주의적 특성의 부작용의 극복, 해방의 근대성의 지속적인 추구와 분단구조적 특성의 철저한 극복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추구되어야 한다.

      • KCI등재

        통일교육의 변증법적 접근방향 탐색

        안승대 한국교육개발원 2006 한국교육 Vol.33 No.1

        이 연구는 분단의식 극복과 통일적 가치관 형성을 위한 새로운 변증법적 교육론을 탐색하는 데에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우선 변증법 논의를 통해 변증법적 교육론의 기본관점을 모순의 논리, 총체성의 논리, 이론과 실천의 전일적 체계, 민족사상과 세계사상의 결합, 통일의 논리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관점을 통해 제시되고 있는 변증법적 교육론의 체계는 남북한 이해교육과 분단의식 해체교육, 통일지향교육으로 이어지는 정반합의 구조, 논리적 완결구조를 이루고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통일교육은 관점의 전환을 넘어서는 내용적 전환 즉, 통일교육론의 체계와 내용을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통일교육은 남북한의 장단점을 변증법적으로 지양하는 변증법적 교육론이어야 한다. 셋째, 이러한 변증법적 교육론은 사회문화적 접근과 체제이념적 접근을 포괄하여야 한다. 넷째, 통일교육은 변증법적 민족사상에 기반한 변증법적 교육론이어야 한다. Searching for the theory of dialectic education as unification educationAn, seungdae(Yeungnam University)After division of territory, North and South Korea have lived in mutual heterogeneous ideologies, society and culture. As a result, mutual distrust and hostility were increasingly excessived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dwellers and deepened the heterogeneity of the Korean race.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theory of dialectic education as unification education which is the theory of new education for unified Korea in response to meet the needs and demands of a new age after the joint communique of 15 June 2000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thesis analyzed as below.First, the basic viewpoint of the theory of dialectic education are consisted the logic of the contradiction, the logic of the wholeness, combination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idea, the logic of unification. Second, the system of the the theory of dialectic education includes that mutual understanding edu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overcoming education of oppositional and heterogeneous ideology, and education for unification.Third, unification education must present the contents and system of unification education in response to meet the needs and demands of a new age. Fourth, unification education in a new era must go forward to dialectic education to overcome heterogeneous oppositional system, ideology and socio-cultur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Fifth, dialectic education for unification integrates the idea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traditional and modern.

      • KCI등재후보

        해체론적 관점에서 본 남북한 교육이념의 분단구조적 특성과 대안탐색에 관한 연구

        안승대 한국교육사회학회 2003 교육사회학연구 Vol.13 No.1

        Deconstruction of Divid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Ideology in South and North Korea >이 연구는 분단구조하에서 변용되어온 남북한 교육이념을 남북화해시대의 요구에 맞게 해체하여 통일시대의 교육이념의 방향을 새로이 제시하는 데에 그 연구목적이 있다. 교육이념의 세 요소를 역사성(시간), 사회성(공간), 인간성(인간)의 세 요소로 나눌 수 있다면, 분단하에서 남북한 교육이념은 이러한 세 요소가 변용된 형태로서 왜곡성대립성통제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분단구조적 특성을 통일시대의 요구에 맞게 해체하여 새로운 교육이념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해체론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비판적 접목의 관점에서 도입된 아도르노데리다푸코의 해체론적 입장은 각각 왜곡성대립성통제성을 해체하여 새로운 통일시대의 역사성사회성인간성을 제시하는 데에 활용되며 이렇게 제시된 통일시대의 교육이념은 동일성신화의 해체(역사성), 적대적 이념체제의 해체(사회성), 탈분단구조적인 자율적 인간(인간성)으로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남북한 교육이념의 비교교육학적 분석

        안승대 한국교육학회 2002 敎育學硏究 Vol.40 No.3

        이 연구는 남북한의 교육이념을 비교 교육학적으로 기술하여 특징을 제시한 다음 재재적 접근법으로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통일시대의 교육이념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글에서는 교육이념의 분석의 틀을 시대상․사회상․인간상으로 제시하여 남북한 교육이념을 분석하고 있다. 통일국가의 교육이념은 이러한 남북한 교육이념의 시대상․인간상․사회상을 새롭게 재구성하여 제시될 수 있다. 새롭게 구성된 통일시대의 교육이념은 지금까지 남북한의 오도된 근대성․왜곡된 근대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근대성, 즉 성찰적 근대성으로 제시될 수 잇다. 통일국가의 교육이념은 따라서 이러한 성찰적 근대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성찰적․주체적 근대의 시대상과 비판적 근대의 사회상, 자율성 인간상으로 나누어 제시될 수 있다.

      • KCI등재

        화쟁사상을 통한 통일교육의 접근방향 모색

        안승대 한국교육개발원 2007 한국교육 Vol.34 No.3

        이 연구는 한국 사상의 정수라고 할 수 있는 원효의 화쟁사상을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도출에 적용해보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통일은 민족의식 형성을 통한 민족공동체를 이룩하는 것이다. 그러나 남북한 민족주의가 너무나 이질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이라는 점에서 단순한 민족주의를 통한 민족공동체 형성전략은 위험한 발상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삼국통일의 이념적 기반이자 대립과 분열극복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우리 민족사상인 원효의 화쟁사상을 통일교육의 대안사상으로 적용해보고자 한다.남북은 대립적 인간, 분단인을 양성해왔다. 원효의 화쟁사상은 일심이문을 통해 인간의 마음을 통일하고자 한다. 남북은 분단 속에서 분단의식을 양성해왔다. 이러한 분단인, 분단의식의 극복방법이 바로 화쟁의 방법이다. 남북 민족구성원들은 민족의식을 누구나 다 지니고 있기에 화쟁을 통해 분단의식을 극복하고 통일의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분단의식을 깨우치는 과정으로서 극단적 집착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사용한다. 둘째, 분단의식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분단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분단의식으로부터 통일의식으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긍정과 부정의 자재, 비동비이의 자세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통일의식을 지니는 단계에서는 공통된 근원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theory of Hwajaeng and unification educationAn, Seungdae(Kyungil University)This work aims at defining the core of the Wonhyo's theory of Reconciliation and its implication to the conflict and dispute resolution in the unification education.I found that the core concepts in Wonhyo's theory of reconciliation are the one-mind. According to Wonhyo, there is no controversy that can't be reconcile if we recover our one-mind. One of the major reasons Koreans have still not been able to achieve national reunification is the even after the demise of the Cold War, there still remains two mutually antagonistic systems relatively.I believe Korean traditional values such as Wonhyo's philosophy of Hwajaeng could serve as the starting point to foster homogeneity as well as be foundation for value integ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We can apply the idea of reconciliation through finding a common ground like one-mind and using the method of Hwajaeng to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first thing is to free conflicting sides from their extreme attachment to their arguments or positions in North and South.Second, Wonhyo proposes do not agree and do not appose to any party is Wonhyo's wisdom of reconciliator. This wisdom in Wonhyo's theory of reconciliation can be used by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peninsula. Third, Wonhyo's concept of one-mind hints us to find a common interest and a goal among South and North Korea's people.In conclusion, Wonhyo's theory of reconciliation can be asserted that not only a tool for eliminating dogmatism of South and North Korea, but also a method for obtaining national integration will of South and North Korea peoples in 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