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변선환(邊鮮煥)의 “타종교와 신학” 소고

        안수강(Ahn, Su-Kang) 신학과 실천학회 2016 신학과 복음 Vol.2 No.-

        본 논문은 변선환의 “타종교와 신학”을 중심으로 개혁주의 신학관점에서 그의 종교다원주의를 고찰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특별히 그의 토착화신학과 종교간 대화에 초점을 맞추어 논증의 주된 관점들이 무엇인지를 밝힐 것이다. 변선환은 종교다원주의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교회가 토착화와 종교간 대화를 실천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 결과 그의 신학은 유일무이한 기독교복음의 권위를 상대화하고 성경의 칭의교리를 부정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변선환이 자신의 토착화신학과 종교다원주의 신학에서 보여준 중요한 논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기독교와 다양한 타종교의 대화 ②한국기독교의 창의적 토착화 ③기독교와 타종교와의 동등성의 원리 ④타종교에 대한 배타성 극복 방안 ⑤우주적 그리스도에 대한 성찰 ⑥종교다원주의를 통한 휴머니티의 회복 ⑦기독교 선교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This study intends to show Seon-Hwan Byeon’s religious pluralism through his “Other Religions and Theology” in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Especially focussing on his indigenous theology and religious dialog, I will clarify what is the main viewpoints of his argument. On the basis of religious pluralism, he urged that Korean Church should practice indigenization and interreligious dialogue. As a consequence, his theology relativized the authority of the unique Christiam Gospel and denied the doctrine of biblical justification. The main points Byeon left behind use on the basis of his indigenous theology and religious pluralism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①religious dialog between Christianity and other various religions ②creative indigenization of Korean Christianity ③principle of parity between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④ways to overcome exclusivity for other religions ⑤consideration on cosmic Christ ⑥restoration of humanity through religious pluralism ⑦research on new paradigm for Christian missions

      • KCI등재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의 은혜관 분석 ― 그의 “人生의 目的”(1921)을 중심으로

        안수강(Su-Kang Ahn)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3 No.-

        이 연구는 아펜젤러의 설교 “人生의 目的”(1921)를 중심으로 그의 은혜관을 고찰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그의 은혜관에 관한 중요한 논점은 그의 유작 “人生의 目的”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요한1서 2장 17절 “이 세상도 그 정욕도 지나가되 오직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자는 영원히 거하느니라” 이 구절을 본문으로 설정했으며, 1921년 9월에 간행된 『百牧講演(第一集)』에 게재되었다. 본 연구자는 “人生의 目的”에 나타난 의미심장한 논점들을 다음과 같이 숙고했다. 첫째, 그의 일반은총 논증과 관련하여 천부적 은혜, 지상의 모든 인류를 대상으로 하는 하나님의 은혜, 특별은총으로 인도하는 전조로서의 속성 등을 분석했다. 둘째, 한국 그리스도인들을 향한 아펜젤러의 간곡한 호소에 기초하여 영생에 대한 소망, 수직적 천륜(天倫)과 수평적 인륜, 절제된 삶,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는 간절한 기도, 복음전파와 구령(救靈) 등의 패러다임을 설정하고 이 논지들에 역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셋째, 그의 상급관에 주목하여 지상에서의 상급과 내세에서 주어질 상급에 관해 다루었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Henry G. Appenzeller’s view of grace, focusing on his sermon “The Purpose of Life”(1921). His important view of grace is based on his posthumous work “The Purpose of Life”. This text is based on 1 John 2:17 “All Scripture is God-breathed and is useful for teaching, rebuking, correcting and training in righteousness.” This sermon is appeared in Sermons by One Hundred Pastors & Teachers Vol. 1 published in September 1921. I considered the meaningful points revealed in “The Purpose of Life” as follows. Firstly, I analysed Appenzeller’s demonstration on general grace such as attributes as God-given grace, God’s grace for all mankind, the prelude to special grace, and so on. Secondly, on the basis of Appenzeller’s passionate appeal to Korean Christians, I concentrated on paradigms for desire for eternal life, vertical and horizontal ethics, abstinent life, earnest prayer to God for help, evangelism and the salvation of spirit, and so forth. Thirdly, I dealt with the aspects of earthly and heavenly reward, focusing on Appenzeller’s view of reward.

