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막 편평상피유두종의 임상양상과 수술적 치료의 결과

        찬주(Chan Joo Ahn),김남주(Nam Ju Kim),정호경(Ho Kyung Choung),현준영(Joon Young Hyon),곽상인(Sang In Khwarg)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2

        목적: 결막 편평상피유두종 환자들의 임상양상과 수술적 치료 방법 및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0년 10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및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안과에서 결막 편평상피유두종으로 진단받고 치료를 시행 받은 31명 32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31명 중 9명은 본원 내원 전 같은 종류의 병변에 대한 절제술을 받았으나 재발한 경우였다. 25안에서 한 눈에 1개, 2안에서 2개, 5안에서 3개 이상의 종양이 관찰되었다. 종양은 눈꺼풀판결막에 가장 많았다. 재발한 환자에서 이전 치료경력이 없는 환자에 비해 종양의 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수술적 치료로 총 32안 중 13안에서 종양절제술만, 15안에서 종양절제 및 냉동치료, 3안에서 종양절제, 냉동치료 및 인터페론 점안요법, 1안에서 종양절제 및 양막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1.1개월이었다. 수술 후 5안에서 재발하였으며,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4.22개월(3일-9개월)이었다. 종양절제술만 시행하고 재발한 경우가 3안, 종양절제술과 냉동치료 후 재발한 경우가 1안, 종양절제, 냉동치료 및 인터페론 점안요법 후 재발한 경우가 1안이었다. 재발한 5안에 대하여 추가로 종양절제와 냉동치료 또는 종양절제와 인터페론 점안요법, 또는 종양절제, 냉동치료 및 인터페론 점안요법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결론: 결막 편평상피유두종은 수술적 절제 치료를 해도 재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술 후 장기간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surgical treatments, and their outcomes in conjunctival squamous papilloma.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on 31 patients with 32 eyes that were treated for conjunctival papilloma from October 2000 to February 2015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Results: Among the 31 patients, 9 patients had papilloma which recurred after previous surgical excision at another hospital. Twenty-five eyes had one papilloma lesion, 2 eyes had 2 lesions, and 5 eyes had more than 3 lesions. The most affected location of papilloma was the tarsal conjunctiva. The recurrent group displayed a tendency to have multiple lesions. Surgical excision without any adjuvant therapy was performed in 13 eyes; surgical excision and cryotherapy in 15 eyes; surgical excision, cryotherapy, and topical interferon alfa-2b in 3 eyes; and surgical excision and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in 1 eye. The mean postoperative follow up period was 11.1 months. There were 5 cases of recurrence and the mean time of recurrence after surgical excision was 4.22 months (range, 3 days to 9 months). Among 5 cases of recurrence, 3 cases were after surgical excision only, 1 case was after surgical excision and cryotherapy, and 1 case was after surgical excision, cryotherapy, and topical interferon alfa-2b. These 5 recurred cases were retreated with surgical excision and cryotherapy, surgical excision and topical interferon alfa-2b, or surgical excision, cryotherapy, and topical interferon alfa-2b. Conclusions: Conjunctival squamous papilloma is likely to recur even though the tumor is completely removed. Therefore, long-term postoperative follow up may be necessary for recurrence.

      • KCI등재

        안전동기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관계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관영 한국중소기업학회 2003 中小企業硏究 Vol.25 No.4

        본 연구Zohar(1980)의 논물을 효시로 산업안전에 대하여 조직적 내지 관리론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산업안전에 대한 접근을 바탕으로 경기도 및 강원 영서 지역 제조업체에 종사하는 643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은 안전분위기의 5개 구성요소(안전지식, 안전태도, 업무부담, 경영층몰입, 예방활동)와 안전동기의 관계와, 안전동기와 안전참여간의 관계를 고찰하며, 그리고 이러한 관계가 연령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가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안전지식, 안전태도, 경영층몰입, 예방활동은 안전동기와 안전참여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업무부담은 안전동기와 안전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동기는 안전분위기의 모든 구성요소(안전지식, 안전태도, 업무부담, 경영층몰입, 예방활동)와 안전참여간이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완전매개보다는 부분매개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안전분위기와 안전동기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업무부담이 클수록 안전동기가 약화되며, 이러한 경향은 고연령층에 비하여 저연령층에서는 현저하게 나타났다. 안전동기와 안전참여간의 관계에서는 연령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With Zohar(1980)'s research on safety climate and industrial safet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iteratures begin to emphasiz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ntext. Based on this research trend, this paper trie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organizational factors and occupational accidents. Based on the responses from 643 manufacturing workers,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s among antecedents(safety knowledge, safety attitudes, job load, management commitment and safety precaution activity),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job load made a negative effect on safety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behavior, and other climate factors have affirmative effects on them.

