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위생과 실습생을 위한 표준화된 임상실습매뉴얼 개발

        안소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 standardized clinical practice manual to practitioners in the dental hospitals in order to improve practical abilities by overcoming school education and practice of dental hygieni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the 1st level study,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practical education details in 3 practice hospitals for clinical practice to practitioners based on the job descriptions of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2000). At the 2nd stage, in order to develop clinical practice details, the level of significance on contents was assessed (O, X) by 15 dental hygienists and 2 dent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1st round, education with Fones' method, intra-oral and extra-oral inspection and tooth bleaching preparation were removed with less than 50%. Added contents for clinical practice included using End tuft, explaining caution after fluorine coating, using Autoclave, explaining caution after root treatment and explaining caution after adhesive use. As a result of the 2nd round, education on tooth stimulators, basic instrument preparation, measuring blood pressure and production of temporary crowns were removed with less than 50%. At the 3rd stage, in order to measure significance level of contents, a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on dental hygienists who were in practice. As for significance of clinical practice specific details on dental treatment cooperation works, preparation of dental treatment record, using saliva inhaler, explaining caution after adhesive use, apical filming, scaling measuring, rubber impression taking, explaining caution on endodontic treatment, and explaining caution after extraction of teeth had high level of significance. As for significance on oral hygiene education, rotation method and education of interdental brush use had high level of significance. As for significance of preventive dental treatment, removal dental calculus using ultrasonic scalier, use of fluorine ion inducer and tooth sealant. At the 4th stage, selected information to clinical practice dental hygiene education department details the learning objectives (for the Dental Hygienist Education Council,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ssociation, 2012) to see the relevance of analysis with related subjects. At the 5th stage, in-depth interviews were taken. As a result, the manual achieved very high points such as 3 or 4 in the structure of manual, use of manual, recommendation of manual to other colleagues and convenient use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resource with this manual. At the 6th stage, all interview details were revised with written consent of the interviewees and the final manual was produced. Accordingly, a standardized clinical practice manual is requir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oretical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and to improve the practical ability of students in dental hygiene, and it is also expected this manual could be used for education resources in clinical practice.

      •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가 만2세 영아의 창의성과 예술성에 미치는 효과

        안소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가 만2세 영아의 창의성과 어예술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가 만2세 영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가 만2세 영아의 예술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K구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 중 지역여건, 가정환경, 사회‧경제적 수준이 비슷한 J어린이집 만2세 영아 14명(실험집단)과 G어린이집 만2세 영아 14명(비교집단)으로 총 28명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창의성과 예술성 발달을 위한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를 시행하였다. 실험처치는 2022년 12월 5일부터 2023년 2월 3일까지 설 연휴를 제외한 8주간에 걸쳐 실험처리를 실시하였다. 총 8권의 그림책을 선정하고 한 주 동안 그림책의 예술적 요소를 탐색하고 교사가 그림책을 읽어주며 흥미 유발 및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 환경을 제공해주었다. 이에 확장하여 영아들이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를 즐기고 감상하는 활동들을 이어나갔다.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노영희, 김경철, 김호(2006)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척도를 영아용으로 수정‧보완하였고, 박현정, 정현숙, 정선영(2014)이 개발한 영아용 예술경험활동 평가도구를 활용해 예술성 발달에 대해 연구한 방현실, 송윤나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29.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또한,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가 만2세 영아의 창의성과 예술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처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과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사전검사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결과에 대한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가 만2세 영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하위요인 중 확산적사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독립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창의성 전체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므로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가 영아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가 만2세 영아의 예술성에 미치는 효과는 예술성 척도의 하위요인 중 예술 감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예술탐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예술성 전체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므로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가 영아의 예술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와 만2세 영아의 창의성과 예술성 간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가 지닌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아를 대상으로 한 그림책을 활용한 예술탐색놀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영아, 그림책, 예술탐색놀이, 창의성, 예술성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potential impact of art exploration activities utilizing picture books on the creativity and artistic abilities of two-year-old toddlers. The proposed research objectives according to this objective are as follows: 1) To assess the effect of art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creativity of two-year-old toddlers. 2) To determine the effect of such activities on the artistic abilities of two-year-old toddlers.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 of 28 toddlers from two public daycare centers, J and G, in District K, Seoul, chosen for their similarities in local conditions, home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levels. A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rt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designed to foster creativity and artistic development. The experimental procedure spanned eight weeks, from December 5, 2022, to February 3, 2023, excluding the Lunar New Year holiday. A total of eight picture book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ith each week dedicated to exploring their artistic elements. Teachers read the selected books aloud to cultivate interest, thereby fostering an environment conducive for art exploration. This approach was expanded to allow toddlers to enjoy and appreciate art exploration using picture books.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include an adapted version of the creativity scale for toddlers, developed by No et al. (2006), and the art experience activity evaluation tool for toddlers, developed by Jeong et al. (2014).