      • KCI등재

        일제강점기 기독면려회의 노선과 기독교윤리적 함의

        안수강(Ahn, Su-Kang),이장형(Lee, Jang-Hyung)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reflect on the foundational ideology(idea) and line of ‘Christian Endeavor’ through the initial publication of The Chin Saing(True Life) published at Sept. 1925 and propose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ethics to contemporary days. First, this paper deals with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n the magazine. Second, the writings of Byeong-Seon Hong, Yun-Gyung Kim, Pil-Geun Chae, Dae-Seon Ahn, and Seong-Sik Jang are chosen and summarized Christian Endeavor. Each of these writing is distinctive, but common argument is as follows: the sudden-changed society is corrupt.; Christianity is embodied.; young Christian should be responsible for its crucial accountability and obligation.; and, to bring up these young people, Christian Endeavor should carry the ball. Lastly, this research proposes ethical implications to all Christians today: Christians should be very cautious of Mammonism caused by corruption and set up calling by God; Christians should settle our personality as a moral identity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and, Christian community should handle sincerely ethical accountability and single out young people continually to seek to transform society by training. 이 연구는 <眞生> 창간호(1925년 9월)를 분석하여 기독면려회의 창설 이념과 노선을 고찰하고 오늘날 기독청년들에게 기독교 윤리적 함의를 제시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제2장에서는 기관지 <眞生>에 대한 서지정보를 다루었으며 기독면려회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의미 있는 글들을 선별하여 소개함으로써 후속연구가 용이하도록 했다. 제3장에서는 홍병선, 김윤경, 채필근, 안대선, 장성식 등의 글을 선정하여 기독면려회에 관한 개요를 살펴보았다. 이 글들은 각기 특색이 있지만 공통적인 논점은 첫째, 급변하는 시대이자 사회가 부패했다는 점 둘째, 이러한 시대를 선도함으로써 기독교정신을 구현해야 한다는 점 셋째, 그 중추적인 책임과 의무가 기독청년들에게 주어져 있다는 점 넷째, 이러한 기독청년 일군들을 양성하기 위해 기독면려회가 적극 솔선해야 한다는 점 등이다. 제4장에서는 3장에서 다룬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날 기독교인들에게 주는 윤리적 함의를 제시했다. 첫째, 부패를 초래하는 맘몬이즘을 경계해야 하며 소명의식을 확립해야 한다. 둘째, 도덕적 주체자로서의 각 개인의 인격을 기독교세계관에 입각하여 정립해야 한다. 셋째, 기독교공동체에서 성실하게 윤리적 책무를 감당하고 꾸준히 청년들을 발탁하여 훈련시킴으로써 사회변화를 추구해나가야 한다.