      • 공정하고 충실한 법원업무 실현을 위한 법원공무원 직급 · 직렬구조 개편 방안

        이학구 ( Lee Hakgu ),김정환,문희,김성화,서용성 사법정책연구원 2020 연구보고서 Vol.2020 No.17

        법원 일반직공무원 직급구조 및 직렬구조는 국가공무원법상의 9계급을 기본으로 하여 4개 직군, 28개 직렬, 32개 직류로 이루어져 있다. 법원 일반직공무원 직급구조는 국가공무 원상의 직급구조를 기본으로 한다는 측면에서 국가기관 공무원 조직의 보편적인 성격을 갖고 있기도 하지만, 법원 업무 및 법원 인적구성원들의 특수성이 있으므로 다른 국가기관과 다른 측면도 있다. 하지만 법원 일반직공무원 직급구조 및 직렬구조의 공무원 조직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고찰하여 연구한 자료들은 많지 않다. 이에 전자소송의 확대, 법원 업무의 전산화에 따른 법원 업무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내부적으로는 승진 적체 및 직렬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법원 일반직공무원의 직급구조 및 직렬구조에 대해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보고서는 본격적으로 법원 일반직공무원 직급구조 및 직렬구조를 논하기 전에 주요 국가들의 법관 이외의 법원 구성원들의 직제 및 승진 등 인사 구조적인 측면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의 법관 이외의 법원 구성원들의 직제 및 법원에서 담당하는 구체적인 업무 등을 파악해서 우리나라 법원 일반직공무원 조직에도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미국의 직무 중심의 직위분류제에서 법원 일반직공무원이 담당하는 직무를 좀 더 구체적으로 계량화 및 표준화시킬 필요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일본, 독일, 프랑스에서 승진 체계의 다양화와 전직의 가능성을 통하여 인사 체계의 개방성을 추구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각 나라의 법원 조직 및 법원 구성원들의 공무원 신분 여부 등에 따라 우리나라 법원 일반직공무원의 인사 구조와 다른 측면도 있어 일률적인 기준을 가지고 비교 · 검토하기에는 일정부분 한계가 있다. 그리고 법원 일반직공무원 직무의 법적 근거와 실제 법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무분담을 이용하여 각 직급에 따라 담당하고 있는 업무를 분석하여 직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법원 일반직공무원의 직무 특성을 전제로 법원 일반직공무원 직급 및 직렬구조의 문제점으로 직급체계의 합리성과 탄력성 부족, 성과 관리 및 승진에 문제점 노출, 정보화시대에 미흡한 직급구조 및 직렬구조임이 드러났다. 본 연구보고서는 우선 법원 일반직공무원 직급구조 개편안과 관련해서 9계급을 확대 및 축소하는 방법으로 9계급을 4단계로 축소하는 안, 중간 직급을 확대하는 안, 9급 직급체계를 8급 직급체계로 축소하는 안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직급구조 개편의 효과인 법원 일반 직공무원의 승진 문제와 관련하여 가장 큰 파급 효과가 있는 상위 직급 정원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사법보좌관 업무 확대 및 수석사법보좌관 정원 확대 안, 조정위원의 법원 일반직공무원 보직부여 안, 법원조사관 제도의 법제화 및 직급 상향 안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9계급 직급구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고위공무원 인사운영의 유연성을 확대하기 위하여 행정부의 고위공무원단 제도의 도입 여부 등을 검토하고 고위공무원단 제도를 대체할 수 있는 개방형 직위 확대 방안과 법원조직법 개정을 통한 인사운영의 효율성 증대 방안도 제시하였다. 법원 일반직공무원 직렬구조와 관련해서는 크게 법원사무 직렬과 등기사무 직렬 통합 논의와 소수 직렬의 인사운영의 여러 문제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우선 법원사무 직렬과 등기사무 직렬의 통합 논의 문제는 오랫동안 법원 내부에서 논의했던 문제인 만큼 법원 구성원들의 설문조사와 그동안 연구해온 자료들 위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된 것은 등기사무 직렬의 질적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과법원 조직 문화의 통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구체적인 해결 방안으로 양 직렬 통합안, 양 직렬 통합 및 직류 유지 안, 전직제도 활용 안, 양 직렬 업무 범위 확대 안, 양 직렬통합 이후 보직관리 방식 개선 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여러 방안의 장· 단점을 분석한 결과 등기사무 직렬을 유지하면서 직렬 분리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으로 전직제도 활용 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보고서가 법원 일반직공무원 직급구조 및 직렬구조에 대하여 법원 구성원 들의 다양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또한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구성원들의 의견이 수렴되어 법원 구성원이 동감하는 직급구조 및 직렬구조 개편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그리하여 최종으로 법원 일반직공무원 직급구조 및 직렬구조가 공정하고 충실한 법원 업무 실현에 이바지하여 국민의 사법서비스 신뢰로 이어지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다. The class and functional category structure of general public officials in court consists of 4 functional groups, 28 functional categories and 32 functional subcategories based on nine grades under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Although the class structure of general public officials in court has the universal nature of government officials organization as it is based on the national public official class structure, it has different aspects from other state agencies due to the particularity of court affairs and court personnel. Nevertheless, there is not much data that has studied to examine the generality and specificity of the class and functional category structure of general public officials in court. Accordingly, the need to study the class and functional category structure of general public officials in court has emerged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court’ work environment due to the expansion of electronic litigation and computerization of court work, as well as to resolve internally delayed promotions and conflicts between functional categories. This research report investigated and compared aspects of personnel structure, including the organization of offices and promotions of court members other than judges in major countries, while discussing the class and functional category structure of general public officials in court. By grasping the organization of offices of court members other than judges in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and France and the specific duties of those in charge in the courts, factors applicable to the organization of general public officials in courts in Korea could be derived. This research has come to identify that we need to improve and standardize the duties of general court officials in more detail in the job-oriented position classification through studying the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whereas Japan, Germany and France are pursuing the openness of the personnel system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the promotion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job changes. however, there