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29.00. A post-experiment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ith pre-test scores as a covariate,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impact of art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artistic abilities in two-year-old toddl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se activ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art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creativity of two-year-old toddlers was most prominent in divergent thinking and least in independenc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creativity between the two groups suggests that art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positively influence the enhancement of toddlers' creativity. Similarly, the effect of art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artistic abilities of two-year-old toddlers was most significant in art appreciation and least in art exploratio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artistic abilities between the two groups implies that art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positively influence the enhancement of toddlers' artistic abilities.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underscore the empirical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art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creativity and artistic abilities of two-year-old toddlers.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incorporate these activities into early education programs, thu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that can guide future pedagogical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eyword: Infants, Picture books, Artistic exploration play, Creativity, Artistic literacy

      • 영시와 영어교육

        안소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의 수업 방식이나 내용이 과거와는 다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과거의 전통적인 수업 방식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정확성은 유창함으로, 언어의 형태 중심은 담화 중심으로, 분리된 수업은 통합된 수업으로 전환되었다.현재 행동주의에서 인지주의를 거치면서 구성주의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의사소통 교수법이 우리나라 교과서의 주를 이루고 있다.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자면 인지적인 측면만 강조하던 수업에서 벗어나 정의적인 측면의 중요성을 깨달아 두 측면을 모두 강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쓰기면 쓰기, 읽기면 읽기만 하던 분화된 수업에서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의 Four Skills를 통합적으로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본 논문에서는 변화하는 영어교육 과정에서 문학을 이용한 수업, 특히 영시를 이용한 영어교육의 장점과 함께 실제로 영어교육을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소개하였다. 또한 영시를 이용한 영어교육이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업방식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영시를 이용한 영어교육에 대하여 반대하는 사람이나 찬성하는 사람 모두 나름대로의 근거를 가지고 반대를 하거나 찬성을 한다. 그러나 단점보다는 장점에서 찾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수업 방법이라든가 활동들의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그 첫째가 영어의 언어측면을 학습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시의 구조 자체도 다른 장르들과는 다르기 때문에, 구조들을 이용하여 리듬이나 강세와 같은 것들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가 있다. 또한 어휘라든가 문장의 구조도 활동들을 통하여 충분히 가르칠 수가 있다. 두 번째로는 문화적인 면을 다룰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와 영어권의 문화는 많이 다르다. 그런데 영시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문화를 접해볼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셋째로는 정의적인 면에서의 가능성이다. 의사소통을 위한 짝 활동이나 그룹 활동을 통하여 영어의 두려움을 없애고 직접 수업과정에 참여해 봄으로써 자신감을 갖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제 7차 교육과정의 핵심인 의사소통적 언어 교수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본 다음,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영시와 교과서 이외의 영시를 이용하여 실제로 영어수업을 진행해 볼 수 있는 영어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영어 교육의 목적은 영어라는 언어 그 자체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다. 국제어로서 사용되고 있는 지금, 서로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과 우리 문화를 세계에 알리기 위한 도구로써, 영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영어의 분석이 아닌 영어를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조성해 주어야 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some good ways to teach English language through using English poems. Especially, it can apply the teaching methods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Teaching English language through English poems has a lot of advantages. First, it improves the knowledge of language. Students naturally acquire the language of words, grammar, stress, intonation and rhythm through many kinds of activities. Second, it can teach cultural aspects. Students learn different cultures through poems and students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Third, it influences to students' affective aspects. It gets rid of fear about the English language and relax their anxiety through interactive activities. So students can have confidence and they can enjoy a meaningful 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Therefore, English poems can be used as a good text for teaching English.This study suggests many ways that can be useful for instructing in real classroom. And this study includes the lesson plan for teaching English language by using English poems that are selected and that are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e key point of teaching lessons is to combine Four Skills(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during the English class and to emphasize students' interaction.The purpose of studying English is not learning for language form itself, but communicate each other. Therefore, it is important make an atmosphere in which students can communicate activities.The several activities with using various kinds of English poems are good for teaching English efficiently.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안소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2005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9.1%에 이르러 매우 빠른 추세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으며, 이러한 추세로 고령인구가 증가 할 경우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26년에는 20.0%로 초 고령 사회에 도달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현실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문제는 증가하게 되고 장기요양보호를 포함한 노인문제를 둘러싼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턱 없이 부족한 상태에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일환으로 정부에서는 2006년 2월 7일 국무회의에서 ‘노인요양보험법’ 제정안을 통과시켰으며, 2008년 7월부터 치매.중풍 등으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에게 간병, 수발, 시설업소 등의 공적 수발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내용 및 제도 도입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 국민이 보험료 부과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수급대상을 제한한 것은 보험가입자와 수급자가 불일치하는 문제가 나타나기 때문에 64세 이하의 장애인을 수급자로 하자는 안을 그동안 여러 단계에서 검토하였으나 이는 장애인을 포함할 경우 노인을 대상으로 마련한 대장자의 기준, 평가판정체계, 서비스의 종류와 범위, 서비스 공급체계 등 거의 모든 제도의 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꾸어야 하고 또 재정소요도 크게 더 늘어나기 때문에 노인요양보장제도를 도입하려면 그 대상이 되는 노인의 비율을 다시 검토하거나 아니면 단계별 확대계획에 따라 수급자의 대상을 어디까지 포함할 것인가를 정책방향을 재 설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상자는 제한적인데 반해 전 국민에게 부과되는 보험료 부담 및 보험료 상승에 대한 우려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높은 이용자 본인부담률 또한 국민의 불만을 야기하고 있으며, 또한 젊은 세대가 대부분의 보험료를 부담하고 보험제도의 혜택은 당장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불만 등으로 인한 문제점을 가져 올 수 있다. 현재 검토하고 있는 방안은 건강보험제도와 연계하여 건강보험료에 일정한 추가보험료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재원을 조달하려고 하는데, 현재도 건강보험의 보험료 부담 때문에 불만이 많은 국민들이 추가적인 보험료를 부담하려고 하겠는가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며 앞으로 노인요양보험제도가 성숙하게 될 때 요양서비스의 수요가 증대하면서 거기에 따른 비용도 크게 증대될 것으로 예견되는데 그렇게 되면 결국 국가와 국민전체의 부담이 커지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노인요양보험의 비용을 장기적으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지금부터 대책을 세워야 한다. 