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무속’의 전망과 연구 패러다임의 전환

        안솔잎 한국무속학회 2022 한국무속학 Vol.- No.44

        In terms of expanding the cultural territory of musok,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a new shamanic style, 'web-musok', created by facing a new phase of informatiz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eb-musok', is a generic term for the musok phenomenon that occupies the space called the web (World Wide Web). Specifically, first, by examining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and existence of musok, it was discussed that web-musok is a converted new style reflecting the technical-cultural special conditions of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Second, the level of web- shamanic performance and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ird, based on the discussion conducted above, the cultural specificity and significance of web-musok were discussed. In shor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value of the research subject of web-musok and expand the scope of musok research. This is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presentness of musok, and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a new path for shamanic research. 이 글은 무속의 문화영토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정보화라는 새로운 국면과 마주하며 생성된 새로운 무속적 양식, ‘웹-무속’의 특성과 문화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인 ‘웹-무속’은 웹(web, World Wide Web)이라는 공간을 점유하여 나타나고 있는 무속 현상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무속의 전승환경과 존재 양상을 살펴, 웹-무속이 전승환경의 기술적-문화적 특수한 조건들을 반영하며 변환된 새로운 양식임을 논의하였다. 둘째, 웹-무속 연행의 층위와 그 구성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위에서 수행된 논의를 바탕으로 웹-무속의 문화적 특이성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요컨대 이 글은 웹-무속이라는 연구대상이 지니고 있는 가치를 밝히고, 무속연구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무속의 현재성에 대한 물음에 대한 하나의 답으로, 무속연구의 새로운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탈놀이의 퀴어적 전환 - 가장방식과 젠더 규범의 교란을 통하여 -

        안솔잎(An, Sol-ip)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3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5 No.-

        이 글은 이제껏 민속이 이성애 규범에 따라 분석되어왔다는 판단 아래, 탈놀이의 수행성에 주목하여 민속의 퀴어적 해석을 시도한다. 기존의 민속 연구 토대 위에서 해부학적 남성이 탈놀이의 전형적 여성 인물들을 연행해왔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은 탈놀이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게 만드는 계기가 된다. 탈놀이의 전형적인 여성 인물들과 그것을 구성하는 담론들은 가부장적·이성애적 젠더 규범을 조선 후기부터 현대사회까지 끊임없이 재생산해왔다. 그러나 연행의 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젠더 수행이 포착되는 틈이 발생하였다. 그러한 틈 속에서 수행된 이 글은 민속과 퀴어라는 이질적인 것들의 만남, 그 연결의 한계를 인지하면서도 새로운 민속 연구의 가능성을 상상하고 있다. With the opinion that folklore has been examined in heterosexism, this article attempts a queer interpretation of folklore by concentrating on the performativity of mask play. Recognizing that biological men have carried out typical female characters on mask play, we can get opportunity to change the view on it.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modern society, typical female image of mask play and discourses which formed it have constantly reproduced patriarchal and heterosexual gender norms. However, as the conditions of the performance changed, opportunity of capturing gender performativity emerged.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 connection between folklore and queer, this article imagines the possibility of a new folklore study.

      • KCI등재후보

        웹-무속의 공동성과 실천양식

        안솔잎(An, Sol-ip)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1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2 No.-

        무속연구의 새로운 문제계로 설정할 수 있는 웹-무속은, 웹과 무속이라는 이질적인 만남을 통해 생성 중인 문화양식이다. 이 글은 문제계로서 웹-무속을 규명하기 위해, 웹-무속을 확장 중인 무속의 문화영토로 주목하여, 그것을 공동체문화 실천의 양식으로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특히 웹-무속이 지니고 있는 공동성, 웹이라는 디지털 커먼즈와 무속이라는 문화 커먼즈의 융합을 통해 생성된 새로운 공통장적 속성에 주목하였다. (비)플랫폼을 매개하여 발생하는 다중들의 상호작용과 그 과정에서 발산되는 웹-무속의 존재 양상을 살펴봄으로, 기술발전의 정도와 시장 세력 등의 조건을 반영하며 무속이 디지털적 재현과 변환을 다양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이러한 웹-무속의 생성, 그 가치실천은 자본의 구조적 흐름 안에 있으면서도 자율과 공생의 협력을 그 생성의 원칙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가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요컨대 웹-무속의 생산을 위한 협력의 네트워크는 공동체문화로서 무속연구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새로운 지평의 한 예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Web-musock, which can be established as a new system of musock, is a cultural style that is being created through a heterogeneous encounter between the web and musock. In order to identify the web-musock as a problematique, this study sought to approach the web-musock as a cultural territory of musock, which is expanding. In particular, we note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web-musock the common, the convergence of digital commerce called the web and cultural commerce called musock. By looking at the multiple interactions occurring through the (non)platform and the web-free presence patterns emitted in the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musock is converting with digital reproduction, reflecting conditions such as the degre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market forces. At this time, the creation of web-musock, its value practice, is positive in that it is within the structural flow of capital and cooperation between autonomy and symbiosis is the principle of production. A network of cooperation for Web-musock production could be an example of a new horizon for the paradigm shift of musock study as a community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