would be some limitations in comparing and reviewing with uniform standards, since there might be aspec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ersonnel structure of Korean court officials depending on the courts organization and the status of the court members of each country. Furthermore, this report has analyzed the duties of each class by using the legal basis for the duties of general public officials in court and the actual division thereof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uch duties. Based on the job characteristics of the court officials, the lack of rationality and resilience of the class system, exposure of problems in performance management and promotion, and the insufficient class and functional category structure in the information age were found to be major problems of the class and functional category structure of general public officials in court. In relation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class structure of general public officials in the court, this research report proposes a few plans such as a plan for reducing the nine-level class to four levels, a plan for expanding the middle level, and a plan for reducing the nine-level class system to an eight-level class system, each as a measure of expanding and reducing the nine-level class system. The report further reviews a plan to increase the number of higher classes that has the greatest ripple effect in relation to the promotion of general public officials in the court as an outcome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class structure, thereby it suggests some proposals to expand the work of judicial assistant officials and further to increase the number of senior judicial assistant officials, measures for the mediators to be assigned as general court officials, and plans to legalize of the court investigation officer system and ways to raise the class. Moreover, it also examines the introduction of a senior executive service system of the administration to expand the flexibility of senior civil service personnel manage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nine-level class structure, and suggests a plan to expand the open positions to replace the senior executive service system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personnel management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ourt Organization Act. Regarding the functional category structure of general public officials in court, this report deals with discussions on the functional category integration of court affairs and registration affairs and several issues of personnel management regarding the minor functional category. As the issue of the consolidation of the functional categories for court affairs and registration affairs has been discussed within the court for a long time,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s of court and the data that have been studied so far.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has confirmed that the necessity of reinforcing qualitative professionalism in the registration affairs and the integration of court organizational culture were two of the biggest problems that emerged. Subsequently, as concrete solutions, measures such as two-functional categories integration, the maintenance of functional subcategory in addition to the two-functional categories integration, the use of a job change system,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two-functional categories work, and the improvement of the position management method after two-functional categories integration has been brought as viable proposals. After analyz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various plans proposed, a plan to use a job change system was suggested as an optimal metho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functional subcategory separation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al subcategory of registration affairs. Lastly, a study on the minor functional category was reviewed by focusing on the functional category having a problem in terms of personnel management among various minor functional categories. Specifically, measures to expand the scope of duties of the functional category for management, the discussion regarding integration of the functional categories for armament and environment, the operational problem of the functional category for emergency preparedness and the functional category for court security management, high class integration of the functional category for technical affairs, and the problem of the salary system of a few specific functional categories were examined.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report will serve as an momentum for court members to express their opinions on the class and functional category structure of general public officials in the court. Additionally, it is also hoped that the opinions of members with various interests will be collected, leading to a reorganization of the class and functional category structure that the court members agree with. In the end, it is sincerely wished that the class and functional category structure of public officials in the court will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fair and faithful court work, ultimately being conducive to public trust in the judicial service as a whole.