따라서 재정문제에 대해서는 무엇보다 국민적 합의와 공감대를 모을 필요가 있으며, 고령사회에서 예견되는 노인요양의 사회적 부담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공동체의 책임을 국민들에게 설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시설과 인력인프라 확충 문제는 제도를 시행하는데 있어 노인요양보험제도의 보편성 가치를 실현하고 서비스의 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부에서는 2006년부터 노인요양원 등의 시설을 적극적으로 늘려나가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부담 문제 등으로 아직까지 시설이 계획대로 만들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고, 재가시설의 경우 이 제도를 실시하면 민간투자에 의하여 빠르게 증설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초기 투자의 부담이 만만치 않아 계획대로 시설이 확충될지 아직은 의문이다. 따라서 이 제도의 안정적 시행을 위하여 시설인프라 구축 면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하며, 민간사업자가 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각종 행정적 지원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렇게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양적으로 증가한다 하더라도 대상노인의 상태에 따라 요양서비스를 계획하여 요양시설의 서비스를 연계하고, 서비스과정을 모니터링하여 평가하는 핵심적인 전문인력을 두지 않고, 대상자 본인의 계획 작성이나 시설종사자의 계획 작성에 의존하면 요양서비스의 관리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많고, 따라서 노인요양보장의 재정이 남용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더 큰 문제점을 유발시킬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도 함께 사전에 보완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정부는 노인요양보험제도의 안정적 실행을 하기 위해서는 보다 앞선 선진국의 사례를 잘 수용하여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더불어 이 제도에 대해서 국민들에게 이해시키고 국민과 함께 이 제도를 끌고 갈 수 있도록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유발할 수 있도록 하며, 무엇보다 이 제도를 꾸려가는 공무원, 공단, 지자체, 전문가, 요양서비스 현장 요원 간의 소통과 이들의 열정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실질적 Our country entered upon the aging society in a rapid trend as the senior population over 65 turned into 9.1% in 2005. And it is assumed that if this trend continues, the proportion will reach 14.3% in 2018, and 20% in 2026, turning this country into the super aging society. In the progress of becoming the aging society, the confronting problems in reality are increasing and the environment concerning the seniors' problem is changing rapidly, including the long-term protection with medical care. However, there are not nearly enough countermeasures. The government passed the bill of 'Senior Protective Medicare Act' at the Cabinet Council on February 7th 2006 and this bill contains the major services for seniors, which are going to be put into practice from July 2008, and the bill includes the public protective services such as nursing, connecting the seniors to public institutions, who are unable to manage their everyday life themselves due to the disease of dementia, paralysis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comprehending the major contents of the long-term medicare insurance system and the problems in the adapting course of the system, so that the improvement schemes may be obtained.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all people of this country are subject to the insurance levy, the beneficiaries are limited due to the discordance between the subscribers and the beneficiaries, so the proposal, in which the disabled under 64 could be the exclusive beneficiaries, was examined. And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in case of including the disabled, almost all relevant systems of institutes should be changed fundamentally, such as the criteria of the subjects, evaluation systems, kinds and ranges of services and supplying systems that were prepared for seniors. And because of the huge increase of financial requirement, if the government starts to work to adapt the senior medicare system, it needs to reset the policy direction concerned with the reappraisal of the proportion of senior population, and how to regulate the range of beneficiaries according to the expansion plan of the stages. Second, in spite of the limited number of insurance bill payers, the burden of imposed insurance bills on the people and the raise of the bills cause the great concerns.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personal payment rate than that of other advanced countries causes the complaints of people. And also the complaints of the young generation, who pay the insurance bill currently but can not be the beneficiaries, may bring about the social issues. In the schemes reviewed currently, the fund is supposed to be raised by imposing additional insurance fees on the health insurance fees, making connection with the health insurance system. But this idea causes another problem if the people agree to pay the additional fees as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 current burden of health insurance fees.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set up a solution for this problem. When the senior medicare system is matured in the future, it is estimated that the total expens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medical care service demand will also increase in a huge scale, and so it will leads to the increase of the national burden. There is a need to set up a countermeasure to solve the financial problem related to the senior medical care insurance for the long term period. Accordingly, most of all there is a need to form the national consensus and response against the financial problems. And the government needs to convince the people to take the responsibility as the member of social community, so that the social burden of the senior medical care may be suggested, which will inevitably arise as a social issue in the aging society. Third, according to the expansion issues of the facilities and manpower infrastructure, it is most important to set up the facility infrastructure providing the medical care to realize the universal value of the senior medicare system and to secure the quality of service, putting the system into practice. The government has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senior nursing homes since 2006, but there still remain problems that all planned facilities have not built yet as scheduled due to the financial burden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others. And in case of the home-based facilities, though it is expected that the extension would be achieved quickly with the private investment, there still remain questions if it is going to work as scheduled when the system is carried out because the initial investment is not easy to said affordable. So,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positive participation from the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facility infrastructure for the stable implementation of this system and to search for the diverse administrative support to attract the private businesses to the project. Even though the positive participation leads to the increase of quantity, connecting the target seniors to the service of the nursing facilities is not performed in an appropriate manner, or the work is carried out depending on the plan of the employees of the facility without recruiting the core expert manpower who are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service process, the management of the medicare service may get in caught with difficulties. Accordingly, there will be a big possibility of financial abuse in the senior medicare system and it may result in the even bigger problems. So, it is necessary to make up for the problem in advance with preparing the countermeasures. As a result,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accept the fine examples of the advanced countries and set up the effective and efficient system to put the stable senior medicare system into practice.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to lead the system to perform the service equal to the desire of the people, so that the people may understand the system and voluntaril