      • KCI등재

        이기풍(李基豊) 목사의 성화담론 분석 - 그의 “新造의 人”(1922)을 중심으로

        안수강(Ahn, Su-Kang)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이기풍(李基豊) 목사의 저작 “新造의 人”을 통해 그의 성화담론을 분석하려는 데 있다. 그는 에베소서 4장 22절부터 24절까지를 본문말씀으로 선정하여 이 글을 작성했다. 이기풍의 성화에 관한 관점은 단지 “新造의 人”에서 발견할 수 있고 1922년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宗敎界諸名士講演集』에 게재되었다. 이기풍의 성화담론에 나타난 핵심적인 개념들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① 법정적 심판→ ② 인간의 타락과 부패→ ③ 예수 그리스도의대선지자직→ ④ 신조의 사람>의 조직화된 구도에 초점을 맞추어 이기풍의 극적인 논증으로서의 성화의 서정(序程)에 대해 설명했다. 둘째, 에베소서 4장 22절부터 24절까지의 말씀에 기초하여 그가 논한 새롭게 지으심을 받은 사람(‘새 사람’, καινός)의 개념을 다루었으며, ‘내연’(內燃)으로서의 다섯 가지 요소와 ‘외연’(外延)으로서의 다섯 가지 열매라는 실천적 패러다임을 정하고 이 점에 역점을 두어 고찰했다. 그는 이 다섯 가지 산물과 다섯 가지 열매의 상호 조화에 대해심층 강조점을 두었다. 부연하여, 본 연구자는 향후 이기풍 목사의 성화담론과관련된 연구가 더욱 외연되어 이 주제의 연장선상에서 ‘그의 신앙과 성화’, ‘그의가르침과 성화’, ‘그의 헌신적인 삶과 성화’ 등 다양한 연구주제로 연계되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analyzes Rev. Gi-Pung Lee’s discourses on sanctification in his “New Man”. This text is based on Ephesians 4:22-24. Lee’s view of sanctification is based solely on his work “New Man” published in Jonggyogyeoi Jemyeongsa Gangyeonjip(1922)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ey concepts of Gi-Pung Lee’s ‘Discourses on Sanctificatio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attempted to study the order of sanctification based on his diagrammatic argument, focusing on the systematic structure of <① forensic judgment→② human’s fall and corruption→③ the high-prophetic office of Jesus Christ→④ new man>. Second, I treated with Lee’s view of the new(καινός) man based on Ephesians 4:22-24. I concentrated on practical paradigms for five elements as ‘internal combustion’ and five fruits as ‘external extension’. Lee laid great emphasis on the mutual consistency of five elements and five fruits. In addition, I suggest future extensions of this research into Rev. Gi-Pung Lee’s other discourses on sanctification such as ‘his faith and sanctification’, ‘his teaching and sanctification’, and ‘his devotional life and sanctification.’

      • 개혁주의신학 관점에서의 유동식의 『韓國神學의 鑛脈』(1982) 분석

        안수강(Ahn, Su-Kang) 신학과 실천학회 2022 신학과 복음 Vol.12 No.-

        이 연구는 유동식(柳東植) 교수의 저작 『韓國神學의 鑛脈』(1982)을 개혁주의신학 관점에서 분석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자는 이 문헌에 나타난 중요한 사상들과 논점들을 다음과 같이 숙고했다. 첫째, 거시적인 틀에서 풍류도(風流道)의 기초이념들, 종교의 기초로서의 ‘한 멋진 삶’, ‘한국신학’에 적용된 ‘한 멋진 삶’의 세 광맥 등에 대해 분석했다. 둘째, 유동식의 풍류신학에 기초하여 태동기(1900년대), 정초기(1930년대), 전개기(1960-1970) 등 시대별 한국신학의 진전에 초점을 맞추어 조망했다. 셋째, 삼위일체 신관, 교회의 보편성, 기독교의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토착화신학과 종교적 혼합주의, 보수주의·진보주의·자유주의의 상관관계, 토착화의 방법론, 정경옥의 신앙, 지구촌시대에 토착화신학이 갖는 의미, 조선신학교 설립, 축자영감론과 성경무오설 등 그의 신학적 담론들을 개혁주의신학 관점에서 고찰했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Professor Dong-Sik Ryu’s Vein of Korean Theology(1982) from the reformed theological standpoint. I considered the important thoughts and points revealed in this book as follows. Firstly, in macroscopic approach I analyzed basic ideas of Pung-ryudo, ‘han meosjin sarm’ as the basis of all the religions, three veins of ‘han meosjin sarm’ in Korean theology. Secondly, on the basis of Ryu’s Pung-ryudo theology, I focused on periodic developments of Korean theology such as embryonic stage(1900s), radicate stage(1930s), formative stage(1960s and 1970s), and so forth. Thirdly, I studied Ryu’s theological discourses such as view of trinity, universality of churches, relativism and absolutism of Christianity, indigenization theology and religious syncretism, interaction among ‘conservatism, progressivism, and liberalism’, methodology of indigenization, Gyeong-Ok Jeong’s faith, significance of indigenization theology in the age of globalization, establishment of Joseon seminary, verbal inspiration and biblical inerrancy, and so on from the reformed theological standpoint.