      • KCI등재

        특발성 망막앞막, 황반원공에서 유리체 절제술 후 주입한 가스 종류에 따른 백내장 진행

        자영(Ja young Ahn),김체론(Che Ron Kim),공민귀(Min gui Kong),한용섭(Yong Seop Han),정인영(In Young Chung),박종문(Jong Moon Park)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1

        목적: 특발성 망막앞막과 황반원공 환자에서 유리체 절제술 후 주입한 가스의 종류에 따른 백내장의 진행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 절제술 후 액체/공기 교환술(Group 1), 20% SF6 주입술(Group 2)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 1, 2, 4, 6, 12개월째의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LOCS) III 분류를 이용한 핵경화도, 굴절력(구면대응치)을 측정하였다. PentacamⓇ 샤임플러그 이미지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ean nuclear density와 maximal nuclear density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40명, 40안 중 액체/공기 교환술만 시행한 환자(Group 1)는 21안, 20% SF6 가스를 주입한 환자(Group 2)는 19안이었다. 두 군 모두 수술안이 비수술안에 비해 mean nuclear density와 maximal nuclear density, LOCS III를 이용한 백내장 진행의 분석에서 핵경화의 진행이 빨랐다. 가스의 종류에 따른 비교에서 mean nuclear density는 수술 후 4개월째 두 군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maximal nuclear density는 수술 후 2개월과 4개월째 두 군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LOCS III는 수술 후 2개월과 4개월째, 구면대응치는 수술 후 1개월부터 6개월까지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유리체절제술 전과 수술 후의 백내장 진행 정도는 주입한 가스와 관계없이 수술안이 비수술안에 비해 핵경화의 진행이 빨랐다. 20% SF6 주입술(Group 2)을 시행 받은 군에서 핵경화의 진행이 더 빨리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나 수술 후 12개월에는 가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핵경화의 변화 정도는 비슷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745-1751> Purpose: To investigate the outcomes of quantitative lens nuclear opalescence change after pars plana vitrectomy and intravitreal gas injection in patients with idiopathic epiretinal membrane and macular hole. Methods: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according to the kinds of injected gases, either Group 1 (fluid/air exchange) or Group 2 (20% SF6 gas injection). Lens nuclear opalescenc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LOCS) III, mean nuclear density and maximal nuclear density of Pentacam?? scheimpflug image changed by image J, besides refractive errors were evaluated before surgery and 1, 2, 4, 6, and 12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Out of 40 eyes of 40 patients included in the analysis, 21 received only fluid/air exchange (Group 1) and 19 received 20% SF6 gas injection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lens nuclear opalescence between the study and control (unaffected) eyes. In both groups, the study eyes experienced significant progression of cataract compared with the control eyes, in terms of mean nuclear density, maximal nuclear density and LOCS III. In comparison according to the kinds of injected ga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nuclear density after 4 months, maximal nuclear density after 2 months and 4 months, LOCS after 2 months and 4 months, and refractive error after 1, 2, 4, and 6 months between both groups (p = 0.003). Conclusions: After vitrectomy and intravitreal gas injection, changes in postoperative lens nuclear opalescence of the study eyes progressed more rapidly compared with the control eyes. This study identified that lens nuclear opalescence of Group 2 progressed rapidly, but after 12 month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lens opacity between the kinds of injected gas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745-1751

      • KCI등재

        체육용기구의 국가공인제도화를 위한 연구

        병화,신동환,최규정,황종학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0 체육과학연구 Vol.11 No.2