      •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급응집력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안소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급응집력과 공감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타당하게 구안할 수 있는가? 둘째,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급응집력 및 공감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참여 경험은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 개발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급응집력과 공감능력을 향상하는데 효과를 본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기존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친밀감형성, 자기이해, 타인이해, 관계형성, 마무리 단계로 구성하였다. 각 영역별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10개의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이 주제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상담 맵을 제작하고 수업안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청주시 S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연구자가 담임하고 있는 반 31명의 학생을 실험집단으로 하였다. 같은 학년 중 1개 반을 임의로 정하여 그 반 학생들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총 10회기에 걸쳐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회기 당 40분~50분가량 진행하였으며, 이는 초등학교 정규 수업시간 40분을 기준으로 하였다. 단, 회기별 활동의 특성과 학생들의 수행 수준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하였다. 검사 도구로 학급응집력 검사를 위해 사용한 검사지는 박미숙(2017)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학급분위기’, ‘상호신뢰’, ‘사기’, ‘일체감’, ‘의사소통’의 5개의 영역으로 각 4문항씩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avis(1980)의 대응관계 반응지수 척도와 Bryant(1982)의 정서 공감 척도(공감적 각성)를 박성희(1996)가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총 30문항으로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의 2영역으로 구성된다. 설문 결과 자료는 사회 과학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23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독립표본 t 검증과 실험집단 내의 대응표본 t 검증으로 처리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4주 후 추수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추수 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에서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 회기 참여자의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기록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수검사의 통계적 검증 결과, 학급응집력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독립표본 t 검증에서는 전체평균과 일체감을 제외한 학급분위기, 상호신뢰, 사기, 의사소통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공감능력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독립표본 t 검증 결과 상상하기, 공감적 각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급응집력 및 공감능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연구자의 관찰기록과 참여자의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에게 학급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가 상승하고, 상대의 처지를 이해하는 공감능력이 성장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학생의 소감문에는 ‘친구의 고민을 들으니 가슴이 아팠다.’, ‘친구의 고민이 나와 같다는 것이 신기했고, 그 친구를 위로해주고 싶었다.’의 표현이 등장한다. 이는 타인에 대해 동정을 느끼고, 그 대상에 관심을 갖는 공감적 각성 영역이 증대된 모습이다. 또한 ‘우리 반이 협동이 잘 되는 반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메타버스 안에서 우리 반 친구들과 더 친해진 것 같다,’, ‘메타버스로 소통하는 우리 반이 특별하고 좋다.’ 등과 같은 참가자의 소감 기록이 있다. 이는 학급응집력 중 학급분위기, 일체감, 사기 영역의 요소들이 함양된 모습이다. 이와 같이 본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학급응집력과 공감능력을 함양한 학생들의 답변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했다는 데에 첫 번째 의의가 있다. 두 번째로 학생들의 학급응집력과 공감능력을 향상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성이 4주 후에도 지속된다고 볼 수 있다. 셋 번째로 학생들의 참여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학급에 대한 신뢰와 호감이 상승한 것을 발견할 수 있으며, 상대의 처지를 이해하고 깊이 공감하는 태도를 함양하여 일상생활에도 적용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 째, 본 연구는 10회기라는 단기간의 프로그램으로 그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한 학기 이상의 충분한 기간을 가지고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 째, 본 프로그램은 노트북과 태블릿을 활용하므로 학생들의 정보기기 활용 능력과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을 때 그 효과가 증가할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이 연구에 활용한 메타버스 맵을 제작하는 데 전문가의 협업이 요구된다.

      • 장애인에 대한 청소년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소희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개선에 필요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402명(남학생 200명, 여학생 202)이고, 이들은 전라남도에 소재하는 5개 학교에서 표집하였다. 이때 각 학교 학생을 군집표집하여 조사를 실시하고, 이때 남녀학생의 비율이 유사하도록 하였다. 사용한 설문지는 Siller(1967)가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개발한 장애태도요인분석척도(Disability Factor Scale)를 김종임(2003)과 박중환(2008)이 수정 보완한 것을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장애인에 대한 청소년의 태도는 어떠한가? 둘째, 장애인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태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4.209, p<.001). 즉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집단이 장애인을 대할 때의 태도에 차이가 있고, 남학생 집단에 비해 여학생 집단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더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관련변인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인과의 접촉경험(t=2.351, p<.05)과 교사의 영향(t=3.609, p<.00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남학생 집단이 여학생 집단보다 장애인에 대한 접촉경험이 더 많고, 교사의 영향을 많이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급별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태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108, p>.05). 즉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변인에 대한 학교 급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교사의 영향과 대중매체의 영향을 제외하고 접촉경험(t=-5.894, p<.001), 과거의 부정적 경험(t=-3.728, p<.001), 부모의 영향(t=-3.712, p<.001), 장애인에 대한 고정관념(t=-3.693, p<.0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장애인에 대한 접촉경험과 부정적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교사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학생 집단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직접경험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접촉경험과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r=.15, p<.01)를 보이고, 과거의 부정적 경험과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r=-.21, p<.01)를 보이고 있다. 이는 장애인과 접촉경험이 많을수록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과거의 부정적 경험이 많을수록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직접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는 남학생 집단에서는 과거의 부정적 경험(r=-.23, p<.01)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학생 집단의 경우 접촉경험(r=.25, p<.01)과 과거의 부정적 경험(r=-.16, p<.05)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전체학생 집단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간접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영향(r=.19, p<.01), 교사영향(r=.23, p<.01), 대중매체 영향(r=.23, p<.01)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간접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 남학생 집단에서는 교사의 영향(r=.27, p<.01)과 대중매체의 영향(r=.36, p<.01)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학생 집단에서는 부모의 영향(r=.30, p<.01)과 교사의 영향(r=.29, p<.01)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전체학생 집단에서 장애인에 대한 고정관념은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모든 관련변인 중 가장 강력한 부적 상관관계(r=-.50, p<.01)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전체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종속변인인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은 장애인에 대한 고정관념, 교사의 영향, 접촉경험이었다. 남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은 장애인에 대한 고정관념과 교사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여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은 장애인에 대한 고정관념과 부모의 영향이었다.

