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제에서 발생한 항-M 항체에 의한 신생아 용혈성 질환

        안설희 ( Seol Hee Ahn ),이연경 ( Yeon Kyung Lee ),고선영 ( Sun Young Ko ),신손문 ( Son Moon Shin ),조동희 ( Dong Hee Cho ) 대한주산의학회 2015 Perinatology Vol.26 No.3

        Hemolytic disease of the newborn (HDN) caused by anti-M is rare and clinical manifestations are variable ranging from mild anemia and hyperbilirubinemia to hydrops fetalis and intrauterine fetal death. There were few reports of HDN caused by anti-M in Korea but no case in siblings. We experienced a case of 2 male siblings, both of whom had anti-M induced HDN and prolonged anemia persisted for over a month.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This report documents the first case of HDN caused by anti-M in siblings in Korea.

      • KCI등재

        신생아 세균성 결막염의 원인균 분포

        안설희 ( Seol Hee Ahn ),이연경 ( Yeon Kyung Lee ),고선영 ( Sun Young Ko ),신손문 ( Son Moon Shin ) 대한주산의학회 2015 Perinatology Vol.26 No.4

        목적: 신생아 세균성 결막염의 원인균의 양상 및 산과적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월 부터 2013년 7월까지 본원 신생아 집중치료실과 신생아실에서 결막염으로 진단받았던 55명의 신생아와 산모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원인균을 알아보기 위해서 분비물에 대하여 시행한 세균배양 검사 및 발생시기, 분만 방식 및 조기 양막 파수 유무, 산모의 자궁경부 배양검사, 항생제 감수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가장 흔한 균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로 24명(36.4%)에서 검출되었으며, coagulase-negative-Staphylococcus (CNS) 10 명(15.2%), Enterobacter cloacae 6명(9.1%), Serratia marsescens 6명(9.1%), Pseudomonas aeruginosa 5명(7.6%) 순으로 검출되었다. 분만 방법에 따라서는 정상 질식 분만으로 태어난 환아는 18명(32.7%), 제왕절개술로 태어난 환아는 37명(67.3%)으로 두군 모두에서 S. epidermidis가 주로 검출되었다. 55명의 환아 중 분만 전 조기 양막 파수가 있었던 경우는 9명(16.4%)이었으며, 조기 양막 파수 여부와 상관없이 S. epidermidis가 가장 흔한 균이었다. 산전에 산모가 자궁경부 배양검사를 시행한 경우는 22명(40.0%)으로 이 중 배양검사상 균이 검출된 경우는 6명(27.2%)이었고 환아의 결막 분비물 배양검사와 일치하는 경우는 없었다. 결론: 신생아 세균성 결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S. epidermidis 이었으며, 신생아 세균성 결막염과 산과적 연관성은 적은 것으로 생각되지만, 본 연구에서 신생아 세균성 결막염의 위험 인자로서 산과적 요인을 배제하기에는 산모의 자궁경부 배양검사를 시행한 경우가 적어 신생아 세균성 결막염과 산과적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study the causative microorganism of neonatal bacterial conjunctivitis and its correlation with maternal facto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5 neonates diagnosed with bacterial conjunctivitis and the records of mothers from January 2008 to July 2013. We investigated microbiologic culture of conjunctival discharge, time of occurrence, the mode of delivery,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OM), microbiologic culture of vaginal swab and the sensitivities to antibiotics. Results: The most common organism was Staphylococcus epidermidis, isolated in 24 (36.4%) neonates, followed by other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CNS) 10 (15.2%), E. cloacae 6 (9.1%), S. marsescens 6 (9.1%), and P. aeruginosa 5 (7.6%). Concerning the time of occurrence, 23 (41.8%) were founded with conjunctivitis within 1 week of life. By mode of delivery, 18 (32.7%) were delivered through vaginal route and 37 (67.3%)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The most common organism grown in conjunctival discharge of both group was S. epidermidis. Of these 55 neonates’ mothers, 9 (16.4%) had history of PROM.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PROM, the most common organism was S. epidermidis. A total of 22 (40.0%) microbiologicculture of vaginal swab were examined and 6 (27.2%) of them had detected organisms. The results of vaginal swabs were in discord with results of conjunctival swabs of neonates. Conclusion: S. epidermidis was the most common infectious organism of neonatal bacterial conjunctivitis. We could not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neonatal bacterial conjunctivitis and maternal factors. Further comprehensive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related to bacterial conjunctivitis of neon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