        최근 세계 무역 자유화 경향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선진국들은 표준·기술·무역의 연계를 강화하여 세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와 주요 국가들의 표준·인증제도를 실태조사하여 그러한 실태를 바탕으로 우리 나라의 스포츠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증제도 도입에 필요한 기본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외국 표준·인증제도는 관련 정보와 자료를 수집·분석하는 방법으로 실태를 조사했으며, 국내 표준·인증제도는 관련 기관이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및 방문 면담하는 방법으로 실태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질적 분석을 통하여 인증제도에 대한 기본 안이 수립되었다. 체육용기구 분야 인증제도의 도입을 위한 안(案)으로 체육용기구 전문인증제도화, 제품시험 인증제도화, ISO 인증기관화, 공인 시험·검사기관화, 표준·인증 관련 정보·자료 센터화 그리고 표준개발 연구의 수행 등 여섯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공인 시험·검사기관화는 전문인력 확보와 많은 예산이 소요되므로 현실성이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ISO 인증기관화는 체육산업 발전을 위해서 가장 바람직하나 전문인력 및 예산 확보가 요구된다. 이외의 안(案)들은 전문인력 확보없이 예산 책정만으로도 수행될 수 있으므로 시행이 용이하며 산·연 협력체제 구축에 따른 체육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영혼의 돌봄을 위한 상담학

        기민(An, Kimi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2 이성과 신앙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new the identify of pastoral counselling and the approach therein that includes care for the soul. There are several types of soul care in the tradition of the Church. Pastoral counselling is one kind of new care for the soul that is related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psychology. In the term pastoral counselling itself, pastoral is understood as belonging to the subject of theology, and counselling as belonging to psychology. In counselling, theology is not something that is far removed from daily life. The thought of God that clients express in counselling is that their own anthropology is always revealed and closely connected to their daily life. What counselling is, is that, clients come to the counsellor to ask for help, and as the counsellor helps the client to explore and understand himself or herself and his or her problems and predicaments, the counsellor in this process, helps the client to achieve the client's own aim, determined by his or her own psychological change. In counselling, there is a clear goal and a method to achieve that goal. The method contains the theory, the process of counselling and the procedure. First of all, the counsellor fully understands the counselling approach that he or she chooses so that the counsellor helps the client to solve their problems in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ir problems by the basics of their approach. Pastoral counselling began in America in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when counselling came to be practised widely. Pastoral counselling, in relation to 'pastoral care', is an activity that is based on the values of theology and christianity. Especially, pastoral counselling is an activity that is understood in the big frame of 'pastoral'. Pastoral counselling is 'pastoral',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what makes the pastoral elements determines what is th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ling. There