      • 힌데미트의 더블베이스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에 관한 분석연구

        안소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후기 낭만에서 현대음악의 전환기로 활동한 대표적인 작곡가 힌데미트의 관한 연구이다. 20세기 전반에 많은 작품을 통하여 다양한 음악세계를 보여주었다. 때로는 과격하게 또한 때로는 보수적으로 혼돈스럽던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며 그만의 새로운 음악체계를 완성하였다. 그는 20세기의 작곡가로서 전통에만 머무르지 않고 무조적 화성, 선법, 4도 화음, 불협음, 자유로운 리듬 등 새로운 어법을 바로크적 음악 요소인 푸가나 오스티나토 기법를 응용하여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객관적, 형식적인 음악을 추구하였다. 본 논문을 분석하기에 앞서, 이 작품의 작곡 배경을 살펴보기 위하여 힌데미트의 생애와 작품경향에 대해 알아보고, 작품 분석에 있어서는 각 악장별로 조성, 박자, 형식 등을 파악하여 작품의 본질적 구조를 살핀 다음 세부적인 사항들은 부분 별로 세분하여 분석·설명하려고 한다. 이 작품은 소나타라는 명칭은 사용하지만 악장 구성에 있어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과 더불어 론도, 푸가, 카논, 변주곡, 리토르넬로 등을 고정 틀에서 벗어나 작곡하였다. 또한 선율과 화성에서는 비록 중심음의 개념은 유지시키지만 3도 대신 4도와 5도를 기본적으로 자주 사용한다든가 복조성 또는 불협화음을 과감히 도입함으로써 무조주의와 조성주의의 경계에서 자유롭게 작업하고 있다. 그는 전통적인 고전 형식과 작곡 기법에 새로운 음향과 음악적 사고를 융합시켜 그만의 독특한 신고전주의적 표현을 이 작품을 통해 완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is on Paul Hindemith, a representative composer who took an active part in the transition between late romantic period and modern music. Various worlds of music were displayed through many works during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oth radical and conservative forms were applied to adjust to the flow of the chaotic era and accomplish his new music system. As a composer in the 20th century, he did not linger on traditions. Instead, he took new expressive methods such as atonal harmony, mode, quartal harmony, disharmony, and free rhythm and applied the fugue ostinato method, a baroque musical element, and based on traditional music to pursue objective and formative music. Before analyzing the research, the life and artwork inclination of Hindemith are identified, and in terms of the work analysis, the tonality, beats, and forms are classified for each movement. Then,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artwork is observed and specific items are subdivided per part for analysis and explanation. This work is entitled as 'Sonata.' but when it comes to the composition of movements, the traditional form of sonata in addition to rondo, canon, variation, and ritornello were composed by breaking away from the fixed frame. Additionally, even though the concept of the center tone is maintained in the melody and harmony, quartal or diapente is frequently applied as basics instead of the tierce or the bitonality or dissonance is daringly adopted to operate freely between the boundaries of atonalism and tonalism. It can be identified that he fused new sounds and musical thinking to his traditional classical form and composition method to achieve his unique neoclassical expression through this work.