      • KCI등재

        『예수교회상례』(1907)에 나타난 교훈 분석

        안수강(Su?kang Ahn)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0 No.-

        장례 예식은 고인의 육체를 매장하거나 화장하는 일, 그리고 그 모든 장례절차들과 관련된다. 장례예식을 거행할 때 사별한 유족들과 많은 그리스도인이 예배에 참석하며 깊은 위로와 영원한 하나님 나라의 입성(入城)을 향한 소망, 그리고 미래적 부활의 메시지를 공유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07년에 발행된 『예수교회상례』에 기술된 ‘서문’, ‘비성경적 장례관습들과 무속행사’, ‘찬송’, ‘개회사’, ‘성경본문’, ‘기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고전적 장례예식을 고찰하려는 데 있다. 이 문헌에서는 하나님의 인간창조사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인류시조의 범죄와 이로 인하여 초래된 사망의 징벌, 육체적 죽음과 질병들,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사역과 칭의(稱義), 육체의 부활, 그리고 하나님께서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하여 선포하신 복음적 관점 등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 문헌은 복음을 통해 현재적 삶의 가치와 비전, 목적의식뿐 아니라 나아가 미래적 생명과 궁극적 부활, 그리고 영원복락을 누리게 될 천국을 제시해주고 있다. 본 논문 제2장과 3장에서는 『예수교회상례』의 ‘서문’과 ‘비성경적 관습들과 무속행사’, ‘찬송’, ‘개회사’, ‘성경본문’, ‘기도’ 등을 중심으로 각각의 엄숙한 절차에 담긴 함축적인 의미들을 분석했으며 이 분석 작업을 위해 복음적 메시지에 초점을 맞추어 이 문헌이 보여주는 다양한 교훈점들, 그리고 장례예식과 관련하여 경계해야 할 점들에 대해 고찰했다. 이 연구가 향후 ‘예전 전통과 교훈’, ‘복음적 장례문화’, ‘장례예식의 변천과정’, ‘고전적 장례예식과 설교’, ‘복음적 장례 순서’ 등과 같은 예전적 실천 분야 탐구로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A funeral ceremony is connected with the interment or cremation of a corpse, including all the burial procedures. In performing a Christian funeral ceremony the bereaved families and many Christians participate in worship and share the message of the deepest consolation, hope to enter eternal city of God, and future resurrec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lassical funeral rites through The Christian Burial Ceremony (1907) focusing on ‘preface’, ‘various non–biblical funeral customs and shamanistic celebrations’, ‘hymns’, ‘opening speech’, ‘text of scripture’, and ‘prayers’, and so on. This literature put an emphasis on ministry of God’s human creation, the primary humanity’s crime and the punishment of death, physical death and diseases, Christ’s ministry of salvation and justification, the resurrection of the flesh, and evangelical perspective. In addition, through the evangelism, this literature presented not only the value and vision of present life and the consciousness of purpose but also the future life, the ultimate resurrection, and the eternal bliss of heaven. In chapter 2 and 3, I concentrated on ‘preface’, ‘various non–biblical customs and shamanistic celebrations’, ‘hymns’, ‘opening speech’, ‘text of scripture’, ‘prayers’ to analyze implications in each solemn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I investigated for various lessons and things to keep in mind regarding funeral ceremony focusing on evangelical messages. I suggest future extensions of this research into other liturgical practice and thoughts such as ‘liturgical heritage and lesson’, ‘evangelical funeral culture’, ‘transformative process of funeral ceremonies’, ‘classical funeral ceremony and preaching’, ‘evangelical funeral process’, and so on.