is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activities of pastoral care, pastoral counselling, pastoral psychotherapy, and spiritual direction. These four activities are the type that are being done in the church to help peopl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respective helping contents, extent, aim, and approach. Unlike pastoral care and spiritual direction that have a tradition in the church of care for the soul, pastoral counselling is a special type of care for the soul. The theory and method the pastoral counsellors use to make decisions in pastoral counselling lead us to understand what pastoral counselling is. Because the 'pastor' is the pastoral counsellor ,the counselling cannot become pastoral counselling. Also, because the client who comes to counselling is a catholic, it does not mean that it is pastoral counselling. Being irrelevant to their religion, as well as the content of the counselling, what makes the decision regarding pastoral counselling is revealed in the whole counselling process. In general, the counsellor has the counselling theory and approach that are suitable to the counsellor so that he or she can help the client's problems. In conclusion, if the pastoral counsellor also has a strategic counselling approach, he or she can help the client more effectively in the frame of pastoral counselling. 이 연구의 목적은 영혼을 돌보는 사목상담의 정체성과 사목상담의 방법론을 새롭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교회의 전통 안에는 영혼의 돌봄에 관한 다양한 형태가 있다. 사목상담은 현대에 와서 심리학의 발달과 관계해서 대두된 새로운 영혼 돌봄의 형태이다. ‘사목상담’이라는 용어 자체에서 볼 수 있듯이, ‘사목’이라는 신학의 주제와 ‘상담’이라는 심리학의 주제가 이 용어 안에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상담에서 신학은 일상적 삶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 상담의 현장에서 내담자가 표현하는 ‘신’에 대한 생각은 늘 자신만의 인간학을 드러내고 일상적인 삶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담이란 내담자가 상담자를 찾아와 도움을 청하고, 상담자는 내담자가 진솔하게 자기 자신과 자신의 문제와 어려움을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도와줌으로써, 내담자의 심리적 변화를 일으켜 자기결정에 의한 목표에 도달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상담에는 어떠한 뚜렷한 목표가 있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 그 방법 안에는 이론과 과정(절차)이 있다. 무엇보다도 상담자가 자신이 선택한 상담방법론을 충분히 이해해서, 그것을 바탕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도와 문제해결을 돕는다. ‘사목상담’은 상담심리학이 본격적으로 태동하기 시작할 때인 20세기 중반에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사목상담은 ‘사목적 배려’와 관련이 있다. 사목상담은 신학적이고 그리스도교적인 가치관 안에서 일어나는 활동이다. 특히, 사목상담은 ‘사목’이라는 큰 틀에서 이해되는 활동이다. 사목상담은 ‘사목적’이고, 사목적인 결정요소를 이해하는 것이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사목배려, 사목상담, 사목심리치료, 그리고 영성지도의 활동 사이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 네 가지 활동들은 모두 교회 안에서 행해지는 돕는 형태의 활동이지만, 돕는 내용과 정도, 목적, 그리고 방법에 차이가 있다. 교회의 전통적인 영혼 돌봄의 형태인 사목적 배려와 영성지도와 달리 사목상담은 심리학과 신학을 바탕으로 하는 영혼 돌봄의 특수한 형태이다. 사목상담을 결정하는 이론과 방법론이 곧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밝혀준다. 사목상담자가 ‘사목자’이기 때문에 사목상담이라고 결정할 수는 없다. 또한, 상담에 오는 내담자가 가톨릭신자라고 해서 사목상담이 성립되는 것도 아니다. 사목상담을 결정하는 것은 상담자나 내담자의 종교와는 무관하고, 또한 상담의 내용과도 상관없이 상담 과정 전반에 사목상담의 특성이 드러나는 것에 있다. 일반적으로 상담자는 자신의 성향과 가치관에 맞는 상담이론과 상담방법을 가지고서 내담자의 문제를 도와준다. 결론적으로, 사목상담자도 하나의 전략적 상담방법을 가지고 있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사목상담이라는 틀 안에서 내담자를 도와줄 수 있다.