      • 문학작품에 나타난 시민성 학습양상에 관한 연구

        안소희 서울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the learning experiences of main characters in literary works to reveal the context of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at takes place in coping with dilemmas in daily life. How the character’s lives are transformed through the dilemma, and how such conversion constitutes the life are explored. In particular, the kind of dilemma focused on in this study is the clash of social customs or cultural contexts and the existence of humanity. This study has focused on learning to revise and reconstruct beliefs, value systems, and social and cultural assumptions by critically reflecting on distorted perceptions that have been taken for granted. In the meantime, in the field of civic education, citizenship has been understood as qualities, abilities and practical capacities that are needed to be citizens. There are some traits that must be taught and learned to become good citizens, and citizenship learning has been considered the way of learning such capacities. Civic education based on this paradigm faces limitations by overestimating only the ideal good citizens' roles and abilities.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learn about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reflected in the daily lives of citizens,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resolve complex structural conflicts. Citizenship learning cannot be separated from everyday life experiences, and the experiences that make up life become a field of learning to build up citizenship. This study identifies the transformative learning as a dimension of new civic learning that faces and solves social absurdities, unjust social practices, oppression and exploitation structures intertwined in everyday life. Citizens perceive the contradictions of structures that are embedded in the circumstances, and organize their lives accordingly. They experience a dilemma, feeling confusion and conflict between the various contexts of life whe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external world constrain the existential exploration of individuals and contradictory desires coexist in the inner world. Individuals suffer greatly from internal conflict and confusion. In this situation, individuals make their lives more well-off in a social community and form a way to coexist with others. In this way, life-linked citizenship learning takes place through everyday experience. The researchers sought to capture the form of life, which is made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dilemma of everyday life, from the emphasis of citizenship on the supreme level to the concept of citizenship. Considering these problems, this study raises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that people in literary works recognize? second, what are the dilemmas faced by key characters in literary works? third, how does the learning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dilemma appear at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level?   In order to deal with these thre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omplexity of the dilemma situation and the contexts that are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characters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Firstly, this study attempts an analysis that reveal in-depth meaning of stories through the "analysis of narrative" method. After that, this study attempts “narrative analysis”, which reconstructs narrated stories based on the dilemma experienced by key characters in order to create new narrativ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social image presented in 『82 Years Old Kim Ji-young』 shows that although institutional devices have been provided to achieve gender equality, cultural prejudice against gender is still present. In this situation, Kim Ji-young felt a structural frustration, but she was unfamiliar with the norms and social order prevalent in society, creating an opportunity for a new change. At the moment of unreasonableness and injustice, she turns into a person who shares her voice rather than being silent. 『To the Dead』 is proposed as a closed society in which it is difficult to make changes to the system through individual autonomous choices. The characters in the work, whom are bound by the hospital organization system aid the corruption. Muju accuses the hospital organization of corrupt practices, but as he undergoes various circumstantial difficulties, he gradually experiences 'self–rationalization’ for survival and makes a choice to move away from the ethical-self. In this way, he is facing a dilemma between his ethical-self and secular-self. 『Counterattack of thirty』 presents a society in which the exploitation of the weak is carried out while governing bodies are made more powerful. Initially, the exploited characters do not resist being deprived of their rights and being treated unfairly.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against injustice, but they were soon frustrated. While Ji-hye shows bitterness to the reality where obedience to authority takes place openly, but still feels the desire to be incorporated into the mainstream of the system. However, she joins the practice of making small counterattacks against unjust authority in daily life and positively changes the tragic prospect on the possibility of change.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of the analysis in each work are as follows. First, the big and small dilemmas of the key characters in each work came from the double bind. Whe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constrain the existential exploration of individuals, or when contradictory desires coexist in the inner world, individuals are not explicitly oppressed but have experienced internal division and confusion. Individuals have sometimes faced limitations, though they have cracked structures that constrain their lives by expanding gaps in a society where openness and openness coexist. In addition, when pursuing contradictory desires, individuals sought to achieve 'self-growth' by 'adapting' to the outside world, and a dilemma was found in the process.   