      • KCI등재
      • KCI등재

        좌옹(佐翁) 윤치호 (尹致昊)의 “그리스도는 누구뇨”(1921) 분석 및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서의 함의

        안수강 ( Sukang Ah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1 생명과 말씀 Vol.29 No.1

        이 연구는 일제 문화정치 초엽에 좌옹(佐翁) 윤치호 (尹致昊)가 작성한 설교문 “그리스도는 누구뇨”를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그의 신앙고백을 고찰하려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는 마태복음 16장 16절에 기록된 “시몬 베드로 對答□야 □□□ 主는 그리스도시오 살아계신 하□님의 아□이시니이다” 이 말씀을 본문으로 설정했으며, 설교문은 1921년 9월에 간행된 『百牧講演(第一集)』(Sermons by One Hundred Pastors & Teachers Vol. 1)에 게재되었다. 윤치호의 설교문 “그리스도는 누구뇨”에 나타난 신학사상과 의미심장한 핵심 논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의 인간 이해에 관한 담론을 통해 인간의 선천적인 종교심,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성 정립, 타락 및 만성화된 죄성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예수 그리스도와 구원에 관한 그의 성경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나님의 아들이시자 구주로서의 그리스도의 역사적 실존성, 그리스도 중보의 유일성, 구원의 확신, 참된 신앙고백, 구원의 서정에 대한 이해(‘신앙-성신의 감화-회개-정결-심리의 개조’), 동기론적 윤리, 인격적 지식 등에 대해 다루었다. 셋째,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서 ‘솔루스 크리스투스(오직 그리스도)’, ‘솔라 그라티아’(오직 은혜), ‘솔라 피데’(오직 믿음) 등과 관련하여 그의 신앙고백을 고찰했다. 윤치호가 남긴 의미심장한 공헌과 주목해야 할 헌신을 고려하여 본 연구자는 이후 그에 관한 연구를 더욱 확장함으로써 이 주제외에도 죽으심과 부활에 대한 이해, 성화관, 선교사상, 일기(1883-1943)에 나타난 신앙고백, 청년운동, 기독교청년회(YMCA)를 위한 헌신, 교육활동, 학생운동, 백오인 사건 등 다양한 방면의 담론으로 외연할 것을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Jwa-Ong Chi-Ho Yun’s confession of faith in the early years of Japanese cultural policy, focusing on his sermon “Who is Christ?” from the reformed life theological standpoint. This text is based on Matthew 16:16. “And Simon Peter answered and said, 「Thou art the Christ, the Son of the living God.」” This sermon is appeared in Sermons by One Hundred Pastors & Teachers Vol. 1(『百牧講演(第一集)』) published at Sept. 1921. The theological thoughts and meaningful key points of Chi-Ho Yun’s “Who is Chris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 attempted to study Yun’s discourses on ‘biblic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such as the priori religious sentiment,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 between God and human being, the corruption and chronic sin, and so on. Secondly, on the basis of Yun’s biblical understanding of Jesus Christ and salvation, I treated with the historical existence of Christ as the Son of God and the Redeemer, the uniqueness of mediatorship of Christ, the assurance of salvation, the true confession of faith, understanding of the order of salvation(‘ faith-the inspiration of the Holy Spirit-repentance-purity-reconstruction of heart’), motivational ethics, personal knowledge, and so forth. Thirdly, I studied on Yun’s confession of ‘Solus Christus’, ‘Sola Gratia’, and ‘Sola Fid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light of Chi-Ho Yun’s significant contribution and remarkable devotion, I suggest future extensions of this study into other various themes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death and resurrection, the view of sanctification, missionary thoughts, confession of faith in his diary(1883-1943), youth movement, devotion to YMCA, educational activity, students movement, the Korean conspiracy case of 105 persons, and other related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