      • KCI등재

        성경 안에서 옷의 상징적 의미

        봉환(An, Pong H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5

        본고는 성경 안에 드러나는 옷의 상징적인 의미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창세기의 가죽옷부터 묵시록의 흰옷에 이르기까지 옷은 인류의 영적인 신분을 드러내는 상징이다. 창세기 2-3장에서는 옷의 일반적인 기능 이외에도 옷을 입어야 하는 이유를 원조의 수치심(창세 3,7 참조)에서 찾는다. 창조주 하느님에 의해 질서 지어진 낙원에서는 어떠한 옷도 인간에게 필요하지 않았다. 하느님의 영광으로 덮여있는 인간은 완전함과 무죄함, 깨끗함과 거룩함의 상태에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이 범한 죄는 새로운 상황을 초래하였다. 그들의 온몸은 하느님의 현존 앞에서 결핍된 상태가 되었다. 이런 결핍 상태를 감추기 위해 그들에게 무화과나무 잎은 충분하지 못하였다. 하느님께서는 친히 타락한 인간의 나약함과 한계 안에서도 일정한 품위의 영속을 식별할 수 있는 가죽옷을 입혀 주신다. 그들이 입은 가죽옷은 이중의 새로운 의미 곧 하나는 타락한 인간의 품위를, 다른 하나는 시초에 잃어버린 하느님의 영광을 다시 입게 될 가능성을 나타낸다. 하느님께서 계획하시는 구원의 역사는 옷의 상징을 통해 낙원에서 잃어버린 영광을 회복시켜 주시겠다는 약속에 대한 상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제 아담의 가죽옷을 통해 드러난 이중적인 의미는 거룩한 변모 안에서 영광을 입으신 예수님의 상징적인 옷을 통해 극복된다. 그분의 옷은 부활을 통해 썩어 없어지지 않을 옷을 입는 당신 육체의 영광을 상징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믿고 세례를 받은 이들도 죄의 더러운 옷을 벗고 깨끗한 옷을 입어야 함을 미리 보여준다. 부활하신 후에 주님께서는 영광의 상징인 찬란한 광채를 띤 그분 본래의 의복을 입으셨다. 영광을 입으신 그리스도께서는 아담이 잃어버린 완전함을 회복해 주셨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사제복, 세례복과 혼인 예복의 기원과 상징적, 신학적, 영적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선택받은 이들은 사제이신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어 하느님을 섬기는 사제가 되어야 하고, 그리스도를 입고 옛 인간을 벗어 버리고 새 인간이 되어야 한다. 이 세상에서 죄와 잘못으로 물들었더라도 하느님의 최후 심판을 통하여 하늘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은 혼인 예복을 갖추고 잔칫방에 들어가야 한다. This study looks at the symbolic sense of clothing that is revealed in the Bible. From the leather garments of Genesis to the linen clothing of the Apocalypse, clothes are symbols that indicate a spiritual identity.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of Genesis we find that the reasons we must dress are two; the first reason is to put something on to cover ourselves, and this is in general the role of clothing, the second reason comes from the shame of our ancestors. Our ancestors did not need any clothes in Paradise and this was ordained by God the Creator, because the human being was covered by the glory of God and he was in a state of integrity, innocence, purity and holiness. But the sin of our ancestors caused a new reality. Suddenly they felt their personal nakedness in the presence of God. To hide their nakedness they felt that the only fig leaves were not sufficient to cover themselves. God the Creator Himself offered them the leather garments in which we can perceive a certain dignity within their human limitations and weaknesses. Their leather garments indicate two meanings; human dignity restored and the new possibility to cover themselves with the glory of God. The History of Salvation planned by God reveals, through the symbol of clothing, the promise to allow us to recover the lost glory of God in Paradise. Now the double sense revealed by Adam’s leather garments is surpassed by Christ’s symbolic clothing covered in glory during the Transfiguration. His clothing symbolize the glory of his body covered by incorruptibility through the Resurrection and prefigure also for those baptized the covering of themselves by pure clothes, divesting themselves of the dirty clothes of sin. After the Resurrection our Lord covers himself by his own clothing that shines with bright brilliance which is symbol of glory, because Christ, clothed by glory, recovered the integrity lost by Adam. For this reason we can find the origin and the symbolic and spiritual sense of the sacerdotal, baptismal and nuptial clothing. The priest is among the Elect that officiates before God - joined to Christ through his Priesthood - covering himself with Christ and becoming a new man, replacing the old one. The people that desire to enter into the Kingdom of Heaven at God’s Last Judgement, even though they are sinners, they must put on new clothes to enter into the nuptial banquet.