Second, the key characters in three literary works have reconstructed their lives and culture through dilemma. Under the dilemma situations, they change their responses from passive such as 'adaptation, avoidance’ to active such as 'coordination, strategic response'. Dilemma experience is a situation or stimulus that triggers learning, not a learning event itself, and it is learned when it is exercised as an agent to face, interpret, and respond to it. The characters in the three literary works have shown a pattern of being reborn from 'adaptive subject' to 'critical subject' through various experiences.    Third, through the response to the dilemma situation, learning is done by constructing consistently the value system penetrating the whole life while directly facing the external environment. Individuals experiencing dilemmas showed sign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experiences through critical reflection. Especially, it was confirmed that critical reflection occurs and the crack of recognition occurs through interaction such as 'respect, recognition, ignorance, threat and criticism' and interaction such as 'dialogue and solidarity'. The study suggested that consistent formulation of lifestyle through this series of dilemmas could be a new prototype of citizenship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ansitional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various dilemma. The literature was used as a research text that details the various contexts surrounding characters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reflective perception of characters. The 'reality in a novel' presented through literary works is not a reality in itself, but it can be seen how citizens who live in society in the contemporary times interpret the everyday life. It is important qualitative data to understand real world in poi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following points. It reveals the context in which ordinary citizens attempt to make small cracks against unfairness on what occas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capturing the entire lifestyle formed through struggling life as a citizen. In this way, it is meaningful to extend the discussion on citizenship that operates in the real world through 'Citizenship in Literature' which is a citizenship that flows in the daily life of citizens who are appeared in literary works. 본 연구는 삶의 장면에서 직면하는 딜레마에 대응해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전환적 학습의 맥락을 드러내기 위해 문학작품 속 핵심인물들의 학습경험을 분석했다. 작품 속 핵심인물들이 딜레마 상황에서 어떤 계기에 의해 인식의 전환을 이루고, 그러한 전환이 어떻게 삶을 구성해 가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 초점을 맞춘 딜레마의 종류는 사회적 관습 또는 문화적 맥락과 존재양식의 충돌이다. 그 동안 사회‧문화적으로 당연하게 여겨져 온 왜곡된 인식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함으로써 신념, 가치체계, 사회‧문화적 가정(assumption) 등을 수정하고 재구성해가는 학습에 주목하였다. 그 동안 시민교육 영역에서는 시민성을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이나 능력, 실천적 역량으로 이해해왔다. 가르치고 배워야할 모종의 형질이 있고, 이를 학습해가는 것을 시민학습이라고 간주했다. 이러한 패러다임에 근거해서 이루어진 시민교육은 이상적인 좋은 시민의 역할과 능력만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한계에 직면했다. 이에 따라 시민들의 일상에 투영된 사회적, 문화적 맥락들을 읽어내고, 복잡하게 얽혀 있는 구조적 갈등을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시민성 학습이 새롭게 요구되고 있다. 시민학습은 일상적 삶의 경험과 분리될 수 없으며, 삶을 이루는 경험들은 시민성을 구성해가는 학습의 장(場)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일상에 얽혀 있는 사회적 부조리, 부당한 사회적 관행, 억압과 착취구조를 직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환적 학습을 새로운 차원의 시민성 학습으로 포착하였다. 시민은 자신이 놓인 상황들에 배태되어 있는 구조의 모순을 간파하거나 이에 적응하며 삶을 구성해간다. 붙박여 있는 다양한 삶의 맥락들 사이에서 혼란과 갈등을 느끼며 시민들은 딜레마를 겪는다. 특히 외부세계의 환경적 조건이 개인의 실존적 탐색을 제약하는 경우, 내부세계에서 모순된 욕망이 공존하는 경우에 개인들은 내적분열과 혼란을 크게 겪는다. 이런 상황 가운데 개인들은 사회적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가꿔가면서 타자와 공존할 수 있는 삶의 양식을 구성해간다. 이처럼 삶과 연계된 시민학습은 일상적 경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연구자는 당위적 차원에서 강조되는 시민성에서 나아가 일상 속 딜레마를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구성되는 삶의 양식 자체를 시민성이라는 개념으로 포착하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문학작품 속 인물들이 인식하는 사회의 모습은 어떠한가? 둘째, 문학작품 속 핵심인물이 겪는 딜레마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딜레마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은 개인적, 집단적 차원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러한 세 가지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딜레마 상황의 복잡성과 여러 인물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되는 상황과 맥락들을 살펴보았다. 1차적으로는 ‘내러티브의 분석(analysis of narrative)’ 방법을 통해 문학작품 속 이야기가 내포하고 있는 보편적이고 심층적 의미를 드러내는 분석을 시도했다. 이후 2차적으로 이야기된 이야기(told stories)를 핵심인물이 겪는 딜레마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는 ‘내러티브 분석(narrative analysis)’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82년생 김지영』에 제시된 사회 모습은 양성평등을 실현하는 데 있어 제도적 장치는 충분히 마련되었지만 젠더에 대한 문화적 편견이 여전히 작동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지영은 구조적 좌절을 느꼈지만 사회에서 통용되어온 규범, 질서들을 낯설게 인식하면서 새로운 변화를 위한 틈을 만들어간다. 부당하고 느끼는 순간에 목소리를 삼키지 않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위한 작은 시도를 만들어간다. 『죽은 자로 하여금』에는 개인의 자율적 선택으로 시스템의 변화를 꾀하기 어려운 ‘폐쇄되고 닫힌’ 사회가 제시되어 있다. 병원조직 시스템에 속박된 작품 속 인물들은 부패와 비리를 방조한다. 무주는 병원조직의 부패한 관행과 비리를 상부에 고발하지만 여러 상황적 어려움들을 겪으면서 점차 ‘생존을 위한 자기합리화’를 하며 윤리적 자아와 멀어지는 선택을 한다. 이처럼 윤리적 자아와 세속적 자아 사이를 오가며 딜레마를 겪는 모습이 나타난다. 『서른의 반격』에는 부당한 권력관계를 지속시키는 규칙(rule)들이 통용되는 가운데 힘없는 약자들의 삶에 대한 착취가 이루어지는 사회가 제시된다. 작품 속 인물들은 정당한 권리를 박탈당하거나 부당한 대우를 받고도 저항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부당함에 맞서는 한 두 번의 시도가 있었지만 그 시도들은 이내 좌절되었기 때문이다. 지혜는 권위에 대한 복종이 공공연하게 이루어지는 현실에 씁쓸함을 보이면서도 시스템의 주류에 편입되고 싶은 욕망을 느낀다. 그렇지만 일상에서 부당한 권위에 작은 반격을 가하는 실천에 동참하면서 변화가능성에 대한 비극적 전망을 긍정적으로 바꿔나간다. 각 작품에서 분석한 내용을 종합하여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작품에서 핵심인물이 겪는 크고 작은 딜레마들은 이중구속(double bind)상태로부터 비롯되었다. 외부세계의 환경적 조건이 개인의 실존적 탐색을 제약하는 경우나 내부세계에서 모순된 욕망이 공존하는 경우에 개인들은 명시적인 억압을 받는 상황은 아니지만 내적 분열과 혼란을 겪었다. 개인은 폐쇄성과 개방성이 공존하는 사회에서 마련된 틈새를 확장해가며 자신의 삶을 제약하는 구조에 균열을 가하지만 때때로 한계에 부딪혔다. 또한 모순된 욕망을 추구하는 경우 개인은 외부세계에 ‘적응’하면서 ‘자기성장’을 이루고자 했으며 그 과정에서 딜레마를 겪는 양상이 포착되었다. 둘째, 세 작품 속 핵심인물들은 딜레마 경험을 통해 자신의 삶과 문화를 재구성해갔다. 이들은 딜레마 상황에서 ‘적응, 회피, 조정, 전략적 대응’이라는 다양한 대응전략을 오가며 소극적 대응과 적극적 대응을 변주해갔다. 딜레마 경험은 학습을 촉발하는 상황 또는 자극일 뿐 그 자체가 학습사건은 아니며, 딜레마 상황을 직면하고 해석해가고 대응해가는 행위자성(agency)을 발휘해갈 때 학습이 이루어졌다. 세 작품 속 인물들은 여러 경험들을 거치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부조리한 사회적 관행에‘순응하는 주체’에서 ‘비판적인 주체’로 나아가는 패턴을 보였다. 셋째, 딜레마 상황에 대한 대응을 통해 외부환경과 직접적으로 부딪혀가면서 삶 전체를 관통하는 가치체계를 일관성 있게 구성해가는 학습이 이루어졌다. 