      • KCI등재

        인공수정체 공막 봉합고정술 후 굴절력의 변화

        용선,박율리,김현승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4

        목적: 인공수정체 공막 봉합고정술 후 전방 깊이, 인공수정체의 기울어짐과 중심이탈에 따른 굴절력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인공수정체 공막 봉합고정술을 시행한 17안 중 6안은 무수정체안, 5안은 인공수정체 탈구, 6안은 수정체 탈구 상태였다. 12안에는 아크릴레이트 재질(MN60ACⓇ), 5안에는 PMMA 재질(CZ70BDⓇ)의 인공수정체를 모두 각막 윤부로부터 1.0 mm 뒤쪽 공막에봉합고정하였다. 그리고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이들의 수술 후 2주, 1개월, 2개월째 전방 깊이, 인공수정체의 기울어짐과 중심이탈, 현성 굴절력, 굴절오차 그리고 각막 내피세포 검사를 확인하였다. 결과: 수술 후 2주, 1개월, 2개월째 전방 깊이는 3.36 ± 0.11 mm, 3.30 ± 0.12 mm, 3.27 ± 0.13 mm로 낭내삽입술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얕았다. 인공수정체의 기울어짐은 4.61 ± 0.12o, 4.65 ± 0.14o, 4.60 ± 0.12o, 중심이탈은 0.43 ± 0.01 mm, 0.45 ± 0.01 mm, 0.45± 0.01 mm로 낭내삽입술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컸다. 굴절오차는 ‐0.55 ± 0.27D, ‐0.63 ± 0.24D, ‐0.69 ± 0.19D로 낭내삽입술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근시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는 각막 윤부로부터 1.0 mm 뒤쪽에 인공수정체 공막 봉합고정 시 예측보다 약 0.75D 원시를 목표로 도수를 선택하면 원하는 목표 굴절력에 근접할 수 있다. 하지만 수술 후 굴절력은 절개창, 고정 위치, 봉합사 장력 등 술자 요인에도 영향을받으므로 수술 시 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anterior chamber depth (ACD), extent of intraocular lens (IOL) tilt, and decentration and refractive error after transscleral fixation of IOL.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7 cases with transscleral fixation of IOL (6 with aphakia, 5 with IOL dislocation, and 6 with lens subluxation). The acrylic IOL (MN60AC??) was fixated in 12 eyes and the polymethylmethacrylate IOL (CZ70BD??) was fixated in 5 eyes at 1.0 mm posterior from the limbus. We analyzed the ACD, extent of IOL tilt and decentration,manifest refraction, refractive error, higher order aberration, and corneal endothelium at 2 weeks, 1 month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mean ACD was 3.36 ± 0.11 mm, 3.30 ± 0.12 mm, and 3.27 ± 0.13 mm, the mean extent of IOL tilt was 4.61 ± 0.12°,4.65 ± 0.14°, and 4.60 ± 0.12° and the mean extent of IOL decentration was 0.43 ± 0.01 mm, 0.45 ± 0.01 mm, and 0.45 ± 0.01mm at 2 weeks, 1 month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respectively in eyes with transscleral fixation of IOL. The ACD was shallower and the extent of IOL tilt and decentration was greater than with IOL in-the-bag insertion patients. The mean refractive errors were -0.55 ± 0.27 D, -0.63 ± 0.24 D, and -0.69 ± 0.19 D at the same period,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postoperative refractive error is influenced by surgeon factors such as incision size, distance of fixation suture from limbus, and tightness of suture material, according to our results, an IOL 0.75 D more hyperopic than predicted should be selected in transscleral fixation of IOL at 1.0 mm posterior from the limbus. Additionally, each surgeon should assess their specific results and modify the lens calculations accordingly.

      • KCI등재

        문어 통발용 대체 미끼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영일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0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6 No.3

        In order to replace sardine baits for octopus pot, an efficacy experiment to lure with alternative bait (fermented skate or chicken skin in artificial crab or northern clam) pots and sardine pot were conducted in a circular water tank. The soaking time of the sardine bait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ix days or less and seven days or more. The behavioral response of octopus to the artificial bait pots and sardine pot were investigated. In the comparison of the luring effects between pots with fermented skate inside artificial crab or northern clam and sardine pot, the pot with artificial crab + fermented skate had better results than the other pots in the section distribution (31.6%) and the number of times the pot was entered into (20.0%) (p > 0.05). In the comparison of the luring effects between pots with chicken skin inside artificial crab or northern clam and sardine pot, the pot with northern clam + chicken skin had better results than the other pots in the section distribution (22.6%) and number of times the pot was entered into (55.6%) (p < 0.05). The results were also better compared to those of pot with artificial crab + fermented skate. From these results, it seems that in the luring effect aspect, sardine bait can be replaced with artificial bait consisting of chicken skin inside northern clam. 문어 통발용 정어리 미끼를 대체하기 위하여, 대체미끼(인공 게, 북방조개 안에 삭힌 홍어 또는 닭 껍질을 넣은 것) 통발과 정어리 통발의 유인 효과실험을 원형 수조에서 행하였다. 정어리 미끼의 침지시간을 6일 이하와 7일 이상으로 구분하고 인공미끼 통발과 정어리 통발에 대한 문어의 행동반응을 조사하였다. 인공 게 또는 북방조개 안에 삭힌 홍어를 넣은 통발과 정어리 통발과의 유인 효과 비교에서는 인공 게+삭힌 홍어 통발이 구간분포율(31.6%)과 입롱횟수(20.0%) 측면에서 다른 통발보다 좋았다. 인공 게 또는 북방 조개 안에 닭 껍질을 넣은 통발과 정어리 통발과의 유인 효과 비교에서는 북방 조개+닭 껍질 통발이 구간분포율(22.6%)과 입롱횟수(55.6%) 측면에서 다른 통발보다 좋았고 또한 인공 게+삭힌 홍어 통발보다도 좋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북방조개 안에 닭 껍질을 넣은 인공미끼는 유인 효과 면에서 정어리 미끼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