딜레마를 겪는 개인은 비판적 성찰을 통해 경험을 의미화(signification)하고 해석해 가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존중, 인정, 무시, 위협, 비난’ 등과 같은 타인의 반응과 ‘대화, 연대’와 같은 상호작용을 매개로 비판적 성찰이 일어나고 인식의 균열이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일련의 딜레마 경험을 통해 삶의 양식을 일관성 있게 구성해가는 것이 시민성 학습의 새로운 원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 제시했다. 본 연구는 삶을 구성하는 다양한 딜레마 상황들을 통과함으로써 나타나는 전환적 학습 경험들의 추이를 종단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물들을 둘러싼 다양한 상황적 맥락들과 인물들의 성찰적 인식의 변화과정이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는 문학작품을 연구텍스트로 삼았다. 문학작품을 통해 제시된 ‘소설 속 현실’은 현실 그 자체는 아니지만, 작가에 의해 구성된 세계로 당대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이 일상적 삶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으며, 어떤 삶의 모습, 사회 모습을 지향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현실세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질적 자료가 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보통의 평범한 존재의 시민들이 어떤 계기로 인해 부당함에 맞서 작은 균열을 내려는 시도를 하게 되었는지 그 맥락을 드러냈으며, 고군분투하는 삶을 통해 구성해가는 삶의 양식 자체를 시민성으로 포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와 같이 문학 작품 안에 드러난 시민들의 삶의 모습에 흐르는 시민성, 즉‘문학 속 시민성’을 통해 현실세계에서 작동하는 시민성에 대한 논의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간호사의 근무부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안소희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간호사의 근무부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간호사의 양질의 간호서비스제공에 기여하고 효율적인 간호사 인적자원 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E대학교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98명으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간호사에게 동의서를 받은 후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 198부 중 192부를 연구에 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10월 31일부터 2022년 11월 18일까지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8.0 Program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2.60±.51점, 직무만족도는 평균 2.95±.29점, 이직의도는 평균 3.72±.66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근무부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는 병동간호팀이 각각 2.71±.51점, 3.08±.3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부서에 따른 이직의도의 평균은 외래간호팀이 3.90±.5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근무부서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현 근무부서 만족도에 따라 병동간호팀(F=5.495, p=.002)과 전담간호팀(F=5.285,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근무부서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나이에 따라 외래간호팀(F=6.727, p=.003)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최종학력에 따라 병동간호팀(F=4.457, p=.017)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현 근무부서 만족도에 따라 특수간호팀(F=4.149, p=.011)과 병동간호팀(F=14.909, p=<.001), 전담간호팀(F=3.90, p=.01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근무부서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는 현 근무부서 만족도에 따라 병동간호팀(F=6.467, p=.001)과 전담간호팀(F=8.025, p=.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총 근무기간에 따른 전담간호팀의 이직의도(F=5.085, p=.005), 교대근무형태에 따른 병동간호팀의 이직의도(t=2.147, p=.037)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의 상관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367, p<.010), 직무만족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359, p<.010). 본 연구를 통해 간호사의 근무부서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는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나이, 최종학력, 총 근무기간, 현 근무부서 만족도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만족도를 높여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다양한 중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nurse's work department, and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quality nursing service and use that as basic data for efficient nurs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8 nurses working at E University Hospital in D Metropolitan City, who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received consent form from the nurse who agreed to it, and 192 out of 198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31, 2022 to November 18,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using SPSS WIN 2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job stress of the subjects was 2.60±51 points,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was 2.95±29 points, and the average job turnover intention was 3.72±66 points. The ward nursing team had the highes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department with 2.71±.51 points and 3.08±.31 points, respectively, and the outpatient nursing team had the highest average of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department with 3.90±.56 points. 2. The job stress according to nurses's working depart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ard nursing team(F=5.495, p=.002) and the dedicated nursing team(F=5.285, p=.004)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the current working department. 3.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nurses's working depart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utpatient nursing team(F=6.727, p=.003) according to age,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ard nursing team(F=4.457, p=.017)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nursing team(F=4.149, p=.011), the ward nursing team(F=14.909, p=<.001), and the dedicated nursing team(F=3.90, p=.017)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the current working department. 4. The subject's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nurses's working depar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ward nursing team(F=6.467, p=.001) and the dedicated nursing team(F=8.025, p=.000)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the current working departme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dedicated nursing team(F=5.085, p=.005) according to the total working period.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ward nursing team(t=2.147, p=.037) according to the type of shift work. 5.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r=.367, p<.010),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r=-.359, p<.010).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Nurses’s Working Department. In addition, various factors such a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ge, final education, total working period, and current job department satisfaction seem to have a complex influence on nurse turnover intention, and various intervention development is needed to reduce job stress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